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741A -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741A
KR20180050741A KR1020187010185A KR20187010185A KR20180050741A KR 20180050741 A KR20180050741 A KR 20180050741A KR 1020187010185 A KR1020187010185 A KR 1020187010185A KR 20187010185 A KR20187010185 A KR 20187010185A KR 20180050741 A KR20180050741 A KR 2018005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ductive member
receptac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로 호리노
아키오 츠네무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음과 함께, 소형화의 요구에 응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견뢰성이 높은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을 얻는다. 중실 인슐레이터(30)와,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30)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는 1개 또는 2개의 도통 부재(40)를 가지고,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30)와 상기 도통 부재(40)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상대방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0월 14일에 일본국에 특허 출원된 특원2015-202658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선행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판 접속용의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폰 내부의 기판과 모듈의 그라운드 또는 신호, 또는 전원과의 접속에 적용되는 소극(小極)의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판 접속용의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은, 그 기본 구성으로서, 다극의 플러그 콘택트가 수용된(설치된)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다극의 리셉터클 콘택트가 수용된(설치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그라운드 접속 또는 전원 등은, 다극의 기판 대 기판용 커넥터의 양단부에 마련한 금구끼리를 접촉(접속)시켜 도통시키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감입하면, 다극의 플러그 콘택트와 다극의 리셉터클 콘택트가 각각 도통하여 신호선이 형성되고, 양 커넥터에 접속된 기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기판 대 기판용 커넥터의 양단부에 마련한 금구끼리가 접촉(접속)하여 그라운드 접속 또는 전원 등의 기능이 발휘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38768호 공보 일본등록특허 제5250450호 공보
그런데, 작금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있어서, 모듈 또는 안테나 등이 고성능이 됨에 따라 전송 특성의 영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내에서 다극의 콘택트끼리를 접속하고, 추가로 양단부의 금구끼리를 접촉(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인슐레이터에, 감합을 허용하는 요철 형상과, 다극의 콘택트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 관통 구멍, 또는 홈 등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이다. 또한, 양단부의 금구도 감합 등의 제한에 의해 형상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금구의 장착 대상인 인슐레이터의 양단부도 복잡한 형상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인슐레이터의 형상과 함께 금구 부분의 임피던스가 높아져,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콘택트의 다극화에 의해, 감합 작업 시의 파괴 등의 견뢰성(堅牢性)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내재적인 문제가 있어, 소형이며 작업성이 우수한 높은 감합 보지력(保持力)의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시장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음과 함께, 소형화의 요구에 응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견뢰성이 높은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중실(中實) 인슐레이터와,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는 1개 또는 2개의 도통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상대방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감합 볼록부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에 대향하는 대략 평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는, 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중간 평탄부를 긴 쪽 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양측 평탄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 평탄부와 상기 양측 평탄부는, 상기 감합 볼록부의 상기 대략 평탄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는, 상기 감합 볼록부의 상기 대략 평탄부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대향하는 대략 평탄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커넥터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 상대방 도통 부재를 면하게 하고 있고, 상기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상대방 도통 부재와 서로 계합(engaging)할 수 있다.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를 가지는 상기 커넥터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상기 대략 직방체 형상의 긴 쪽 방향으로 이간한 대향측면을 피복하는 대향측면 피복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는, 상기 도통 부재의 상기 대향측면 피복부의 사이에 공극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시스템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가지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는 1개 또는 2개의 도통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실 인슐레이터」의 「중실」이란,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다극의 콘택트가 존재하지 않는, 즉, 당해 다극의 콘택트를 수용하기(설치하기) 위한 홈 또는 오목부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령 인슐레이터에 미세한 홈 또는 오목부 등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것이 다극의 콘택트를 수용하기(설치하기) 위한 것이 아니면, 당해 인슐레이터는 「중실 인슐레이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음과 함께, 소형화의 요구에 응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견뢰성이 높은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이 얻어진다.
도 1은,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가 결합한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가 결합한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측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가 분리된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인슐레이터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가 분리된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측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가 결합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가 결합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측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가 분리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가 분리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측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르는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ⅩⅢ-ⅩⅢ선을 따르는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ⅩⅣ-ⅩⅣ선을 따르는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플러그 커넥터의 2개(2핀)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를 1개(1핀)로 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의 계합부(계합 볼록부, 계합 오목부)의 양측에 한 쌍의 전기 접점을 형성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 5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 시스템(10)은, 서로 감합 및 분리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를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 중의 방향(전, 후, 상, 하, 좌, 우)은, 도 중에 기재한 화살선의 각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본 하방과 리셉터클 커넥터(50)로부터 본 상방이 「감합측」에 상당하고, 플러그 커넥터(20)로부터 본 상방과 리셉터클 커넥터(50)로부터 본 하방이 「감합측과 반대측」에 상당한다.
≪플러그 커넥터(20)의 구성≫
도 1∼도 4는 플러그 커넥터(2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0)는, 1개의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중실 인슐레이터)(30)와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도통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동일 형상이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한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는, 좌우 방향(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 벽부(31)를 가지고 있다. 이 칸막이 벽부(31)는, 하방(감합측)을 향한 중간 평탄부(31A)와, 전방 및 후방을 향한 2개의 측면 평탄부(31B)와, 중간 평탄부(31A)와 측면 평탄부(31B)를 연결하는 R형상부(31C)를 가지고 있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는, 전후 좌우 방향의 네 모퉁이에 위치하고 또한 하방(감합측)이 둥그스름한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을 가지고 있다. 칸막이 벽부(31)와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의 사이에는, 세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상방(감합측과 반대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으로 짧은 십자형 볼록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십자형 볼록부(34)의 주위에는, 납땜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각각,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33)에 감입되는 세 갈래 형상을 가지고 있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각각, 하방(감합측)을 향한 평탄부(41)를 가지고 있다. 이 평탄부(41)에는, 전방 및 후방을 향하고 또한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2개의 긴 쪽 대향 평탄부(42A)가 R형상부(43A)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평탄부(41)에는, 좌방 또는 우방을 향한 짧은 쪽 평탄부(42B)가 R형상부(43B)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각 짧은 쪽 평탄부(42B)는 「대향측면 피복부」이다. 긴 쪽 대향 평탄부(42A)에는, 계합 볼록부(44A)와 계합 오목부(44B)로 이루어지는 계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44A)의 좌우 방향의 폭은, 계합 오목부(44B)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게 되어 있다. 짧은 쪽 평탄부(42B)에는, 계합 볼록부(44C)와 계합 오목부(44D)로 이루어지는 계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44C)의 전후 방향의 폭은, 계합 오목부(44D)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긴 쪽 대향 평탄부(42A)의 계합 오목부(44B)의 좌우 방향의 폭은, 짧은 쪽 평탄부(42B)의 계합 오목부(44D)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긴 쪽 대향 평탄부(42A)와 짧은 쪽 평탄부(42B)에는 한 쌍의 압입편(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긴 쪽 대향 평탄부(42A)와 짧은 쪽 평탄부(42B)의 상면에는, 기판 납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납땜부(46)를 개재하여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와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을 납땜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에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33)에 감입하여, 긴 쪽 대향 평탄부(42A) 및 짧은 쪽 평탄부(42B)의 한 쌍의 압입편(45)을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33)의 세 갈래 형상부의 각각에 압입함으로써,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와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결합한 플러그 커넥터(20)가 완성된다.
여기서,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33)의 깊이(상하 방향의 깊이(감합 방향의 깊이) 및 전후 좌우 방향의 깊이(감합측면 방향의 깊이))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두께는,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R형상부(31C)의 곡률 반경과 R형상부(43A) 및 R형상부(43B)의 곡률 반경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칸막이 벽부(31)(중간 평탄부(31A), 측면 평탄부(31B), R형상부(31C)) 및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 및,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평탄부(41), 긴 쪽 대향 평탄부(42A)와 짧은 쪽 평탄부(42B), 및, R형상부(43A)와 R형상부(43B)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전후 좌우 방향의 네 모퉁이의 하방(감합측)이 둥그스름한, 전체가 매끈한 평탄 형상(대략 평탄 형상,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감합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 「감합 볼록부」에 있어서,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표면의 대부분(일부)을 피복하고 있다.
1개의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에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감입한(압입한) 상태에서는,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측면 평탄부(31B)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긴 쪽 대향 평탄부(42A)가,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탄면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나열된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측면 평탄부(31B)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 볼록부(44A)는,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보다 전후 방향(짧은 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다.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 볼록부(44C)는,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보다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후술하는 도 11 참조).
「감합 볼록부」의 하방(감합측)의 면에 주목하면,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는, 좌우 방향(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평탄부(31A)를 가진다.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중간 평탄부(31A)를 좌우 방향(긴 쪽 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평탄부(양측 평탄부)(41)를 가진다. 중간 평탄부(31A)와 평탄부(양측 평탄부)(41)는, 「감합 볼록부」의 「대략 평탄부」를 구성한다. 후술하는 견뢰성 또는 유인성의 관점으로부터, 이 「대략 평탄부」에 있어서,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평탄부(양측 평탄부)(41)의 면적의 총 합계는,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중간 평탄부(31A)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구성≫
도 5∼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50)는, 1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와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상대방 도통 부재)(70)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동일 형상이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한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면부(61)와, 이 바닥면부(61)의 사방으로부터 상방(감합측)으로 상승하는 상승 벽부(62)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상자형 형상이다. 전후의 상승 벽부(62)의 좌우 방향(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는, 중간 칸막이 블록(63)이 형성되어 있다. 상승 벽부(62)의 전후 좌우 방향의 네 모퉁이에는,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한 네 모퉁이 계합 블록(64)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상승 벽부(62)의 전후 방향(짧은 쪽 방향)의 중간부에는, 중간 계합 블록(65)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의 상승 벽부(62)의 중간 칸막이 블록(63)을 사이에 둔 양측에는, 상승 벽부(62)의 높이를 한 단 줄인 긴 쪽 대향 계합 벽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상승 벽부(62)의 중간 계합 블록(65)의 바로 위에는, 상승 벽부(62)의 높이를 한 단 줄인 짧은 쪽 계합 벽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하방(감합측과 반대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으로 짧은 십자형 볼록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십자형 볼록부(68)의 주위에는, 납땜 공간(69)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각각,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상승 벽부(62) 중 중간 칸막이 블록(63)에 의해 분단된 2개의 대략 コ자 형상부에 감입되는 대략 コ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각각, 대략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와, 대략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을 접속하는 1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1개의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를 가지고 있다.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는,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보다 탄성 변형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는, 절곡부(71A1)와, 이 절곡부(71A1)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록부(탄성 록면)(71A2)를 가지고 있다. 탄성 록부(71A2)는, 자유 상태에서는, 긴 쪽 대향 계합 벽부(66)와의 간극을 두어 중간 칸막이 블록(63)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5). 탄성 록부(71A2)는, 절곡부(71A1)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하면, 중간 칸막이 블록(63)보다 긴 쪽 대향 계합 벽부(66)의 측으로 퇴피하여 긴 쪽 대향 계합 벽부(66)의 전후 양면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대향하도록(밀착하도록) 절곡된다(후술하는 도 13).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는, 제 1 절곡부(71B1)와, 이 제 1 절곡부(71B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절곡부(71B2)와, 이 제 2 절곡부(71B2)로부터 연장되는 록부(록면)(71B3)를 가지고 있다. 록부(록면)(71B3)는, 제 1 절곡부(71B1)와 제 2 절곡부(71B2)에 의해 2단계로 내방으로 절곡되어, 대략 연직 방향(상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록부(록면)(71B3)는, 짧은 쪽 계합 벽부(67)의 좌우 양면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대향하도록(밀착하도록) 절곡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12).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의 내면에는, 계합 볼록부(72A)와 계합 오목부(72B)로 이루어지는 계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의 감합측(의 면)에는, 계합 볼록부(72C)와 계합 오목부(72D)로 이루어지는 계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의 계합 볼록부(72A)의 좌우 방향의 폭은,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의 계합 볼록부(72C)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록부(71B3))를 봤을 때, 한 쌍의 계합 볼록부(72C)가 서로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 한 쌍의 계합 볼록부(72C)의 사이의 거리는,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짧은 쪽 평탄부(42B)에 형성된 계합 볼록부(44C)의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도 12).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각각, 대략 コ자 형상의 2개의 모퉁이부(모서리부)에 위치시킨 모퉁이부 계합 구멍(73)을 가지고 있다(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합계 4개의 모퉁이부 계합 구멍(73)을 가지고 있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각각, 대략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에 위치시킨 한 쌍의 압입편(74)을 가지고 있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각각, 대략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을 접속하는 1변에 위치시킨 중간 계합 구멍(75)을 가지고 있다. 이 중간 계합 구멍(75)의 내면에는 한 쌍의 압입편(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대략 コ자 형상의 하면에는, 기판 납땜부(77)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납땜부(77)를 개재하여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와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을 납땜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0)에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상승 벽부(62) 중 중간 칸막이 블록(63)에 의해 분단된 2개의 대략 コ자 형상부에 감입된다. 이 때, 긴 쪽 대향 계합 벽부(66)에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가 계합하고, 짧은 쪽 계합 벽부(67)에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가 계합한다. 또한, 네 모퉁이 계합 블록(64)에 모퉁이부 계합 구멍(73)이 계합하고, 중간 계합 블록(65)에 중간 계합 구멍(75)이 계합한다. 또한, 한 쌍의 압입편(74)이 중간 칸막이 블록(63)과 네 모퉁이 계합 블록(64)의 사이에 압입되고, 한 쌍의 압입편(76)이 중간 계합 블록(65)에 압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1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와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를 결합한 리셉터클 커넥터(50)가 완성된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부(61), 상승 벽부(62)의 네 모퉁이의 내면 및 중간 칸막이 블록(63)의 내면, 및,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와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의 내면은, 서로 함께 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를 형성한다.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에는 면하고 있지 않고(노출되어 있지 않고),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만 면하고 있다(노출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50)를 평면에서 봤을 때,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중간 칸막이 블록(63), 네 모퉁이 계합 블록(64) 및 중간 계합 블록(65)을 연결한 가상 평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의 구성≫
도 9∼도 14는,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를 조합한 커넥터 시스템(10)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를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여 사용된다.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는, 전후 좌우 방향의 네 모퉁이의 하방(감합측)이 둥그스름한 전체가 매끈한 평탄 형상(대략 평탄 형상,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 및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의 대향 면적(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중간 평탄부(31A)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평탄부(양측 평탄부)(41)가 구성하는 「대략 평탄부」가,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의 「대략 평탄부」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평면적으로 대향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를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한 상태에서는,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부(44)(계합 볼록부(44A), 계합 오목부(44B))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계합부(72)(계합 볼록부(72A), 계합 오목부(72B))가 서로 계합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에 접속된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과 리셉터클 커넥터(50)에 접속된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 신호의 전송 또는 그라운드 접속이 가능해진다. 즉,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는,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와 서로 계합한다.
≪커넥터 시스템(10)의 작용 효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유전율이 낮은 공기(공간)가 없이 그보다 유전율이 높은 수지 재료로 채워진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로 구성하고, 이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표면을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로 피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임피던스를 낮게 억제하여,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시스템(10)은, 모듈 등을 오동작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표면의 대부분을 피복하므로(감합 볼록부에 차지하는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면적이 크므로),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임피던스를 더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시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와 「감합 오목부」의 사이의 공극이 작다(특히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중간 평탄부(31A) 및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평탄부(양측 평탄부)(41)가 구성하는 「대략 평탄부」가,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의 「대략 평탄부」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평면적으로 대향한다). 따라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임피던스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에 의하면, 안정된 그라운드 성능, 신호 성능, 및 전원 성능 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가 둥그스름한 매끈한 형상이고, 플러그 커넥터(20)의 하면(감합측면)에 있어서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면적이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면적보다 넓고,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A) 및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의 개방부가 넓어진 형상(개방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위치 어긋남 감합 또는 평면에서 보아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기울어짐 감합 등에서도,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맞닿기 쉽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하면(감합측면)이 대략 평탄면이기 때문에, 삽입 시에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50)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종래품의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오목부, 관통 구멍, 또는 홈 등의 공간을 가지는 복잡한 형상이기 때문에 양 커넥터의 걸림이 일어날 우려가 높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소형 커넥터에 있어서도 수지 깎임(찌꺼기가 이물질이 되어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됨)을 억제하여, 삽입성 및 견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71B)(록부(71B3))를 봤을 때, 한 쌍의 계합 볼록부(72C)가 서로 가장 근접하고 있다. 즉, 이 한 쌍의 계합 볼록부(72C)의 사이의 거리는,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짧은 쪽 평탄부(42B)에 형성된 계합 볼록부(44C)의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를 감합시킬 때, 한 쌍의 계합 볼록부(44C)가 한 쌍의 계합 볼록부(72C)를 오버랩하는 형태로 타고 넘어 감합(강(强) 감합)한다. 그 결과,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짧은 쪽 평탄부(42B)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록부(록면)(71B3)의 감합 보지력, 및,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부(44')(계합 볼록부(44C)와 계합 오목부(44D))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계합부(72')(계합 볼록부(72C)와 계합 오목부(72D))의 록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칸막이 벽부(31)에 의해 분단되어 있고(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 있고),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중간 칸막이 블록(63)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에 납땜할 때에, 이웃하는 땜납이 단락되는 땜납 브리지에 의해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은,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를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에 납땜할 때에, 이웃하는 땜납이 단락되는 땜납 브리지에 의해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다극의 콘택트가 존재하지 않는, 즉, 당해 다극의 콘택트를 수용하기(설치하기) 위한 오목부, 관통 구멍, 또는 홈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특히,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는,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각 짧은 쪽 평탄부(42B)(대향측면 피복부)의 사이에 공극을 가지고 있지 않다. 게다가,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를,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표면의 대부분을 피복하는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소형화의 요구에 응하면서도 견뢰성을 높여 파손 또는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를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한 상태에서,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 볼록부(44A)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계합 오목부(72B)의 계합, 및,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 오목부(44B)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계합 볼록부(72A)의 계합의 이중의 계합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오목부」의 대향 면적(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양자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켜 받아들인다. 따라서, 커넥터 시스템(10)은, 양자의 감합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록 효과 및 접촉(도통) 효과를 겸비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중간 평탄부(31A)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평탄부(양측 평탄부)(41)가 「대략 평탄부」를 구성하고 있고,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가 「대략 평탄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시스템(10)은, 이러한 「대략 평탄부」를 흡착 패드 등의 흡착 수단에 의한 흡착면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흡착 반송이 용이해진다(소형이라도 흡착면이 플랫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흡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가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과의 접촉면으로서 십자형 볼록부(34)를 가지고 있고,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가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과의 접촉면으로서 십자형 볼록부(68)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커넥터 시스템(10)(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견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감합 시에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십자형 볼록부(34)와 십자형 볼록부(68)가 그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10)은, 납땜 시에, 용융한 땜납이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리셉터클 커넥터(50)를 평면에서 봤을 때,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의 중간 칸막이 블록(63), 네 모퉁이 계합 블록(64) 및 중간 계합 블록(65)을 연결한 가상 평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리셉터클 커넥터(50) 또는 커넥터 시스템(10)의 반송 시에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충격 등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32)이,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측면 평탄부(31B) 및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계합 볼록부(44A)보다 전후 방향(짧은 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11).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 또는 커넥터 시스템(10)의 반송 시에 플러그측 도통 부재(40)가 충격 등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시스템(10)은,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와 플러그측 기판(도시 생략)의 접속 개소(기판 납땜부(46)), 및,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와 리셉터클측 기판(도시 생략)의 접속 개소(기판 납땜부(77))가 각각 6개소 있으므로, 기판 박리(땜납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의 변형례≫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 커넥터(20)의 2개(2핀)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1개(1핀)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시스템(10)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칸막이 벽부(31)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홈(31X)을 형성하고, 이 연통홈(31X)에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를 연결하여 1개로 하는 도통 접속부(40X)를 마련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계합부(72)(계합 볼록부(72A), 계합 오목부(72B))의 양측에 한 쌍의 전기 접점(72X)을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와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접촉(도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10)은,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칸막이 벽부(31)의 중간 평탄부(31A)에 「대략 평탄부」로 간주할 수 있을 정도의 미소한 오목부를 마련해도 된다.
커넥터 시스템(10)은, 플러그측 도통 부재(40) 및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에 금도금을 실시함으로써 전기의 도전율을 향상시켜도 된다. 금도금을 실시하는 개소에는 자유도가 있지만, 예를 들면, 플러그측 도통 부재(40)의 감합면측, 및/또는,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의 좌우 방향(긴 쪽 방향)으로 이간한 한 쌍의 계합부(72)(계합 볼록부(72A), 계합 오목부(72B))에 금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30) 및 2개의 플러그측 도통 부재(40), 및/또는, 1개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60) 및 2개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반드시 압입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가,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에는 면하고 있지 않고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만 면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70)는,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에만 면하고 있어도 되고,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61) 및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의 쌍방에 면하고 있어도 된다.
10 : 커넥터 시스템
20 : 플러그 커넥터(커넥터)
30 : 중실 플러그 인슐레이터(중실 인슐레이터)
31 : 칸막이 벽부(감합 볼록부)
31A : 중간 평탄부(감합 볼록부, 대략 평탄부)
31B : 측면 평탄부(감합 볼록부)
31C : R형상부(감합 볼록부)
31X : 연통홈
32 : 네 모퉁이의 두꺼운 부분(감합 볼록부)
33 : 플러그측 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도통 부재 감입 오목부)
34 : 십자형 볼록부
35 : 납땜 공간
40 : 플러그측 도통 부재(도통 부재)
40X : 도통 접속부
41 : 평탄부(감합 볼록부, 양측 평탄부, 대략 평탄부)
42A : 긴 쪽 대향 평탄부(감합 볼록부)
42B : 짧은 쪽 평탄부(감합 볼록부, 대향측면 피복부)
43A : R형상부(감합 볼록부)
43B : R형상부(감합 볼록부)
44 : 계합부
44A : 계합 볼록부
44B : 계합 오목부
44' : 계합부
44C : 계합 볼록부
44D : 계합 오목부
45 : 압입편
46 : 기판 납땜부
50 : 리셉터클 커넥터(상대방 커넥터)
60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61 : 바닥면부(감합 오목부, 대략 평탄부)
62 : 상승 벽부(감합 오목부)
63 : 중간 칸막이 블록(감합 오목부)
64 : 네 모퉁이 계합 블록
65 : 중간 계합 블록
66 : 긴 쪽 대향 계합 벽부
67 : 짧은 쪽 계합 벽부
68 : 십자형 볼록부
69 : 납땜 공간
70 : 리셉터클측 도통 부재(상대방 도통 부재)
71A : 탄성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감합 오목부)
71A1 : 절곡부
71A2 : 탄성 록부(탄성 록면)
71B : 대략 역 U자 형상 계합부(감합 오목부)
71B1 : 제 1 절곡부
71B2 : 제 2 절곡부
71B3 : 록부(록면)
72 : 계합부
72A : 계합 볼록부
72B : 계합 오목부
72' : 계합부
72C : 계합 볼록부
72D : 계합 오목부
72X : 전기 접점
73 : 모퉁이부 계합 구멍
74 : 압입편
75 : 중간 계합 구멍
76 : 압입편
77 : 기판 납땜부

Claims (7)

  1.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는 1개 또는 2개의 도통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상대방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볼록부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에 대향하는 대략 평탄부를 가지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는, 긴 쪽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중간 평탄부를 긴 쪽 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양측 평탄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 평탄부와 상기 양측 평탄부는, 상기 감합 볼록부의 상기 대략 평탄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오목부의 바닥면부는, 상기 감합 볼록부의 상기 대략 평탄부에 미소 클리어런스로 대향하는 대략 평탄부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 상대방 도통 부재를 면하게 하고 있고,
    상기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상대방 도통 부재와 서로 계합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를 가지는 상기 커넥터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도통 부재는,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상기 대략 직방체 형상의 긴 쪽 방향으로 이간한 대향측면을 피복하는 대향측면 피복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는, 상기 도통 부재의 상기 대향측면 피복부의 사이에 공극을 가지고 있지 않은 커넥터.
  7. 서로 조합하여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가지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는 1개 또는 2개의 도통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실 인슐레이터와 상기 도통 부재는, 서로 함께 작동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20187010185A 2015-10-14 2016-07-05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20180050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2658 2015-10-14
JP2015202658 2015-10-14
PCT/JP2016/003206 WO2017064825A1 (ja) 2015-10-14 2016-07-05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741A true KR20180050741A (ko) 2018-05-15

Family

ID=5851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185A KR20180050741A (ko) 2015-10-14 2016-07-05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87282A1 (ko)
JP (1) JPWO2017064825A1 (ko)
KR (1) KR20180050741A (ko)
CN (1) CN108140969A (ko)
WO (1) WO2017064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25950S (ko) * 2018-06-22 2019-03-04
CN114041246B (zh) * 2019-07-04 2024-05-07 爱沛股份有限公司 连接器装置
JP7398496B2 (ja) * 2021-04-02 2023-1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84417Y (zh) * 2004-01-29 2005-03-09 鸿松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薄型连接器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01060991Y (zh) * 2007-06-11 2008-05-14 江苏华富电子有限公司 板对板电连接器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943774B2 (ja) *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2015053232A (ja) * 2013-09-09 2015-03-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268913B2 (ja) * 2013-10-23 2018-01-3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2015185310A (ja) * 2014-03-24 2015-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64825A1 (ja) 2018-07-12
CN108140969A (zh) 2018-06-08
WO2017064825A1 (ja) 2017-04-20
US20180287282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9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ool-proof function
KR101946857B1 (ko)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N110416770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7207975B2 (ja) コネクタ
TWI569519B (z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N104934787B (zh) 高速连接器组件
US709750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ell
CN110416764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WO2019073933A1 (ja) コネクタ
US20090291596A1 (en) Stacking connector
KR20070119708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2010013006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8403683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CN110416774B (zh) 电连接器
KR20220155904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80050741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CN112670730A (zh) 连接器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US8183155B1 (en) Lower profile connector assembly
US9647364B2 (en) Thin connector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7516618B2 (ja) コネクタ
JP2019071279A (ja) コネクタ
JP7457062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