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65A -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465A
KR20180051465A KR1020180051865A KR20180051865A KR20180051465A KR 20180051465 A KR20180051465 A KR 20180051465A KR 1020180051865 A KR1020180051865 A KR 1020180051865A KR 20180051865 A KR20180051865 A KR 20180051865A KR 20180051465 A KR20180051465 A KR 2018005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lay
link
type
relay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872B1 (ko
Inventor
홍승은
권형진
김용선
이우용
장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5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Description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DEBAND HIGH FREQUENC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기술분야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환경과 같이 예약 기반 채널 액세스를 지원하는 무선시스템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 (57-66GHz)은 전 세계적으로 주파수 자원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밀리미터파는 짧은 파의 길이, 높은 주파수, 광대역, 그리고 대기성분들과의 높은 교류 등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밀리미터 파의 장점은 초광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얻을 수 있다는 점, 직진성이 강해 주변 간섭에 매우 강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주파수 재사용이 용이하다는 점 등이 있다. 또한, 파장이 짧아 각종 소자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점이 있다.
반면, 밀리미터파의 단점은 산소분자에 의한 흡수 및 강우에 의한 감쇄현상으로 인해 전파거리가 짧고, 직진성의 특징으로 인해 가시거리(line of sight)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밀리미터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가 사용된다. 지향성 안테나는 전력을 특정방향으로 집중시켜 안테나 이득 효율을 높임으로써, 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의 전송거리, 신호의 반사 및 신호의 장애물 관통에 따른 신호의 감쇄손실이 크다.
따라서,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도 신호의 감쇄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예약 기반 채널 액세스를 지원하는 무선시스템에서, 릴레이 동작 타입을 우회 경로 및 직접 경로의 채널 상태에 따라, 링크 스위칭 타입과 링크 협력 타입 간에 변경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형성된 링크의 품질에 따라, 링크 스위칭 타입 또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가변적인 무선 채널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형성된 링크의 품질에 따라,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데이터 프레임 전송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링크 협력 타입에서 발생한, 목적노드의 안테나 이득 손실을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는 맥 헤더(MAC Header) 필드, 액션 카테고리(Action 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릴레이 동작 타입(Relay Operation Type) 필드를 포함하는 액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는 맥 헤더(MAC Header) 필드, 액션 카테고리(Action 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상태 코드(Status Code) 필드를 포함하는 액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는 링크 협력(Link cooperating) 비트 필드, 릴레이 링크(Relay-link) 비트 필드, 예약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협력 비트 필드는 링크 협력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되고, 링크 스위칭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되며, 상기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는 상기 링크 협력 비트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된 경우에 유효한 값을 가지고, 우회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시작하는 경우 1로 설정되며, 직접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직접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는 링크 협력 비트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되고,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는 1로 설정된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는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소정의 비트가 설정된,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우회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는 링크 협력 비트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되고,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는 0으로 설정된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는 상기 목적노드의,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소정의 비트가 설정된,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는 링크 협력 비트 필드 값이 1로 설정된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는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소정의 비트가 설정된,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노드는 상기 소스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안테나 패턴이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소스노드로 동시에 지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스노드,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Transmission Time-Point Adjustment, TP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스노드,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first link margin element) 및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second link margi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로의 프레임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소스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목적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는 릴레이 노드의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주소를 매체접근제어 헤더의 전송 주소(Transmitter address, TA)로 설정하고, 상기 목적노드의 매체접근제어 주소를 상기 매체접근제어 헤더의 수신 주소(Receiver Address, RA)로 설정하여,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정보 나타내는 제1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first link margin element) 및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정보를 나타내는 제2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second link margin element)를 포함하는,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상기 소스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직접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되어,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노드,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 간의 우회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되어,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직접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되어,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소스노드, 상기 릴레이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 간의 우회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되어,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상기 소스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이 결정된 경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직접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우회 경로에서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목적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목적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릴레이노드로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릴레이노드로부터, 상기 목적노드 및 상기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 상기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상기 링크 협력 타입으로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기존의 빔 형성 파라미터 값 및 전송시점 조정 파라미터 값을 재사용하고,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상기 링크 협력 타입으로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빔 형성 절차 및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상기 릴레이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상기 소스노드와 상기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링크품질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약 기반 채널 액세스를 지원하는 무선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및 직접 경로의 상태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과 링크 협력 타입 간에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형성된 링크의 품질에 따라, 링크 스위칭 타입 또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가변적인 무선 채널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형성된 링크의 품질에 따라,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데이터 프레임 전송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링크 협력 타입에서 발생한, 목적노드의 안테나 이득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서 사용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 및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의 액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소스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릴레이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목적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WLAN과 WPAN에서는 경쟁 방식과 비경쟁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WLAN의 AP(Access Point) 또는 PCP(Personal basic service set Control Point) 및 WPAN의 PNC(Pico-Net Coordinator)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영역을 경쟁구간과 비경쟁 구간으로 구별한다.
경쟁 구간에서는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가 채널을 획득하기 위해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기반으로 경쟁한다.
비경쟁 구간에서는 AP, PCP 또는 PNC가 폴링 (Polling) 기법 혹은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특정 단말이 비경쟁 구간의 특정 시간 영역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가 비경쟁 구간에서 소스노드-목적노드 간의 직접 경로와 소스노드-릴레이노드-목적노드 간의 우회 경로의 신호 품질 상태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을 변경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소스노드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시작하는 노드 또는 단말을 의미한다. 릴레이노드는 소스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노드로 전송하는 노드 또는 단말을 의미한다. 목적노드는 소스노드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대상이 되는 노드 또는 단말을 의미한다.
소스노드는 두 가지의 릴레이 동작 타입을 통하여 목적노드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두 가지 릴레이 동작 타입에는 링크 스위칭 타입(Link Switching type)과 링크 협력 타입(Link Cooperating type)이 있다.
링크 스위칭 타입은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다가, 사용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하지 않는 다른 경로로 스위칭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문제는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여, 신호의 전달이 봉쇄되거나, 신호의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은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 모두를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소스노드는 직접 경로를 통하여 목적노드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소스노드는 우회 경로를 통하여 목적노드에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목적노드는 두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수신하는 신호들을 결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복원한다. 우회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 중간에 릴레이노드가 소스노드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목적노드로 전송하므로, 목적노드가 두 경로를 통하여,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전송시점 조정절차(Transmission Time-Point Adjustment, TPA)가 수행되어야 한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는 직접 경로와 우회 경로의 신호 품질이 동시에 나쁜 경우,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자주 변경하면서도, 목적노드에서의 수신 상태는 별로 좋아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는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 중 하나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계속하여 링크 협력 타입을 수행하면, 목적노드는 문제가 발생한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할당 받은 시간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적노드는 릴레이노드 및 소스노드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을 릴레이노드 및 소스노드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므로, 안테나 이득이 두 방향으로 분산된다. 그러므로,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 중 문제가 발생한 경로에 대해서는 안테나 이득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노드는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 중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따라, 링크 스위칭 타입 또는 링크 협력 타입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소스노드(110), 릴레이노드(120), 목적노드(130)는 링크 스위칭(link switching) 기능 및 링크 협력(link coopera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노드(110)는 목적노드(130)와의 관계에서, 링크 스위칭 또는 링크 협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 가능한 릴레이노드(120)에 대한 정보를AP 또는 PCP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AP 또는PCP는 릴레이노드 (120)에 대한 정보를 목적노드(130)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스노드(110)는 링크 스위칭 타입 또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목적노드(130)로부터 데이터 수신에 대한 확인 응답 메시지(이하 ACK 프레임)를 수신하여, 목적노드(130)에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적노드(130)는 직접 경로(113)를 통하여 소스노드(110)에게 ACK 프레임을 전송한다.
소스노드(110)는 목적노드(13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직접 경로(113) 또는 우회 경로(115)에서 신호의 전달이 봉쇄되거나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 미만으로 열화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스노드(110)는 소스노드(110)와 릴레이노드(120) 간의 링크(111) 품질, 릴레이노드(120)와 목적노드(130) 간의 링크(121) 품질 및 소스노드(110)와 목적노드(130) 간의 링크(113)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소스노드(110)는 ACK 프레임의 수신여부뿐만 아니라 각 링크의 신호 품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링크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스노드(110), 릴레이노드(120) 및 목적노드(130) 각각은 링크 스위칭 타입 및 링크 협력 타입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또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소스노드(110), 릴레이노드(120) 및 목적노드(130) 간에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이 수행되어야 한다.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의 한 예로써, 소스노드(110)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이하 ROC Request) 메시지 및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이하 ROC Response) 메시지를 릴레이노드(120) 및 목적노드(130)와 송수신 할 수 있다. 시그널링의 구체적인 예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서 사용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 및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의 액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a)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션 프레임(action frame)을 나타낸다. 액션 프레임은 맥 헤더(Medium Access Control Header, MAC Header) 필드, 액션 카테고리(Action 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릴레이 동작 타입(Relay Operation Type) 필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맥 헤더 필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의 전송 주소 및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의 수신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션 카테고리 필드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광대역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카테고리로 설정되고, 액션 값 필드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에 이미 할당된 값으로 설정되고,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는 0이 아닌 값으로 설정된다.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210)는 링크 협력 타입 또는 링크 스위칭 타입 여부를 나타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c)에서 설명한다.
(b)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션 프레임을 나타낸다. 액션 프레임은 맥 헤더(Medium Access Control Header, MAC Header) 필드, 액션 카테고리(Action 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필드, 상태 코드(Status Code) 필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맥 헤더 필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의 전송 주소 및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의 수신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션 카테고리 필드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광대역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카테고리로 설정되고, 액션 값 필드는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에 이미 할당된 값으로 설정되고,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는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의 다이얼 토큰 필드의 값으로 설정된다.
상태 코드 필드(220)는 릴레이노드 또는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에 대한 승인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승인 여부는 기 설정된 값이 설정되어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0,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37과 같은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코드 필드(220)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모두 승인하는 경우에만,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승인된 상태 코드 필드(220)를 수신할 수 있다. 둘 중 하나라도 거절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이 거절된 상태 코드 필드(220)를 수신하게 된다.
(c)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의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210)를 나타낸다.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210)는 링크 협력(Link cooperating) 비트 필드(230), 릴레이 링크(Relay-link) 비트 필드(240), 예약 비트들(250)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210)는 링크 협력 비트 필드(230),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240) 및 예약 비트들(250)을 포함하는 1바이트 필드일 수 있다.
링크 협력 비트 필드(230)는 링크 협력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1로 설정되고, 링크 스위칭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240)는 링크 협력 비트 필드(230)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 즉 링크 스위칭 동작인 경우에 유효한 값을 가지며, 우회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시작하는 경우 1로 설정되고, 직접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시작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약 비트들(250)은 추가적인 활용을 대비해 미리 확보한 비트들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310단계에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고 있다.
320단계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 중, 직접 경로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소스노드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직접 경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에 신호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소스노드는 목적노드로부터 ACK 프레임의 수신여부 및 측정된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직접 경로 상의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331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가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도록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직접 경로 상에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소스노드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에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션 프레임의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에서, 링크 협력 비트 필드는 0으로 설정되고,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을 변경하고, 우회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333단계에서, 릴레이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노드는 반이중 방식(Half-Duplex)으로 소스노드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노드는 릴레이노드의 맥(Medium Access Control, MAC) 주소를 맥 헤더의 전송 주소(Transmitter address, TA)로 설정하고, 목적노드의 맥 주소를 상기 맥 헤더의 수신 주소(Receiver Address, RA)로 설정하여,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35단계에서, 목적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OC Response) 메시지를 릴레이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에는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337단계에서, 릴레이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한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소스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소스노드로 전송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에는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 모두 승인하는 경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하는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목적노드 또는 릴레이노드 둘 중, 하나라도 거절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하는 다른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340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한 경우, 소스노드는 릴레이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즉,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우회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한다. 목적노드 또는 릴레이노드 중 하나라도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한 경우, 소스노드는 계속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해야 한다. 추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릴레이 동작 변경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410단계에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고 있다.
420단계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 중, 우회 경로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소스노드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우회 경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사이 또는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사이에 신호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또는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소스노드는 목적노드로부터 ACK 프레임의 수신여부 및 측정된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측정된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우회 경로 상의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431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목적노드가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도록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우회 경로 상에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소스노드는 직접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목적노드에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션 프레임의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에서, 링크 협력 비트 필드는 0으로 설정되고,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는 0으로 설정된다.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을 변경하고, 직접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433단계에서, 목적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OC Response) 메시지를 릴레이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에는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목적노드가 승인하는 경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하는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목적노드가 거절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하는 다른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440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목적노드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한 경우, 소스노드는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즉, 소스노드 및 목적노드는 직접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한다. 목적노드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한 경우, 소스노드는 계속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해야 한다. 추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릴레이 동작 변경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되는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510단계에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고 있다.
520단계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소스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이벤트는,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스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우회 경로와 직접 경로 간의 링크 스위칭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자주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 경로와 직접 경로 간의 링크 스위칭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우회 경로의 링크 품질 및 직접 경로의 링크 품질이 별로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링크 협력 타입으로의 변경을 통해 보다 좋은 품질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노드는 목적노드로부터 ACK 프레임의 수신여부 및 측정된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측정된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측정된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노드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사용하지 않는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의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사용하지 않는 경로의 링크 품질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530단계에서, 소스노드는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빔의 형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므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에,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빔 형성 절차가 필요하다.
540단계에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빔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550단계에서, 소스노드는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Transmission Time-Point Adjustment, TPA)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전송시점 조정절차는 소스노드에서 전송하는 프레임과 릴레이노드에서 전송하는 프레임이 목적노드에서 동시에 또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내에서 수신되도록,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프레임 전송시점을 조정하는 절차이다. 프레임의 전송시점은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전파지연시간, 목적노드와 소스노드간의 전파지연시간, 목적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전파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송시점 조정절차는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주파수 오프셋 조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560단계에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571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가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도록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소스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를 모두 이용하므로, 우회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에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션 프레임의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에서, 링크 협력 비트 필드는 1로 설정된다.
573단계에서, 릴레이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노드는 반이중 방식(Half-Duplex)으로 소스노드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노드는 릴레이노드의 맥(Medium Access Control, MAC) 주소를 맥 헤더의 전송 주소(Transmitter address, TA)로 설정하고, 목적노드의 맥 주소를 상기 맥 헤더의 수신 주소(Receiver Address, RA)로 설정하여,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575단계에서, 목적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OC Response) 메시지를 릴레이노드로 전송한다.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에는 목적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577단계에서, 릴레이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한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소스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소스노드로 전송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에는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 모두 승인하는 경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하는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목적노드 또는 릴레이노드 둘 중, 하나라도 거절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하는 다른 소정의 비트가 상태 코드 필드에 설정된다.
580단계에서, 소스노드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의 릴레이 동작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목적노드 및 릴레이노드가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승인한 경우, 소스노드는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다만, 소스노드는 전송시점 조정절차에 의해 조정된 시간에 따라,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따라서, 목적노드는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로부터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목적노드는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목적노드의 안테나 패턴이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로 동시에 지향(directed)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목적노드의 안테나 패턴은 540단계에서, 소스노드 및 릴레이노드로 동시에 지향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목적노드 또는 릴레이노드 중 하나라도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거절한 경우, 소스노드는 계속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해야 한다. 추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릴레이 동작 변경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소스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61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타입(type)의 변경을 결정한다.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목적노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한다.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은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될 수 있고,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경우는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로 구별될 수 있다.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해야 한다.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릴레이 동작 타입이 변경되려면,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가 변경되는 동작 타입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한다. 또한, 각 노드의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변경되는 동작의 승인여부도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는 동작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을 통해 위와 같은 승인여부를 알 수 있다.
62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직접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목적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는 액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액션 프레임의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 중, 링크 협력 비트 필드를 통하여 링크 협력 타입 또는 링크 스위칭 타입이 설정된다. 또한, 릴레이 동작 타입 필드 중,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를 통하여, 우회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이 시작되는지, 직접 경로에서 링크 스위칭이 시작되는지 여부가 설정된다.
63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릴레이노드는 목적노드로부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스노드에 다시 전달한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목적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는 상태 코드 비트 필드를 통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 또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사용되는 노드의 릴레이 동작 변경에 대한 승인 여부가 설정된다. 승인 또는 거절에 각각 대응하는 비트가 상태 코드 비트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
64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승인되면, 관련되는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링크 협력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이 승인되면,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TP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이 승인되기 이전에도,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TPA)의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수신할 수 있다.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제1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first link margin element) 및 제2 링크 마진 엘리먼트(the second link margi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마진 엘리먼트는 릴레이노드에서 측정된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제2 링크 마진 엘리먼트는 릴레이노드에서 측정된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 및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의 프레임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우회 경로의 링크 품질에 따라, 링크 품질에 적합한 방식으로 프레임을 변조 및 코딩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별도의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응답 메시지의 시그널링 없이,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링크 협력 비트 필드 및 릴레이 링크 비트 필드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시지의 시그널링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달이 중단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릴레이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을 결정하는 경우 및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을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71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72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목적노드로 전송한다.
73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목적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740 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소스노드로 전송한다.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 및 목적노드 사이에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 및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을 소스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은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링크 마진 엘리먼트 및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링크 마진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목적노드의 관점에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목적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81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스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820단계에서,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 스위칭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 스위칭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소스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 협력 타입 변경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링크품질 측정부(910), 제어부(920), 전송부(930) 및 수신부(940)를 포함한다.
링크품질 측정부(910)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한다. 제어부(920)는 목적노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 및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을 결정한다.
제어부(920)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직접 경로 또는 우회 경로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소스노드와 목적노드 간에 신호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링크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악화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이벤트는,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우회 경로와 직접 경로 간의 링크 스위칭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자주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빔 형성 절차 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빔 형성 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기 전, 링크 협력 타입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획득한 빔 형성 파라미터 값을 재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기존에 획득한 빔 형성 파라미터 값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새로운 빔 형성 파라미터 값을 획득하기 위해 빔 형성 절차를 재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소스노드,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 간에 전송시점 조정절차(Transmission Time-Point Adjustment, TPA)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전송시점 조정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릴레이 동작 타입이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되기 전, 링크 협력 타입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획득한 전송시점 조정 파라미터 값을 재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기존에 획득한 전송시점 조정 파라미터 값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새로운 전송시점 조정 파라미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전송시점 조정절차를 재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소스노드와 릴레이노드 간의 링크 품질정보 및 릴레이노드와 목적노드 간의 링크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의 프레임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변경할 수 있다.
전송부(930)는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이 결정되면,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Relay Operation Change request, ROC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송부(930)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우회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930)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직접 경로를 이용하기 위해, 목적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930)는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 릴레이노드로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940)는 릴레이 동작 변경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Relay Operation Change response, ROC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부(940)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직접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노드는 목적노드로부터 상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스노드에 다시 전달한다. 이때, 전송부(930)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릴레이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940)는 링크 협력 타입에서 우회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목적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930)는 링크 스위칭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940)는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릴레이노드로부터 릴레이 동작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930)는 링크 협력 타입으로의 변경이 승인되면, 릴레이노드 및 목적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940)는 릴레이노드로부터 링크 측정 보고 프레임(Link Measurement Report frame)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소스 노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해, 릴레이 동작 변경(Relay Operation Change, ROC) 요청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를 통해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 승인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하는 ROC 응답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 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 노드 사이의 직접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스위칭 타입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직접 링크에 문제가 생기면 상기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타입을 나타내고,
    상기 링크 협력 타입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직접 링크 및 상기 릴레이 노드 둘 다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타입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의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C 요청 메시지는 1로 설정된 링크 협력 필드를 포함하는,
    소스 노드의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 노드와 함께 전송 시점 조정 절차를 수행하는,
    소스 노드의 무선 통신 방법.
  4. 소스 노드에 있어서,
    상기 소스 노드는,
    릴레이 동작 타입을 링크 스위칭 타입에서 링크 협력 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해, 릴레이 동작 변경(Relay Operation Change, ROC) 요청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를 통해 목적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타입의 변경 승인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 필드를 포함하는 ROC 응답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 노드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 노드 사이의 직접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링크 스위칭 타입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직접 링크에 문제가 생기면 상기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타입을 나타내고,
    상기 링크 협력 타입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직접 링크 및 상기 릴레이 노드 둘 다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타입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OC 요청 메시지는 1로 설정된 링크 협력 필드를 포함하는,
    소스 노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협력 타입에서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 노드와 함께 전송 시점 조정 절차를 수행하는,
    소스 노드.
KR1020180051865A 2010-03-05 2018-05-04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898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807 2010-03-05
KR1020100019807 2010-03-05
KR1020100045444 2010-05-14
KR20100045444 2010-05-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43A Division KR101857927B1 (ko) 2010-03-05 2017-12-08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476A Division KR101962235B1 (ko) 2010-03-05 2018-09-10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465A true KR20180051465A (ko) 2018-05-16
KR101898872B1 KR101898872B1 (ko) 2018-09-17

Family

ID=4454274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63A KR101754389B1 (ko) 2010-03-05 2011-03-04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70082851A KR101809238B1 (ko) 2010-03-05 2017-06-29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70168543A KR101857927B1 (ko) 2010-03-05 2017-12-08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051865A KR101898872B1 (ko) 2010-03-05 2018-05-04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107476A KR101962235B1 (ko) 2010-03-05 2018-09-10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63A KR101754389B1 (ko) 2010-03-05 2011-03-04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70082851A KR101809238B1 (ko) 2010-03-05 2017-06-29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170168543A KR101857927B1 (ko) 2010-03-05 2017-12-08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476A KR101962235B1 (ko) 2010-03-05 2018-09-10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18360B2 (ko)
EP (3) EP3399664B1 (ko)
JP (1) JP5684293B2 (ko)
KR (5) KR101754389B1 (ko)
CN (2) CN102870348B (ko)
WO (1) WO20111088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358B2 (en) * 2009-06-24 2015-0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Network element for changing the timeslot typ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EP3579455B1 (en) * 2010-02-16 2023-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ban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hich use a relay in transceiving operation
KR101764888B1 (ko) * 2010-02-16 2017-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GB2500180A (en) * 2012-03-09 2013-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a duration of a recruitment slot in a wireless relay network
US9124304B2 (en) * 2012-10-17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head for NFC data exchange protocol messages
US9287964B2 (en) * 2013-03-11 2016-03-15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relay device with bounded delay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of symbols
CN104185269B (zh) * 2013-05-22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无线通信链路的建立方法及终端设备
JP6326748B2 (ja) * 2013-09-10 2018-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装置、マップ作成装置、リソース管理装置、無線局管理装置及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CN104640167A (zh) * 2013-11-06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定向链路切换方法及实现链路切换的设备
US9800693B2 (en) * 2014-01-28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ductive communication interface
CN105101301A (zh) * 2014-05-23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用户协作通信场景下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4618470B (zh) * 2015-01-23 2019-0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音乐资源下载方法及相关设备
JP6446303B2 (ja) * 2015-03-19 2018-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4883391B (zh) * 2015-04-20 2019-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控制方法及设备
US10230448B2 (en) * 2015-07-29 2019-03-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obust relay communication
EP3348113B1 (en) * 2015-09-08 2021-05-19 Apple Inc.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handover between direct and relayed connections
US10524108B2 (en) * 2015-10-19 2019-12-31 Qualomm Incorporated D2D communication for eMTC design considerations
WO2017075489A1 (en) * 2015-10-30 2017-05-04 Kyocera Corporation Selection of decoding level at signal forwarding devices
EP3211959B1 (en) * 2016-02-02 2020-07-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ablishing a mix of d2d direct and cellular communication links between two devices for interaction
CN106452994A (zh) * 2016-09-22 2017-02-22 北京智能管家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8282251B (zh) * 2017-01-06 2021-03-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链路调整方法、装置及服务器
KR102559576B1 (ko) 2017-01-10 2023-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법
JP7226170B2 (ja) * 2019-07-26 2023-02-2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通信システム、中継局、移動局
US11758595B2 (en) * 2019-12-23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in-vehicle networking architecture
WO2021261804A1 (ko) * 2020-06-25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의 중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105A2 (en) * 2007-11-12 2009-05-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the best path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1275B2 (en) 2005-08-17 2013-12-17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multi-hop routing and cooperative diversity system
US7760678B2 (en) * 2006-11-27 2010-07-20 Intel Corporation Cooperative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ATE477691T1 (de) * 2007-01-11 2010-08-15 Nds Ltd Drahtloses vernetzungssystem und verfahren
KR20080109617A (ko) * 2007-06-13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경로 관리 방법, 다중 경로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그 장치
CN101399799B (zh) * 2007-09-25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正交频分复用系统的数据中继方法及中继站
US20090116422A1 (en) * 2007-11-02 2009-05-07 Chia-Chin Chong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 hybrid relay selection scheme for downlink transmission
WO2009072825A2 (en) * 2007-12-05 2009-06-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94577B2 (en) * 2008-07-14 2012-0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using relay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entralized MAC
WO2010143894A2 (en) * 2009-06-10 2010-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US8762543B2 (en) * 2009-12-15 2014-06-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peer discovery and enhancing link reliability for wireless peer direct lin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4105A2 (en) * 2007-11-12 2009-05-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the best path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ng Cao; B. Vojcic, "Cooperative coding using serial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s,"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Vol. 2, PP. 1001 - 1006, (2005.03.13-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605A (ko) 2017-07-12
US9118360B2 (en) 2015-08-25
EP3399664A1 (en) 2018-11-07
KR101809238B1 (ko) 2017-12-14
EP2544382A4 (en) 2013-09-04
JP5684293B2 (ja) 2015-03-11
EP2544382B1 (en) 2018-06-13
CN105721022A (zh) 2016-06-29
KR101754389B1 (ko) 2017-07-20
KR101962235B1 (ko) 2019-07-17
EP3637635B1 (en) 2021-05-12
WO2011108886A3 (ko) 2011-12-29
KR101898872B1 (ko) 2018-09-17
EP3399664B1 (en) 2019-12-11
KR20180103030A (ko) 2018-09-18
US20120320763A1 (en) 2012-12-20
EP2544382A2 (en) 2013-01-09
KR20170141165A (ko) 2017-12-22
CN102870348B (zh) 2016-03-02
WO2011108886A2 (ko) 2011-09-09
US20150341107A1 (en) 2015-11-26
JP2013521738A (ja) 2013-06-10
EP3637635A1 (en) 2020-04-15
US9680534B2 (en) 2017-06-13
KR101857927B1 (ko) 2018-05-15
KR20110101085A (ko) 2011-09-15
CN102870348A (zh) 2013-01-09
CN105721022B (zh)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35B1 (ko)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128045B1 (ko)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EP25385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ban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hich use a relay in transceiving operation
US1005778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