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820A - 에어 워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워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820A
KR20180052820A KR1020160149729A KR20160149729A KR20180052820A KR 20180052820 A KR20180052820 A KR 20180052820A KR 1020160149729 A KR1020160149729 A KR 1020160149729A KR 20160149729 A KR20160149729 A KR 20160149729A KR 20180052820 A KR20180052820 A KR 2018005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rtain
injection
sh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046B1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현관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과 현관 공간을 구분하는 제1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1 에어 모듈, 상기 현관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2 에어 모듈, 상기 제1, 2 분사 장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현관 공간으로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3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3 에어 모듈,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및 열림 상태에 따라 닫힘 및 열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커튼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에서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 동작하여 상기 제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또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 워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워시 장치{Air wash apparatus}
실시 예는 에어 워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에서 공기 차단 모드 또는 먼지 차단 모드 동작하여 현관 공간으로 에어 분사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분사되는 에어를 제어하기 용이한 에어 워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독주택을 비롯하여 아파트 및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현관을 출입할 때에 거의 아무런 위생관념이 없이 출입하였다.
특히, 외출한 후에 귀가하여 실내로 들어올 때에 옷과 신발 및 손과 발에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비롯하여 여러 병원균과 화학물질 등 각종 유해성 이물질들이 부착되고, 이와 같이 각종 이물질들이 부착된 상태에서 현관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현관에는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출에서 귀가할 때에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질들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되고, 이와 같이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성 이물질에 의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심지어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을 얻게(앓게) 되는 등 위생문제를 유발시킨다.
최근 들어, 실내로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아파트인 경우 현관 출입문 밖, 즉 실외, 복도 및 다른 집으로 이물질이 비산되게 되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에서 공기 차단 모드 또는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에어 분사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감시하여,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 워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분사되는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거나, 또는 풍량이 가변되게 제어할 수 있는 에어 워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현관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과 현관 공간을 구분하는 제1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1 에어 모듈, 상기 현관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2 에어 모듈, 상기 제1, 2 분사 장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현관 공간으로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3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3 에어 모듈,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및 열림 상태에 따라 닫힘 및 열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커튼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에서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 동작하여 상기 제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또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및 상기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및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또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에서 공기 차단 모드 또는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에어 분사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감시하여,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에어를 분사할 수 있음으로써, 현관 출입문의 상태에 따라 에어 분사에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분사되는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거나, 또는 풍량이 가변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람에게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으며, 실외 공간으로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공기 차단 모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될 때 에어 워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먼지 차단 모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될 때 에어 워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다른 에어 워시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 워시 장치(100)는 제1 분사 장치(110), 제2 분사 장치(120) 및 제3 분사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에어 워시 장치(100)는 현관 공간(S2)에 설치되며, 현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 내지 제3 분사장치(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분사장치와 분리되어 현관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현관 공간(S2)은 주택의 실내 공간(S1) 및 주택의 실외 공간(S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나타내며, 사용자가 신발을 벗거나 신는 등의 행동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실내 공간(S1) 및 현관 공간(S2)은 현관 출입문(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현관 출입문(10)이 닫힘 상태인 경우, 현관 공간(S2)은 실내 공간(S1)일 수 있으며, 실외 공간(S3)과 구분될 수 있다.
현관 공간(S2)은 주택의 출입 공간으로써, 실외 공간(S3)으로부터 이물질, 미세먼지 등이 붙은 사용자가 현관 출입문(10)을 통하여 출입함으로써, 이물질, 미세먼지 등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현관 공간(S2)에는 실외 공간(S3)으로부터 실내 공간(S1)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에게서 이물질,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 워시 장치(100)가 현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분사 장치(110, 120, 130)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분사 장치(110)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공간(S1)과 현관 공간(S2)을 구분하는 제1 커튼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으며, 구조상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커튼용 에어는 현관 공간(S2) 및 실외 공간(S3)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실내 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분사 장치(120)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현관 공간(S2)과 실외 공간(S3)을 구분하는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으며, 구조상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커튼용 에어는 현관 공간(S2)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실외 공간(S3)으로 비산 또는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분사 장치(130)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제1, 2 커튼용 에어에 의해 구분된 현관 공간(S2)으로 사람에게 붙어있는 이물질, 미세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는 샤워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현관 출입문(10)은 현관 공간(S2) 및 실외 공간(S3)을 물리적으로 구분하며, 힌지(Hinge)에 의한 회동 방식하거나,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현관 출입문(10)은 고정 구조물인 문기둥(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에어 워시 장치(100)가 실외 공간의 실외 공기를 흡기구(40)를 통해 흡입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내 공간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모두 흡입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워시 장치(100)는 제1 분사 장치(110), 제2 분사 장치(120), 제3 분사 장치(130) 및 흡기구(40)에서 흡입되는 실외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흠기 덕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구(40)는 문기둥(2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실외 공간에 연통되어 에어 워시 장치(100)의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다.
흡기 덕트(60)는 흡기구(40)에서 흡입한 실외 공기를 제1 내지 제3 분사 장치(110, 120, 130)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워시 장치(100)의 흡기구(40)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부(70)를 더 포함할 있다.
필터부(70)는 흡기구(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외 공간(S3)에서 실내 공간(S2)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분사 장치(110)는 제1 흡입구(111), 제1 토출구(112) 및 제1 송풍팬(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입구(111)는 흡기덕트(60)에서 유동되는 실외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제1 토출구(112)는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제1 커튼용 에어를 분사 토출할 수 있다.
제1 송풍팬(113)은 제1 흡입구(111)에서 흡입한 실외 공기를 제1 토출부(112)로 유동되게 실외 공기의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송풍팬(113)은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제1 커튼용 에어가 제1 토출구(112)에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 장치(120)는, 제2 흡입구(121), 제2 토출구(122) 및 제2 송풍팬(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흡입구(121)는 흡기덕트(60)에서 유동되는 실외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제2 토출구(122)는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 토출할 수 있다.
제2 송풍팬은 제2 흡입구(121)에서 흡입한 실외 공기를 제2 토출부(122)로 유동되게 실외 공기의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송풍팬(123)은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제2 커튼용 에어가 제2 토출구(122)에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제3 분사 장치(130)는 제3 흡입구(131), 제3 토출구(132), 제3 송풍팬(133) 및 에어 가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흡입구(131)는 흡기덕트(60)에서 유동되는 실외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제3 토출구(132)는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 토출할 수 있다.
제3 송풍팬(133)은 제3 흡입구(131)에서 흡입한 실외 공기를 제3 토출부(132)로 유동되게 실외 공기의 조절할 수 있다.
즉, 제3 송풍팬(133)은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실외 공기의 풍량이 조절된 샤워용 에어가 제3 토출구(132)에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또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 워시 장치(100)는 제1 에어 모듈(210), 제2 에어 모듈(220), 제3 에어 모듈(230), 센서 모듈(240) 및 제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모듈(21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1 분사 장치(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에어 모듈(21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분사 장치(110)에서 제1 커튼용 에어(ar1)를 분사시켜, 실내 공간(S1) 및 현관 공간(S2)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튼용 에어(ar1)는 현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제1 커튼용 에어(ar1)의 풍량은 제3 에어 모듈(230)에서 분사되는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에 대응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에어 모듈(21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3 에어 모듈(230)과 동일한 시점에 온 동작하여 제1 커튼용 에어(ar1)를 분사하거나, 또는 제3 에어 모듈(230)의 온 동작시점보다 이전 시점에 온 동작하여 제1 커튼용 에어(ar1)를 분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에어 모듈(21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3 에어 모듈(230)과 동일한 시점에 오프 동작하여 분사되는 제2 커튼용 에어(ar1)를 차단하거나, 또는 제3 에어 모듈(230)의 오프 동작시점보다 늦은 시점에 오프 동작하여 분사되는 제1 커튼용 에어(ar1)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에어 모듈(22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2 분사 장치(120)에서 제2 커튼용 에어(ar2)를 분사시켜, 현관 공간(S2)와 실외 공간(S3)를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튼용 에어(ar2)는 현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제2 커튼용 에어(ar2)의 풍량은 제3 에어 모듈(230)에서 분사되는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에 대응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에어 모듈(22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3 에어 모듈(210, 230)의 온 동작시점보다 이전 시점에서 동작하여 제2 커튼용 에어(ar2)를 분사하거나, 제1 에어 모듈(210)에서 제1 커튼용 에어(ar1)가 분사된 이후 시점에 동작하여 제2 커튼용 에어(ar2)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모듈(22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3 에어 모듈(210, 230)의 오프 동작시점보다 늦은 시점에 오프 동작하여 분사되는 제2 커튼용 에어(ar2)를 차단하거나, 또는 제1 에어 모듈(210)의 오프 동작시점보다 이전 시점에 오프 동작하여 분사되는 제2 커튼용 에어(ar2)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3 에어 모듈(230)은 제어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3 분사 장치(220)에서 샤워용 에어(war)를 현관 공간(S2)으로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에어 모듈(230)은 제1 에어 모듈(210)의 온 동작시점 이후 시점에 제2 에어 모듈(220)과 동시에 온 동작하여 샤워용 에어(war)를 분사하거나, 또는 제1, 2 에어 모듈(210, 220)의 온 동작시점 이후 시점에 단독으로 온 동작하여 샤워용 에어(war)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샤워용 에어(war)는 현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즉 수직방향 또는 현관의 상부에서 측면 방향, 즉 대각선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제3 분사 장치(130)가 현관의 측면에 설치된 경우 측면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 모듈(240)은 센서부(242) 및 증폭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2)는 현관 출입문(10)의 닫힘 상태를 감지한 제1 감지신호(as1) 및 현관 출입분(1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한 제2 감지신호(as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42)는 현관 출입문(10)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제1, 2 감지신호(as1, as2)를 출력하는 근접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센서부(242)는 현관 출입문(10)이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 사람의 위치 및 옷차림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센서, 즉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부(242)은 현관 출입문(10) 및 문기둥(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현관 출입문(10)의 측면 및 문기둥(20)의 측면을 서로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2 감지신호(as1, as2)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244)는 제1, 2 감지신호(as1, as2) 입력시, 제1, 2 감지신호(as1, as2)를 증폭한 닫힘 신호(ap1) 및 열림 신호(ap2)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조건 판단부(252) 및 제어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252)는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조건 판단부(252)는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일 때 제1 에어 모듈(210)이 온 동작하여 제1 커튼용 에어(ar1)가 분사된 이후, 제2, 3 에어 모듈(220, 230)의 온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조건은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조건일 수 있으며, 조건 판단부(252)는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열림 신호(ap2)의 유지시간, 즉 입력시점부터 동일 레벨값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분사 조건에 설정된 기준 유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54)는 센서 모듈(240)으로부터 열림 신호(ap2)가 입력되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이므로, 실내 공간(S1)과 현관 공간(S2)를 구분하기 위한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제1 에어 모듈(210)에서 제1 커튼용 에어(ar1)이 분사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4)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시, 제1 커튼용 에어(ar1)를 제1 차단 풍량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에서 실내 공간(S1)으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현편, 제어부(254)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센서 모듈(240)로부터 닫힘 신호(ap1)이 입력되면, 조건 판단부(252)에서 분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샤워용 에어(war)가 분사되게 제3 에어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4)는 닫힘 신호(ap1)가 입력되면, 사람이 현관 공간(S2)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람에게서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샤워용 에어(war)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4)는 센서 모듈(240) 내에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또는 사람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사람의 존재 여부 또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 시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254)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닫힘 신호(ap1)가 미입력되고 조건 판단부(252)에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를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제1 커튼용 에어(ar1)를 제1 차단 풍량보다 큰 제2 차단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1 에어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4)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 시,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가 분사되게 제2, 3 에어 모듈(220, 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4)는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 시점에 분사되게 제어하거나, 또는 제2 커튼용 에어(ar2)가 분사한 이후 샤워용 에어(war)가 분사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 시점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254)는 제2 커튼용 에어(ar2)의 풍량을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보다 크게 할 수 있으며, 제2 커튼용 에어(ar2)의 풍량을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보다 소정치 정도 낮추어 사람에게서 털어지는 이물질 등이 현관 출입문(10)을 통해 실외 공간(S3)의 일정 부분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54)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제1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2, 3 에어 모듈(220, 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정시간은 현관 출입문(10)의 열림 상태에서 사람이 제3 에어 모듈(230)과 중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시간일 수 있다.
즉, 제어부(254)는 상기 제1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한 후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거나, 또는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가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 시점에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4)는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가 정지되면, 상기 먼지 차단 모드를 상기 공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제2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1 커튼용 에(ar1)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정시간은 사람에게 붙은 이물질 등이 샤워용 에어(war)에 의해 털어지는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4)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센서 모듈(240)로부터 닫힘 신호(ap1)가 입력되면, 제1, 2 커튼용 에어(ar1, ar2) 및 샤워용 에어(war)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4)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닫힘 신호(ap1)가 입력되면,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4)는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면, 제1 커튼용 에어(ar1) 및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을 설정된 풍량으로 현재보다 증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이면 실외 공간의 실외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현관 공간에서 털어지는 이물질 등이 실내 공간 및 실외 공간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 및 실외 공간의 공기 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공기 차단 모드 또는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공기 차단 모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 및 도 5는 도 4에서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될 때 에어 워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도 4는 사람에 의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250)은 센서 모듈(240)로부터 열림 신호(ap2)가 입력되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인지 확인하여, 현관 공간(S2) 및 실외 공간(S3)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내 공간(S1)과 현관 공간(S2)을 구분하는 제1 커튼용 에어(ar1)가 제1 차단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1 에어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50)은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로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기 전까지 상기 공기 차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사람에 의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250)은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센서 모듈(240)로부터 닫힘 신호(ap1)가 입력되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50)은 현관 출입문(10)이 닫힘 상태인 경우 사람이 현관 공간(S2)으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차단 풍량으로 분사돠는 제1 커튼용 에어(ar1)를 제1 차단 풍량보다 큰 설정된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1 에어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50)은 샤워용 에어(war)가 설정된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3 에어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5는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현관 공간(S2)에 사람이 들어와서 현과 출입문(10)을 닫는 경우, 설정된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지 않고 샤워용 에어(war)를 추가 동작하여도, 사람에게서 털어낸 이물질이 실외 공간(S3)으로 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의 먼지 차단 모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 및 도 7은 도 6에서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될 때 에어 워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도 6은 도 4에서 사람에 의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로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50)은 열림 신호(sp2)의 유지 시간이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 동작하여, 공기 차단 모드에 따라 제1 차단 풍량으로 분사되는 제1 커튼용 에어(ar1)를 제1 차단 풍량보다 큰 제2 차단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1 에어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50)은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가 분사되게 제2, 3 에어 모듈(220, 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람의 옷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은 제1, 2 커튼용 에어(ar1, ar2)에 의해 실내 및 실외로 비산되지 않고, 현관의 하면 또는 하부에 떨어질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50)은 상기 먼지 차단 모드가 소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제2 커튼용 에어(ar2) 및 샤워용 에어(war)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고, 제1 커튼용 에어(ar1)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사람에 의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50)은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 중 센서 모듈(240)로부터 닫힘 신호(ap1)가 입력되면, 현관 출입문(10)이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250)은 현관 출입문(10)이 닫힘 상태인 경우 샤워용 에어(war)에 의해 사람에게서 털어낸 이물질이 실외 공간(S3)으로 비산되지 않으므로,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2 에어 모듈(2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면, 제1 커튼용 에어(ar1) 및 샤워용 에어(war)의 풍량이 설정된 풍량으로 증가되게 제1, 3 에어 모듈(210, 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워시 장치는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현관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현관 공간(S2)과 실외 공간(S3)을 구분하는 제2 커튼용 에어(ar2)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실시 예들은 설명된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는 상술한 특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2)

  1. 현관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과 현관 공간을 구분하는 제1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1 에어 모듈;
    상기 현관 공간과 실외 공간을 구분하는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2 에어 모듈;
    상기 제1, 2 분사 장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현관 공간으로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3 분사 장치를 구동하는 제3 에어 모듈;
    상기 현관의 현관 출입문이 닫힘 및 열림 상태에 따라 닫힘 및 열림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공기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커튼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에서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 동작하여 상기 제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또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 워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및
    상기 열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및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또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 워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조건은,
    상기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조건이며,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시, 상기 현관 출입문이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상기 열람 신호의 유지 시간이 상기 분사 조건에 설정된 기준 유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에어 워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시, 상기 제1 커튼용 에어를 제1 차단 풍량으로 분사되게 제어하고,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분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차단 풍량보다 큰 제2 차단 풍량으로 상기 제1 커튼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튼용 에어를 상기 제2 차단 풍량으로 가변시킨 후, 상기 샤워용 에어 및 상기 제2 커튼용 에어가 동일시점에 분사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튼용 에어를 상기 제2 차단 풍량으로 가변시킨 후, 상기 제2 커튼용 에어를 분사한 후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로 동작하여 제1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샤워용 에어 및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샤워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샤워용 에어 및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동일 시점에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샤워용 에어 및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하면, 상기 공기 차단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워용 에어가 분사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차단 모드 동작 중 상기 닫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튼용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면, 상기 제1 커튼용 에어 및 상기 샤워용 에어의 풍량을 설정된 풍량으로 증가되게 제어하는 에어 워시 장치.
KR1020160149729A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KR102473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29A KR102473046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29A KR102473046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20A true KR20180052820A (ko) 2018-05-21
KR102473046B1 KR102473046B1 (ko) 2022-12-02

Family

ID=6245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29A KR102473046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13B1 (ko) 2020-12-17 2021-07-05 백보현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2021-03-15 2021-12-08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WO2022041375A1 (zh) * 2020-08-27 2022-03-03 苏州迅奥电子科技有限公司 无尘洁净室风淋控制器
KR20220027314A (ko)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삼영정보 IoT 기술이 접목된 도어
KR102421284B1 (ko) 2021-09-09 2022-07-15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노즐의 이동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388A (ja) * 1994-12-20 1996-07-12 Hitachi Ltd エアシャワ装置
JP2003314875A (ja) * 2002-04-18 2003-11-06 Kaname Omaki 塵埃侵入防止装置及びシートシャッター
JP2005507470A (ja) * 2001-10-17 2005-03-17 フアルク,ローベルト 引き戸装置
US20090176447A1 (en) * 2008-01-04 2009-07-09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Air shower room
JP2009293862A (ja) * 2008-06-05 2009-12-1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エアシャワー装置
JP2012149864A (ja)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EP2703335A1 (en) * 2011-05-10 2014-03-05 Zhejiang Vacin Bio-pharmaceutical Ltd. Apparatus for dust removal by air curtain isolation and self-circulation purifi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388A (ja) * 1994-12-20 1996-07-12 Hitachi Ltd エアシャワ装置
JP2005507470A (ja) * 2001-10-17 2005-03-17 フアルク,ローベルト 引き戸装置
JP2003314875A (ja) * 2002-04-18 2003-11-06 Kaname Omaki 塵埃侵入防止装置及びシートシャッター
US20090176447A1 (en) * 2008-01-04 2009-07-09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Air shower room
JP2009293862A (ja) * 2008-06-05 2009-12-1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エアシャワー装置
JP2012149864A (ja)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EP2703335A1 (en) * 2011-05-10 2014-03-05 Zhejiang Vacin Bio-pharmaceutical Ltd. Apparatus for dust removal by air curtain isolation and self-circulation purific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14A (ko)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삼영정보 IoT 기술이 접목된 도어
WO2022041375A1 (zh) * 2020-08-27 2022-03-03 苏州迅奥电子科技有限公司 无尘洁净室风淋控制器
KR102273313B1 (ko) 2020-12-17 2021-07-05 백보현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2021-03-15 2021-12-08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421284B1 (ko) 2021-09-09 2022-07-15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노즐의 이동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046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2820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1956143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102570624B1 (ko) 에어 워시 장치
KR20180052821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1975918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JP2007278577A (ja) 防虫防塵エアシャッタ
WO2015023114A1 (ko) 에어 커튼을 이용한 자동문
KR20180052793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384058B1 (ko) 먼지제거장치
KR101636007B1 (ko) 먼지 제거장치
JP2007003091A (ja) エアシャワ装置
KR20180059014A (ko) 에어 워시 장치
KR20180051818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174996B1 (ko) 에어 샤워 장치 및 그를 갖는 게이트형 에어 샤워 시스템
KR20180052822A (ko) 에어 워시 장치
KR200488452Y1 (ko) 먼지떨이 집진장치
KR20180085420A (ko) 에어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시스템
JP2010242993A (ja) 防虫、防塵用のエアシャワー装置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KR20180049837A (ko) 에어 워시 장치
JP7080838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102268973B1 (ko)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KR20150020509A (ko) 에어 커튼을 이용한 자동문
KR102040319B1 (ko)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KR100781089B1 (ko) 로봇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