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26B1 - 유체주입용 깔때기 - Google Patents

유체주입용 깔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26B1
KR101397526B1 KR1020120092874A KR20120092874A KR101397526B1 KR 101397526 B1 KR101397526 B1 KR 101397526B1 KR 1020120092874 A KR1020120092874 A KR 1020120092874A KR 20120092874 A KR20120092874 A KR 20120092874A KR 101397526 B1 KR101397526 B1 KR 10139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unnel
fluid
injection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012A (ko
Inventor
정태완
Original Assignee
정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완 filed Critical 정태완
Priority to KR102012009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3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4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담겨진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용기 내부에 남겨져 보관되는 유체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입부(21)의 외주연에 용기(4)에 형성되는 주입구(41)에 체결되는 결합구(5)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구(5)의 내주연에 주입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211)에 걸리어지는 걸림턱(51)을 형성시켜 결합구(5)가 주입부(21)의 외주연에서 이탈은 되지 않으면서 공 회전될 수 있게 하고, 걸림턱(51)의 하부에 주입구(41)의 나사부(411)에 치합되는 나사결합부(55)를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서, 깔때기를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어 독극물과 같은 위험한 유체를 주입시킬 때 깔때기가 넘어지거나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독극물이 유출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부에 남겨져 보관되는 유체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폭발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체주입용 깔때기{Funnel for fluid pour}
본 발명은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액상의 물질을 충진시킬 때 사용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깔때기를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하고, 용기에 담겨진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용기 내부에 남겨져 보관되는 유체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입구가 좁은 용기에 액상물질을 주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깔때기를 사용한다.
종래의 깔때기는 원뿔형으로 되는 나팔관의 꼭지부분에 굵기가 다소 가느다란 원통형으로 된 주입관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깔때기는 주입관을 용기에 삽입시켜주면 나팔관의 하측부분이 주입구의 선단부에 연
접되면서 안치되어지며, 깔때기를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액상물질을 용기에 충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종래의 깔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종래의 깔때기는 용기의 주입구에 주입관을 삽입시키게 되면 나팔관의 외주면이 주입구의 선단부의 내주연과 연접되어져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상물질을 나팔관에 부어주게 되면 액상물질은 주입관을 통하여 용기에 충진되어진다. 이때 용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입관의 주입공을 통하여 외부에서는 액상물질이 유입되고 내부의 공기는 역류 배출되어지려 하므로 액상물질과 배출되려는 내부공기가 서로 충돌하게 되는데, 액상물질과 내부공기가 주입관의 주입공에서 서로 충돌하게 되면 액상물질은 더디게 주입되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공기가 주입공 역류하여 배출될 때 신속히 배출되어지면서 주입되는 액상물질을 밀어내게 되므로 액상물질의 점성이 낮을 때에는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액상물질이 튀어 오르면서 액상물질이 나팔관의 밖으로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였었다.
특히, 상기 액상물질의 점성이 높아 주입공을 폐쇄시키게 되면 용기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어 액상물질이 흘러내리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에는 깔때기를 약간 들어올려서 나팔관의 외주면과 주입구의 선단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지도록하여 내기가 이 공간부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점성이 높은 액상물질을 충진시킬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은 주입되는 물질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 또는 위험한 독극물인 경우 매우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깔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깔때기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배출구를 형성시킨 깔때기가 제공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하게 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 깔때기가 용기의 주입구 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독극물의 주입시 깔때기가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독극물이 유출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깔때기는 깔때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 등이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168929호 참조.
본 발명은 종래의 유체주입용 깔때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깔때기를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하여 독극물과 같은 위험한 유체를 주입시킬 때 깔때기가 넘어지거나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독극물이 유출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에 담겨진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에 남겨져 보관되는 유체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폭발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깔때기의 덮개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입되는 유체가 담겨지는 수용부의 하단부에 하부 중심부로 경사지는 주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의 중심에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주입관이 형성되며, 유체가 담겨지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의 외주연에 용기에 형성되는 주입구에 체결되는 결합구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구의 내주연에 주입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에 걸리어지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결합구가 주입부의 외주연에서 이탈은 되지 않으면서 공 회전될 수 있게 하고, 걸림턱의 하부에 주입구의 나사부에 치합되는 나사결합부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깔때기의 수용부 상부를 폐색시킬 수 있게 하는 덮개를 설치시키되, 수용부와 덮개 일측에 힌지축을 각각 형성시키고, 각각의 힌지축을 연결구로 연결시켜 덮개가 각각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하고, 수용부의 일측에 잠금돌기를 형성시키고, 잠금돌기와 대응되는 덮개에 자체 탄성을 보유하는 잠금편을 형성시키며, 덮개의 저면 주연에 수용부의 상단 주연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을 주입관의 외측에 형성시켜 공기배출관이 깔때기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체를 설치시키되, 상기 망체에 공기 배출관이 삽입되는 관체를 형성시키고, 관체의 상부 일측에 공기배출공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의 상면에 깔때기 내부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표시장치를 설치시키되, 상기 압력표시장치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표시구와, 상기 이동표시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표시구의 이동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표시창과, 깔때기의 내부의 압력을 케이스 내부에 전달하는 압력관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덮개의 일측에 깔때기의 내부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주입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주입구에 유체를 발생시키는 기기와 연결되는 관체를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주입용 깔때기에 의하면, 깔때기를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어 독극물과 같은 위험한 유체를 주입시킬 때 깔때기가 넘어지거나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독극물이 유출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에 담겨진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부에 남겨져 보관되는 유체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폭발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깔때기의 덮개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용기의 내부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어 유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 등이 용기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A)(B)는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의 덮개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의 망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입되는 유체가 담겨지는 수용부(2)의 하단부에 하부 중심부로 경사지는 주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21)의 중심에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주입관(22)이 형성되며, 유체가 담겨지는 용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배출관(3)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1)의 외주연에 용기(4)에 형성되는 주입구(41)에 체결되는 결합구(5)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구(5)의 내주연에 주입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211)에 걸리어지는 걸림턱(51)을 형성시켜 결합구(5)가 주입부(21)의 외주연에서 이탈은 되지 않으면서 공 회전될 수 있게 하고, 걸림턱(51)의 하부에 주입구(41)의 나사부(411)에 치합되는 나사결합부(55)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기(4)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시킬 때 용기의 주입구(41) 내부로 깔때기의 주입관(22)을 삽입시킨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주입관(22)에 연장되게 도시된 관체는 주입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결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입관(22)을 용기의 주입구(41)내로 삽입시키면 결합구(5)의 나사결합부(55)는 주입구(4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411)의 상부에 위치되고, 결합구(5)의 회전동작에 의해 결합구(5)의 나사부(55)과 주입구(41)의 나사부(411)에 체결되면서 용기(4)에 깔때기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유체의 주입시 용기(4) 내부의 공기는 주입관(22)의 외측에 형성된 공기배출관(3)을 통하여 깔때기 상부로 배출되면서 유체의 원활한 주입을 도와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깔때기의 수용부(2)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체(6)를 설치시켰으며, 상기 망체(6)에 공기 배출관(3)이 삽입되는 관체(61)를 형성시키고, 관체(61)의 상부 일측에 공기배출공(66)을 형성시켜 망체(6)가 공기배출관(3)에 결합되게 구성하였다.
상기 공기 배출관(3)을 주입관(22)의 외측에 형성시켜 공기배출관(3)이 깔때기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도록 형성시킴으로서, 공기배출관(3)이 삽입되는 망체(6)의 관체(61) 또한 깔때기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관(3)과 이에 결합되는 망체(6)의 관체(61)를 편심되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망체(6)의 상부로 유체를 낙하시키면서 주입시킬 때 망체(6)가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망체(6)의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돌기(65)를 형성시키고, 수용부(2)의 바닥면에 가이드돌기(65)가 끼워지는 가이드관(28)을 형성시켜 망체(6)가 상/하 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유동되더라도 전/후/좌/우 방향으로는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5 참조.)
본 발명의 깔때기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깔때기의 수용부(2)에 수용부 상부를 폐색시킬 수 있게 하는 덮개(1)를 설치시켜 구성하였다.
덮개를 설치시킴에 있어서는 수용부(2)와 덮개(1)의 일측에 힌지축(15)(25)을 각각 형성시키고, 각각의 힌지축(15)(25)을 연결구(16)로 연결시켜 덮개(1)가 각각의 힌지축(15)(2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하고, 수용부(2)의 일측에 잠금돌기(26)를 형성시키고, 잠금돌기(26)와 대응되는 덮개(1)에 자체 탄성을 보유하는 잠금편(17)을 형성시키며, 덮개(1)의 저면 주연에 수용부(2)의 상단 주연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18)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1)의 상면에 깔때기 내부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표시장치(7)를 설치시키되, 상기 압력표시장치(7)가 케이스(7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표시구(71)와, 상기 이동표시구(7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72)과, 케이스(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표시구(71)의 이동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표시창(73)과, 깔때기의 내부의 압력을 케이스(70) 내부에 전달하는 압력관(7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기(4)에 담겨진 유체에 의해 용기와 깔때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그 압력이 압력관(74)을 통하여 케이스(7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이동표시구(71)를 압박하게 되고, 압력이 이동표시구(71)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72)의 탄성력을 넘어서 순간부터 이동표시구(71)가 이동되면서 표시창(73)에 표시된 눈금 또는 경고 표시부를 통하여 내부의 압력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덮개(1)의 일측에 깔때기의 내부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주입구(8)를 형성시키고, 상기 주입구(8)에 유체를 발생시키는 기기와 연결되는 관체(80)를 연결시켜 구성하였다.

1... 덮개 2... 수용부
3... 배출관 4... 용기
5... 결합구 6... 망체
7... 압력표시장치 8... 주입구

Claims (5)

  1. 주입되는 유체가 담겨지는 수용부(2)의 하단부에 하부 중심부로 경사지는 주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21)의 중심에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주입관(22)이 형성되며, 유체가 담겨지는 용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배출관(3)을 구비하고, 상기 주입부(21)의 외주연에 용기(4)에 형성되는 주입구(41)에 체결되는 결합구(5)를 형성시키되, 상기 결합구(5)의 내주연에 주입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211)에 걸리어지는 걸림턱(51)을 형성시켜 결합구(5)가 주입부(21)의 외주연에서 이탈은 되지 않으면서 공 회전될 수 있게 하고, 걸림턱(51)의 하부에 주입구(41)의 나사부(411)에 치합되는 나사결합부(55)를 형성시키며, 상기 수용부(2)에 수용부 상부를 폐색시킬 수 있게 하는 덮개(1)를 설치시키되, 수용부(2)와 덮개(1)의 일측에 힌지축(15)(25)을 각각 형성시키고, 각각의 힌지축(15)(25)을 연결구(16)로 연결시켜 덮개(1)가 각각의 힌지축(15)(2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하고, 수용부(2)의 일측에 잠금돌기(26)를 형성시키고, 잠금돌기(26)와 대응되는 덮개(1)에 자체 탄성을 보유하는 잠금편(17)을 형성시키며, 덮개(1)의 저면 주연에 수용부(2)의 상단 주연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18)를 설치시키고, 용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3)을 주입관(22)의 외측에 형성시켜 공기배출관(3)이 깔때기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수용부(2)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체(6)를 설치시키되, 상기 망체(6)에 공기 배출관(3)이 삽입되는 관체(61)를 형성시키고, 관체(61)의 상부 일측에 공기배출공(66)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1)의 상면에 깔때기 내부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표시장치(7)를 설치시키되, 상기 압력표시장치(7)가 케이스(7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표시구(71)와, 상기 이동표시구(7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프링(72)과, 케이스(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표시구(71)의 이동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표시창(73)과, 깔때기의 내부의 압력을 케이스(70) 내부에 전달하는 압력관(74)으로 구성하고, 상기 덮개(1)의 일측에 깔때기의 내부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주입구(8)를 형성시키고, 상기 주입구(8)에 유체를 발생시키는 기기와 연결되는 관체(80)를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용 깔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92874A 2012-08-24 2012-08-24 유체주입용 깔때기 KR10139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74A KR101397526B1 (ko) 2012-08-24 2012-08-24 유체주입용 깔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74A KR101397526B1 (ko) 2012-08-24 2012-08-24 유체주입용 깔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12A KR20140026012A (ko) 2014-03-05
KR101397526B1 true KR101397526B1 (ko) 2014-05-20

Family

ID=5064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874A KR101397526B1 (ko) 2012-08-24 2012-08-24 유체주입용 깔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00A1 (ko) * 2016-11-04 2018-05-11 엔피씨㈜ 하부주입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8552A (zh) * 2017-05-19 2018-12-04 天津市连兴达机械设备有限公司 用于给料机进料端的防丢失护罩
KR102132985B1 (ko) * 2018-09-20 2020-07-10 주식회사 에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3210A1 (en) * 2004-05-25 2005-12-01 Ramin Najafi Ecologically friendly fu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3210A1 (en) * 2004-05-25 2005-12-01 Ramin Najafi Ecologically friendly fu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00A1 (ko) * 2016-11-04 2018-05-11 엔피씨㈜ 하부주입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12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3673B2 (ja) 液体容器用の所定量吐出装置
RU2176976C2 (ru) Емкость с колпачком и запорный колпачок (варианты)
RU24870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в форме капель
CN107613939B (zh) 药剂容器的盖罩
KR101397526B1 (ko) 유체주입용 깔때기
KR101168229B1 (ko) 수액백용 포트
CN114206748B (zh) 用于封闭液体乃至糊状产品的容器的装置以及由这种装置封闭的再填充物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RU2480716C2 (ru)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6529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ожнения емкостей
US7735641B2 (en) Vessels for multicomponent products
KR101698938B1 (ko) 일회용 주사기
RU2014147698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насыпью и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й узел
JP2023011716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懸濁液ユニット、キャリブレーション懸濁液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懸濁液ユニットの使用
US8657141B2 (en) Cartridge with integrated closure cap
KR20130141758A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JP5305337B2 (ja) 混合用容器
US20150251030A1 (en) Transport container flame arrestor
ITBO20130256A1 (it) Cartuccia per un radiofarmaco, contenitore schermato per tale cartuccia e corrispondente apparecchiatura per la infusione di una dose di radiofarmaco ad un paziente
US2414239A (en) Surgical apparatus
CN208260797U (zh) 一种滴管放置装置
KR101934186B1 (ko) 시료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시료 컵
CN208999160U (zh) 水样瓶
KR101633094B1 (ko) 밀봉수단이 구비된 용기
KR102136588B1 (ko) 압력 개폐식 정량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