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015A -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015A
KR20180051015A KR1020160147793A KR20160147793A KR20180051015A KR 20180051015 A KR20180051015 A KR 20180051015A KR 1020160147793 A KR1020160147793 A KR 1020160147793A KR 20160147793 A KR20160147793 A KR 20160147793A KR 20180051015 A KR20180051015 A KR 2018005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nformation
face recognition
child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이응수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이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수 filed Critical 이응수
Priority to KR102016014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015A/ko
Publication of KR2018005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은, 미아의 사진을 촬영한 후 전송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검출함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method for searching missing child basedon face recognition AND missing child search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아 찾기 방법 및 미아 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06494 호는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위치 알람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수의 제보자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미아 사진 판독이 제보자의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또한, 보호자 및 어린이의 신상정보가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되므로, 공개되는 개인정보를 다른 용도로 수집하여 악용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미아 판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5-000649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진의 얼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미아를 식별할 수 있어서 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송된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검출함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는, 전송된 사진의 사진촬영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를 추출하여, 상기 사진이 촬영된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의 사진을 촬영한 후 전송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검출함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는, 전송된 사진의 사진촬영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를 추출하여, 상기 사진이 촬영된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로 상기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는, 상기 사진을 송신한 시점의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제2 단말기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로부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얼굴정보는, 해당하는 사람의 표준 얼굴사진과 성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선택된 사진내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얼굴확인단계; 및 상기 얼굴확인단계에서 표시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위치정보발송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발송단계는, 상기 사진의 사진촬영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를 추출하여, 상기 사진이 촬영된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날짜시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굴확인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 얼굴정보는, 해당하는 사람의 표준 얼굴사진과 성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은,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어서 사람의 직관으로 미아를 식별하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게 기 등록된 미아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필요가 없으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에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미아의 보호자에게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 강화와 빠른 미아 식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4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은 복수의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100)와,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단말기(300) 및 제2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와, 사진을 전송할 수 있는 컴퓨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1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는 미아의 사진을 촬영한 후 전송하는 시민의 단말기로 정의하며, 제2 단말기(100)는 미아의 보호자의 단말기로 정의한다.
또한, 복수의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100)와,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보호자는 자신의 아이가 공공장소 등에서 미아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자신 아이의 사진 및 특징(UP_INFO)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특징은 얼굴의 특징, 예를 들면 점, 흉터, 안경착용 및 피부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보호자는 자신이 소유한 제2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 한 후, 자신 아이의 사진과 특징을 입력한다. 이때 아이의 사진은 서로 다른 표정으로 촬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업로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아를 식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제1 단말기(310)를 소유한 시민이 미아로 추정되는 아이를 발견했을 경우,
제1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아이의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PIC)을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1 단말기(310)에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진이 촬영되는 즉시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내의 얼굴을 선택한 후, 사용자에게 얼굴영역이 정확하게 선정되었는지 확인요청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이러한 과정이 진행된 후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해당 사진(PIC) 또는 해당 사진 중 선택된 얼굴영역이 전송된다.
이때,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진 뿐만 아니라 미아를 발견한 사람이 입력한 아이의 얼굴 특징을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은 얼굴의 특징, 예를 들면 점, 흉터, 안경착용 및 피부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 중 미아의 사진을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할 때는 회원가입을 생략하고, 사진을 전송하는 단말기(310)의 전화번호 및 현재위치 전송여부만을 동의받고 사진(PIC)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특정 전화번호가 링크되어 있으므로,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31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아이의 사진을 촬영한 후, 해당 전화번호로 촬영된 사진 및 특징을 전송함으로써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112", "119" 등과 같은 긴급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가 연동될 경우,
긴급 전화번호로 미아의 사진을 전송하면서, "미아추정" 등과 같은 텍스트 문구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해당 사진 및 특징정보가 관리서버를 경유하여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 자동전송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제1 단말기(310)로부터 전송된 사진 - 미아 추정 아이의 사진임 - 을 수신하여 사진내의 얼굴을 검출한다. 하나의 사진에는 복수의 얼굴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100)로 사진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한다.
즉, 각 기준 얼굴정보에는 해당 얼굴을 가진 아이의 보호자 연락처가 매칭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는 전화번호,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 이라는 아이의 기준 얼굴정보에는, "홍길동"의 얼굴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얼굴인식정보는 "홍길동"의 사진이 추가됨에 따라 계속해서 업데이트된다. 얼굴인식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사진(PIC)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PIC_INFO)를 발송할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정보를 토대로 주변의 관리사무소, 아동 보호소 및 경찰서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기관을 파악한 후 사진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해당 기관에도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업로드된 사진내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비교한 후,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 연락처에 사진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기(310)에 의해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업로드된 사진내에 "이응수"및 "홍길동" 두 사람의 얼굴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는 "홍길동"에 대한 기준 얼굴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보호자 연락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업로드된 사진내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비교한 후, "홍길동"에 대한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고, 해당 기준 얼굴정보에 매칭된 보호자의 단말기(100)로 사진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한다.
즉,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전송된 사진의 사진촬영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를 추출하여, 사진이 촬영된 날짜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100)로 날짜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사진을 송신한 시점의 제1 단말기(3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한 후 보호자의 제2 단말기(100)로 추가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단말기(310)는 미아를 신고한 시민의 단말기이므로, 보호자는 신고한 시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얼굴을 인식할 때, 유사성을 추출해 비교하는 확률기법인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선형판별분석)기법과,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기법과 에다부스트(Adaboost)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얼굴인식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홍길동" 라는 아이의 기준 얼굴정보는, 그의 얼굴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얼굴인식정보는 "홍길동"의 사진이 추가됨에 따라 계속해서 업데이트된다. 즉, 보호자가 아이의 사진, 특히 다양한 얼굴 표정을 지닌 사진을 많이 업데이트 할수록 얼굴인식정보의 데이터량이 더욱 풍부해진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저장되는 "홍길동"아이의 최초 기준 얼굴정보는, 보호자가 사진내의 아이의 얼굴을 선택하고 보호자 연락처 정보와 직접 매칭하여 등록한다. 최초 기준 얼굴정보가 등록된 이후에는 보호자가 추가적인 사진을 업로드 할 때 마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서 자동으로 얼굴을 인지한 후 얼굴인식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최초의 기준 얼굴정보는 "홍길동" 아이의 얼굴인식정보 - 얼굴의 특징을 분석하여 수치화한 정보임 - 를 포함하는데, 새로운 사진이 추가되어 그 사진에 그 아이의 얼굴이 감지될 때마다, 그 얼굴의 특징에 따른 새로운 정보가 얼굴인식정보에 추가되면서 업데이트 된다.
즉, 사진 속의 "홍길동"아이의 얼굴은 서로 다른 표정을 가지므로 서로 다른 얼굴인식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새로운 사진이 업로드 될 때마다, 해당 사람의 얼굴 특징이 계속해서 누적되므로 감지확률이 점점 높아지게 된다.
특히, 보호자가 아이의 추가적인 사진을 업로드 하는 과정 중,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서 기존에 등록된 아이의 얼굴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 동일한 얼굴임을 판단하는 기준 분석값보다 일정 수준 낮은 분석값을 가질 경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보호자에게 해당 얼굴이 "홍길동"아이의 얼굴인지를 확인요청하게 되며, 보호자가 해당 아이의 얼굴임을 확인할 경우, 해당 사진도 얼굴인식정보에 추가된다. 이때, 기준 분석값보다 일정 수준 낮은 분석값을 가지는 사진의 정보는, 얼굴인식정보에 추가되되 기준 분석값보다 높은 분석값을 가지는 사진의 정보보다는 낮은 반영치를 가진다. 즉,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가 자동으로 감지한 사진의 얼굴인식정보가 100%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보호자가 직접 선택해서 추가한 사진의 얼굴인식정보는 0 ~ 60% 정도 반영된다.
또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새로운 사진 - 보호자가 업로드한 사진임 - 의 특징을 얼굴인식정보에 추가로 반영할 때, 사진이 촬영된 날짜정보를 고려하여 반영비율(반영 가중치)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추가된 사진의 날짜정보를 추출한 후, 현재시점에서 가까운 날짜의 사진에 가중치를 더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갯수 이상의 사진이 추가될 경우, 가장 최근 사진의 가중치를 가장 높게 두고 오래된 사진일수록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며, 기준날짜보다 더 오래된 사진의 경우 얼굴인식정보에 반영하지 않는다.
또한, 보호자가 아이의 우는 모습의 사진, 화난 모습의 사진, 웃는 모습의 사진을 모두 업로드 할 경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우는 모습의 사진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그 다음으로 화난 모습의 사진에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고, 웃는 모습의 사진에는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얼굴인식정보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보호자가 업로드한 사진의 사진촬영정보(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EXIF)를 추출한 후 사진이 촬영된 날짜시간정보를 파악한다.
즉,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과 같은 계절을 파악한 후, 사진이 촬영된 시점의 얼굴색상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보호자가 여름에 촬영된 사진을 업로드 하고, 현재 시점이 겨울일 경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현재 시점 즉 겨울상태를 고려하여 아이의 얼굴색상을 보정한 후 얼굴인식정보에 반영한다.
또한, 보호자가 아이의 사진을 업로드 할 때 몸무게 정보를 입력할 경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얼굴인식정보에 몸무게 정보를 반영한다. 따라서 추후 미아가 발생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현재의 아이 몸무게를 입력할 경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얼굴인식정보에 몸무게 정보를 반영하여 아이 얼굴의 변화를 추정한 후, 얼굴인식정보에 반영한다.
기본적으로,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보호자가 업로드한 아이 사진의 얼굴정보를 기반으로 얼굴인식정보를 추출하되, 보호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한 한 특징정보, 예를 들어 피부색, 몸무게, 복장(옷 색깔), 점, 흉터, 안경착용에 정보를 얼굴인식정보에 추가 반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보호자 입장에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미아를 발견하여 신고하는 사람입장 및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보호자는 자신이 소유한 제2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S10)을 하고 로그인(S12) 한 후, 자신 아이의 사진과 특징을 입력(S14)한다. 이때 아이의 사진은 서로 다른 표정으로 촬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업로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아로 추정되는 아이를 발견(S20)한 시민이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아를 사진촬영(S22)한 후, 사진 및 미아의 특징을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전송(S24)하면,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얼굴인식 기반의 기술을 이용하여 등록된 미아를 식별(S26)한 후, 해당 보호자에게 사진 및 위치를 전송(S28)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도 4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의 동작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아를 발견하고 신고하는 시민의 단말기(310) 화면이 되어 있다.
즉, 미아가 추정되는 아이의 사진을 촬영한 후, 제1 단말기(310)에 저장된 미아사진이 선택된 경우, 해당 사진이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 전송되는 동시에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서 업로드된 사진의 얼굴을 검출한다. 한편, 단말기(310)에 미아찾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촬영된 미아사진이 단말기(310)에 저장되지 않고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 바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에 미아사진이 전송된 이후에는 단말기(310)의 미아사진은 자동으로 삭제된다.
즉,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업로드된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를 제1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제1 단말기(310)는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데, 이때 제1 단말기(3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 얼굴정보는, 해당하는 아이의 표준 얼굴사진과 성명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해당하는 아이의 표준 얼굴사진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 즉, 미아를 신고한 시민의 입장에서는 사진을 업로드 한 후,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200)로부터 미아의 이름정보(INFO)를 수신하고, 아이의 표준 얼굴사진(INFO)을 수신하여 실제 아이와 동일인물인지 식별할 수 있다.
즉,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1)에 의한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선택된 사진내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얼굴확인단계와,
얼굴확인단계에서 표시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사진 및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위치정보발송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은,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어서 사람의 직관으로 미아를 식별하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게 기 등록된 미아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필요가 없으며,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에서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미아의 보호자에게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 강화와 빠른 미아 식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식별하는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아이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치매노인, 정신 질환자, 실종자 등에도 적용하여 해당 보호자의 연락처로 사진 및 위치정보를 발송하도록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2 단말기
200 :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 300 : 복수의 제1 단말기

Claims (2)

  1. 미아의 사진을 촬영한 후 전송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검출함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상기 사진내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선정하며,
    선정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2 단말기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미아 얼굴인식 데이터 서버;
    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시스템.
  2.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얼굴정보와 선택된 사진내의 적어도 하나의 얼굴을 비교한 후, 매칭되는 기준 얼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얼굴확인단계; 및
    상기 얼굴확인단계에서 표시된 기준 얼굴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연락처로 상기 사진 및 상기 사진이 송신된 위치정보를 발송하는 위치정보발송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KR1020160147793A 2016-11-08 2016-11-08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KR20180051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93A KR20180051015A (ko) 2016-11-08 2016-11-08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93A KR20180051015A (ko) 2016-11-08 2016-11-08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15A true KR20180051015A (ko) 2018-05-16

Family

ID=6245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793A KR20180051015A (ko) 2016-11-08 2016-11-08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8644A (zh) * 2022-06-02 2022-07-05 杭州魔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基因模板的人脸识别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6996A (ja) * 2004-03-17 2005-09-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迷子探索システム
KR100893905B1 (ko) * 2008-07-07 2009-04-21 주식회사 미래인식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38155A (ko) * 2009-06-24 2010-12-31 (주)로봇에버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6996A (ja) * 2004-03-17 2005-09-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迷子探索システム
KR100893905B1 (ko) * 2008-07-07 2009-04-21 주식회사 미래인식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38155A (ko) * 2009-06-24 2010-12-31 (주)로봇에버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8644A (zh) * 2022-06-02 2022-07-05 杭州魔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基因模板的人脸识别方法和系统
CN114708644B (zh) * 2022-06-02 2022-09-13 杭州魔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基因模板的人脸识别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7655A1 (en) Personal assistant application
KR20180006016A (ko)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US6975346B2 (en) Method for suspect identification using scanning of surveillance media
CN107065586B (zh) 交互式智能家庭服务系统及方法
US998011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all-to-action system, call-to-action method, call-to-action program, and safety verification system
US201600215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n Individual's Geo-Loc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lications Using the Same
US20130340061A1 (en) User authentication template learning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template learning method
US1107432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suring that an individual is authorized to conduct an activity
CN105404860A (zh) 用于管理走失人员信息的方法和设备
JP7298945B2 (ja) 近接場情報認証方法、近接場情報認証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AU20192327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20046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 User
KR20160025768A (ko) 안면인식을 활용하는 출석관리 시스템
JP2010191620A (ja) 不審人物検出方法、及び不審人物検出システム
US9778734B2 (en) Memory aid method using audio/video data
TW202022856A (zh) 用於手機的智慧化報警方法、裝置及包括其的系統
JP2015233204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20210385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KR20180051015A (ko) 사진의 얼굴을 자동인식하여 미아를 식별할 수 있는 연락처 연동 얼굴인식 기반의 미아 찾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JP2008040607A (ja) 人物紹介サーバ、人物紹介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T6269B (lt) Asmenų identifikavimo ir alkoholio kiekio kraujyje matavimo būdas ir įrenginys
US20230050235A1 (en) Surveillance system, surveillance apparatus, surveillance method, and non-transitory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23008378A (ja) 監護サービスシステム
CN114758475A (zh) 用于跌倒检测的方法及装置、跌倒检测系统、存储介质
KR20230158984A (ko) 사진속 인물의 안면 인식 기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