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884A - 하부주입 어댑터 - Google Patents

하부주입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884A
KR20180049884A KR1020160146349A KR20160146349A KR20180049884A KR 20180049884 A KR20180049884 A KR 20180049884A KR 1020160146349 A KR1020160146349 A KR 1020160146349A KR 20160146349 A KR20160146349 A KR 20160146349A KR 20180049884 A KR20180049884 A KR 20180049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tubular member
container
valv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397B1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6014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397B1/ko
Priority to PCT/KR2017/005500 priority patent/WO20180844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4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주입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와, 상기 제1,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연통되어, 음료를 주입할 때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 또는 거품이 배출될 수 있는 동시에 음료를 주입한 후에 용기 내부의 압력과 거품을 미리 제거하여 하부주입 어댑터를 분리할 경우 거품이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하부주입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주입 어댑터{Bottom up filling adaptor}
본 발명은 하부주입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와, 상기 제1,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연통되는 하부주입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생맥주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통상적으로 생맥주 디스펜서는 생맥주통(10), 탄산가스통(20), 냉각기(30) 및 생맥주 인출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생맥주통(10)과 탄산가스통(20)은 탄산공급호스로 연결되며, 생맥주통(10)과 냉각기(30)는 맥주공급호스로 연결되고, 냉각기(30)와 인출밸브(40)도 맥주공급호스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맥주 디스펜서에 의하면 탄산가스통(20)의 탄산이 생맥주통(10)으로 공급되어 생맥주에 탄산이 함유되며, 탄산이 함유된 생맥주는 냉각기(30)에서 냉각된 후 인출밸브(4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밸브(40)는 생맥주통(10)이 내설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고정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냉각기(30)에 의해 적정온도로 냉각된 생맥주는 인출밸브(40)의 드래프트타워 본체 내부에 설치된 맥주공급관을 통하여 상부의 콕크밸브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한편, 그라울러(Growler)는 테이크 아웃(take out)용 대용량 맥주용기로 일반적인 병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그라울러는 입구부분은 좁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의 용기에 맥주를 따르는 것은 매우 불편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타입의 맥주용기이기 때문에 꾸준히 판매가 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그라울러에 맥주를 주입할 경우, 입구가 좁고 높이가 높아서 맥주를 따르는데 불편하고 거품이 많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버리게 되는 맥주의 양이 많아진다. 또한, 그라울러를 주입하는 동안 계속 작업자가 들고 있어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밸브(40)의 콕크에 긴 대롱을 연결하여 그라울러의 바닥부터 음료가 차오르게 하거나, 그라울러 전용 스테이션을 구비하여 왔다.
그러나, 콕크에 긴 대롱을 연결하여 음료를 주입하는 방법은 주입하는 동안 작업자가 그라울러를 들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단점은 극복하였지만 여전히 주입 시간이 오래 걸리고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를 주입하면서 거품이 넘치게 되면 그라울러의 외주면에 거품이 묻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라울러 전용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경우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추가로 들게 되고 주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31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병에 음료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고, 음료 주입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음료 주입 완료후 분리할 때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주입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주입 어댑터는, 바닥이 막히고 입구가 형성된 용기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와, 상기 제1,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1,2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동가능한 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유입구 또는 상기 제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입홀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로 구비되고, 상기 연질 부분은 상기 유입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3방 밸브에는 상기 유입홀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출홀에 연통되고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외부 배출관일 수 있다.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부재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가 안착되는 밸브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탈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재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재의 내벽에는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가 걸리는 관부재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는 밸브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손잡이부에는 손잡이 돌출부가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부주입 어댑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와, 상기 제1,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연통되어, 음료를 주입할 때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음료의 충전속도 및 거품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음료를 주입한 후에 용기 내부의 압력과 거품을 미리 제거하여 하부주입 어댑터를 분리할 경우 거품이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배출관이 구비되어, 하부주입 시 상기 배출관을 통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어서 하부 주입이 가능하게 되어 대용량의 용기에 음료를 따르고 멈추는 과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음료를 주입하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어서 인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음료를 용기에 따르는 과정이 항상 일정하므로 음료의 일정한 품질이 유지된다.
또한, 음료가 산소에 적게 노출되어 음료의 신선함이 최대로 유지된다.
또한, 음료를 용기에 주입하면서 버리게 되는 음료의 양이 최소화된다.
또한, 어댑터는 손쉽게 분해가 가능하여 세척이 편리하고 부속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주입 어댑터는 그라울러(Growler)와 같은 병 뿐만 아니라 유리컵 등의 다양한 모양의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주입시 용기 내부에 거품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에 거품 등이 묻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위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1,2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동가능한 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유입구 또는 상기 제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입홀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하다.
상기 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로 구비되고, 상기 연질 부분은 상기 유입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실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3방 밸브에는 상기 유입홀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3방 밸브의 닫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출홀에 연통되고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외부 배출관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3방 밸브의 닫힘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부재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가 안착되는 밸브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는 밸브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손잡이부에는 손잡이 돌출부가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를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관부재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관부재를 슬라이딩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복귀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관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입구의 직경이 작은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맥주 디스펜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의 제2본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 3방 밸브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용기에 음료를 주입할 때 제1유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용기에 음료를 주입할 때 제1유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용기에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용기에 음료 주입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용기에 음료를 주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음료를 주입한 후에 제2유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어댑터를 이용하여 음료를 주입한 후에 제2유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부주입 어댑터는, 바닥(51)이 막히고 상부에 입구(52)가 형성된 용기(50)의 상기 입구(52)에 설치되며 주입구(121)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100)와, 상기 어댑터 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5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500)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100)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112a)와, 제2유입구(112b)와, 상기 제1,2유입구(112a, 112b)에 연통되는 유출구(112c)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112a)에는 상기 배출관(500)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112b)에는 상기 입구(52)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댑터 본체(100)는 제1본체(110)와, 제1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본체(120)를 포함한다.
음료 주입시 제1본체(110)는 제2본체(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본체(110)는 제1측벽(111)을 포함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측벽(111)의 내부에 용기(50)의 입구(52)가 끼워진다. 즉, 제1본체(110)의 상부는 용기(50)의 입구(5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본체(110)와 용기(50)의 입구(52)는 억지끼움 또는 나사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본체(110)와 용기(50)의 입구(52)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용기(50)는 바닥(51)이 막히고 바닥(51)의 반대부분에 음료를 따르는 입구(52)가 형성된다. 용기(50)는 그라울러와 같은 대용량 병 모양이 될 수도 있고, 컵 모양이 될 수도 있다. 용기(50)는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즉, 용기(50)는 입구(52) 이외의 부분은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제1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이하 서술되는 밸브시트(112)의 둘레에는 유체 통과 구멍(11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유체 통과 구멍(113)은 이하 서술되는 주입구(12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1측벽(111)의 하부에는 확경부(114)가 형성된다.
즉, 제1측벽(111)의 하부의 내경 및 외경은 제1측벽(111)의 상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더 크다.
이러한 확경부(114)가 구비되어, 병과 같이 목과 입구(52)가 작은 용기(50)에 하부주입하더라도 용기(50)의 세워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다르게, 병과 같은 용기(50)에 하부 주입할 때 용기(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본체(120)는 주입구(121)가 형성되는 저면(124)과, 저면(124)을 둘러싸는 제2측벽(125)을 포함한다. 따라서, 어댑터 본체(100)의 측벽은 제1본체(110)에 형성된 제1측벽(111)과 제2본체(120)에 형성된 제2측벽(125)을 포함한다. 어댑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주입구(121)를 제외한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어댑터 본체(100)는 상부로 향할수록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저면(124)과 제2측벽(125)은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된다. 저면(124)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저면(124) 외주면에는 조립돌출부(127)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측벽(125)의 내벽에는 조립돌출부(127)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된다.
저면(124)은 제2측벽(125)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측벽(125)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124)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124) 전체가 투명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음료 공급 장치 등에 설치되는 외부의 광원이 용기(50) 내부로 투과되어 심미감을 더해줄 수 있으며, 용기(50) 내부에 음료가 얼마나 주입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어댑터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서 어댑터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이 구비된 음료 공급 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46715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를 주입할 때 광원이 어댑터 본체(100)의 저면(124)의 하부에 배치된다.
주입구(121)는 저면(124)의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저면(124)의 상면에서 주입구(121)의 주변에는 주입구(121)의 둘레를 따라 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홈(126)은 주입구(12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2측벽(125)의 적어도 일부는 불투명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측벽(111)과 제2측벽(125) 전체가 불투명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빛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측벽(125)은 아래로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2측벽(125)에는 음료 공급 장치의 그리퍼에 탈착되는 탈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부는 걸림턱(123)으로 형성된다.
걸림턱(123)은 제2측벽(125)의 하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123)은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2측벽(125)의 상부에는 제1측벽(111)의 확경부(114)가 끼워진다. 즉, 제2본체(120)의 상부는 제1본체(11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본체(120)와 제1본체(110)는 억지끼움되거나 이와 다르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 본체(100)는 이하 서술되는 배출관(500)이 설치되는 부분인 제1본체(110)와 밸브(200)가 설치되는 부분인 제2본체(120)가 분리가능하고 탈착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해지며, 세척도 간편하고, 부품 고장시 교체가 용이해진다.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에는 제1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제1실링부재는 저면(124)과 제1측벽(111)과 제2측벽(125) 사이에 배치된다.
저면(124)에서 가장자리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하두께가 얇은 박판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박판부(128)는 홈(126)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박판부(128)로 인해 저면(124)의 후판부와 제2측벽(125)의 내벽 사이에 상기 제1실링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실링부재 안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제1측벽(111)의 하면과 제2측벽(125)의 내벽과 저면(124)의 후판부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제1실링부재를 통해 저면(124)과 제2측벽(125) 사이가 실링되고, 제1측벽(111)과 제2측벽(125) 사이가 실링된다.
어댑터 본체(100)의 저면(124)에 설치되어 주입구(121)를 개폐하는 밸브(200)를 더 포함한다.
밸브(200)는 제2본체(120)의 저면(124)에 설치된다. 밸브(200)는 체크밸브로 구비된다. 따라서, 음료 주입이 완료된 후에 음료 공급 장치로부터 하부주입 어댑터를 분리하면 밸브(200)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음료 누수가 방지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밸브(200)는 주입구(121)를 개폐하는 덮개부(210)와, 덮개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날개부(230)와, 덮개부(210)와 상기 날개부(230)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구(12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부(2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220)를 포함한다.
밸브(200)는 덮개부(210)와 날개부(230)와 탄성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덮개부(210)와 날개부(230)와 탄성부(220)는 연질의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덮개부(210)와 날개부(230)와 탄성부(220)는 탄성과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천연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200)는 자체적으로 실링기능을 하게 되어 별도의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덮개부(2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주입구(12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덮개부(210)는 외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면이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덮개부(210)의 외측 끝단은 홈(126)의 외측 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덮개부(210)에서 탄성부(220)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탄성부(220)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하면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덮개부(210)는 저면(124)의 상부에 배치된다.
날개부(230)는 탄성부(220)의 외측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날개부(230)는 탄성부(220)의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날개부(230)는 덮개부(210)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날개부(230)와 덮개부(210) 사이에는 저면(124)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은 외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날개부(230)의 상면에는 탄성부(220)의 온둘레를 둘러싸는 둘레홈(231)이 형성된다.
날개부(230)의 상면과 하면은 내측보다 외측 높이가 높도록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
날개부(230)의 외경은 덮개부(210)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날개부(230)는 저면(124)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날개부(230)는 저면(124)에 걸린다. 따라서, 날개부(230)는 음료를 주입할 때 밸브(200)가 어댑터 본체(100)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날개부(230)는 음료를 주입할 때 어댑터 본체(100)와 밸브(200) 사이로 음료가 누수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료 주입 장치의 노즐과 밸브(200) 사이로 음료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날개부(230)는 탄성부(220)의 탄성력에 의해 저면(124)의 하면에 밀착된다.
탄성부(220)는 주입구(121)에 끼워진다. 즉, 탄성부(220)는 주입구(121)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부(220)의 최대 외경은 덮개부(210)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부(220)의 상단에는 덮개부(210)가 연결되고, 하단에는 날개부(230)가 연결된다.
탄성부(220)에는 노즐이 끼워지는 노즐 삽입공(221)과, 상기 노즐 삽입공(221)에 연통되는 주입구멍(222)이 형성된다.
노즐 삽입공(221)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부(2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220)의 좌우두께는 날개부(230) 및 덮개부(210)의 상하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노즐 삽입공(221)의 상부는 덮개부(210)에 의해 막히고, 하부는 개방된다.
주입구멍(222)은 탄성부(220)의 측부 상부에 형성된다.
주입구멍(222)은 두개 이상(4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주입구멍(222)은 좌우방향(탄성부의 방사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탄성부(220)에는 주입구멍(222)의 하부 양측 모서리 부분에 연통되도록 호부(223)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호부(223)는 주입구멍(222)의 하부 양측 모서리 하부에 배치된다.
주입구멍(222)의 하단은 저면(124)의 하면보다 높게 배치된다.
음료를 주입하지 않을 때 주입구멍(222)의 상단은 저면(124)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약간 낮도록 배치된다. 음료를 주입하지 않을 때 주입구멍(222)의 상단은 저면(124)의 상면의 높이보다 약간 높더라도, 덮개부(210)의 하면의 높이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향할수록 낮게 형성되므로 실링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즉, 탄성부(220)의 주입구멍(222)은 덮개부(210)의 최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밸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연질의 실리콘에 의해 수밀되는 방식 이외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암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배출관(500)은 어댑터 본체(100)에 설치되어 용기(5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한다. 즉, 배출관(500)은 용기(50)의 내부와 외기를 연결한다.
배출관(500)은 길게 형성되어, 배출관(500)의 유입구(501)는 입구(52)보다 바닥(5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음료 주입시 배출관(500)의 유입구(501) 및 유출구는 주입구(121)보다 높게 배치된다.
배출관(500)은 일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연질의 플라스틱 파이프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배출관(500)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배출관(500)은 음료 주입시에는 용기(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이러한 배출관(500)으로 인해 음료를 주입할 때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해제되어 바닥(51)이 밀폐된 용기(50)에도 입구(52)를 통해 하부 주입을 할 수 있다.
어댑터 본체(100)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3방 밸브는 용기(50)의 입구(52)와 주입구(12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3방 밸브의 적어도 일부는 어댑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112a)와, 제2유입구(112b)와, 상기 제1,2유입구(112a, 112b)에 연통되는 유출구(112c)가 구비된다.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112a)와 유출구(112c)를 연결하거나, 제2유입구(112b)와 유출구(112c)를 연결하거나, 제1유입구(112a) 및/또는 제2유입구(112b)를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3방 밸브는 제1,2유입구(112a, 112b)와 유출구(112c)가 형성되는 밸브시트(112)와, 상기 밸브시트(112)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동가능한 관부재(510)를 포함한다.
밸브시트(112)는 어댑터 본체(100)의 제1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하부주입 어댑터는 밸브시트(112) 일부와 배출관(500)을 제외한 부분(밸브 등)은 용기(50)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부주입 어댑터는 입구(52)가 좁은 병 모양의 용기(5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밸브시트(112)는 제1본체(1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1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밸브시트(112)에 형성된 유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유입구(112a)는 밸브시트(112)의 수직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유입구(112b)는 밸브시트(112)의 수직부와 수평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유입구(112b)는 용기(50)의 입구(52)가 연통된다. 제2유입구(112b)는 용기(50)의 바닥(51)보다 입구(5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유입구(112b)는 용기(50)의 외부에 배치된다. 용기(50)를 세웠을 때 제2유입구(112b)는 용기(50)의 입구(52)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유입구(112b)는 관부재(5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며, 관부재(510)의 외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관부재(510)가 슬라이딩될 때 제2유입구(112b)를 통해 인출된다.
제2유입구(112b)는 제1측벽(111)의 축경부와 확경부(114) 사이에 배치된다.
제2유입구(112b)는 주입구(121) 및 유체 통과 구멍(113)에 연통된다. 즉, 제2유입구(112b)는 어댑터 본체(100)에 형성된 음료를 주입하는 유로에 연통된다.
유출구(112c)는 밸브시트(112)의 수평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출구(112c)는 제2유입구(112b)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유출구(112c)는 어댑터 본체(100)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2유입구(112a, 112b)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밸브시트(112)의 제1,2유입구(112a, 112b)는 제1본체(11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제1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시트(112)의 외주면은 제1측벽(111)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배출관(500)의 하단(유출구)은 밸브시트(112)의 제1유입구(112a)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배출관(500)은 밸브시트(112)에 억지끼움된다. 즉, 배출관(500)은 제1유입구(112a)에 연통된다.
관부재(51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관부재(510)는 밸브시트(112)의 유출구(112c)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따라서, 관부재(510)는 용기(50)의 외부에 배치된다. 관부재(510)에서 밸브시트(112)에 접하는 부분의 외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부재(510)는 밸브시트(112)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동가능하다.
관부재(510)는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관부재(510)의 세척이 용이해진다.
관부재(510)의 외주면에는 제1유입구(112a) 또는 제2유입구(112b)에 연통되는 유입홀(511)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된다.
유입홀(511)은 관부재(5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홀(511)이 1개 형성된다. 관부재(510)에서 유입홀(511)의 반대면(마주하는 면)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관부재(5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유입구(112a)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유입홀은 다양한 크기로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의 유입홀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관부재(510)를 회전시켜서 배출관(500)에 유입홀(511)이 연통되도록 하면 제1유입구(112a)는 열리고, 관부재(510)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배출관(500)에 유입홀(511)이 연통되지 않도록 하면 제1유입구(112a)는 닫힌다. 또한, 관부재(510)를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유입홀(511)은 배출관(500) 하부에 배치된다. 유입홀(511)은 배출관(500)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관부재(510)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로 구비된다.
상기 연질 부분은 유입홀(5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관부재(510)와 밸브시트(112) 사이가 실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부재(510)의 일측에 연질의 캡(512)이 끼워진다.
연질의 캡(512)은 관부재(510)의 외주면 및 관부재(510)의 일측 끝단을 둘러싼다.
관부재(510)는 어댑터 본체(1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어댑터 본체(100)의 밸브시트(112)에는 상기 관부재(510) 또는 상기 관부재(510)에 연결되는 부재가 안착되는 밸브안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관부재(510) 또는 상기 관부재(510)에 연결되는 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523)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100)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523)가 걸리는 걸림턱(115)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밸브안착홈(116)은 유출구(112c)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밸브안착홈(116)은 제1,2유입구(112a, 112b)에 가까워질 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밸브시트(112)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밸브안착홈(116)에 연통되게 걸림돌기(523)가 안착되는 걸림돌기 안착홈(117)이 형성된다. 걸림돌기 안착홈(117)은 밸브안착홈(116)과 걸림턱(115)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돌기(523)는 관부재(510)에 연결되는 탈착부재(5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걸림돌기(523)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밸브안착홈(116)에 안착되는 탈착부재(5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두개의 걸림돌기(52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두개의 걸림돌기(523)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걸림턱(115)도 두개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돌기(523)를 걸림턱(11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밸브안착홈(116)에 삽입한 후에 탈착부재(520)를 회전시켜서 걸림돌기(523)가 걸림턱(115)에 걸리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분리할 때에는 탈착부재(520)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걸림돌기(523)가 걸림턱(11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오도록 한 후에 빼내면 된다. 이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탈착시킬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세척이 더욱 용이해진다.
탈착부재(520)와 밸브시트(112)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탈착부재(520)에는 관부재(510)가 관통되는 관통공(521)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부재(510)는 탈착부재(52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탈착부재(520)의 내벽에는 관부재(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13)가 걸리는 관부재 걸림턱(522)이 형성된다. 플랜지(513)는 관부재(5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배치된다. 관부재 걸림턱(522)은 탈착부재(52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탈착부재(520)의 타측에는 외형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다각형부(524)가 형성된다. 다각형부(524)는 어댑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다각형부(524)로 인해, 이하 서술되는 밸브손잡이부(530) 및 관부재(510)가 탈착부재(52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밸브손잡이부(530)를 회전시키면 관부재(510) 및 탈착부재(520)도 회전한다.
관부재(510)의 타측에 설치되는 밸브손잡이부(530)를 더 포함한다. 밸브손잡이부(530)는 관부재(510)에 고정된다.
밸브손잡이부(530)에는 손잡이 돌출부(531)가 상기 관부재(51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돌출부(531)가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두개의 손잡이 돌출부(531)는 돌출된 길이가 다르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관부재(510)를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탈착시 및 제1유입구(112a)를 열고 닫을 때 밸브손잡이부(530) 및 탈착부재(520) 및 관부재(5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 돌출부(531)는 밸브손잡이부(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다.
밸브손잡이부(530)의 일측 내부에는 관부재(510) 및 탈착부재(520)의 다각형부(524)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구멍(532)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구멍(532)은 다각형부(524)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탈착부재(520)의 다각형부(524)에 대해 밸브손잡이부(530) 및 관부재(510)는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구멍(532)의 직경은 관부재(5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밸브손잡이부(530)의 타측에는 관부재(5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514)가 결합되는 관부재 결합부(534)가 형성된다. 관부재 결합부(534)는 결합부(514)가 끼워지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부재 결합부(534)는 슬라이딩 구멍(5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구멍(53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관부재(510)의 결합부(514)에는 적어도 일측이 깍여져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형성된다. 관부재 결합부(534)는 결합부(5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관부재(510)는 밸브손잡이부(530)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된다.
밸브손잡이부(530)의 내벽과 관부재(510)의 외측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관부재(5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실링부재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14)는 관부재 결합부(534)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514)는 밸브손잡이부(530)보다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결합부(514)에는 체결부재(540)가 체결된다. 체결부재(540)는 결합부(514)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51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체결부재(540)는 캡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부재(510)와 체결부재(540)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540)는 관부재(510)가 밸브손잡이부(5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부재(510)는 밸브손잡이부(530)에 탈착가능해진다.
또한, 체결부재(540)는 관부재(510)의 타측 개방된 부분을 막는다.
관부재(51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550)이 더 구비된다.
스프링(55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스프링(550)은 관부재(5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구멍(532)에 배치된다.
스프링(550)의 일측은 탈착부재(520)의 타측에 지지되고, 스프링(550)의 타측은 밸브손잡이부(530)에 지지된다.
이러한 스프링(550)으로 인해 관부재(510) 및 밸브손잡이부(530)가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었을 때 외력을 제거하면 관부재(510) 및 밸브손잡이부(53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관부재(510) 및 밸브손잡이부(530)가 복귀될 때 플랜지(513)가 관부재 걸림턱(522)에 걸려서 관부재(510) 및 밸브손잡이부(530)는 탈착부재(5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3방 밸브에는 유입홀(511)이 상기 배출관(500)에 연통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관부재(510)의 타측 외주면에는 유입홀(511)에 연통되는 유출홀(515)이 형성된다. 유입홀(511)과 유출홀(515)은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유입홀(511)이 상부에 배치되면 유출홀(515)은 하부에 배치된다. 유출홀(515)은 결합부(514)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유출홀(515)에 연통되고 관부재(51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외부 배출관(533)이다.
외부 배출관(533)은 밸브손잡이부(530)의 타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배출관(533)은 경사지게 배치된다. 외부 배출관(533)은 용기(50) 및 어댑터 본체(100)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는 제1유입구(112a)가 열릴 때에는 유체가 나오는 부분이 아래로 향하고, 제1유입구(112a)가 닫힐 때에는 유체가 나오는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00)이 용기(50) 내부에 삽입되도록, 어댑터 본체(100)를 용기(50)의 입구(52)에 설치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0)의 바닥(51)이 위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탄성부(220)에 삽입시킨다.
어댑터 본체(100)의 걸림턱(123)이 음료 공급 장치의 그리퍼에 걸려서 하부주입 어댑터가 음료 공급 장치에 고정된다.
상기 노즐이 탄성부(220)에 삽입되어, 덮개부(21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220)의 하부는 날개부(230)에 의해 고정되고 탄성부(220)의 상부는 덮개부(210)와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되어 탄성부(22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덮개부(210)는 저면(124)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220)는 늘어나게 되어, 주입구멍(222)도 커지게 된다. 주입구멍(222)의 상단의 높이는 저면(124)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저면(124)을 통해 어댑터 본체(100) 내부로 주입되고, 어댑터 본체(100) 내부로 주입된 음료는 유체 통과 구멍(113)을 통해 용기(50)의 입구(52)로 주입된다.
음료를 용기(50)에 충전시킬 때에는, 외부 배출관(533)이 아래를 향하도록 손잡이 돌출부(531)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밸브손잡이부(530)와 관부재(510)와 탈착부재(520)가 회전된다. 유입홀(511)은 배출관(500)에 연통되어 용기(50)의 바닥(51) 쪽의 공기가 외부 배출관(5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유입구(112b)는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가 용기(50)에 충전될 때 상기 3방 밸브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음료의 충전속도 및 거품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음료 주입이 끝나면 밸브손잡이부(530)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배출관(533)이 위를 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부재(510)와 탈착부재(520)도 회전된다. 따라서, 제1유입구(112a)는 연질의 캡(512)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관부재(51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유입구(112b)도 연질의 캡(512)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막힌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용기(50)를 기울여서 빼내면 걸림턱(123)은 그리퍼로부터 빠져나오고 노즐은 밸브(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220)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탄성부(220)의 상하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210)는 탄성부(220)의 탄성력 및 어댑터 본체(100) 내부의 음료의 압력에 의해 저면(124)의 상면에 밀착된다. 덮개부(210)와 날개부(230)의 사이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2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날개부(230)도 탄성부(220)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음료를 주입한 후에 밸브(200)를 건드리게 되어도 음료가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용기(50)를 뒤집어서 바닥(51)이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탄산 등이 함유된 맥주와 같은 음료가 주입될 경우에는 흔들림에 의해 과도한 거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50)의 바닥(51)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손잡이부(530)를 내측으로(용기 쪽으로) 누르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재(510)도 탈착부재(520) 및 밸브시트(112)에 대해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관부재(510)의 타측은 제2유입구(112b)를 통해 밸브시트(112)를 빠져나와서 유입홀(511)은 용기(50)의 입구(52) 및 어댑터 본체(100)의 내부 및 제2유입구(112b)에 연통된다. 유입홀(511)로 유입된 거품 및 공기는 외부 배출관(533)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로 인해 하부주입 어댑터를 제거했을 때 거품이 넘치는 것이 방지되고, 어댑터 본체(100) 내부의 거품도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유입구(112a)는 연질의 캡(512)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막힌다.
밸브손잡이부(530)를 누르면 스프링(550)은 수축된다. 밸브손잡이부(5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5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손잡이부(530)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밸브손잡이부(530)에 고정된 관부재(510)도 탈착부재(520) 및 밸브시트(112)에 대해 외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제1유입구(112a)와 제2유입구(112b)가 모두 막힌 상태가 된다.
하부주입 어댑터를 입구(52)로부터 빼낸 후에 포장용 마개로 입구(52)를 막은 후에 테이크 아웃하는 고객에게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용기 51 : 바닥
52 : 입구
100 : 어댑터 본체 110 : 제1본체
111 : 제1측벽 112 : 밸브시트
112a : 제1유입구 112b : 제2유입구
112c : 제3유입구 113 : 유체 통과 구멍
114 : 확경부 115 : 제1걸림턱
116 : 밸브안착홈 117 : 걸림돌기 안착홈
120 : 제2본체 121 : 주입구
123 : 걸림턱 124 : 저면
125 : 제2측벽 126 : 홈
127 : 조립돌출부 128 : 박판부
200 : 밸브 210 : 덮개부
220 : 탄성부 221 : 노즐 삽입공
222 : 주입구멍 223 : 호부
230 : 날개부 231 : 둘레홈
500 : 배출관 501 : 유입구
510 : 관부재 511 : 유입홀
512 : 연질의 캡 513 : 플랜지
514 : 결합부 515 : 유출홀
520 : 탈착부재 521 : 관통공
522 : 관부재 걸림턱 523 : 걸림돌기
524 : 다각형부 530 : 밸브손잡이부
531 : 손잡이 돌출부 532 : 슬라이딩 구멍
533 : 외부 배출관 534 : 관부재 결합부
540 : 체결부재 550 : 스프링

Claims (11)

  1. 바닥이 막히고 입구가 형성된 용기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며 주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
    상기 어댑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3방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3방 밸브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와, 상기 제1,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에는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구에는 상기 입구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1,2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동가능한 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유입구 또는 상기 제2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입홀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로 구비되고,
    상기 연질 부분은 상기 유입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방 밸브에는 상기 유입홀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출홀에 연통되고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외부 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부재는 상기 어댑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본체에는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가 안착되는 밸브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부재 또는 상기 관부재에 연결되는 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본체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탈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재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재의 내벽에는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가 걸리는 관부재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에 설치되는 밸브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손잡이부에는 손잡이 돌출부가 상기 관부재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어댑터.
KR1020160146349A 2016-11-04 2016-11-04 하부주입 어댑터 KR10189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49A KR101896397B1 (ko) 2016-11-04 2016-11-04 하부주입 어댑터
PCT/KR2017/005500 WO2018084400A1 (ko) 2016-11-04 2017-05-26 하부주입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49A KR101896397B1 (ko) 2016-11-04 2016-11-04 하부주입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84A true KR20180049884A (ko) 2018-05-14
KR101896397B1 KR101896397B1 (ko) 2018-09-11

Family

ID=6207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49A KR101896397B1 (ko) 2016-11-04 2016-11-04 하부주입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6397B1 (ko)
WO (1) WO201808440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3375A1 (en) * 2006-02-17 2009-09-10 Roland Waldemar Verbeek Package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Such as a Beverage
KR20110051770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도우플랜트 음료주입장치용 중력 밸브
KR101333154B1 (ko)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6265B (en) * 1986-02-10 1989-11-01 Isoworth Lt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0149631B1 (ko) * 1996-06-29 1998-10-15 양재신 자동차 연비 및 배기가스 측정용 시험연료 주입장치
FR2813071B1 (fr) * 2000-08-16 2002-10-25 Sidel Sa Bec de remplissage a jet en parapluie et machine de remplissage munie d'un tel bec
KR101397526B1 (ko) * 2012-08-24 2014-05-20 정태완 유체주입용 깔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3375A1 (en) * 2006-02-17 2009-09-10 Roland Waldemar Verbeek Package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Such as a Beverage
KR20110051770A (ko) * 2009-11-11 2011-05-18 주식회사 도우플랜트 음료주입장치용 중력 밸브
KR101333154B1 (ko)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400A1 (ko) 2018-05-11
KR101896397B1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5928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JP2633730B2 (ja) ボトル水ステーション用のボトルキャップ/弁組立体
US2008022347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bottom-up filling of beverage containers
RU2237009C2 (ru) Разливочно-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US1000565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fl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transport of fluids in containers
US1102796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liq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 of liquids in containers
JP720467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シング・アッセンブリおよび飲料コンテナ
JP2002520237A (ja) 飲料容器のバルブ組立品、飲料容器並びに飲料容器を充填し又空にする方法
JP2009530204A (ja) 飲料コンテナ
JP2020520862A (ja) 飲料ディスペンシング・アッセンブリおよび飲料コンテナ
CZ301666B6 (cs) Sestava pro skladování a cepování nápoju a zpusob cepování nápoje
CA2891981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JP6345785B2 (ja) 流体容器を閉じるための装置
KR101577386B1 (ko) 하부 주입형 음료 용기
CA2810946A1 (en) Dispenser for a container
KR101896397B1 (ko) 하부주입 어댑터
KR20180047930A (ko) 하부주입 어댑터
KR20180047931A (ko) 하부주입 어댑터
KR20180047929A (ko) 하부주입 어댑터
EA016938B1 (ru) Механизм крепления горловины пластиковой бутылки к сливному каналу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KR20180001787A (ko) 하부주입 어댑터
US20230286722A1 (en) Bag in container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bag in container to a tapping device
US20120006852A1 (en) Anti-bubbling and anti-contamination water dispenser
RU24066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в открытую тару
RU25308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в открытую тар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