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973A -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973A
KR20180051973A KR1020160148969A KR20160148969A KR20180051973A KR 20180051973 A KR20180051973 A KR 20180051973A KR 1020160148969 A KR1020160148969 A KR 1020160148969A KR 20160148969 A KR20160148969 A KR 20160148969A KR 20180051973 A KR20180051973 A KR 2018005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uoyant body
buoyant
dry dock
ponto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대
고승환
이병록
류홍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973A/ko
Publication of KR2018005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63B9/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63B273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드라이 도크에서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중량 탑재하는 단계; 부력체와 조립식 타워를 포함하는 부력장치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자체 부력과 상기 부력체의 추가 부력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부양시켜 진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력체에 밸러스트수를 채워 상기 부력체가 해수면 아래로 잠기면 상기 조립식 타워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method of construct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 중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통상 조선소의 안벽 부근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크레인 등으로 선박을 들어올려 해상에 진수시키는 방법이나, 고정대와 활주대로 이루어진 진수대를 이용하여 선박을 선미로부터 혹은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하여 진수시키는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드라이 도크 내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도크 내로 물을 끌어들여 건조된 선박을 띄우는 부양진수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도크의 크기보다 큰 선박을 건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조선소에 마련된 도크의 개수보다 많은 선박을 동시에 건조해야 할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조선소에서 도크의 개수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그 기간 동안에는 선박을 건조할 수 없기 때문에, 도크의 확장은 신중히 결정해야 할 사안이다.
그에 따라 드라이 도크를 활용하는 대신에, 각종 보조 구조물을 활용하여 해상에 직접 선박을 건조하거나 육상에서 제작된 작은 부분들을 해상에서 조립하는 방법 등이 최근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선박을 해상에서 건조하거나 조립하는 방법은, 도크를 사용하지 않아 초기 투자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막대한 양의 보조 구조물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거대한 크기의 부유식 구조물, 예를 들어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또는 FPU(Floating Product Unit) 등과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그 엄청난 크기에도 불구하고 지상에서 건조한 후 대차 등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이동시키는,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만 하였다.
또한, 거대한 크기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수심조건이 부족한 드라이 도크에서 건조할 경우에는, 드라이 도크 내에서 경 하중량(light weight) 기준 60% 내지 70% 탑재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워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자체 부력으로 부양시켜 수심조건이 적절한 안벽으로 진수시키고, 안벽에서 나머지를 탑재하는 등 마무리 작업을 해상에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드라이 도크에서 일부 탑재 후에 안벽으로의 이동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등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 도크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건조 시, 드라이 도크에서 전중량 탑재하여 안벽으로 진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드라이 도크에서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중량 탑재하는 단계; 부력체와 조립식 타워를 포함하는 부력장치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자체 부력과 상기 부력체의 추가 부력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부양시켜 진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력체에 밸러스트수를 채워 상기 부력체가 해수면 아래로 잠기면 상기 조립식 타워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체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를 비워 상기 부력체가 상기 해수면 위로 떠오르면 해체된 상기 조립식 타워와 함께 상기 부력체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하부 부력을 담당하는 복수의 폰툰과, 시추장비가 해저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물; 상기 복수의 폰툰 상에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복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갑판을 비롯한 상부 설비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폰툰은, 좌우로 위치되는 한 쌍 또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복수의 폰툰 사이 또는 문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복수의 기중 사이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의 공간 부분에 설치 또는 수용 가능하면서 상기 제한적 수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울 때, 상기 부력체가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 자유로이 유동되어 부양될 수 있도록, 유동성 또는 탄성을 갖는 수단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부력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면까지 복수의 단위 구조물을 적층 조립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의 상면 모서리, 가장자리, 중앙 부분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물 각각은, 상호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러스트수는, 해수 또는 청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은, 드라이 도크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건조 시, 드라이 도크에서 전중량 탑재하고, 부력장치를 이용하여 전중량 탑재된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부양시켜 안벽으로 진수함으로써, 드라이 도크 및 안벽에서 나누어 탑재하는 분할 탑재 건조 방법을 배제할 수 있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도크 준설작업 또는 대규모 시설의 투자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중량 탑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중량 탑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건조방법은, 드라이 도크(10)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중량 탑재하는 단계(S110); 부력체(210)와 조립식 타워(220)를 포함하는 부력장치(200)를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 설치하는 단계(S120);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자체 부력과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부양시켜 진수시키는 단계(S130); 부력체(210)에 밸러스트수(300)를 채워 부력체(210)가 해수면(30) 아래로 잠기면 조립식 타워(220)를 해체하는 단계(S140); 부력체(210)로부터 밸러스트수(300)를 비워 부력체(210)가 해수면(30) 위로 떠오르면 해체된 조립식 타워(220)와 함께 부력체(210)를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석유나 천연가스를 시추하기 위한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FPU(Floating Product Unit) 등의 자력으로 항해가 가능한지 여부를 불문하고 해상에 떠있는 것이 가능한 모든 부유식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상에서 이동 중일 때에는 해수면(30)에 약간 잠기는 상태로 운영되고 일정한 위치에서 시추작업 등을 실시할 때에는 해수면(30) 아래에 잠기는 상태로 운영되는 하부 구조물(110), 하부 구조물(110) 상에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120)과, 복수의 기둥(120)에 의해 지지되고 갑판을 비롯한 상부 설비(topside)가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드라이 도크(10)에서 전중량 탑재하여 안벽으로 진수할 수 있으며, 드라이 도크(10)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잠수식 시추선일 경우를 일례로 설명할 것이다.
하부 구조물(110)은, 해상에서 이동 중일 때에는 해수면(30)에 약간 잠기는 상태로 운영되고 일정한 위치에서 시추작업 등을 실시할 때에는 해수면(30) 아래에 잠기는 상태로 운영될 수 있으며, 하부 부력을 담당하는 복수의 폰툰(111)과, 시추장비가 해저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폰툰(111)은 좌우로 위치되는 한 쌍 또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간(112)은 복수의 폰툰(111) 사이 또는 문풀(moon pool)일 수 있다.
복수의 기둥(120)은, 복수의 폰툰(111) 상에 세워져 상부 구조물(130)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 구조물(130)은, 복수의 기둥(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갑판을 비롯한 시추장비 등의 상부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드라이 도크(10)에서 전중량 탑재하여 안벽으로 진수할 수 있다. 이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드라이 도크(10)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 경우, 기존에는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경 하중량(light weight) 기준 60% 내지 70% 탑재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자체 부력으로 부양시켜 수심조건이 적절한 안벽(40)으로 진수시키고, 안벽(40)에서 나머지를 탑재하는 분할 탑재 건조 방법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건조한 반면, 본 실시예는 드라이 도크(10)가 제한적 수심조건이 부족하더라도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중량 탑재하는 통합 탑재 건조 방법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110에서는, 드라이 도크(10)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중량 탑재한다.
단계 S110에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제한적 수심조건이 부족한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복수의 폰툰(111)과 시추장비가 해저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112)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물(110), 복수의 기둥(120), 상부 구조물(130) 등 전중량 탑재된다(도 2 참고). 여기서, 공간(112)은 복수의 폰툰(111) 사이 또는 문풀(moon pool)일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부력체(210)와 조립식 타워(220)를 포함하는 부력장치(200)를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 설치한다.
단계 S120에서, 부력체(210)는 제한적 수심조건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하부 구조물(110)의 공간(112) 부분에 설치 또는 수용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112)은 복수의 폰툰(111) 사이 또는 문풀(moon poo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력체(210)는, 밸러스트수(300)를 채우고 비울 수 있는 박스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폰툰(111) 사이 또는 문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되,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 설치 또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기둥(120) 사이를 통해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210)는, 한 개로 제한적 수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한 개로 제한적 수심조건을 충족시키지만 복수의 기둥(120) 사이를 통해 출입이 불가능한 크기일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둘 또는 세 개로 제작하여 공간(112) 부분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부력체(210)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230)는, 부력체(210)가 공간(112)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며, 해수면(30) 위에서 연결 해제 가능하도록 부력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30)는, 부력체(210)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기능보다는 부력체(210)가 공간(112)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이 우선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단계 S130에서 설명되겠지만, 부력체(210)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보다 먼저 부양되면서 조립식 타워(220)가 상부 구조물(130)에 밀착되기 때문에, 부력체(210)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일정 거리 자유로이 유동되어 부양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230)는 부양 범위만큼의 유동성 또는 탄성을 갖는 수단, 예를 들어 탄성 와이어, 유압식 실린더 등의 수단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립식 타워(220)는, 복수의 단위 구조물(220a)을 적층 조립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구조물(220a) 각각은, 상호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위 구조물(220a)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부력체(210) 및 복수의 단위 구조물(220a)은, 드라이 도크(10)의 외부, 예를 들어, 육상(20)에 준비될 수 있으며, 전중량 탑재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 먼저 부력체(210)를 이동시켜 공간(112)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후 단위 구조물(220a)을 이동시켜 부력체(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구조물(130)의 하면까지 적층 조립하여 조립식 타워(220)를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고). 이때, 단위 구조물(220a)의 적층 조립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타워(220)의 상단부는 상부 구조물(130)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층 조립되는 단위 구조물(220a)의 전체 높이와, 부력체(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구조물(130) 하면까지의 거리와의 오차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13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조립식 타워(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조립식 타워(220)는, 부력체(210)의 상면 모서리, 가장자리, 중앙 부분 등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단계 S130에서 설명하겠지만, 부력체(210)가 부양되면서 복수의 조립식 타워(220)가 상부 구조물(130)에 밀착되는데, 이때 상부 구조물(130)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가 균일하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쏠릴 경우 상부 구조물(130)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S130에서는,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자체 부력과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으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부양시켜 진수시킨다.
단계 S130에서, 수문(11)을 열어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우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자체 부력 즉, 하부 부력을 담당하는 복수의 폰툰(111)에 의한 자체 부력과, 이에 더하여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에 의해 드라이 도크(10)가 제한적 수심조건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정상적으로 부양될 수 있다.
상기에서,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가 채워짐에 따라, 부력체(210)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보다 먼저 부양되면서 복수의 조립식 타워(220)가 상부 구조물(130)에 밀착되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 추가 부력을 전달하게 된다(도 5 참고).
해수면(30)과 동일한 수위가 될 때까지 드라이 도크(10) 내의 해수의 수위가 점점 올라가게 되고,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자체 부력과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에 의해 부양하게 된다(도 6 참고).
이후, 드라이 도크(10)의 해수의 수위가 해수면(30)과 동일하게 되면, 갑문(12)을 열고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안벽(40)으로 진수시킨다(도 7 참고)
단계 S140에서는, 부력체(210)에 밸러스트수(300)를 채워 부력체(210)가 해수면(30) 아래로 잠기면 조립식 타워(220)를 해체한다.
단계 S140에서, 밸러스트수(300)는 해수 또는 청수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밸러스트수(300)로 부력체(210)를 채우게 되면, 밸러스트수(300)의 하중에 의해 부력체(210)가 해수면(30) 아래로 잠기게 되면서, 부력체(210)의 상면에 설치된 조립식 타워(220)는 상부 구조물(130)로부터 이격되어 해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고, 이후 조립식 타워(220)를 이루는 단위 구조물(220a)을 일정 개수 분해하여 부력체(210)의 상면 여유 공간에 쌓아둔다(도 8 참고). 이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부력체(210)의 추가 부력만큼 해수면(30) 아래로 잠길 수 있다.
부력체(210)에 고정부재(230)가 구비될 경우, 밸러스트수(300)를 채우기 전에 고정부재(230)를 분리시켜 부력체(210)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150에서는, 부력체(210)로부터 밸러스트수(300)를 비워 부력체(210)가 해수면(30) 위로 떠오르면 해체된 조립식 타워(220)와 함께 부력체(210)를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제거한다.
단계 S150에서, 부력체(210)로부터 밸러스트수(300)를 비우게 되면 부력체(210)는 자체 부력에 의해 해수면(30) 위로 떠오르게 되고, 해체된 조립식 타워(220)가 실린 상태로 부력체(210)를 복수의 폰툰(111) 사이를 통해 끌어내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도 9 참고). 제거된 부력장치(200)는 육상(20)에 보관되며, 다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건조할 때 재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드라이 도크(10)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 건조 시, 드라이 도크(10)에서 전중량 탑재하고, 부력장치(200)를 이용하여 전중량 탑재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부양시켜 안벽(40)으로 진수함으로써, 드라이 도크(10) 및 안벽(40)에서 나누어 탑재하는 분할 탑재 건조 방법을 배제할 수 있어,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도크 준설작업 또는 대규모 시설의 투자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드라이 도크 11: 수문
12: 갑문 20: 육상
30: 해수면 40: 안벽
100: 부유식 해양구조물 110: 하부 구조물
111: 폰툰 112: 공간
120: 기둥 130: 상부 구조물
200: 부력장치 210: 부력체
220: 조립식 타워 220a: 단위 구조물
230: 고정부재 300: 밸러스트수

Claims (9)

  1.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드라이 도크에서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의 제한적 수심조건을 초과하는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중량 탑재하는 단계;
    부력체와 조립식 타워를 포함하는 부력장치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자체 부력과 상기 부력체의 추가 부력으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부양시켜 진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력체에 밸러스트수를 채워 상기 부력체가 해수면 아래로 잠기면 상기 조립식 타워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를 비워 상기 부력체가 상기 해수면 위로 떠오르면 해체된 상기 조립식 타워와 함께 상기 부력체를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하부 부력을 담당하는 복수의 폰툰과, 시추장비가 해저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물;
    상기 복수의 폰툰 상에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복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갑판을 비롯한 상부 설비로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폰툰은,
    좌우로 위치되는 한 쌍 또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복수의 폰툰 사이 또는 문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복수의 기중 사이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의 공간 부분에 설치 또는 수용 가능하면서 상기 제한적 수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울 때, 상기 부력체가 상기 부유식 해양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 자유로이 유동되어 부양될 수 있도록, 유동성 또는 탄성을 갖는 수단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워는,
    상기 부력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면까지 복수의 단위 구조물을 적층 조립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의 상면 모서리, 가장자리, 중앙 부분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물 각각은,
    상호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는,
    해수 또는 청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KR1020160148969A 2016-11-09 2016-11-09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KR2018005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969A KR20180051973A (ko) 2016-11-09 2016-11-09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969A KR20180051973A (ko) 2016-11-09 2016-11-09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973A true KR20180051973A (ko) 2018-05-17

Family

ID=6248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969A KR20180051973A (ko) 2016-11-09 2016-11-09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442A (en) Offshore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operations
AU2017269088B2 (en)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CN101304916B (zh) 浮筒型浮动结构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US10435991B2 (en) Handling heavy subsea structures
CN107187554B (zh) 用于半潜式钻井平台干拖运输的双体半潜驳船及作业方法
US10352010B2 (en) Self-installing offshore platform
DK2961649T3 (en) Integrated ship for heavy cargo and logistics
KR100923405B1 (ko)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100907680B1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KR2018005197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방법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RU2479460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KR20120120678A (ko) 해중 공간을 구비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직접 시공 방법
KR20170019903A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20150049808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KR100923404B1 (ko) 플로팅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공법을 적용한시스템 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WO2003086852A1 (en) Submersible watercraft
KR102631910B1 (ko)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DK181501B1 (en) A method and system of ballasting a vessel
JP7489301B2 (ja) 浮体構造物搬出方法および沈設架台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JP2514902B2 (ja) ケ―ソンの進水方法および作業台船
KR20140111123A (ko) 소규모 도크를 이용한 반 잠수형 시추선 건조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