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13A -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13A
KR20180053013A KR1020160150306A KR20160150306A KR20180053013A KR 20180053013 A KR20180053013 A KR 20180053013A KR 1020160150306 A KR1020160150306 A KR 1020160150306A KR 20160150306 A KR20160150306 A KR 20160150306A KR 20180053013 A KR20180053013 A KR 2018005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hopping
shopping
overseas
home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련
서보인
류지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월드
Priority to KR102016015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013A/ko
Publication of KR2018005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의 재고를 매장 내에 구비하지 않고 그 물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외국에서 방송되었던 홈쇼핑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매장에 설치한 후, 외국의 홈쇼핑 방송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방송 영상을 각국의 언어나 문자로 번역하여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함과 아울러 그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에서 홍보중인 물품을 현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 접속경로를 알려줌으로써, 해외 홈쇼핑 방송을 통하여 판매되던 물품을 자국의 온라인 쇼핑이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하여, 지리적인 한계와 언어적인 한계 및 시간적인 한계로 인해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홈쇼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 구매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STOCKLESS MART MANAGEMENT SYSTEM USING OVERSEAS HOME SHOPPING CONTENTS}
본 발명은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의 재고를 매장 내에 구비하지 않고 그 물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외국에서 방송되었던 홈쇼핑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매장에 설치한 후, 외국의 홈쇼핑 방송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방송 영상을 각국의 언어나 문자로 번역하여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함과 아울러 그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에서 홍보중인 물품을 현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 접속경로를 알려줌으로써, 해외 홈쇼핑 방송을 통하여 판매되던 물품을 자국의 온라인 쇼핑이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하여, 지리적인 한계와 언어적인 한계 및 시간적인 한계로 인해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홈쇼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 구매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쇼핑(Home Shopping)은 무점포 통신판매 상거래의 한 형태로서, 케이블 TV, 공중파 TV, 위성 TV, 또는 IPTV 등에서 상품의 기능, 효과 등을 시청자에게 홍보하며 구매를 유도하는 영상을 방송하고, 시청자는 그러한 홈쇼핑 방송을 보면서 화면 등에 표시되는 주문 전화번호나 접속 URL 등을 이용하여 홈쇼핑 업체에 접속한 후 주문과 결제를 수행하여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홈쇼핑은 텔레비전을 통하여 그 효능이나 효과를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에서 텔레비전을 보다가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다는 구매 편의성으로 인해 그 이용이 널리 확대되고 있으며, 그 취급하는 상품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홈쇼핑은 텔레비전을 통한 영상의 전송을 전제하고 있는바,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자국 내로 그 서비스의 제공범위가 한정됨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텔레비전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는 물품의 홍보와 주문을 위한 언어의 한계도 있었는바, 홈쇼핑을 보고 주문할 수 있는 지역은 자국 내 또는 특정 지역 내로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01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TV 홈쇼핑 방송의 영상신호와 자막데이터를 별개로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면서, 자막데이터의 문자정보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소정의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이를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로 표출시킴으로써 홈쇼핑 데이터 방송을 다국어로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지역적으로 제한된 홈쇼핑 방송을 언어권이 다른 지역으로도 확대할 수 있게 한 다국어 제공 홈쇼핑 데이터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05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홈쇼핑 사업자들 간에 자유로운 상품정보의 교환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검증된 우수 상품을 통한 홈쇼핑 사업자의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홈쇼핑 사업자는 컨텐츠 판매 등을 통하여 부가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등, 여러 국가 간 홈쇼핑 사업자들의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국어 제공 홈쇼핑 데이터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이나,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경우, 외국의 홈쇼핑 방송을 개인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제안되었는바, 언어적인 제한을 극복할 수 있게 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방송시간을 지켜서 시청해야 한다는 홈쇼핑 방송 특유의 제한을 그대로 갖고 있게 됨은 물론, 상품 주문 후 이를 외국에서 수령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므로, 홈쇼핑 방송을 통해 해외 판로를 확대시키고자 하는 여러 중소기업들의 경우 그 활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에서 홈쇼핑 등을 통해 제품의 인지도를 높인 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으로 해외시장의 진출을 꾀하는 업체들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제품 판매를 위한 매장을 확보하고 홍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바, 해외 시장에서의 판매 진출을 보다 적은 비용과 준비만으로도 가능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운영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01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0597호
본 발명은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의 재고를 매장 내에 구비하지 않고 그 물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외국에서 방송되었던 홈쇼핑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매장에 설치한 후, 외국의 홈쇼핑 방송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방송 영상을 각국의 언어나 문자로 번역하여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함과 아울러 그 해외 홈쇼핑 방송 콘텐츠에서 홍보중인 물품을 현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 접속경로를 알려줌으로써, 해외 홈쇼핑 방송을 통하여 판매되던 물품을 자국의 온라인 쇼핑이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하여, 지리적인 한계와 언어적인 한계 및 시간적인 한계로 인해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홈쇼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 구매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은,
물품의 재고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의 매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소개되는 물품의 온라인 구매가 가능한 접속정보를 함께 표출시키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홈쇼핑 방송 영상과 함께 표출될 문자를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문자로 번역한 후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에 매치시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 및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소비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요청에 의해 물품을 판매하고, 소비자가 특정한 수령지로의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출시키는 콘텐츠 재생부;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홍보하고 있는 물품을 매장이 있는 지역에서 구매하고 배송 요청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의 접속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코드로 이루어진 접속 패턴을 표출시키는 접속 패턴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는,
해외의 홈쇼핑 영상을 저장하는 홈쇼핑 영상 저장부;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 문자를 매장이 있는 해당 국가의 문자로 번역하거나,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더빙한 후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매치시켜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는 번역 관리부; 및 해당 국가의 문자나 음성이 결합되어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할 방송 스케줄을 등록하여 편성표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성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리적인 한계와 언어적인 한계 및 시간적인 한계로 인해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홈쇼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마치 자국의 온라인 쇼핑이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이용하면서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 진출을 모색하던 업체들로서는 해외 현지에 독자적인 매장을 미처 구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각국의 보세구역 등에 물품을 저장해 놓은 후 국내에서 방영되었던 홈쇼핑 영상을 이용하여 해외에서의 판매 홍보를 꾀할 수 있게 되므로 해외시장 개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운영되는 매장의 예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매장에 설치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예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보고 물품을 주문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은, 물품의 재고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의 매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소개되는 물품의 온라인 구매가 가능한 접속정보를 함께 표출시키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홈쇼핑 방송 영상과 함께 표출될 문자를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문자로 번역한 후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에 매치시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와,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소비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요청에 의해 물품을 판매하고 소비자가 특정한 수령지로의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 전송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에 의해 재생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Display) 등의 단말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판매를 위해 매장 내에 비치되어야 하는 물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라인 상의 매장에 설치되어 매장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각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동일한 편성표에 따라 동일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해외 홈쇼핑 방송사들의 다양한 홈쇼핑 콘텐츠가 각각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 등의 마트에서는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이 물품을 직접 확인하고, 그 물품에 대한 장점과 궁금증 등을 매장 직원 등을 통하여 해소하면서, 물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들의 재고를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그에 따라, 오프라인 상의 매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물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공간과, 판매를 위한 재고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등을 모두 갖추어야 함은 물론, 직원들로서는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였는바, 매장 내에서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의 종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특히, 해외에서 물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외 각 지역마다 소비자들에게 물품을 노출시키는 공간과, 판매를 위한 재고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춤은 물론, 해외의 여러 지역으로 공급해야 할 물품을 보관하였다가 각 매장에서의 요청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물품을 공급해주는 물류센터도 갖추어야 하였는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들이 방문하는 매장에는 물품을 비치하지 않고, 그 물품을 홍보하기 위해 해외 각국에서 방영되었던 홈쇼핑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비함으로써, 판매하고자 하는 다양한 물품의 재고를 모두 구비하지 않고도 소비자들에게 여러 물품들에 대한 홍보를 하면서 구매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자국에서 방영되었던 홈쇼핑 영상이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자국에서 방영되었던 홈쇼핑 영상의 경우 소비자들이 해당 홈쇼핑 업체나 제조업체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한 후 쉽게 구매할 수 있는바,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홈쇼핑 영상은 언어적인 한계 등의 이유로 자국 내에서 쉽게 시청하거나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홈쇼핑 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한국 TV에서 방송되었던 홈쇼핑 방송을 한류 콘텐츠에 대해 호의적이고 한국 상품에 대한 구매의욕이 높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지역에 세워지는 매장에 설치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유럽이나 미국 또는 일본에서 방송되었던 홈쇼핑 방송을 한국에 세워지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접하면서 직접 구매하고 배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근래 물품 구매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해외 직접 구매처럼 해외 업체에서 제공하는 물품을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쇼핑을 통하여 자국 내에서 물품을 판매하였던 업체로서는, 해외에 독립적인 판매 매장이나 물류센터를 완전하게 구축하지 않고도, 자국에서 방송하였던 홈쇼핑 영상을 이용하여 해외에서 물품을 홍보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는 여러 중심지역에 있는 매장에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들을 일일이 준비해 놓지 않고도, 보세구역 등에 물품들을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그 국가의 물류기관을 이용하여 구매 소비자들에게 직접 배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는 매장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테리아를 구비하여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이 원하는 음료를 즐기면서 원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보고 구매할 물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장 내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의 재고는 없지만, 언어적인 한계나 지역적인 한계 등으로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해외 각국의 홈쇼핑 방송을 보면서 해외직구 하듯이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쇼핑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장에 설치된 상태로 제품에 대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출하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출시키는 콘텐츠 재생부(110)와, 현재 재생되고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홍보하고 있는 물품을 매장이 있는 지역에서 구매하고 배송 요청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의 접속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코드로 이루어진 접속 패턴을 표출시키는 접속 패턴 표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홈쇼핑 방송이 표출되는 영역과, 방송 스케줄인 편성표가 표출되는 영역뿐만 아니라, 화면 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나 NFC 태그 등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홈쇼핑 방송에서 홍보하고 있는 물품을 현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접속 패턴이 표출되는 영역이 화면에 함께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때, QR 코드나 NFC 태그와 같은 접속 패턴을 소비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 폰 등으로 스캔하거나 접촉하여 인식하게 되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게 되어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 패턴을 스캔하거나 인식하여 소비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접속하게 되는 쇼핑몰 서버(300)는 매장이 있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자국 언어로 이루어지고, 자국 내에서 물품을 배송받기 원하는 주소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 등 자국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것처럼 편하게 주문하고 배송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구매한 상품은 매장이 아닌 격지의 보세구역 등 물류센터에서 직접 배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매장 내에 물품의 재고가 없더라도 구매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해외 진출을 모색하던 업체들로서는 해외 현지에 독자적인 매장을 구축할 필요 없이 각국의 보세구역 등에 물품을 저장해 놓은 후 국내에서 방영되었던 홈쇼핑 영상을 이용하여 해외에서의 판매 홍보를 꾀할 수 있게 되므로 해외시장 개척을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는,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하려는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을 저장하고, 각국의 언어에 맞게 번역하거나 더빙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미리 설정된 편성표에 따라 각 매장에 있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여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자국의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는, 해외의 홈쇼핑 영상을 저장하는 홈쇼핑 영상 저장부(210)와,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 문자를 매장이 있는 자국의 문자로 번역하거나 자국의 음성으로 더빙한 후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매치시켜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는 번역 관리부(220)와, 자국의 문자나 음성이 결합되어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할 방송 스케줄을 등록하여 편성표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성표 관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쇼핑 영상 저장부(210)는, 해외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국내에서 판매할 때 방영했던 홈쇼핑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1회성의 방송에 대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국내에 매장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홈쇼핑 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해외 홈쇼핑 영상은 유럽이나 미국 또는 일본 등 선진국의 홈쇼핑 방송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에 매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쇼핑 영상 저장부에 한국의 홈쇼핑 방송을 해외 홈쇼핑 영상으로 저장하여 한국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번역 관리부(220)는, 해외 홈쇼핑 영상에서 표출되는 문자부분을 매장이 개설되는 국가의 소비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문자로 번역한 후 해외 홈쇼핑 영상에 매치시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해외 홈쇼핑 영상에 등장하는 쇼호스트들의 멘트를 매장이 개설되는 국가의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언어로 더빙하여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번역 관리부에 의해 해외 홈쇼핑 영상에서 소개되고 있는 물품의 홍보문구나 홍보멘트들이 매장이 개설된 국가의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문자나 언어로 번역되어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될 해외 홈쇼핑 콘텐츠로 생성됨으로써, 실제 물품이 비치되어 있지 않은 매장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도 물품에 대한 홍보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로서는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해외시장에서의 홍보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매장이 개설되어 있는 국가의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접속한 후, 해외 홈쇼핑 콘텐츠의 형태로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물품을 구매하고 배송을 요청할 수 있는 통상적인 쇼핑몰 서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매장을 개설한 특정 국가의 소비자들에게 그들의 언어와 문자로 노출되어 물품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고, 그 국가 내에 있는 특정 지역으로의 배송을 요청받게 되는바, 해외 홈쇼핑 방송에서 소개된 물품의 구매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로서는 마치 자국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여 주문하고 배송 요청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접속 패턴을 스캔하거나 태깅하여 획득한 정보에 의해 유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할 수 있는 웹서버로서, 소비자가 물품의 구매를 결정하고, 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면, 물품을 배송받기 원하는 장소의 배송지를 입력하여 구매를 완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통상적인 온라인 쇼핑몰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는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통하여 접하게 된 물품의 구매가 완료되면, 물품을 판매하는 업체에서는 그 국가의 보세구역 등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배송을 시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해외 시장에 진출하려는 업체로서는 판매를 위한 매장을 구축하지 않고도 각 국가에서의 물품판매가 가능하게 되며, 각 국가의 소비자들로서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던 해외 직구(직접구매)를 하지 않고도 자국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해외 업체의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에 의해 물품 구매가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류 콘텐츠와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중국에서 한국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것을 설명한다.
중국에 개설된 매장에 물품은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한국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들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격지의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물품에 대한 설명이 중국어로 번역 또는 더빙되어 있는 한국 홈쇼핑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장에는 방문한 소비자들이 차를 마시며 한국 홈쇼핑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음료를 제공하는 카페테리아가 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국 홈쇼핑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물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되는바, 이처럼 영상을 시청하면서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 5에서는 이러한 매장을 비디오 쇼핑 카페(Video Shopping Cafe) 또는 비디오 숍(Video Shop)으로 칭하였다.
비디오 쇼핑 카페를 방문한 소비자가 매장 내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한국 홈쇼핑 콘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면서 구매 의사가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이때,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한국 홈쇼핑 콘텐츠뿐만 아니라, 여러 한류 스타와 관련된 콘텐츠를 함께 재생함으로써,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가 한국 홈쇼핑 콘텐츠에서 방송 중인 물품의 구매를 원할 경우,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를 태깅하여 유무선통신망 상에서 그 물품의 구매가 가능한 쇼핑몰 서버(Shopping Mall)(30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구매하고자 하였던 물품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이나, 가격 등을 확인하면서, 그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없다면, 매장에 비치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소비자가 본인의 스마트폰이나 매장내의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후 물품구매를 위한 결제는 중국 내에서 온라인 쇼핑 결제시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알리페이 또는 위챗페이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치 자국의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구매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결제가 이루어진 후에는 중국내에서의 온라인 쇼핑 배송과 마찬가지로 중국내의 보세구역 등 물류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을 소비자가 원하였던 수령지로 배송하여 수령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중국내에서 쉽게 구매하기 어려웠던 한국 홈쇼핑 판매 물품들을 마치 자국의 홈쇼핑이나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며, 한국 업체로서는 물품 판매를 위한 매장 등의 유통망을 일일이 구축하지 않고도 한국의 홈쇼핑 방송 영상을 이용하여 중국 시장에 홍보하면서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쇼핑의 편의성을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내 업체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활성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는 보다 다양하고 많은 해외 물품에의 접근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콘텐츠 재생부
120 : 접속 패턴 표출부
200 :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 210 : 홈쇼핑 영상 저장부
220 : 번역 관리부 230 : 편성표 관리부
300 : 쇼핑몰 서버

Claims (3)

  1. 물품의 재고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의 매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소개되는 물품의 온라인 구매가 가능한 접속정보를 함께 표출시키는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홈쇼핑 방송 영상과 함께 표출될 문자를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문자로 번역한 후 해외 홈쇼핑 방송 영상에 매치시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일정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 및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소비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요청에 의해 물품을 판매하고, 소비자가 특정한 수령지로의 배송을 관리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출시키는 콘텐츠 재생부; 및
    현재 재생되고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에서 홍보하고 있는 물품을 매장이 있는 지역에서 구매하고 배송 요청할 수 있는 쇼핑몰 서버의 접속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코드로 이루어진 접속 패턴을 표출시키는 접속 패턴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콘텐츠 제공서버는,
    해외의 홈쇼핑 영상을 저장하는 홈쇼핑 영상 저장부;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 문자를 매장이 있는 해당 국가의 문자로 번역하거나, 해당 국가의 음성으로 더빙한 후 각 해외 홈쇼핑 영상에 매치시켜 홈쇼핑 콘텐츠를 생성하는 번역 관리부; 및
    해당 국가의 문자나 음성이 결합되어 있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재생할 방송 스케줄을 등록하여 편성표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성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KR1020160150306A 2016-11-11 2016-11-11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KR20180053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06A KR20180053013A (ko) 2016-11-11 2016-11-11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06A KR20180053013A (ko) 2016-11-11 2016-11-11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13A true KR20180053013A (ko) 2018-05-21

Family

ID=6245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06A KR20180053013A (ko) 2016-11-11 2016-11-11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2401A (zh) * 2018-11-20 2019-01-18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配送范围的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2401A (zh) * 2018-11-20 2019-01-18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配送范围的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9242401B (zh) * 2018-11-20 2020-12-15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配送范围的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304B1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비젼 네트워크 콘텐트의 제출
US200900941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ed addressable advertising
KR101775640B1 (ko)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666814B2 (e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adaptive to data broadcast
KR20190060359A (ko) 동영상 기반 상품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071559A (ko) 대화형광고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3160B1 (ko) 인터넷 홈쇼핑 시스템 장치
CN101405756A (zh) 广告系统和商品销售系统
KR101744019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80053013A (ko) 해외 홈쇼핑 콘텐츠를 이용한 무재고 마트 운영시스템
KR20120079039A (ko) 인터넷 방송을 통한 인터넷 홈쇼핑 통합 시스템
KR20090109196A (ko)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32632A (ko) 개인 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0009A (ko) 실시간 영상 컨텐츠의 제공방법
WO2008147149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KR20160009763A (ko)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70105457A (ko) 디지털 카타록북을 이용하는 t-커머스 전자상거래 방법과 시스템
KR20140068335A (ko) 스마트 티비 상의 프로그램 연계형 상품 추천방법
KR20230006181A (ko) 지자체 소상공인을 위한 라이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6990A (ko) 홈쇼핑 방송과 대형할인매장의 샘플샵을 연계한 배송 물류시스템 및 이를 통한 상품 판매 방법
KR102280215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구매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256431B1 (ko) 상품 간편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6615A (ko) 실시간 현장 중계 구매 시스템
JP5116361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商品販売方法
KR20070007634A (ko) 방송물과 연계한 모바일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