KR20180054383A -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83A
KR20180054383A KR1020160152272A KR20160152272A KR20180054383A KR 20180054383 A KR20180054383 A KR 20180054383A KR 1020160152272 A KR1020160152272 A KR 1020160152272A KR 20160152272 A KR20160152272 A KR 20160152272A KR 20180054383 A KR20180054383 A KR 2018005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communication module
base
indu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026B1 (ko
Inventor
김완수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026B1/ko
Priority to US16/461,073 priority patent/US20200085225A1/en
Priority to PCT/KR2017/006016 priority patent/WO2018093004A1/ko
Publication of KR2018005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워킹코일을 갖는 유도가열기에 올려지는 취사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워킹코일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와;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과; 뚜껑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와; 유도가열기와 통신하는 취사기 통신모듈과; 압력조절밸브와 취사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취사기 마이컴을 포함하여, 워킹 코일을 갖는 다수의 유도가열기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취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압력 밥솥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Cooker and Cook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취사기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가열기와 통신하는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취사를 수행하는 취사기는 본체 내부에 히터를 구비하여 동작되게 된다.
취사기의 히터는 그 방식에 있어 저항가열(resistance heating)의 주울열을 이용한 것과, 코일에 수십 킬로 헤르쯔(㎑)의 고주파전류를 흘려 코일 주위에 자력선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력선에 의하여 도전성 피열물에 흐르는 와전류손(eddy current loss)에 의하여 상기 도전성 피열물이 자체 발열하게 하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등을 이용한 것이 있다.
KR 10-2004-0063495 A (2004년07월14일 공개)
본 발명은 유도가열기에 올려져 취사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취사기는 워킹코일을 갖는 유도가열기에 올려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취사기와,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워킹코일과, 취사기가 올려지는 상판을 갖는 유도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워킹코일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와;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과; 뚜껑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와; 유도가열기와 통신하는 취사기 통신모듈과; 압력조절밸브와 취사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취사기 마이컴을 포함한다.
취사기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의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는 용기의 외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은 전력변환장치의 직류를 히터로 인가할 수 있다.
취사기는 베이스와 뚜껑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전력변환장치는 커넥터에 설치될 수 있다.
취사기는 취사기 마이컴에 연결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는 베이스와 뚜껑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배터리는 커넥터에 설치될 수 있다.
취사기는 베이스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취사기 마이컴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상기 취사기 통신모듈을 통해 유도가열기로 송신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은 유도가열기에서 취사기 통신모듈로 진송된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압력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는 취사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유도가열기 통신모듈과; 워킹코일과 상기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 마이컴은 압력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를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 마이컴은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온도데이터에 따라 워킹코일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워킹 코일을 갖는 다수의 유도가열기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취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압력 밥솥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없이, 온도센서, 압력조절밸브, 취사기 통신모듈, 히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취사기가 유도가열기와 통신할 수 있고, 취사기의 압력조절밸브나 유도가열기의 워킹코일의 최적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전력변환장치, 배터리 등의 전기기기가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가 개방되었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기가 개방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가 개방되었 때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취사기(1)는 워킹코일(2)을 갖는 유도가열기(3)에 올려져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가열기(3)은 워킹코일(2)의 유도전류에 의해 용기(20)를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쿡탑(IH Cook Top)이나 인덕션 모듈(IH Module)일 수 있다.
취사기(1)는 유도가열기(3)와 함께 취사기(1) 내의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기(4)를 구성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2)는 취사기(1)가 올려지는 상판(5)을 포함할 수 있고, 워킹코일(2)은 유도가열기(3)의 내부에서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취사기(1)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워킹코일(2)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20)와;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뚜껑(30)과; 뚜껑(30)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40)와; 유도가열기(2)와 통신하는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압력조절밸브(40)와 취사기 통신모듈(50)을 제어하는 취사기 마이컴(60)을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1)는 베이스(10)에 설치된 온도센서(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1)는 용기(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11)는 용기(20)가 베이스(10)에 안착되었을 때, 용기(20) 특히, 용기(20)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에는 온도센서(11)가 수용되는 온도센서 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 수용부(12)는 베이스(10)의 상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11)는 적어도 일부가 온도센서 수용부(12)에 삽입될 수 있다.
온도센서(11)는 후술하는 커넥터(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온도센서(11)가 수용되는 온도센서 수용부(12)는 커넥터(30)에 형성될 수 있다.
취사기(1)는 온도센서(11)가 용기(20)에 직접 접촉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용기(20)의 열을 온도센서(11)로 전달하는 별도의 열전도부(미도시)가 용기(20)와 온도센서(11)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온도센서(11)는 취사기 마이컴(60)과 케이블 특히, 온도센서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워킹코일(2)에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되지 않는 비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10)는 용기(20)와 접촉될 수 있고, 용기(20)의 열이 최대한 전달되지 않도록 용기(20) 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0)는 용기(20)의 재질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비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용기(20)가 스테인리스일 경우 베이스(2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거나 스테인리스 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비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내부에 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취사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베이스(14)와, 로어 베이스(14)의 상부에 배치된 어퍼 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베이스(14)와 로어 베이스(15)의 사이에 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공간(13)은 후술하는 수신 코일(70)이나 배터리(74)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취사기(1)는 용기(20)의 외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된 히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6)는 취사기(1) 중 용기(2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16)는 후술하는 커넥터(32)에 설치될 수 있고, 커넥터(32)에 설치된 상태에서 발열되어 용기(20)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6)는 취사기 마이컴(60)과 케이블 특히, 히터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용기(20)는 워킹코일(2)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전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용기(20)는 워킹 코일(2)에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자력선이 발생될 수 있고 자력선에 의해 발열될 수 있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스테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2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용기(2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뚜껑(30)은 용기(20)의 상단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용기(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용기(2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취사기(1)는 베이스(10)와 뚜껑(30)을 연결하는 커넥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30)은 커넥터(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뚜껑은 커넥터(32)에 힌지축(31)로 연결될 수 있고,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베이스(10)와 별도로 형성되고, 베이스(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32)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넥터 바디(33)와, 커넥터 바디(33)에 돌출된 돌출 바디(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바디(33)는 적어도 일부가 용기(20)와 접촉될 수 있고,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서포터로 기능할 수 있다.
돌출 바디(34)는 커넥터 바디(33)에서 돌출된 제1 돌출 바디(35)와, 제1 돌출 바디(35)에서 돌출되고 커넥터 바디(33)와 이격된 제2 돌출 바디(3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바디(33)는 용기(20)의 외둘레면 일부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바디(33)는 대략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3A)와 대략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3B)가 용기(20)의 외둘레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바디(33)는 복수개의 돌출부(33A)를 잇는 어퍼 링부(33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32)에는 히터(14)가 설치되는 히터 설치부(33D)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설치부(33D)는 커넥터(32) 중 용기(20)의 외둘레면을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설치부(33D)는 커넥터 바디(33)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설치부(33D)는 커넥터 바디(33) 중 용기(20)의 외둘레면을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30)은 용기(20)의 상면을 덮었을 때, 용기(20)의 내부를 마주보는 이너 커버(37)와, 이너 커버(37)의 상면 및 외둘레면을 덮는 아우터 커버(38)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30)은 아우터 커버(34)에 연결되고 힌지축(31)에 연결된 레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39)는 적어도 1회 꺽인 형상일 수 있고, 라운드진 형상일 수 있다. 레버(39)에는 압력조절밸브(40)와 취사기 마이컴(60)을 연결하는 압력조절 밸브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에는 압력조절밸브(40)가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 설치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 설치공(41)은 뚜껑(30)을 덮었을 때, 용기(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 설치공(41)는 이너 커버(37)과 아우터 커버(38)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40)는 뚜껑(30)에 설치되어 용기(2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40)는 취사기 마이컴(60)과 압력조절밸브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고, 취사기 마이컴(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4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취사기 마이컴(60)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고, 온시, 그 내부 유로를 오픈할 수 있으며, 오프시 그 내부 유로를 클로즈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40)는 그 내부의 개도가 조절 가능한 개도 조절밸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취사기 통신모듈(50)은 유도가열기(2)와 유선 통신하는 유선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유도가열기(2)와 무선 통신(C)하는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취사기(1)는 유도가열기(2)와 이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취사기 통신모듈(50)은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트스 모듈과 같이 유도가열기(2)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취사기 통신모듈(50)은 유도가열기(2)의 후술하는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과 통신할 수 있고, 취사기(1)와 유도가열기(2)는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에 의해 온도 데이터 등의 각종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취사기 통신모듈(50)은 베이스(10) 또는 커넥터(32)에 설치될 수 있다.
취사기(1)는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워킹코일(2)의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70)과; 수신 코일(70)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70)는 베이스(10)의 공간(13)에 수용될 수 있다. 수신 코일(70)은 베이스(10)의 일부와 유도가열기(2)의 상판(5)을 사이에 두고 워킹코일(2)과 이격될 수 있다.
수신 코일(70)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워킹코일(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워킹코일(2)에 생성된 유도전류의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취사기(1)가 수신 코일(70)과 전력변환장치(72)를 포함할 경우, 취사기 마이컴(60)은 전력변환장치(72)의 직류를 취사기(1)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기 예를 들면, 압력조절밸브(40), 취사기통신모듈(50), 온도센서(11)와, 히터(13)의 적어도 하나로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사기(1)는 유도가열기(3)와 취사기(1)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이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없이, 취사기(1)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취사기(1)가 수신 코일(70)과 전력변환장치(72)를 포함할 경우, 전력변환장치(72)는 취사기 마이컴(60) 및 취사기 통신모듈(50)과 함께 베이스(10) 또는 커넥터(3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취사기(1)는 수신 코일(70) 및 전력변환장치(72) 대신에 취사기 마이컴(60)에 연결된 배터리(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사기(1)는 수신 코일(70) 및 전력변환장치(72)과 함께 배터리(74)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취사기(1)가 배터리(74)를 포함할 경우, 취사기 마이컴(60)은 배터리(74)의 직류를 취사기(1)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기 예를 들면, 압력조절밸브(40), 취사기 통신모듈(50), 온도센서(11)와, 히터(13)의 적어도 하나로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사기(1)는 유도가열기(3)와 취사기(1)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이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없이, 취사기(1)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74)는 취사기 마이컴(60) 및 취사기 통신모듈(50)과 함께 베이스(10) 또는 커넥터(32)에 설치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60)은 베이스(10) 또는 커넥터(32)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나 커넥터(32)에는 취사기 마이컴(60)과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전력변환장치(72)와 배터리(74)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전기기기 수용실(33E)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기기 수용실(33E)는 용기(20)와 가급적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기 수용실(33E)은 커넥터(32) 중 용기(20)와 이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전기기기 수용실(33E)는 돌출 바디(3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기 수용실(33E)은 커넥터 바디(33)와 이격된 제2 돌출 바디(36)에 형성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60)은 온도센서(11)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취사기(1)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취사기(1)는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유도가열기(2)로 이러한 온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유도가열기(2)는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전송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워킹 코일(2)을 제어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60)는 취사기(1)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때, 히터(16)로 전력변환장치(72)나 배터리(74)의 전원를 인가할 수 있고, 히터(16)는 발열되어 용기(20)를 가열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60)은 온도센서(11)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히터(16)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취사기 마이컴(60)은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조절밸브(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압력조절밸브(40)를 개방시키는 온신호가 입력되면, 취사기 마이컴(60)은 압력조절밸브(50)에 온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압력조절밸브(50)는 그 내부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취사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압력조절배브(40)의 개도를 소정개도 증가시키는 개도증가신호가 입력되면, 취사기 마이컴(60)은 압력조절밸브(50)에 개도증가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압력조절밸브(50)는 개도증가신호에 따라 그 개도를 설정개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유도가열기(3)는 취사기 통신모듈(50)과 통신하는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과; 워킹코일(2)과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을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마이컴(16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3)는 워킹코일(2) 및 유도가열기 마이컴(160)에 연결된 인버터(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은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트스 모듈과 같이 취사기(1)의 취사기 통신모듈(5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기 마이컴(160)은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워킹 코일(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유도가열기 마이컴(160)은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된 온도 데이터나 기설정된 플로그램에 따라 압력조절밸브(40)를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유도가열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기가 개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사기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뚜껑(130)이 본 발명 일실시예의 뚜껑(30)과 상이하고, 커넥터(132)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커넥터(32)과 상이하며, 뚜껑(130)과 커넥터(13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32)는 베이스(10)의 상부에 대략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2)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커넥터(133)와, 제1커넥터(133)에서 연장되고 베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커넥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13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133)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벽(133a)(133b)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제1벽(133a)(133b)의 사이에 제1공간(13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간(133c)는 후술하는 전기기기 수용실일 수 있다.
제2커넥터(13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133)는 제1커넥터(133)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벽(134a)(134b)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벽(134a)(134b)의 사이에 제2공간(134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134c)는 후술하는 뚜껑 수용실일 수 있다.
커넥터(132)의 내부에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취사기 마이컴(60)과 취사기 통신모듈(50)과 전력변환장치(72)와 배터리(74)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전기기기 수용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기기 수용실은 제1커넥터(133)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2)의 내부에는 뚜껑(130)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뚜껑 수용실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 수용실은 제2 커넥터(134)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130)은 커넥터(13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뚜껑(130)은 베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제2커넥터(134)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뚜껑(130)은 하강되어 커넥터(132)에서 하강되어 용기(20)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용기(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고, 용기(20)의 상단에서 용기(20)의 상단과 이격되게 상승되어 용기(20)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커넥터(132)에는 뚜껑(13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40)이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140)는 커넥터(132)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레버(142)와, 레버(142)의 조작시 레버(142)에 연동되어 뚜껑(130)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42)는 커넥터(13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32)에는 레버(142)가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취사기 2: 워킹코일
3: 유도가열기 4: 조리기기
5: 상판 10: 베이스
16: 히터 20: 용기
30: 뚜껑 32: 커넥터
40: 압력조절밸브 50: 취사기 통신모듈
60: 취사기 마이컴 70: 수신코일
72: 전력변환장치

Claims (13)

  1. 워킹코일을 갖는 유도가열기에 올려지는 취사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유도가열기와 통신하는 취사기 통신모듈과;
    상기 압력조절밸브와 취사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취사기 마이컴을 포함하는 취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워킹코일의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취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직류를 상기 히터로 인가하는 취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뚜껑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설치된 취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 마이컴에 연결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취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뚜껑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배터리는 상기 커넥터에 설치된 취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상기 취사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유도가열기로 송신하는 취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유도가열기에서 상기 취사기 통신모듈로 진송된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취사기.
  9. 취사기와;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워킹코일와, 상기 취사기가 올려지는 상판을 갖는 유도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의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와;
    취사기 통신모듈과;
    상기 압력조절밸브와 취사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취사기 마이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워킹코일의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에 수신된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기는
    상기 취사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유도가열기 통신모듈과;
    상기 워킹코일과 상기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마이컴을 포함하며,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데이터를 상기 취사기 통심모듈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유도가열기 마이컴은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취사기를 갖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취사기 통신모듈을 통해 압력조절밸브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취사기를 갖는 조리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기 마이컴은 상기 유도가열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온도데이터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을 제어하는 취사기를 갖는 조리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는 상기 용기의 외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은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직류를 상기 히터로 인가하는 취사기를 갖는 조리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는 상기 베이스와 뚜껑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사기 마이컴과 취사기 통신모듈과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설치된 취사기를 갖는 조리기기.
KR1020160152272A 2016-11-15 2016-11-15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KR10254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72A KR102540026B1 (ko) 2016-11-15 2016-11-15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US16/461,073 US20200085225A1 (en) 2016-11-15 2017-06-09 Cooker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same
PCT/KR2017/006016 WO2018093004A1 (ko) 2016-11-15 2017-06-09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72A KR102540026B1 (ko) 2016-11-15 2016-11-15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83A true KR20180054383A (ko) 2018-05-24
KR102540026B1 KR102540026B1 (ko) 2023-06-05

Family

ID=621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72A KR102540026B1 (ko) 2016-11-15 2016-11-15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85225A1 (ko)
KR (1) KR102540026B1 (ko)
WO (1) WO2018093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0300B2 (en) 2019-12-18 2023-08-2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improved cooking uniform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322B (zh) * 2017-05-04 2020-11-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设备
US11337280B2 (en) * 2017-07-13 202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00297003A1 (en) * 2017-10-13 2020-09-24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Electric pressure canner with digital control
USD914436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KR102658802B1 (ko) 2018-10-19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825987B2 (en) 2021-03-18 2023-11-28 Kenyon International, Inc. DC cooking appliance
US11659629B2 (en) * 2021-03-18 2023-05-23 Kenyon International, Inc. DC cooking appliance
US11838144B2 (en) * 2022-01-13 2023-12-05 Whirlpool Corporation Assisted cooking calibration optimiz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95A (ko) 2003-01-08 2004-07-14 (주)디지탈쉽 전산자원의 하드웨어 고유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분실장비 추적 방법
US20060086258A1 (en) * 2000-04-19 2006-04-27 Richard Sharpe Electronic cooking pan systems and methods
KR20110104987A (ko) * 2009-01-06 2011-09-23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스마트 조리 기구
KR20160047685A (ko) * 2014-10-23 2016-05-03 서원영 전기렌지용 조리용기
KR20160123673A (ko) *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6785A1 (en) * 2012-10-11 2014-04-17 Arcelik Anonim Sirketi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JP5789706B1 (ja) * 2014-06-18 2015-10-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炊飯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6258A1 (en) * 2000-04-19 2006-04-27 Richard Sharpe Electronic cooking pan systems and methods
KR20040063495A (ko) 2003-01-08 2004-07-14 (주)디지탈쉽 전산자원의 하드웨어 고유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분실장비 추적 방법
KR20110104987A (ko) * 2009-01-06 2011-09-23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스마트 조리 기구
KR20160047685A (ko) * 2014-10-23 2016-05-03 서원영 전기렌지용 조리용기
KR20160123673A (ko) * 2015-04-16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0300B2 (en) 2019-12-18 2023-08-2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improved cooking uniform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5225A1 (en) 2020-03-19
WO2018093004A1 (ko) 2018-05-24
KR102540026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026B1 (ko)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ES2339887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stinado a la preparacion de alimentos.
EP2907363B1 (en)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KR101589701B1 (ko) 스마트 언더렌지용 조리용기 받침장치
EP3178149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2342178A (zh) 智能炊具
KR101604429B1 (ko) 용기 가열 장치
EP3612003B1 (en) Electronic induction heating-type cooking apparatus
CN204445330U (zh) 烹饪器具
CN205197743U (zh) 一种电磁炉用锅具
US8826809B2 (en) Cooking appliance
CN208610569U (zh) 烹饪器具
CN203676842U (zh) 智能控制水壶
CN208740625U (zh) 烹饪器具
CN204909009U (zh) 锅具及电磁炉
CN208740624U (zh) 烹饪器具
CN207969994U (zh) 具有可拆装无线温度传感器的电热烹饪器具
CN208371523U (zh) 烹饪系统
CN204580872U (zh) 锅具、电磁炉和电磁炉组件
KR102550654B1 (ko) 조리기기
CN219222521U (zh) 一种具有无线供电功能的电磁炉
US20230048201A1 (en) Electric range adjusting heat power based on properties of heating target
CN220695047U (zh) 烹饪器具
CN208425907U (zh) 电磁炉锅具及其电磁炉炊具
US20220412567A1 (en) Electric range of which heat power is controll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