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093A -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093A
KR20180050093A KR1020160146854A KR20160146854A KR20180050093A KR 20180050093 A KR20180050093 A KR 20180050093A KR 1020160146854 A KR1020160146854 A KR 1020160146854A KR 20160146854 A KR20160146854 A KR 20160146854A KR 20180050093 A KR20180050093 A KR 2018005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 acid
present
composition
salt
prebio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573B1 (ko
Inventor
성문희
김광
이일한
최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Priority to KR102016014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Composition for Prebiotics Containing Poly-Gamma-Glutamate}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내 미생물도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을 이용하여 성장하므로 섭취하는 음식물이 장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식이섬유, 올리고당, 흡수되지 않은 당류 등이 장내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장내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성분이 프리바이오틱스이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소장에서 소화가 되지 않으며, 대장으로 이동하여 유산균과 같은 박테리아의 성장이나 활성을 선택적으로 높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올리고당이 인체의 장에 존재하는 유산균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이 알려지면서부터 언급되기 시작했다. 올리고당은 대장에서 유산균을 선택적으로 성장시키고 장내 유해균의 성장은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모유를 먹고 자란 아이들이 면역력이 뛰어난 이유가 바로 모유 속의 올리고당 덕분이다. 유산균은 식품발효에 관여하면서 장내 염증성 질병, 설사, 변비 등을 예방하며,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장내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등 우리 몸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해 유산균의 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은 장 건강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글로벌 프리바이오틱스 시장은 지난해 33억1천만불 규모를 형성한 데 이어 '16∼'23년 기간 동안 연평균 11.6%의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 전망이다(글로벌 보건산업동향, 보건산업진흥원). 이 같은 성장세는 당뇨병 유병률 증가, 프리바이오틱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 탁월한 효능을 가진 제품들의 잇단 출시 등에서 비롯된다. 특히 변비, 과민성 대장증후군, 위식도 역류증 및 염증성 장질환 등 위장관계 질환들이 증가하면서 장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는 프리바이오틱스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D-, L-glutamic acid가 감마 결합을 통하여 연결된 점액성의 아미노산 고분자이며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만들어지는 천연 아미노산 고분자 소재로,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이용방법에 대한 물질특허(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99091), 고분자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내염성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를 사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00796호)를 획득하였으며,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의약 용도에 대한 연구 등 지속적인 용도 개발을 수행하여 다양한 효능들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사용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 시 장내 유익균의 증진 및 장내 유해균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섭취시 장내 유익균을 증진키시고 장내 유해균을 억제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건강기능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을 증진키시고 장내 유해균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폴리감마글루탐산 경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장기 내 폴리감마글루탐산 분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투여한 마우스 분변에서의 목(Order) 수준에서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투여한 마우스 분변에서의 종(Species) 수준에서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감마글루탐산 경구 섭취 시 장내 유익균을 증진키시고 장내 유해균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동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약동학적(pharmacokinetics) 연구를 수행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경구 섭취 시 혈액, 장기 및 뇨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에서 가장 오랜시간 동안 머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감마글루탐산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Bacillus substilis chungkookjang, KCTC 0697BP)가 생산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1481호 및 국제출원 PCT/KR01/01372호에 그 분리, 동정과정, 생리학적 특성 등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프리바이오틱스 L 당 0.001~5%로 첨가될 수 있고, 이는 0.001%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프리바이오틱스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5%를 초과시에는 작용에는 차이가 없으며, 점성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산화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 증식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및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중의 멸균 주사용액 또는 현탁액(예, 1,3-부탄디올중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겔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어떠한 불휘발성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예,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주사 제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 정제 및 수성 현탁액 및 용액을 포함하여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용량형으로도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흔히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즈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형으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즈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배합된다. 필요한 경우, 감미제 및/또는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온에서 고형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상인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는 목적하는 치료가 국소 적용으로 접근이 용이한 부위 또는 기관과 관련이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한 적합한 연고로 제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국소 투여하기 위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유동 파라핀, 백색 와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이 포함된다. 다른 방도로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카놀, 벤질 알코올 및 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좌제에 의해 또한 적합한 관장제로 하부 장관으로 국소 적용할 수 있다. 국소 적용된 경피 패치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내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의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조하며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기타 본 분야에 알려진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중의 용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유효량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규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을 어류의 피하세포에 투입할 경우 새낭 또는 소화관에 투여할 수 있다. 주사는 근육조직내의 근육세포 또는 다른 세포에 주사할 수 있으며 복강내의 내장세포에 주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구강내 투여를 위한 의약 조성물은 고체상의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정제 또는 당의정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과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로는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소비톨과 같은 슈가 형태 또는 옥수수, 밀가루, 쌀, 감자 또는 다른 식물로부터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로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나트륨 카복시메틸세룰로스와 같은 세룰로스, 아라빅 검, 타가칸쓰 검을 포함하는 검류와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또는 젤라틴,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교차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및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긴산과 같은 각각의 염 형태의 붕해제 또는 용해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비경구적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 (Hank's solution), 링거 용액 (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물리적으로 적절한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 (injection) 현탁액은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루로스,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이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덧붙여서, 활성 성분의 현탁액은 적합한 유질의 주입 현탁액 (oily injection suspension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친지성 용매 또는 담체는 참기름과 같은 지방산 또는 에틸 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리포솜과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복수양이온성 비지질 아미노 폴리머(polycationic amino polymers)도 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현탁액은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고농도의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안정화제 또는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 염의 제조
폴리감마글루탐산 생산용 기본배지(3%의 L-글루탐산이 첨가된 배지; glucose 3%, (NH4)2SO4 1%, KH2PO4 0.27%, Na2HPO412H2O 0.17%, NaCl 0.1%, sodium citrate 0.5%, soypeptone 0.02%, MgSO47H2O 0.7%, vitamin solution 10 ml/L, pH 6.8)를 멸균, 준비하여 5 L Jar fermentor(working vol. 3 L)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Bacillus subtilis var chungkookjang, KCTC 0697BP)의 종균 배양액(LB medium)을 4% 접종하여 발효 진행하였다. 교반속도는 500 rpm, 공기주입속도는 1.0 vvm으로 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종료 후 필터프레스(규조토 celite 1%)를 사용하여 균체를 제거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액으로 사용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액에 염산용액을 이용 pH 2.0으로 조정 후 10℃에서 15시간 동안 정치시켜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충분한 양의 냉각 증류수(10℃ 이하)로 세척한 후(pH 3.5 이상), 누체여과기를 이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수득 후 동결건조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 염 제조시에는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침전시켜 얻은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에 식품첨가물 수산화칼륨을 첨가하여 중성의 pH로 용해시켜 얻은 폴리감마글루탐산 칼륨염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칼륨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약동학적 연구
본 발명에서 Gd(Gadolinum, 원자량 157.25)이 결합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마우스에 경구투여 후, ICP-MS로 분석하여 경과 시간에 따른 약동학적 시험을 실시하였다. Macrocyclics사에서 구입한 Bz-DTPA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한 염화 가돌리늄을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투석하여 건조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과 건조된 Bz-DTPA-Gd를 혼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Bz-DTPA-Gd 합성한 후 0.22㎛인 멤브레인 필터로 필터 후 투석하여 건조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Bz-DTPA-Gd를 PBS에 녹여 1% solution으로 만든 후 마우스에게 각 200 μL씩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각 시험군을 2, 4 시간별로 해부하여 소장, 대장, 혈액을 채취하여 검체로 하였으며, 혈액을 제외한 검체는 동결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ICP-MS를 이용하여 체내 분포된 Gd의 함량을 측정한 후 Gd에 결합된 폴리감마글루탐산으로 변환시켜 시간에 따른 장기별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을 계산하였다. 분석한 결과 혈액, 장기 (폐, 간, 비장, 신장) 및 뇨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소장에서는 1.2시간째 최고농도에 도달한 후 8시간째에 최고농도의 1% 이내로 시험물질이 감소하고, 대장에서는 4시간째에 최고농도에 도달한 후 18시간째에 최고농도의 1%이내로 시험물질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폴리감마글루탐산 경구 섭취 시 혈액과 소장/대장을 제외한 장기 및 뇨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에서 가장 오랜시간 동안 머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프리바이오틱스 효능 검증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은 (주)중앙동물로부터 이유된 5주령의 C57BL/6 암컷 쥐 9마리를 사용했다. 실험실 환경조건은 온도 22 ㅁ 2 ℃, 상대 습도 65 ㅁ 5 % 와 낮과 밤 주기는 12시간(오후 9시에 불이 켜짐)으로 하였으며, 각각 개별적인 금속 케이지에서 사육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이 끝난 후, 실험동물은 대조군(PBS 투여) 3마리와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군 3마리,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군 3마리로 무작위 실험군을 나누어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을 400 ug/day의 용량으로 2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분변 시료는 투여전 및 투여 후 14일 후 채취하였다.
채취한 분변에서 원래의 군집 구조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DNA를 얻기 위해 분변 채취 후 한시간 이내에 물리적 파괴를 이용하는 FastDNA Spin Kit (MP Biomedicals, USA)를 사용하여 분변 내 미생물의 메타게노믹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를 아가로스 겔상의 전기영동을 통하여 DNA의 상태를 확인한 뒤, 파이로 시퀀싱(pyro-sequencing)을 실시하여 장내 균총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추출한 DNA 시료는 Roche 454 GS FLX(454 Life Science, USA)를 이용하여 장관내 균총의 16S rDNA 유전자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파이로시퀀싱 비주얼라이제이션 소프트웨어(pyro-sequencing visualization software)인 CLcommunityT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에 의해 문(Phylum) 수준에서는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목(Order) 수준에서는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에 의해 락토바실라세아에(Lactobacillaceae) 균총의 증가 및 클로스트리디알레스(Clostridiales) 균총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또한 종(Species) 수준에서의 결과에서는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에 의해 Lactobacillus intestinalis 및 미동정 균주의 증가를 보였으며 저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섭취 후에는 Lactobacillus animalis의 증가가 나타났다(도 3).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암모늄염 및 아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라세아에(Lactobacillaceae) 균총은 증가시키고, 클로스트리디알레스(Clostridiales) 균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4.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5.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6.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7.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




KR1020160146854A 2016-11-04 2016-11-04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44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54A KR102440573B1 (ko) 2016-11-04 2016-11-04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54A KR102440573B1 (ko) 2016-11-04 2016-11-04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93A true KR20180050093A (ko) 2018-05-14
KR102440573B1 KR102440573B1 (ko) 2022-09-06

Family

ID=6218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854A KR102440573B1 (ko) 2016-11-04 2016-11-04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86B1 (ko) 2020-01-02 2020-05-29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38A (ko) * 2004-07-08 2006-01-12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유산균 배양물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
KR101000364B1 (ko) * 2010-04-26 2010-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존율 증강용 이중 코팅 방법
CN101999525A (zh) * 2010-11-02 2011-04-06 河北科技大学 一种复合益生素饲料添加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38A (ko) * 2004-07-08 2006-01-12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유산균 배양물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
KR101000364B1 (ko) * 2010-04-26 2010-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존율 증강용 이중 코팅 방법
CN101999525A (zh) * 2010-11-02 2011-04-06 河北科技大学 一种复合益生素饲料添加剂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제196권, 24_31쪽, 2014년 12월 05일.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96(2):24-31, 2014. *
해양 유래 내염성 BACILLUS가 생산하는 Γ_PGA의 생화학적 효과 및 기능성에 관한 연구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86B1 (ko) 2020-01-02 2020-05-29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73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8698B2 (ja) シロキクラゲ雑多糖またはその抽出物の新用途
JP6923741B2 (ja) 消化器の健康、体重管理、免疫の強化および健康の改善のためのマルチ繊維プレバイオティクス組成物
JP6684966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CN108430479A (zh) β-1,3-葡聚糖用于调节免疫功能和治疗肠道炎症的用途
JP2018153182A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tci378、およびそれを用いた脂肪の減少および胃腸機能の改善における使用
CN104379155B (zh) 包含裙带菜孢子叶和海鞘皮的混合物提取液的异位性皮肤炎改善用组合物
CN109315769A (zh) 一种用于改善人体肠内环境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0524177A (ja) 筍酵素分解物または筍発酵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腸機能の低下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0035675A1 (en) Immunopotentiator or antiallergic agent
KR101489732B1 (ko)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484014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抗アレルギー活性および免疫賦活物質
JP5926616B2 (ja) 老化抑制剤
JP2018070568A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予防用食品
KR102440573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JP7379152B2 (ja) 筋線維化抑制用組成物
CN101297820A (zh) 屎链球菌功能信号分子制剂及其降脂减肥制品
JPWO2016136624A1 (ja) 免疫調節剤及びその用途
CN108245531B (zh) 一种改善胃肠道功能、防治便秘的组合物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4224A1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予防用食品
JP5403320B2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US2006017834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oluble glucan oligome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for immune activation 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8154612A (ja) F/b比低下用食品組成物、f/b比低下剤、アッカーマンシア・ムシニフィラ菌占有率増加用食品組成物及びアッカーマンシア・ムシニフィラ菌占有率増加剤
JP6042537B2 (ja) 醸造プロセスのバイオマスから得られる脂肪バインダー
JP4954295B2 (ja) アラザイム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保護用薬学的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