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834A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834A
KR20180051834A KR1020160148666A KR20160148666A KR20180051834A KR 20180051834 A KR20180051834 A KR 20180051834A KR 1020160148666 A KR1020160148666 A KR 1020160148666A KR 20160148666 A KR20160148666 A KR 20160148666A KR 20180051834 A KR20180051834 A KR 2018005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ower
interlock
switch
position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593B1 (ko
Inventor
양홍익
안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93B1/ko
Priority to ES17196563T priority patent/ES2699505T3/es
Priority to EP17196563.5A priority patent/EP3322051B1/en
Priority to US15/788,907 priority patent/US10389093B2/en
Priority to CN201711017985.9A priority patent/CN108063077B/zh
Publication of KR2018005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 H01H27/08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wherein the key cannot be removed until the switch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는 배전함에 이동가능하도록 내재된 제어전원 플러그와,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어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어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 의해 연동되는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연동되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전원의 삽입상태에 따라 연동되는 구조체에 의해 배전함 외부에서 제어전원의 삽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과 함께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로차단기는 고정형 차단기와 인출형 차단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만 있어 배전반 패널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이고, 상기 인출형 차단기는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CRADLE)이라는 외함이 있어 차단기 본체만 인/입출이 가능한 방식이다
또한, 배전반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모선과 부하 터미널이 크래들의 모선이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Run)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Test)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모선부와 연결시키도록 밀어넣는 동작을 삽입, 빼는 동작을 인출이라고 정의할 경우, 운전(Run)과 테스트(Test) 위치에서 전기적 신호를 회로차단기에 전달하여 차단기의 온(ON)과 오프(OFF) 동작을 하게 하고, 이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회로차단기에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게 된다.
한편, 제어전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기가 인입출 하거나, 운전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회로가 뽑혀져 있는 경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단기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사용자의 정상적인 제어전원 플러그 삽입상태에 대하여 외부 또는 원방에서 확인 할 수 없고, 비정상적인 플러그 삽입이 발생할 경우 차단기가 운전위치로 이동하게 되었을 때, 단락상황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오 조작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1-0106737호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제어전원을 연결하는 제어회로 플러그에 연동되는 구조체를 결합시킴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정상적인 삽입상태를 배전함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안정성 있는 차단기의 동작이 구현가능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는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함에 따라 제어전원 플러그를 제어전원 커넥터에 삽입할 경우 이에 연동되어 외부에서 정상적인 삽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는 배함반에 이동가능하도록 내재된 제어전원 플러그와,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어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어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상기 제어전원 커넥터에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링크에 의해 연동되는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연동되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링크와 연결된 커넥팅 링크와, 상기 커넥팅 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된 인터록 레버와, 상기 인터록 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지지체와,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인터록 레버를 결합하고, 상기 인터록 레버와 상기 레버지지체를 결합하는 커넥팅 피봇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는 상기 커넥팅 피봇에 의해 상기 레버지지체와 결합되기 위한 슬릿과,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가압하기 위한 인터록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와 결합되기 위한 링크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레버지지체에 상기 인터록 레버가 힌지고정되기 위한 제1 결합홀과, 상기 커넥팅 링크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인터록 레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결합홀은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제2 결합홀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의 이동에 연동되는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스위치와, 상기 연동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본체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가 완봉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동스위치를 가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동스위치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는 푸시바디와, 상기 푸시바디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연동되어 스위치박스의 스위치부를 온/오프 시키는 이동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바디가 스위치박스의 스위치부를 온 시킨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본체바디 외부로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인더록 레버의 고정블럭에 대향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위치된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는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될 경우, 상기 고정블럭은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포지션 스위치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동부재는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스위치부는 온 상태가 되고 디스플레이부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본체바디 외부로 나타낸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제어회로 플러그를 제거하거나 제어회로 플러그가 빠졌을 경우, 연동구조를 통해 배전함의 외부 또는 원방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가 장착된 배전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 및 도 6는 도 1에 도시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연동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발명의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연동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가 장착된 배전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차단기의 배전함(110)에는 제어전원 플러그(120), 제어전원 커넥터(130), 링크(140), 레일 어셈블리(150),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 및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가 내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120)는 상기 배전함(110)에 이동가능하도록 내재되고,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120)는 상기 제어전원 커넥터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도 1은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120)가 제어전원 커넥터(130)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140)은 제어전원 커넥터(130)와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전원 커넥터(130)에 대한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120)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링크(140)는 상하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전원 커넥터(130)에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120)가 삽입될 경우, 상기 링크는 아래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는 이에 연동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150)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는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이동에 연동된다.
그리고, 제어전원 플러그(120)가 제어전원 커넥터(130)에 삽입결합되는 여부에 따른 링크(140),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 및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의 구체적인 연동관계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는 커넥팅 링크(161), 인터록 레버(162), 레버지지체(163) 및 커넥팅 피봇(164a, 164b)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팅 링크(161)는 슬릿(161a), 인터록 플레이트(161b) 및 링크 연결부(16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161a)에는 커넥팅 피봇(164a)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 피봇(164a)는 상기 가이드 슬릿(161a)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인터록 레버(162)의 제2 결합홀(162c)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슬릿(161a)을 커넥팅 피봇(164a)의 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고, 삽입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161b)는 상기 커넥팅 링크(161)의 이동에 따라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에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161c)는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를 링크(140)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링크(140)과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 레버(162)는 제어전원 플러그(120)와 제어전원 커넥터(130)의 결합여부에 따라, 레버지지체(163)에 힌지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일 어셈블리(150)에 형성된 레일홈(도 1에 151로 도시함)로부터 삽입 또는 이탈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터록 레버(162)는 상기 커넥팅 링크(161)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고정블럭(162a), 제1 결합홀(162b) 및 제2 결합홀(162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럭(162a)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150)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고, 상기 제1 결합홀(162b)은 상기 인터록 레버(162)를 상기 레버지지체(163)에 힌지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결합홀(162c)은 커넥팅 링크(161)의 상기 슬릿(161a)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162a)은 상기 인터록 레버(162)의 일측에, 제1 결합홀(162b)는 상기 인터록 레버(162)의 중앙부에, 제2 결합홀(162c)는 상기 인터록 레버(162)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지지체(163)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162)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레버힌지(16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피봇(164b)은 상기 제1 결합홀(162b)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버지지체(163)의 레버힌지(163a)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161)가 상하로 이동될 경우, 상기 인터록 레버(162)는 상기 레버지지체(163)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블럭(162a)은 회동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에 있어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는 포지션 스위치부재(171), 본체바디(172), 탄성부재(173), 연동스위치(174) 및 스위치박스(17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161)의 인터록 플레이트(161b)에 가압되고, 이에 따라 연동된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는 상기 탄성부재(173)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기 본체바디(172)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에는 상기 연동스위치(174)가 결합된다.
상기 연동스위치(174)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의 왕복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스위치박스(175)의 스위치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스위치(174)는 푸시바디(174a) 및 이동스위치(174b)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바디(174a)는 상기 연동스위치(174)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이동스위치(174b)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스위치(17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스위치(174b)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바디(17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바디(172)에는 상기 연동스위치(174)를 가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슬릿(17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스위치(174b)는 상기 본체바디(172)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스위치(174b)는 상기 푸시바디(174a)가 가압하지 않을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본체바디(172)에 일측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디(174a)는 이동스위치(174b)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강할 경우 상기 이동스위치(174b)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스위치(174b)는 상기 푸시바디(174a)에 밀려 일측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치박스(175)는 상기 이동스위치(174b)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여부를 본체바디의 외부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는 도 1에 도시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연동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가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의 상부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인터록 플레이트(161b)의 하부에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170)의 포지션 스위치부재(171)가 위치된다.
도 5 및 도 7의 (a)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아직 제어전원 커넥터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크(도 1에 140으로 도시함)가 하강되지 않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의 인터록 레버(162)는 레일 어셈블리(150)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의 (b)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삽입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크는 하강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는 상기 링크에 연동되어 하강된다.
이 때, 상기 인터록 레버(162)는 회동되어 상기 고정블럭(162a)는 레일 어셈블리(150)에 형성된 레일홈(도 1에 151로 도시함)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161b)는 하강하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를 가압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는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161b)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강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171)의 푸시바디(174a)는 이동스위치(174b)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스위치(174b)는 상기 스위치박스(175)에 장착된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디스플레이부는 이를 본체바디의 외부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배전함 외부에서 확인하고, 오 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100)과 비교하여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 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260)는 커넥팅 링크(261), 인터록 레버(262), 레버지지체(263) 및 커넥팅 피봇(264a, 264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 링크(261), 인터록 레버(262), 레버지지체(263) 및 커넥팅 피봇(264a, 264b)의 형상 및 이들의 유기적 결합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100)의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160)를 통해 전술한 바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270)는 포지션 스위치부재(271), 연동부재(272) 및 스위치박스(27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271)는 상기 인터록 레버(262)의 고정블럭(262a)에 대향되고, 상기 고정블럭(262a)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271)의 일측은 상기 고정블럭(262a)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연동부재(27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271)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도록, 상기 연동부재(272)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27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박스(273)는 상기 연동부재(272)의 회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박스(273)는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전술된 도 8은 제어전원 플러그가 아직 제어전원 커넥터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크(도 1에 140으로 도시함)가 하강되지 않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260)의 인터록 레버는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9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아직 제어전원 커넥터에 삽입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크는 하강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260)는 상기 링크에 연동되어 하강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레버(262)는 회동되고, 인터록 레버(262)의 고정블럭(262a)은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홈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블럭(262a)은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270)의 스위치 부재(27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271)는 상기 인터록 레버(262)와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272)를 회동시키고, 상기 연동부재(272)는 상기 스위치 부재(271)과 연동되어 스위치박스(273)의 장착된 스위치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본체바디 외부로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박스를 통해 회로차단기의 정상적인 삽입상태를 배전함 외부에서 확인하고, 오 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110: 배전함 120: 제어전원 플러그
130: 제어전원 커넥터 140: 링크
150: 레일 어셈블리 151: 레일홈
160: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 161c: 링크 연결부
161a: 슬릿 161b: 인터록 플레이트
161: 커넥팅 링크 162a: 고정블럭
162: 인터록 레버 162b: 제1 결합홀
162c: 제2 결합홀 163: 레버지지체
163a: 레버힌지 164a, 164b: 커넥팅 피봇
170: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 171: 포지션 스위치부재
172a: 가이드 슬릿 172: 본체바디
173: 탄성부재 174: 연동스위치
174b: 이동스위치 174a: 푸시바디
175: 스위치박스
200: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260: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 261: 커넥팅 링크
262a: 고정블럭 262: 인터록 레버
263: 레버지지체 270: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
271: 스위치 부재 272: 상기 연동부재
273: 스위치박스 264a, 264b: 및 커넥팅 피봇

Claims (11)

  1. 배전함에 이동가능하도록 내재된 제어전원 플러그;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어전원 커넥터;
    상기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된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 연동되는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 및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와 연동되는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는
    상기 링크와 연결된 커넥팅 링크와,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일측이 결합된 인터록 레버와,
    상기 인터록 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지지체와,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인터록 레버를, 상기 인터록 레버와 상기 레버지지체를 각각 결합하는 커넥팅 피봇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는
    상기 커넥팅 피봇에 의해 상기 레버지지체와 결합되기 위한 슬릿과,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가압하기 위한 인터록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와 결합되기 위한 링크 연결부가 형성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는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레버지지체에 상기 인터록 레버가 힌지고정되기 위한 제1 결합홀과,
    상기 커넥팅 링크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홀이 형성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인터록 레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결합홀은 상기 인터록 레버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제2 결합홀 사이에 형성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 인터록 어셈블리의 이동에 연동되는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가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스위치와,
    상기 연동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본체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바디에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동스위치를 가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스위치는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는 푸시바디와,
    상기 푸시바디의 이동에 연동되어 스위치박스의 스위치부를 온/오프 시키는 이동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는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바디가 스위치박스의 스위치부를 온 시킨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본체바디 외부로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인더록 레버의 고정블럭에 대향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위치된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박스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는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될 경우, 상기 고정블럭은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포지션 스위치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동부재는 포지션 스위치부재의 이동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스위치부는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어전원 플러그가 제어전원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본체바디 외부로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제어전원 연동 구조체.
KR1020160148666A 2016-11-09 2016-11-09 배선용 차단기 KR10189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666A KR101893593B1 (ko) 2016-11-09 2016-11-09 배선용 차단기
ES17196563T ES2699505T3 (es) 2016-11-09 2017-10-16 Mecanismo de enclavamiento para disyuntor
EP17196563.5A EP3322051B1 (en) 2016-11-09 2017-10-16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US15/788,907 US10389093B2 (en) 2016-11-09 2017-10-20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CN201711017985.9A CN108063077B (zh) 2016-11-09 2017-10-26 用于断路器的互锁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666A KR101893593B1 (ko) 2016-11-09 2016-11-09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834A true KR20180051834A (ko) 2018-05-17
KR101893593B1 KR101893593B1 (ko) 2018-08-31

Family

ID=6011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666A KR101893593B1 (ko) 2016-11-09 2016-11-09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9093B2 (ko)
EP (1) EP3322051B1 (ko)
KR (1) KR101893593B1 (ko)
CN (1) CN108063077B (ko)
ES (1) ES2699505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47A1 (ko) * 2019-12-17 2021-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8828B1 (fr) * 2016-11-14 2020-02-21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Selecteur de fonctionnement d'un sectionneur de mise a la terre
US11831109B2 (en) 2020-12-15 2023-11-28 Cisco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electronic controlled power switch or circuit breaker safety device
CN114597091B (zh) * 2021-11-30 2024-01-05 俊郎电气有限公司 一种户外真空断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66A (ko) * 1999-10-09 2001-05-07 이종수 진공차단기의 엠오씨(moc) 구동장치
KR20110106737A (ko) 2010-03-23 2011-09-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20120137110A (ko) * 2011-06-10 2012-1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20160064806A (ko) * 2014-11-28 2016-06-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18B1 (ko) * 1990-06-21 1994-02-14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인출형 개폐기
JP2003217432A (ja) 2002-01-28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US6777627B1 (en) 2003-10-16 2004-08-17 Remote Solutions, LLC Remote control and racking device for medium-voltage circuit breakers
JP4986293B2 (ja) 2007-09-28 2012-07-25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KR100972935B1 (ko) 2008-03-20 2010-07-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온(on)/오프(off) 상태 표시장치
KR101068757B1 (ko) * 2009-12-31 2011-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200473529Y1 (ko) 2010-04-07 2014-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오토-디스차지 장치
KR101151940B1 (ko) 2010-12-16 2012-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어셈블리
EP2573784B1 (de) 2011-09-21 2016-08-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stungsschalter mit optimierter Gehäusestabilisierung durch klemmend wirkende Festschaltstücke
KR101643589B1 (ko) * 2014-10-31 2016-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CN204424778U (zh) 2014-12-30 2015-06-24 施耐德电器工业公司 底盘车分闸连锁机构
KR101752722B1 (ko) * 2015-12-30 2017-07-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566A (ko) * 1999-10-09 2001-05-07 이종수 진공차단기의 엠오씨(moc) 구동장치
KR20110106737A (ko) 2010-03-23 2011-09-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20120137110A (ko) * 2011-06-10 2012-1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20160064806A (ko) * 2014-11-28 2016-06-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447A1 (ko) * 2019-12-17 2021-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2051A1 (en) 2018-05-16
ES2699505T3 (es) 2019-02-11
CN108063077B (zh) 2019-09-10
CN108063077A (zh) 2018-05-22
EP3322051B1 (en) 2018-09-26
KR101893593B1 (ko) 2018-08-31
US20180131165A1 (en) 2018-05-10
US10389093B2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9525B1 (en) Circuit breaker
KR101893593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158645B1 (ko)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US10643809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CN109741997B (zh) 一种与断路器配合使用的热插拔组件及断路装置
EP2149948B1 (en) Draw-out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9084346B2 (en) Power electronic device, power electronic system and hot plug method for power unit
CN109192569B (zh) 一种三工位接地开关与断路器分闸间闭锁的控制方法
KR20120063024A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CN105679616B (zh) 断路器用电子式控制器及断路器
CN201478729U (zh) 户内箱式金属封闭环网柜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KR101293481B1 (ko) 차단기와 단로기/접지개폐기 간의 인터록 연동장치
CN106960741B (zh) 熔断器用接地联动装置及使用该装置的开关柜
RU2274918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блокировки коммутационных аппаратов
JP2504683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
CN216793548U (zh) 一种低压综合配电箱
CN216649549U (zh) 一种配置接地刀的高压软启柜
CN219842907U (zh) 一种带旁路转换开关电器
CN112054595B (zh) 一种智能硬压板远方控制装置
CN203205359U (zh) 自动重合闸控制器
CN212182209U (zh) 一种可靠切换辅助开关的安装装置
CN214153745U (zh) 一种小型化双母线开关设备
CN112951682A (zh) 一种断路器隔离开关的一体化组合装置
KR10181785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3단조작기의 보조접점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