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28A -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228A
KR20180051228A KR1020160148274A KR20160148274A KR20180051228A KR 20180051228 A KR20180051228 A KR 20180051228A KR 1020160148274 A KR1020160148274 A KR 1020160148274A KR 20160148274 A KR20160148274 A KR 20160148274A KR 20180051228 A KR20180051228 A KR 2018005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photographing
cameras
state
camera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훔멜
권종훈
최윤석
이학림
천지영
우람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228A/ko
Publication of KR2018005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2
    • H04N5/2258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촬영 및 360도 촬영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대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에 의하여 일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장치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3D 촬영 및 360도 촬영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도록 이루어진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카메라의 다양한 촬영 수단과 그에 따른 활용 방안이 광범위해 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별도의 조작 없이 모든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2차원 평면 이미지를 3차원적 실상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3차원 촬영 카메라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가상현실(VR) 시대가 열리면서 '360도 카메라' 시장이 활성화되고, VR 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360도 촬영을 하는 카메라 및 3D 촬영을 하는 카메라가 각각 개발되어 다양한 콘텐츠 제작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자신만의 독립적인 역할만 수행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360도 촬영을 하는 카메라와 3D 촬영을 하는 카메라를 개별적으로 구비할 필요 없이, 3차원(3D) 촬영과 360도 촬영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일체형 촬영장치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범위 및 촬영각도가 서로 다른 360도 촬영이미지 및 3D 촬영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360도 촬영 및 3D 촬영의 기능에 제한되지 않고, 블루투스 기능 및 VR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촬영장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대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에 의하여 일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되는 바, 상기 제1 및 제2 촬영상태에서 360도 촬영 및 3D 촬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각각 180도 화각을 가지며,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상기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에서 각각 360도 촬영이미지 및 3D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일 단은 상기 제2바디와 장착되며 타 단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일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촬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일 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카메라를 포함함으로써,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같은 방향을 이룰 수 있는바, 360도 촬영상태 또는 3D 촬영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후크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촬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외력을 인가받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압축되는 압축 스프링 및 회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정해진 각도 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후크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수용부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카메라 기능 이외에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의해 가려지는 제1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바디에 의해 가려지는 제2 렌즈모듈을 각각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 모듈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돌출되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별도의 중간 매체를 거치지 않고도 바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360도 촬영이 가능한 상태와 3D 촬영이 가능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360도 이미지 및 3D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에 의하여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작 및 휴대가 용이한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을 구현시킴으로써 360도 촬영이 가능한 상태와 3D 촬영이 가능한 상태의 선택적 전환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휴대성 및 편리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거치하기 쉽게 바닥과 닿는 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셀프 촬영이 용이하며, 보관 및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촬영장치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며, 360도 촬영상태(이하, 제1 촬영상태) 및 3D 촬영상태(이하,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d는 제 1 촬영상태에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e 및 도 1f 는 제2 촬영상태에서 제1 및 제2 카메라 이외에 제1 및 제2 렌즈모듈을 각각 더 포함하는 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의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도시화한 것이다. 도 2c 및 도 2d는 도 2a 및 도 2b에 대한 각각의 분해사시도이며, 상기 촬영장치의 바디부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결합 및 해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며,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c는 상기 도 3b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의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가 도시화한 것이며, 도 4c는 상기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가 이동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Combine Device)의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60도 촬영 및 3D 촬영, 각각의 독립적인 역할만 수행할 수 있는 360도 카메라와 3D 카메라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를 개시하는데 있어서, 360도 촬영이 가능한 상태는 제1 촬영상태로, 3D 촬영이 가능한 상태는 제2 촬영상태로 명명한다.
도 1a는 촬영장치(1)의 제1 촬영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b는 상기 촬영장치(1)의 제2 촬영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상기 촬영장치(1)의 제2촬영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b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촬영장치(1)는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111, 121)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상대회전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장치(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에 의하여 상대회전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용이하게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각각 원통 형상의 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중 어느 하나의 직경은 다른 하나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 후술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의 작동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별도의 내부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심플한 외관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별도의 규격품(Tripod Socket)을 적용하더라도 모든 액세서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 및 1c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110, 120)는 제 1 촬영상태에서 일체의 바디(100)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면(101)과 제2 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제2 면(101, 102)은 동일한 면적 및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별도로 구분할 필요없이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제1 및 제2 면(101, 102)에 의하여 장소에 되지 않고 거치할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쉽게 쓰러지지 않게 지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카메라(111)는 상기 제1 바디(110)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121)는 상기 제2 바디(12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111, 12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0)는 상기 제1 바디(110)의 외주면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굴곡을 이루는 제1 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0)의 제1 곡면(212)은 상기 제2 바디(120)의 회전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220)는 상기 제2 바디(12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곡면(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을 이루는 제2 곡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220)의 제2 곡면(222)은 상기 제1 바디(110)의 회전방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곡면(212, 222)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210)는 상기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220)는 상기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촬영상태를 도시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곡면(212, 222)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졌는바, 상기 제1 가이드부(210)는 상기 제2 곡면(222)을,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곡면(212)을 타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의 상대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의 외주면 중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가 배치되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외주면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를 각각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 중 볼록부 및 오목부(A, B)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의 볼록부 및 오목부(A, B)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A, B)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룬다.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A, B)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지는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상대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촬영상태가 각각 구현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촬영상태를 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각각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곡면은(212)은 상기 제2 곡면(222)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 바디(110, 12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2 바디(110, 120)가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의 촬영방향이 바뀌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의 배열이 변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0)의 제1 곡면(212)과 상기 제2 가이드부(220)의 제2 곡면(222)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곡면(212, 222)은 서로 면접촉할 수 있으며, 또는 직접적인 면접촉 없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카메라(111)가 일 방향을 향하면, 상기 제2 카메라(121)는 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 방향 및 타 방향은 서로 반대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제2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에 의하여 일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상대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의 배열구조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가이드부(220)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0)의 제1 곡면(2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부(220)가 장착된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바디(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의 볼록부 및 오목부(A, B)가 서로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A, B)에 인접하게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열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의 촬영 방향은 동일한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을 이루고, 따라서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된 이미지는 3D 이미지로 형성된다.
도 1c 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서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대회전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바디(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2 바디(120)의 회전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디(12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 바디(110)의 회전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내주면에 홈을 내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210, 22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는 하나의 촬영장치(1)로서 결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의 결합구조를 해제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d는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스피커(130)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의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며, 도 1e 및 도 1f 는 상기 제2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을 각각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촬영장치(1)의 모습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d 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촬영상태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는 일체의 바디부(10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의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가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촬영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를 방출하는 음향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 중 제1 및 제2 면(101, 10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12)가 장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 120)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바, 상기 제1 촬영상태인, 360도 촬영모드와는 독립적으로 스피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e 및 도 1f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1)에서, 제1 바디(110)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제2 바디(120)에 의해 가려지도록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렌즈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바디(120)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제1 바디(110)에 의해 가려지도록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렌즈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은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각각의 바디부에 가려지나,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촬영장치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1)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211, 221)에서 촬영된 360도 이미지 및 3D 이미지를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시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되는 이미지가 상기 360도 이미지인 경우, 상기 촬영장치(1)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양안에 장착된 상기 촬영장치(1)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360도 영상의 일 영역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가상 공간 체험은 기 저장된 특정 형태의 영상 컨텐츠의 재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형태의 영상 컨텐츠는 일정 시간동안 360도 전방향 또는 180도의 화각으로 촬영된 영상 컨텐츠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부를 회전하여 360도 전방향 또는 180도 화각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모듈(111, 121)이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촬영장치를 자신에게 착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별도의 VR 장치 없이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2)의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도시화한 것이며, 도 2c 내지 도 2d는 상기 촬영장치(2)의 바디부(310)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결합 및 해제 구조를 도시화 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 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2)는 일 측에 회전축(311)을 구비하는 바디부(310), 상기 회전축(3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은 일 면과 상기 일 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일 면에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 중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장착된다.
이하, 도 1에서와 동일하게, 360도 촬영이 가능한 상태는 제1 촬영상태로, 3D 촬영이 가능한 상태는 제2 촬영상태로 명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일 면에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가 장착되는바,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타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410)의 타 면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420)의 타 면을 서로 면접촉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타 면들은 서로 면접촉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타면들이 서로 면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는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에 의해 각각 촬영되는 180도 방향의 이미지들이 합성되어 모든 방향, 360도 방향에서 바라본 입체적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촬영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 카메라(411, 421)의 촬영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이루거나, 나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411, 421)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3차원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장치(2)의 바디부(310)는 회전축(311), 상기 회전축(311)에 장착되는 회전 스프링(314),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을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312), 압축 스프링(316) 및 촬영 버튼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310)는 바닥에 거치하기 쉽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밑면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바디부(310)는 밑면부, 상기 밑면부과 마주보는 윗면부 및 상기 밑면부과 윗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바디부(310)의 밑면부, 윗면부 및 측면부의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바디부(310)의 일 측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카메라 모듈(410)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4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11)은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바디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310)와 일체로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은 별도의 구분 없이 상기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상기 회전축(311)의 일 영역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11)에 장착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은 이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3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프링(314)은 상기 회전축(311)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 1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정해진 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 및 상기 압축 스프링(31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프링(314)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스프링(314)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회전축(311)에 장착된 부분과 중첩되어 형성되거나, 중첩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312)은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부(3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제1 촬영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후크부(312b)가 걸리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미도시)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 중 상기 바디부(310)의 윗면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후크부(312b)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은 상기 후크부(312b)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일 면에 홈을 내어 상기 후크부(312b)에 각각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바디부(310)에 대하여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상기 제1 촬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버튼부(312a)는 상기 후크부(312b)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312b)가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외력을 인가받는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312b)는 상기 버튼부(312a)의 눌림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31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12a)는 상기 회전축(311)과 마주보게 상기 바디부(3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장치(2)는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312a)는 눌러지도록 형성되어 일반적인 버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튼부(312a) 및 후크부(312b)는 일체로서 형성되는바,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부 및 윗면부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3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310)는 상기 후크부(312b)를 수용하는 수용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312b)는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에 각각 걸리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후크부(312b)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부(317)는 상기 바디부(310)에 홈을 내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수용부(317a, 3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317a, 317b)는 상기 후크부(312b)가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가져야하는바, 상기 바디부(310)의 윗면부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312b)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도 2c 에 도시된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바디부(310) 중 일 영역을 관통하여 돌출된 버튼부(312a)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버튼부(312a)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후크부(312b)는 상기 회전축(311)을 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317a, 317b)에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촬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312b)와 결합되었던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은 상기 후크부(312b)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상기 이들의 결합상태는 해제되므로, 상기 제1 및 제 카메라 모듈(410, 420)은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촬영상태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은(316)은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는 어떠한 외력을 받지 않은 채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이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분리된 제2 촬영상태에서는 상기 버튼부 및 상기 후크부(312a, 312b)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3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된다.
도 2c 및 도 2d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은 상기 후크부(312b)와 상기 압축 스프링(316)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315a, 315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315a, 315b)의 일 단은 상기 회전축(311)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15a, 315b)는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316)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316)의 압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15a, 315b)는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410, 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3)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고,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상기 도 3b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3)는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짐에 의하여 서로 상대이동 또는 상대회전 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어느 하나는 외력에 의해 눌러지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는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제2 바디(530)가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제2 바디(530)는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는 일 방향으로 연장 또는 확장된다.
도 3b 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제2 바디(53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530)는 상기 제1 바디(52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530)는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 없이 수직 운동을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개시한다.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바디(5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는 제 1 촬영상태에서 제2 촬영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촬영상태와 달리 동일한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는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바디(530)의 일부는 상기 제1 바디(5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3)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1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될 수 있도록 손잡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511)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5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530)는 상기 제1 바디(5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511)은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 정지하고,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530)의 상단(530a)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팽창하는 탄성 이동을 한다.
즉, 상기 스프링(511)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의 일 영역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를 서로 연결해주며, 상기 제2 바디(530)가 상기 스프링(51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제1 촬영상태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 카메라(521, 531)는 서로 다른 방향, 즉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520)의 외주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바디(530)는 상기 제1 바디(5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 바디의 상단(530a)을 제외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 카메라(521)는 상기 제1 카메라(521)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180도 화각으로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제2 카메라(531)는 상기 제2 카메라(531)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180도 화각으로 다른 피사체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바, 모든 방향인 360도 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촬영상태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520, 530)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의 촬영방향은 서로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521, 531)는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고, 각각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510)는 상기 제1 바디(52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510)는 상기 제2 바디(530)의 하단(530a)과 서로 마주도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촬영상태에서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자유자재로 상기 촬영장치(3)를 사용할 수 있는바, 상기 촬영장치(3)의 휴대성 및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4)의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도시화한 것이며, 도 4c는 상기 도 4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장치(4)는 원구 형태의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4)는 제 1 및 제2 바디(610, 620),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611, 621)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눌러지도록 이루어지는 버튼 클릭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610)와 제2 바디(620)는 서로 면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면접촉이 되는 면(이하, 공유면)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공유면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 클릭부(630)가 외부로부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는 상기 공유면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촬영장치(4)는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 즉 360도 촬영모드 및 3D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서로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버튼 클릭부(630)는 상기 제1 바디(610)에 형성되는 제1 버튼 클릭부(630a) 및 상기 제2 바디(620)에 형성되는 제2 버튼 클릭부(6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클릭부(630a, 630b)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4a는 상기 촬영장치(4)의 제1 촬영상태를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 클릭부(630a, 630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611, 621)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룰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는 상기 촬영장치(4)의 제2 촬영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화 한것이다.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 클릭부(630a, 630b)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610, 620)가 각각 포함하는 공유면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면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서 개시된 촬영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를 도시화 한 것이며, 제1 촬영상태 및 제2 촬영상태를 각각 도시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360도 촬영 및 3D 촬영 기능을 겸비한 촬영장치(5)는 이동 단말기의 액세서리 형태를 갖춘 카메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전력공급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장치(5)는 일 측에 회전축(701)을 구비하는 바디부(700), 상기 회전축(7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710, 720)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710, 720)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711, 721)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장치(5)의 바디부(700)는 회전축(701), 상기 회전축(701)에 장착되는 회전 스프링(704),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710, 720)을 상기 바디부(700)의 일 영역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702), 상기 체결수단(702)과 상기 회전축(701)을 연결해주는 압축 스프링(미도시) 및 촬영 버튼부(7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700)는 상기 바디부(70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바디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접속단자(7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접속단자(704)가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710, 72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5)은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360도 및 3D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360도 및 3D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촬영장치(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채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돌출되어 형성된 접속단자(704)는 상기 촬영장치(5)의 휴대성을 저하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5)의 휴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단자(704)는 외력에 의해 눌러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촬영장치(5)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 되는 경우에만 상기 촬영장치(5)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5)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접속단자(704)를 상기 촬영장치 본체(700)에 삽입되도록 누를 수 있고, 상기 접속단자(704)는 상기 촬영장치(5)의 본체(700)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접속단자(70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장치(5)에 따르면, 일반적인 촬영장치에 비해 휴대성이 증가하며, 촬영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간편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5)로부터 얻어진 이미지는 별도의 중간 메커니즘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단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대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에 의하여 일 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각각 180도 화각을 가지며,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바디와 마주보게 상기 제1 바디의 일 측에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은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며, 타 단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상기 일 방향으로 확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일 측에 회전축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일 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타면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이루고,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을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제1 촬영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후크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외력을 인가받는 버튼부;
    상기 후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 및 후크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압축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정해진 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압축 스프링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서로 맞닿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후크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지고,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를 외부로 방출하는 음향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상기 제2 촬영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가상 공간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모듈은,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렌즈모듈은, 상기 제1 촬영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눌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 면과 서로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KR1020160148274A 2016-11-08 2016-11-08 촬영장치 KR2018005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74A KR20180051228A (ko) 2016-11-08 2016-11-08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274A KR20180051228A (ko) 2016-11-08 2016-11-08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28A true KR20180051228A (ko) 2018-05-16

Family

ID=6245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274A KR20180051228A (ko) 2016-11-08 2016-11-08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2685B (zh) * 2020-11-19 2022-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影像擷取模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2685B (zh) * 2020-11-19 2022-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影像擷取模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593B2 (en)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EP3522517B1 (en) Camera module
US11729510B2 (en) Im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94681B1 (ko) 회전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31024B2 (en) Mobile and portable screen to view an image recorded by a camera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JP6816812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60286119A1 (en) Mobile Device-Mountable Panoramic Camera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Captured Therefrom
US20120236195A1 (en) Electronic device
WO20121453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noramic video imaging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261408B2 (en) Mobile and portable camera platform for tracking an object
JP5347802B2 (ja) 構図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構図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4514144A (ja) カメラ構造及び電子機器
GB2604999A (en) Image processing as a function of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geometry and corresponding devices and methods
KR20180051228A (ko) 촬영장치
JP2015177334A (ja) 撮像装置
KR20210123367A (ko) 베이스볼 스티치를 갖는 360도 광각 카메라
CN101848322A (zh) 显示装置
JP2004264492A (ja) 撮影方法及び撮像装置
JP2013175945A (ja) 頭部装着装置
JP2004096467A (ja) 多視点撮像装置
JP6410510B2 (ja) ヘッドホンユニット、一対のヘッドホンユニット、ヘッドホン装置及びヘッドホンシステム
TWI596421B (zh) 攝像裝置及攝像方法
CN221075948U (zh) 分体端控制装置及增强现实装置
JP7254524B2 (ja) 駆動装置、撮像装置、駆動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