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891A - 배드민턴 셔틀콕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891A
KR20180052891A KR1020160150012A KR20160150012A KR20180052891A KR 20180052891 A KR20180052891 A KR 20180052891A KR 1020160150012 A KR1020160150012 A KR 1020160150012A KR 20160150012 A KR20160150012 A KR 20160150012A KR 20180052891 A KR20180052891 A KR 2018005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huttlecock
individual
wing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이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용 filed Critical 이기용
Priority to KR102016015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2891A/ko
Publication of KR2018005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반구형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서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결속링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하나의 띠 구조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 부위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견고함 유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다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져, 이용자들의 배드민턴 플레이 과정에서 기존 깃털 셔틀콕에 비해 강성 구조의 배드민턴 셔틀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셔틀콕{badminton shuttlecock}
본 발명은 배드민턴 셔틀콕으로서 배드민턴 라켓으로 타격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나 내주에 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진 강성 구조의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 운동 종목에서 이용되는 셔틀콕(shuttlecock)은 반구형 코르크와 16개의 깃털로 이루어진 깃털 셔틀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깃털 셔틀콕(feathered shuttlecock)은 14 ~ 16장의 깃털을 꽂은 작은 코르크 팁(cork tip)과 깃털부(feather crown)를 요구하게 되는데, 깃털부는 코르크 후미에 부착되는 깃털로서 셔틀콕에 안정감을 주고 공기역학적으로 만들며, 코르크 팁 (cork tip)은 셔틀콕의 밑 부분의 동그란 부분으로서 배드민턴 라켓을 활용하여 타격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깃털 셔틀콕은 그 무게가 5g도 채 되지 않으며, 깃털로서 오리털과 거위털을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오리털을 사용한 셔틀콕은 정교하고 깃털이 깨끗한 반면, 거위털을 사용한 셔틀콕은 기름기가 많고 질기기 때문에 경기용으로 사용된다.
셔틀콕에 쓰이는 깃털은 오리와 거위 모두 한 마리에 14개밖에 나오지 않는다. 게다가 왼쪽과 오른쪽 깃털의 휘어진 방향이 반대여서 회전 방향을 일정하게 하려면 같은 쪽 깃털만 써야 하기 때문에, 셔틀콕 한 개를 만들려면 오리 또는 거위가 3∼4마리 필요하다. 특히 대표선수들이 쓰는 최상급 셔틀콕은 1마리에서 4개 정도의 깃털밖에 뽑지 못한다.
이러한 기존의 깃털 셔틀콕은 오리 및 거위로부터 얻은 깃털을 사용하는 관계로 배드민턴 경기 시에 라켓의 수차례 타격에 따른 충격에 약하고, 건조해질 경우 파손되기 쉬워 내구성이 좋지 못한 문제와 함께, 오리 및 거위용 깃털을 사용하는 관계로 셔틀콕의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30635 (2015.03.20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오리 및 거위용 깃털을 사용하는 기존 깃털 셔틀콕과 유사한 비행 성능 특성을 구현하며, 기존 깃털 셔틀콕에 비하여 내구성이 더 향상된 3단 구조의 셔틀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구형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서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결속링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하나의 띠 구조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 부위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견고함 유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다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부는,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원반띠와, 상기 원반띠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절곡된 상태로 방사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에 물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 구조의 내부를 갖는 각각의 개별 살대와, 상기 각각의 개별 살대 중반 구간에서부터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 날개, 및 상기 각각의 개별 살대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는 구간에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개별 살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속링을 삽입시켜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물림홈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상호 간 독립된 개별 단락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른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여러 지점 부위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견고함 유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다수의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날개부는 일정 간극을 유지하면서 방사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에 물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 구조의 내부를 갖는 각각의 독립된 개별 낱개 살대와, 상기 각각의 개별 낱개 살대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 날개, 및 상기 각각의 개별 낱개 살대의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는 구간에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개별 낱개 살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속링을 삽입시켜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물림홈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원반띠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억지 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턱 구조이면서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끼움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끼움부의 후단 위치에서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나사 박음에 의해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직접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개별 살대 및 날개들은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끝단 부분에서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공기 저항의 증가로 인한 감속이 증대되는 한편, 상기 물림홈은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의 지지대 및 결속링을 동시에 구속하게 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개별 날개들 부위에 다수로 뚫린 천공홀들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 저항의 감소로 인한 비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개별 살대들은 각각 소정의 비틀림 각도로 구성되면서 방사되어 셔틀콕 비행 과정에서의 셔틀콕에 대한 회전 성능이 부여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개별 날개들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절취선들이 형성되어 셔틀콕의 비행 과정에서 상기 절취선들을 따라 개별 날개들의 가장자리 부위가 떨어져 나감으로써 개별 날개들의 찢김이나 파손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절취선은 톱니형, 일자형, 천공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개별 살대들에는 일체된 날개의 지지력 증강을 위해 엠보싱 형태의 필름지탱부들이 뻗쳐 있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에 상기 날개부가 결합 구성될 때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다수 지지대가 끝나는 경계에서부터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의 시작에 따른 공기 유로 통로로 작용되어 셔틀콕의 비행 안전성 증가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날개부 상호 간의 이중 색깔로 인한 식별력 증대에 따른 심미감이 향상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물림홈은 살대의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홈 구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좌우로 벌어진 홈 구조를 더한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물림홈은 살대의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홈 구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좌우로 개구형 구조를 더한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일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오리 및 거위 깃털을 이용한 기존 깃털 셔틀콕의 비행 성능을 발휘함과 동시 기존 깃털 셔틀콕 대비 내구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기존 깃털 셔틀콕의 고가 제작 비용 대비 현저히 제작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기존 깃털 셔틀콕의 소모성과 달리 셔틀콕의 소모성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배드민턴 이용자들의 연령층에 맞추어 셔틀콕의 비행 속도 및 비거리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배드민턴 이용자들의 게임 유희를 위해 셔틀콕의 회전 부여와 함께, 셔틀콕 색감의 대조로 시각적인 측면에서의 심미감 증대를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배드민턴 이용자들의 게임 과정에서 날개의 찢김을 방지하는 동시 날개의 헤어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날씨와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는 상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은, 기존 깃털 셔틀콕보다 우수한 안정적 비행 조절이 가능하며, 동일한 무게로 내구력 증강이 탁월한 셔틀콕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면들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셔틀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셔틀콕의 지지프레임과 날개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프레임과 날개부의 분해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의 상세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날개부의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날개부의 상세 측면도,
도 8은 도 6과 7에 도시된 날개부 중 어느 한 개별 날개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면들로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셔틀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셔틀콕의 지지프레임과 날개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날개부 중 어느 한 개별 날개부에 대한 상세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날개부 중 어느 한 개별 날개부에 대한 상세 측면도이다.
도 14는 셔틀콕의 날개부에 있어 살대로부터 연장되는 필름지탱부 및 날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취선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 발명의 셔틀콕 출원에 앞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77758호(명칭 : 가속기능 배드민턴 인조셔틀콕)을 출원한바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100)은 도 1 내지 도 8의 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배드민턴 라켓으로 타격하게 되는 타격 부위인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결합되면서 방사상으로 뻗은 형태를 갖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나 내주를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면서 견고성 증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날개부(130)를 포함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헤드부(1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셔틀콕(100)의 제일 앞쪽에 위치된 반구 형상으로서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타격하게 되는 부위인바 반구 형상의 코르크로 이루어져 라켓의 타격에 따라 반발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결합되면서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하나의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다수의 지지대(121)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결속링(122, 1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대(121)는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시작점 부위에 원판(124a)이 일체화로 형성되며, 이러한 원판(124)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원판(124)의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끼움부(124)가 돌출되는 방식으로 일체되고 이러한 끼움부(124)의 끝단 둘레이는 걸림 구조의 단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의 지지대(121), 결속링(122,123), 원판(124a), 끼움부(124)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하나의 원뿔로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끼움부(124)가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헤드부(110)의 후미로 지지프레임(1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날개부(130)는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도 6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결합되는바, 하나의 띠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방사상 하나의 원뿔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거나, 개별 낱개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방식의 방사상 원뿔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주에 결합되는 형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주에 결합되는 형태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날개부(130)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개별 살대(132)와, 상기 개별 살대(132)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말단 구간인 후반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개별 날개(131)와, 상기 개별 살대의 방사 시작 부위인 초반 구간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반띠(135)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반띠(135)는 중앙이 관통된 중공(135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살대(132)는 그 길이를 따라 내부가 비어 있는 ∪ 자 형 구조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131)의 형성되지 않은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하나 이상의 물림홈(133,134)들을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물림홈(133,134)들은 상기 살대(13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바,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살대(132)는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홈 형태가 상기의 ∪ 자 형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에 이르기까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홈(133,134)의 형태도 십자형 및 일자형에 다른 파생 형태까지도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물림홈(133,134)의 형태에 있어 일자형은 제2 실시 예로서 도면 9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관계로 후술되는 제2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130)는 중공(135a) 형상을 갖는 얇은 원반띠(135)와, 상기 원반띠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살대(132)와, 상기 각 살대(135)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말단 구간인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날개(131)와, 상기 각 살대(135)의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격마다 일체로 형성되는 물림홈(133,134)들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날개부(130)는 헤드부(110)의 후미에 결합됨에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끼움부(124)가 상기 날개부(130)의 원반띠(135) 중앙에 형성된 중공(135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에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져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24)의 끝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턱은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원판(124a)은 상기 날개부(130)의 원반띠(135)에 걸림 상태로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에 고정된다. 즉, 상기 원반띠(135)는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와 상기 원판(124a)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에서 상기 날개부(130)의 상기 원반띠(135)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헤드부(110)의 후미에 지지프레임(120)의 결합과 아울러 상기 날개부(130)의 고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20)의 결속링(122,123)에 상기 날개부(130)의 물림홈(133,134)들이 도 3과 같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날개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물림홈(133,134)들은 십자형 홈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날개부(130)의 개별 날개(131) 길이를 따라 형성된 ∪ 자 형 구조의 홈에 지지프레임(120)의 개별 지지대(121)들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물림과 동시 결속링(122,123)과도 함께 물려 있는 관계로 상기 날개부(130)는 지지프레임(120)과의 물림 구조를 통하여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부(130)들 중에서 하나의 날개부(13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살대(132)와, 상기 살대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말단인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된 날개(131)와, 상기 살대의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일체된 하나 이상의 십자형 물림홈(133,134)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의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살대()의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 자 형 구조의 홈도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100)은 도면 9 내지 도면 13를 참조할 수 있는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헤드부(110)와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구성들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관계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되, 상기 날개부(130')에 대한 구성 요소에 있어 제1 실시 예와 다른 물림홈(133',134')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날개부(130')는 11을 참고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살대(132')와, 상기 살대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말단인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된 날개(131')를 포함하는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되, 상기 살대의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는 구간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물림홈(133',134')은 제1 실시 예와 다른 일자형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물림홈(133',134')에서는 살대(132)의 양측이 밀폐되지 않은 개구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살대(132)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 자 형 구조의 홈에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대(121)가 끼워짐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20)의 결속링(122,123)들은 살대(132)의 개구형 구조로 상기 일자형 물림홈(133',134') 지점에서 살대(132)의 ∪ 자 형 구조 홈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대(121)와 결속링(122,123)의 살대(132) 물림에 따라 살대(132)는 구속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날개부는 제1, 2 실시예에 제시된 날개부(130,130')와 동일하지 않는 다른 실시 예로도 제안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날개부(130,130')의 구성 요소 중에서 원반띠(135))를 생략하여 개별 낱개의 날개부들이 상기 원반띠(135)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지 않은 개별적으로 단락되어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날개부가 개별적으로 단락된 구조일 경우에는, 날개부 개개를 지지프레임(120)의 외주나 내주를 따라 지지대(121)와 결속링(122,123)에 각각 날개부의 살대(131)에 구성된 물림홈(133,134)들만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날개부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된 제1, 2 실시예 및 다른 실시 예까지 제안된 날개부는, 유첨된 도면을 통하여 지지프레임(120)의 외주에서 결합되는 형태와 달리 미도시되었으나 지지프레임(120)의 내주에 결합되는 형태까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날개부는 지지프레임(120)의 내주에 결합되는 관계로 지지프레임(120)의 외주에 결합되는 날개부의 ∪ 자 형 구조 홈 및 물림홈(133,134)의 방향이 180°로 전환되어 뒤집히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날개부에 구성된 ∪ 자 형 구조 홈 및 물림홈(133,134)은 지지프레임(120)의 외주 결합과 달리 지지프레임(120)의 내주에서 결합될 때에는 그 방향이 180°로 전환되어 외주에 위치된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대(121) 및 결속링(122,123)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날개부가 상술된 제1,2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달리 지지프레임의 내주를 따라 결합되는 형태일 경우에는, 날개부와 지지프레임 간의 표면 색상이 대조될 수 있는 색깔로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색깔의 구별은 배드민턴 이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날개부와 지지프레임 간의 표면 색상이 대조될 경우, 지지프레임은 날개부의 외주를 따라 구성되면서 날개부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하더라도 지지프레임 보다 그 길이가 긴 관계로 지지프레임에서 노출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배드민턴 이용자들은 지지프레임과 날개부 간의 색상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색상의 식별력은 시각적인 면에서 색상의 조화와 함께 독특함을 제시하여 배드민턴 플레이 과정에서 이용자들의 심미감 증대를 기대하게 된다.
더욱이, 날개부가 지지프레임의 내주에서 결합될 경우, 지지프레임에서 날개부가 노출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날개부의 노출 구간에서만큼은 날개부의 살대 길이에 걸쳐 형성된 일부의 ∪ 자형 구조 홈 노출로 인하여, ∪ 자형 구조 홈이 공기 통로로 작용될 수 까닭에 셔틀콕의 비행 궤적에 대한 안정성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날개부의 날개 끝단은 상술된 제1, 2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달리, 방사상으로 뻗지 않고 외측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나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날개 끝단이 외측 방향을 향한 나팔 형상일 경우에 셔틀콕의 비행 과정에서 나팔 형상 부위가 공기저항을 크게 받아 궁극적으로 셔틀콕의 비행 감속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날개 끝단의 나팔 형상 부위는 배드민턴 이용자들의 연령층에 따라 볼록한 굴곡 정도를 조절한 여러 타입들로 제공될 수 있는 관계로 비행 감속 조절까지 예측 가능하다.
한편, 날개부의 날개 부위에는 상술된 제1, 2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달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대(132)의 중반 구간에서 말미인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된 날개(131)의 강성 증대를 위해 살대(132)에서부터 날개(131) 주변으로 엠보싱 형태의 필름지탱부(137)들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13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절취선(136)이 형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절취선(136)들은 날개(131) 전체에 대한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배드민턴 이용자들은 단순히 셔틀콕을 타격하여 주고받는 플레이 위주로도 게임을 하지만, 배드민턴 이용자들 중 아마급 수준의 실력을 가진 이용자들의 대다수는 셔틀콕을 타격하며 주고받는 플레이 과정에서 점수를 매겨, 승리자가 상대방의 셔틀콕들을 보상받는 목적으로 게임을 즐기게 된다.
이처럼, 셔틀콕을 걸고 게임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관계로, 셔틀콕은 게임 과정에서 날개가 헤어져야 하는 소모성 특징을 유지해야 셔틀콕 보상 차원의 게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셔틀콕의 소모성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셔틀콕은 기존 깃털 셔트콕에 비해 그 소모성이 저하될 수 있지만 여전히 적정의 소모성을 유지해야 하는 관계로, 도 14와 같은 날개(13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절취선(136)들은 셔틀콕의 주고받는 플레이 과정에서 수차례의 타격 충격에 의해 부서지는 형태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절취선(136) 부위들이 부서지는 형태로 떨어져 나가게 되면, 날개(131)의 가장자리는 톱니 형상과 같은 헤어짐 모양의 셔틀콕 소모성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셔틀콕이 소모되는 것으로 받아들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절취선(136)의 모양은 V 자형뿐 아니라, 홀과 같은 O 자나, 일자형, 및 기타 다른 형상들까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비거리 조절을 위해 날개 부위의 면적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방식의 천공홀들을 형성하여, 셔틀콕의 비행 과정에서 공기가 천공홀을 통하여 빠져 나감에 따라 공기 저항의 감소로 인한 셔틀콕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고, 이용 연령층에 따라 천공홀의 개수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방식으로 셔틀콕의 비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날개부의 비틀림 각도를 부여하여 셔틀콕의 비행 과정에서 셔틀콕에 대한 회전 성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은 상술된 제1,2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달리, 끼움부를 생략한 원판과 지지대 및 결속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원판은 헤드부의 후미에 나사류 고정 방식으로 직접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며, 끼움부 생략에 따른 셔틀콕의 제작 원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배드민턴 셔틀콕은 헤드부, 지지프레임, 및 날개부의 3단 구조로 이루어진바, 지지프레임이나 날개부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로 셔틀콕의 비거리 조정 및 감속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에 대한 변형은 가하지 않되, 날개부에 대한 소재의 크기, 재질의 두께 등을 변형 조절하여 셔틀콕에 대한 비거리 조정 및 감속효과를 조정할 수 있으며, 반면 날개부에 대한 변형은 가하지 않되, 지지프레임에 대한 무게나 방사상 각도의 변형 조절로 역시 셔틀콕의 비거리 조정 및 감속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셔틀콕 110 : 헤드부
120 : 지지프레임 121 : 지지대
122, 123 : 결속링 124 : 끼움부
124a : 원판
130 : 날개부 131 : 날개
132 : 살대 133, 134 : 물림홈
135 : 원반띠 135a : 중공
136 : 절취선 137 : 필름지탱부

Claims (12)

  1. 반구형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서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되는 복수의 결속링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하나의 띠 구조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 부위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견고함 유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다수의 날개부;
    를 포함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진 배드민턴 셔틀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부는,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원반띠;
    상기 원반띠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절곡된 상태로 방사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에 물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 구조의 내부를 갖는 각각의 개별 살대;
    상기 각각의 개별 살대 중반 구간에서부터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 날개; 및
    상기 각각의 개별 살대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는 구간에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개별 살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속링을 삽입시켜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물림홈;
    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상호 간 독립된 개별 단락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헤드부 후미 결합에 따른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여러 지점 부위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견고함 유지와 함께 셔틀콕의 비행 궤적 및 속도를 조절하게 다수의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날개부는, 일정 간극을 유지하면서 방사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나 이상 지점에 물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 구조의 내부를 갖는 각각의 독립된 개별 낱개 살대;
    상기 각각의 개별 낱개 살대의 중반 구간에서부터 후반 구간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개별 날개; 및
    상기 각각의 개별 낱개 살대의 초반 구간에서부터 중반 구간에 이르는 구간에서 일정 간극을 유지하며 개별 낱개 살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속링을 삽입시켜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물림홈;
    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원반띠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억지 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턱 구조이면서 원기둥 형태로 돌출된 끼움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끼움부의 후단 위치에서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나사류 박음고정에 의해 상기 헤드부의 후미에 직접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살대 및 날개들은 방사상으로 뻗게 되는 끝단 부분에서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공기 저항의 증가로 인한 감속이 증대되는 한편, 상기 물림홈은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의 지지대 및 결속링을 동시에 구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날개들 부위에 다수로 뚫린 천공홀들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 저항의 감소로 인한 비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살대들은 각각 소정의 비틀림 각도로 구성되면서 방사되어 셔틀콕 비행 과정에서의 셔틀콕에 대한 회전 성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날개들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절취선들이 형성되어 셔틀콕의 비행 과정에서 상기 절취선들을 따라 개별 날개들의 가장자리 부위가 떨어져 나감으로써 개별 날개들의 찢김이나 파손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절취선은 톱니형, 일자형, 천공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살대들에는 일체된 날개의 지지력 증강을 위해 엠보싱 형태의 필름지탱부들이 뻗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주에 상기 날개부가 결합 구성될 때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다수 지지대가 끝나는 경계에서부터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홈의 시작에 따른 공기 유로 통로로 작용되어 셔틀콕의 비행 안전성 증가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날개부 상호 간의 이중 색깔로 인한 식별력 증대에 따른 심미감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홈은 살대의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홈 구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좌우로 벌어진 홈 구조를 더한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홈은 살대의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홈 구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좌우로 개구형 구조를 더한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KR1020160150012A 2016-11-11 2016-11-11 배드민턴 셔틀콕 KR20180052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12A KR20180052891A (ko) 2016-11-11 2016-11-11 배드민턴 셔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12A KR20180052891A (ko) 2016-11-11 2016-11-11 배드민턴 셔틀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91A true KR20180052891A (ko) 2018-05-21

Family

ID=6245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12A KR20180052891A (ko) 2016-11-11 2016-11-11 배드민턴 셔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28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8123B1 (en) Flying disk
WO2017195647A1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及び、シャトルコック
US8920267B2 (en) Throwing toy with improved adjustable and time flight measurement
US6739934B1 (en) Long range flying disc sporting toy
US7258635B2 (en) Shuttlecock
US5263819A (en) Paired flying disks
KR20180052891A (ko) 배드민턴 셔틀콕
KR101923021B1 (ko) 배드민턴 셔틀콕
DK179565B1 (en) AN AERODYNAMIC TOYS
EP2729222B1 (en) Shuttlecock
JPS6113826B2 (ko)
JP5689696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及びシャトルコック
KR101552239B1 (ko) 인조 셔틀콕 및 그 제조방법
JP4025327B2 (ja) ヘッドの重心位置可変式ゴルフクラブ
KR20140028744A (ko) 날개 체결식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91327Y1 (ko) 셔틀콕
US6293879B2 (en) Multi-disk boomerang
US20030096552A1 (en) Modular and adjustable autorotative flyer
US20240165528A1 (en) Throwing toy
JPH10263116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
KR101302472B1 (ko) 놀이용 비행원반
JP2009125359A (ja) シャトル
KR20100130364A (ko) 비행 놀이기구
CA3042201A1 (en) Throw toy
KR20060018939A (ko) 배드민턴 셔틀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