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46A - 조립식 티피 텐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티피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46A
KR20180053046A KR1020160150387A KR20160150387A KR20180053046A KR 20180053046 A KR20180053046 A KR 20180053046A KR 1020160150387 A KR1020160150387 A KR 1020160150387A KR 20160150387 A KR20160150387 A KR 20160150387A KR 20180053046 A KR20180053046 A KR 2018005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main body
panel
shap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620B1 (ko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이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환 filed Critical 이진환
Priority to KR10201601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8Tents or tent-like constructions composed partially of rigi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금형으로 형태를 제작하여 이를 결합해 티피 텐트 형태로 구성해 활용이 되지 않은 공간을 최소화하고 활용이 많은 공간은 최대한 넓혀 공간의 활용도가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에 관한 것으로,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본체패널을 다수개 연결하여 티피 텐트형태로 형성되는 텐트본체와;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바닥패널몸체를 다수개 연결해 텐트본체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의 하부에 설치하는 바닥패널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 상부에 고정브래킷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본체덮개와; 텐트본체덮개가 텐트본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와 텐트본체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텐트본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 외측에 설치하는 직물덮개;번거롭게 텐트를 펼치고 접고 하는 번거로움으로 벗어나 벌 수 있으므로 글램핑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간편하게 캠핑의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캠핑의 번거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티피 텐트{Tepee tent prefabricated}
본 발명은 조립식 티피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RP패널로 하나의 형태를 제작하고, 이를 결합해 티피 텐트 형태로 구성하여 활용이 되지 않는 공간을 최소화하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 등에서 취침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야외 보조기구로써, 상기한 텐트의 구성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부를 마감하는 마감천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텐트 중에서 티피 텐트는 원뿔 또는 사각뿔 등의 뿔 형태이고, 천장이 높은 피라미드 형태로 텐트 안에서 모닥불을 피울 수 있도록 천장이 뚫려 있고, 가운데 중심이 되는 텐트 폴을 세우고, 텐트 폴의 외면에 천을 덮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텐트의 하부 쪽은 넓게 이루어지고 천장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취한다.
더욱이 좁아지는 상부 중앙의 폴대로 인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피티 텐트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대 및 마감천을 세로 방향으로 높게 형성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273호(2013.04.15. 공개) "공간 활용이 우수한 원터치식 티피 텐트"는 천장 및 벽을 형성하는 섬유소재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 마감부에 삽입되는 제1프레임; 상기 하우징을 천장과 벽으로 구획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 마감부에 삽입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폴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프레임은 뒤틀렸을 시에 접힐 수 있는 탄성과 휨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원터치식 티피 텐트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연결하여 티피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나,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은 탄성과 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텐트의 형태가 무너지는 현상에 의해 내부에 설치하여 놓은 캠핑장비들이 무너져 파손되거나 또는 버너 등을 사용하고 있을 때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273호(2013.04.15.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FRP패널로 하나의 형태를 제작하고, 이를 조립해 티피 텐트 형태로 구성해 활용이 되지 않은 공간을 최소화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티피 텐트에 기대여도 텐트 전체 형태가 무너지거나 또는 기댄 패널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피 텐트 내부의 중앙 부분에 폴대를 제거하여 공간 활용시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텐트 본체 외측에 직물텐트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대로 직물텐트를 통해 햇볕을 차단하거나 또는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본체패널을 다수개 연결하여 티피 텐트형태로 형성되는 텐트본체와;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바닥패널몸체를 다수개 연결해 텐트본체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의 하부에 설치하는 바닥패널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 상부에 고정브래킷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본체덮개와; 텐트본체덮개가 텐트본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와 텐트본체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텐트본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 외측에 설치하는 직물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텐트본체는, FRP금형을 이용하여 상부가 절곡되게 형성하는 본체패널과; 본체패널와 다른 본체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 측단 각각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기와; 본체패널와 바닥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 하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와; 본체패널의 상단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아치홈과;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 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패널은, 다수의 본체패널이 결합하여 상부에 형성된 아치홈이 다른 아치홈과 연결되어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패널은, 본체패널의 개수와 동일하게 FRP금형의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다수개를 결합해 본체패널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물덮개는, 복수의 직물편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직물편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직물편과 직물편 사이에 자크가 설치되며, 복수의 직물편을 자크를 이용하여 연결한 전체 형상이 텐트본체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번거롭게 텐트를 펼치고 접고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벌 수 있으므로 글램핑 이용객에게 간편하게 캠핑의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캠핑의 번거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본체에 직물덮개를 씌운 상태에서 입구 또는 창문이 형성된 부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직물편에 설치한 직물편지퍼를 열어 텐트본체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위치시키면 텐트본체 내측으로 비추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것은 물론 개방감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편의 일측에 설치한 방충망을 이용해 개방된 부분으로 벌레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으므로 티피 텐트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본체 상부에 형성한 통공에 의해 텐트본체 내측의 공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이동되므로 티피 텐트 실내 환경이 쾌적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첨부되면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여기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나누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텐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의 제1실시예는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본체패널(110)을 다수개 연결하여 티피 텐트형태로 구성되는 텐트본체(100)와,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바닥패널몸체(210)를 다수개 연결해 텐트본체(10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100)와 결합하는 바닥패널(200)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텐트본체덮개(300)와, 텐트본체덮개(300)가 텐트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100)와 텐트본체덮개(30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400)과, 텐트본체(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100)의 외측에 설치하는 직물덮개(500)를 포함한다.
상기 텐트본체(100)는 FRP금형을 이용하여 상부가 절곡되게 본체패널(110)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패널(1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8개로 성형이 이루어져 8개의 본체패널(110)을 결합하였을 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돔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패널(110)은 FRP금형을 통해 상부가 절곡된 형태로 제작되어 측면에는 다른 본체패널(1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체결돌기(120)가 각각 형성되고, 제1체결돌기(120)가 형성된 본체패널(110)의 하부에는 제2체결돌기(13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패널(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돌기(120)는 상기 직물덮개가 텐트본체에 씌워졌을 시에 텐트본체(100)에서 일정한 간격이 띄워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더운 여름 또는 추운 겨울에 열기 또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텐트본체(100)에 직물덮개(500)를 씌울 때 텐트본체(100)와 직물덮개(5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더운 공기 또는 찬 공기가 텐트본체(100) 내부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패널(110)의 상부에는 아치홈(140)을 형성하고, 상기 아치홈(140)은 다른 본체패널(110)과 결합하였을 때 텐트본체의 상부 중앙에 통공(1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통공(150)은 티피 텐트의 내부 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순환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공(150)은 겨울철과 같이 티피 텐트 내부에서 난방을 할 때 난방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패널(100)에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110) 일면으로 돌출되게 돌출부(16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160)는 각각의 본체패널(110) 마다 형성하여 텐트본체(100)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때는 현장에서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또는 제작공장에서 절단하여 제공하며, 텐드본체(100)를 조립할 때 그 위치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티피 텐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체패널(110)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120)에 부딪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직물덮개(500)가 제1체결돌기(12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체결돌기(120)와 인접하는 다른 제1체결돌기(120)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7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170)는 제1체결돌기(12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바닥패널(200)은 본체패널의 하부에 결합하여 텐트본체(100)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과 외측은 라운드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패널(200)은 본체패널(110)에 형성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다른 바닥패널(200)과 결합하여 텐트본체(100) 내측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텐트본체(100)의 제2체결돌기(130)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복수의 바닥패널(200)이 결합할 수 있도록 바닥패널(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하방향으로 결합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20)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바닥패널(2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닥패널(200)의 하부에 형성한 결합돌기(220)와 다른 바닥패널(200)의 결합돌기(220)에 '∪'자 형상의 결합편(미도시)을 구성하여 서로 연결할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200)은 내부에서 모닥불을 지펴 난방을 하거나 또는 모닥불을 이용하여 음식물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원형공(230)을 형성한다.
상기 텐트본체덮개(300)는 복수의 본체패널(110)을 결합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통공(150)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110) 상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텐트본체덮개(3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400)에 의해 텐트본체(100) 상부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내부의 공기가 상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텐트본체덮개(300)는 고깔형태의 형상에 국한되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하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형상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400)은 텐트본체(100) 상부와 텐트본체덮개(300) 사이에 설치되어 텐트본체덮개(300)가 텐트본체(100)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래킷(400)은 본체패널(110)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1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공(411)을 갖는 고정대(41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410)의 중앙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결대(420)가 형성되며, 상기 텐트본체(100) 상부에 설치되는 텐트본체덮개(3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대(420)의 끝단에서 직각방향 또는 'T'자 형상으로 체결공(431)을 갖는 체결대(430)가 구성된다.
상기 직물덮개(500)는 텐트본체(100)의 전체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패널(110) 형상과 동일하게 복수의 직물편(510)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직물편(510)은 본체패널(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8개로 구성하거나 또는 본체패널(110) 2개를 결합한 크기를 하나로 구성해 전체 개수가 4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직물편(510)은 상기와 같이 8개 또는 4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티피 텐트를 설치하는 설치회사 또는 제조사에서 임의로 설정하여 직물덮개(5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텐트본체(100)에 입구 또는 창문이 형성되는 위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직물편(510)과 직물편(510)의 사이에 직물편지퍼(520)가 설치되며, 상기 직물편지퍼(520)는 직물편(510)이 구성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텐트본체(100)에 형성된 입구 또는 창문을 통해 벌래 등이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직물편(510)의 일측에 방충망(530)이 형성되고, 상기 방충망(530)의 개수는 입구 및 창문의 개수를 더한 합의 개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방충망(530)에는 방충망지퍼(54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열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닫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 내지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13의 구성에서 바닥패널(200), 텐트본체덮개(300), 고정브래킷(400) 및 직물덮개(500)의 구성을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덮개(5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본체패널(110)과 같이 절곡되게 구성하는 것은 아니며, 도 8 내지 14에 도시한 본체패널(110)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텐트본체(100)의 전체 형상을 따라 설치된다.
다만, 도 1 내지 6에 도시한 구성에서 텐트본체(100)의 구성만 다르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13에 구성되는 본체패널(1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삼각형의 형상 측면에는 제1체결돌기(120)가 각각 형성되어 본체패널(110)과 다른 본체패널(11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또한, 본체패널(110)의 하부에는 제2체결돌기(130)가 형성되어 바닥패널(2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패널(110) 상부에는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홈(140)을 형성하고, 복수의 본체패널(110)를 결합하여 텐트본체(100)를 구성할 때 상부에 통공(1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패널(110)의 전면에는 돌출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60)는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패널(110)을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개수를 8개로 구성하고, 8개를 연결하여 인디언텐트와 같은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본체패널(110)은 상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ㄱ'자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나, 도 7 내지 13에 도시한 본체패널(110)은 일자형태로 이루어져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티피 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식 티피 텐트를 설치할 장소를 평탄하게 고른 상태에서 복수로 이루어진 바닥패널(200)을 연결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패널(200)을 연결할 때에는 개별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바닥패널(200)과 바닥패널(20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원형으로 구성한 바닥패널(200)을 연결하고, 지면을 평평하게 고른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본체패널(110)을 하나씩 바닥패널(200) 상부에 올리거나 또는 옆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돌기(130)와 바닥패널(20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패널(200)의 옆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말뚝을 이용해 제2체결돌기(130)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본체패널(110)이 하나만 설치된 경우에는 지주를 이용하여 잠시 지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본체패널(110)을 바닥패널(200)의 상부에 설치한 본체패널(110)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체결돌기(120)를 통해 결합하고, 제2체결돌기(130)와 바닥패널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여 본체패널(11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본체패널(110)을 결합하여 텐트본체(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텐트본체(100) 상부에 형성한 통공(150)이 형성된 주변의 제1체결돌기(120)에 고정브래킷(40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고정브래킷(400)에 텐트본체덮개(30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브래킷(400)은 고정공(411)이 형성된 고정대(410)를 본체패널(110)에 형성한 제1체결돌기(120)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고정한 상태에서 텐트본체덮개(300)의 내측으로 체결대(4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텐트본체덮개(3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공(431)으로 인입시켜 너트로 고정한다.
상기 텐트본체(100)를 구성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400)을 통해 텐트본체덮개(300)를 설치한 후 직물덮개(500)를 텐트본체(100)의 외측에 설치한다. 상기 직물편(510)된 직물지퍼(520)를 통해 전체를 연결한 상태에서 텐트본체(100) 상부에서 하부로 씌워 설치하는 경우에는 텐트본체(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가능하다.
그러나 텐트본체(100)가 대형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씌우기에는 매우 힘이들기 때문에 직물편(510)의 측단에 각각 설치한 직물지퍼(520)를 이용해 다른 직물편(510)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직물덮개(500)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직물지퍼(520)의 상단은 텐트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로 직물덮개(500)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텐트본체(100)에 직물덮개개(500)를 씌운 상태에서 입구 또는 창문이 형성된 부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직물편(510)에 설치한 직물편지퍼(520)를 열어 텐트본체(100)에서 수평방향으로 펼쳐 위치시키면 개방감이 좋아지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직물편(510)의 일측에 설치한 방충망(530)을 이용해 개방된 부분으로 벌레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티피 텐트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텐트본체(100) 상부에 형성한 통공(150)에 의해 내측의 공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고 외부의 공기가 입구 또는 창문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므로 티피 텐트 실내 환경이 쾌적해지는 이점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번거롭게 텐트를 펼치고 접고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글램핑 이용객에는 사용자는 간편하게 캠핑의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캠핑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텐트본체 110: 본체패널
120: 제1체결돌기 130: 제2체결돌기
140: 아치홈 150: 통공
160: 돌출부 170; 완충부재
200; 바닥패널 210: 바닥패널몸체
220: 결합돌기 230: 원형공
300: 텐트본체덮개 400: 고정브래킷
410: 고정대 411: 고정공
420: 연결대 430: 체결대
431: 체결공 500: 직물덮개
510: 직물편 520; 직물지퍼
530: 방충망 540: 방충망지퍼

Claims (5)

  1. 조립식 티피 텐트에 있어서,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본체패널(110)을 다수개 연결하여 티피 텐트형태로 형성되는 텐트본체(100)와;
    FRP금형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으로 성형한 바닥패널몸체(210)를 다수개 연결해 텐트본체(10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100)의 하부에 설치하는 바닥패널(200)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기가 대류순환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100) 상부에 고정브래킷(400)에 의해 설치되는 텐트본체덮개(300)와;
    텐트본체덮개(300)가 텐트본체(10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텐트본체(100)와 텐트본체덮개(30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400)과;
    텐트본체(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텐트본체(100) 외측에 설치하는 직물덮개(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티피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본체(100)는,
    FRP금형을 이용하여 상부가 절곡되게 형성하는 본체패널(110)과;
    본체패널(110)와 다른 본체패널(1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110) 측단 각각에 형성되는 제1체결돌기(120)와;
    본체패널(110)와 바닥패널(2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200) 하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130)와;
    본체패널(110)의 상단부가 일정 각도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아치홈(140)과;
    입구 또는 창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패널(110) 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돌출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티피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110)은,
    다수의 본체패널(110)에 형성된 아치홈(140)이 다른 아치홈(140)과 연결되어 통공(150)을 형성하고, 통공(150)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티피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200)은,
    FRP금형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다수개가 결합하여 본체패널(110)의 하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티피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덮개(500)는,
    복수의 직물편(510)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직물편(5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직물편(510)의 측면 각각에 직물편지퍼(520)가 설치되며,
    직물편지퍼(520)를 이용하여 연결한 전체 형상이 텐트본체(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티피 텐트.
KR1020160150387A 2016-11-11 2016-11-11 조립식 티피 텐트 KR10192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87A KR101922620B1 (ko) 2016-11-11 2016-11-11 조립식 티피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87A KR101922620B1 (ko) 2016-11-11 2016-11-11 조립식 티피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46A true KR20180053046A (ko) 2018-05-21
KR101922620B1 KR101922620B1 (ko) 2018-11-27

Family

ID=6245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87A KR101922620B1 (ko) 2016-11-11 2016-11-11 조립식 티피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461A (zh) * 2018-07-20 2018-12-14 盐城市佰瑞达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驱虫效果的户外用新型帐篷
KR20200051362A (ko) * 2018-11-05 2020-05-13 임석민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569B1 (ko) * 2019-12-16 2021-05-31 최규옥 크기 가변형 텐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590U (ko) * 1990-02-21 1991-11-05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590B2 (ja) * 1991-08-29 2000-11-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200189925Y1 (ko) * 2000-02-28 2000-07-15 전성태 파라솔겸용 텐트
KR101197276B1 (ko) * 2010-07-07 2012-11-05 송석진 조립식 마루형 좌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590U (ko) * 1990-02-21 1991-11-05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06590호(2005.01.0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461A (zh) * 2018-07-20 2018-12-14 盐城市佰瑞达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驱虫效果的户外用新型帐篷
KR20200051362A (ko) * 2018-11-05 2020-05-13 임석민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620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620B1 (ko) 조립식 티피 텐트
US4793371A (en) Portable shelter
CN101175920A (zh) 帐篷风扇
US10760297B2 (en) Tent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JP3210778U (ja) ベッドフレーム用防虫網設置台
CA2466021C (en) Tent ventilation structure
KR101567193B1 (ko) 에어컨의 바람막이
KR20130002273U (ko) 공간 활용이 우수한 원터치식 티피 텐트
KR100555213B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93368Y1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0483616Y1 (ko) 실내용 텐트
US20240035301A1 (en) Tent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KR200416808Y1 (ko) 텐트
KR200488280Y1 (ko) 차양 방갈로 프레임
KR102095332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200255862Y1 (ko) 다기능 파라솔 텐트
JP2024035281A (ja) 暖房装置付きテント
JP3170580U (ja) 換気棟
KR200458235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00434Y1 (ko) 조립식 텐트
CN216197066U (zh) 一种新型户外多功能露营帐篷
KR200446521Y1 (ko)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