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985B1 -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985B1
KR102132985B1 KR1020180113139A KR20180113139A KR102132985B1 KR 102132985 B1 KR102132985 B1 KR 102132985B1 KR 1020180113139 A KR1020180113139 A KR 1020180113139A KR 20180113139 A KR20180113139 A KR 20180113139A KR 102132985 B1 KR102132985 B1 KR 10213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ogen
treatment tank
filter
gas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621A (ko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
Priority to KR10201801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9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주입되어 낙하되는 상기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을 할로겐 처리조로 유도하기 위한 주입구 깔데기; 상기 주입구 깔데기에서 주입된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할로겐 처리조;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으로 연통되고, 상측부 주위로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연통부에 끼워져 결합하는 도킹어댑터; 상기 할로겐 처리조 도킹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링;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상측부를 관통 형성된 필터링 호스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서 발생되는 할로겐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할로겐 처리조를 연결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서 할로겐 처리조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를 포함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Waste liquid container with exposed filter}
본 발명은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주입되어 낙하되는 상기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을 할로겐 처리조로 유도하기 위한 주입구 깔데기; 상기 주입구 깔데기에서 주입된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할로겐 처리조;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으로 연통되고, 상측부 주위로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연통부에 끼워져 결합하는 도킹어댑터; 상기 할로겐 처리조 도킹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링;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상측부를 관통 형성된 필터링 호스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서 발생되는 할로겐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할로겐 처리조를 연결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서 할로겐 처리조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를 포함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이나 제조 공정에서 염화수소, 디클로로실란, 3불화염소, 6불화텅스텐 등 할로겐화물 가스의 종류 및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가스는 모두 독성이 높고 인체 및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들 독성가스를 함유하는 가스는 제조 공정 등에 사용 후 대기에 방출되기 앞서 유해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할로겐계 배기가스의 정화방법에는 습식정화방법과 건식정화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습식정화방법은 알칼리수용액을 흡수액으로서 사용하는 습식정화방법으로서 처리능력이 크고 적응성도 광범위한 우수한 정화방법이다.
습식 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할로겐계 가스 흡수 방법으로서 일본 특개소 49-62378은 아황산 알칼리염 또는 산성 아황산 알칼리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개시한다. 또한, 수산화 나트륨 등을 약제로서 포함하는 수용액이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습식정화방법은 정화효율이 낮고, 할로겐계 배기가스를 완전히 정화하기 곤란하고, 유해성분을 생성하기 때문에 배출 공정으로부터의 가스배출 시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건식 정화 방법도 할로겐계 가스를 극히 저농도가 될 때까지 제거할 수 있지만, 고농도의 할로겐계 가스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단시간에 정화제가 파과되어 빈번히 정화제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어서 런닝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0694369호는 배출되는 가스 중에 함유된 불소, 염소, 삼불화붕소, 삼염화붕소, 육불화텅스텐, 사염화규소 등의 유해한 할로겐계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정화제 및 정화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활성탄에 금속염 등을 혼합하여 정화하는 장치로서 정화능력이 비교적 작다는 불합리함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996-7000204호는 할로겐화물 함유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용매를, 압력과 고온에서 할로겐화물 함유 유기 화합물중의 할로겐화물을 할로겐화 수소산으로 변환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수소의 존재 하에 할로겐화물 함유 유기화합물중의 할로겐화물을 할로겐화 수소산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촉매에 노출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할로겐화 수소산을 할로겐화 수소 스캔빈져로 중화시키는 발명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호는 폐가스를 임의로 고정상 또는 유동상에 통과시키고 카로산(Caro's acid) 또는 이의 염들 중의 하나와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임의로 NOx를 함유하는 폐가스로부터 할로겐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고, 폐가스에 임의로 SO2를 보충하고, 임의로 고체의 고정상 또는 유동상에 통과시킨 다음, 카로산을 동일 반응계내에서 생성시키고, 폐가스를 고체의 고정상 또는 유동상에 통과시키고 동시에 H2O2와 H2SO4와의 혼합물을 고체에 분무한다.
그러나, 내부에서 불소 등의 반응성이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건조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경우에 화재 유발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2가지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할로겐계를 포함한 다양한 유해 배기가스에 대한 간단한 구조의 정화 장치가 개발되어야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849318호 한국등록특허 제1290103호 한국등록특허 제2018-00074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안전깔데기와 필터부에 연결된 결합체결부를 이용하여 안전한 폐액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교체 시기에 따라 즉시 교체할 수 있는 폐액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주입되어 낙하되는 상기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을 할로겐 처리조로 유도하기 위한 주입구 깔데기; 상기 주입구 깔데기에서 주입된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할로겐 처리조;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주입구 깔데기의 하측으로 연통되고, 상측부 주위로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연통부에 끼워져 결합하는 도킹어댑터; 상기 할로겐 처리조 도킹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링;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상측부를 관통 형성된 필터링 호스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서 발생되는 할로겐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할로겐 처리조를 연결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에서 할로겐 처리조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가스의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활성탄; 상기 활성탄을 통과한 가스를 필터링하는 내부 필터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체결부는 상기 연결호스가 상측부에 삽입되어 조임부재를 관통하여 조여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도부재; 상기 유도부재의 유도된 상기 연결호스가 조임부와 탄성원통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유도부재 내부면과 나사 조립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상기 유도부재가 체결되어 멈춰지도록 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조임부재; 상기 조임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유도부재의 조임에 대응하는 탄성 지지력을 유지시키는 탄성원통; 조임부재의 나사산과 관통홀의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에는, 티타늄이 코팅되고, 상기 활성탄을 통과한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주입구 깔데기 내부에 거름망이 부착되어 있고, 공기구멍과 기둥이 거름망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둥을 따라 흘러 들어가는 용액의 튐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외부 노출형 필터부를 통해 환기 및 유해물질 정화, 냄새제거의 기능을 갖는 활성탄이 들어있어, 99.9%의 유해 가스의 휘발 증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출형 필터를 장착하고 있어 내부 문제에 의한 화재 유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교체 시기에 따라 즉시 교체할 수 있어 유독 증기의 흡입을 미리 예방하여 실험실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다른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또 다른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주입구 깔데기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필터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결합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결합체결부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의 조임부재의 절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25), 주입구 깔데기(20), 할로겐 처리조(10), 회전부(21), 연통부(21-2), 도킹어댑터(22), 나사산링(22-1), 필터부(30), 연결호스(35), 결합체결부(36), 결합체결부(36), 유도부재(36-1), 조임부재(36-3), 탄성원통(36-2), 조임부재(36-3) 등으로 구성된다.주입구 깔데기(20)는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주입되어 낙하되는 상기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을 할로겐 처리조로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체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일정 수치 이상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입구 깔데기(20)는 지름이 15cm 이상으로 제작되어 폐액을 주입할 때 외부로 튀지 않게 한다.
할로겐 처리조(10)는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에서 주입된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장치로서, 정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HDPE 재질로서 화학 내구성이 강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1)는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에 주름부가 형성된다.
연통부(21-2)는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의 하측으로 연통되고, 상측부 주위(외주연)로 나사산(21-1)이 형성되며, 할로겐 처리조(10) 까지 유체가 주입되도록 한다.
도킹어댑터(22)는 상기 연통부(21-2)에 끼워져 결합하는 장치이다.
상기 도킹어댑터(22)는 끼워진 상태에서 캡이 360도 회전하여 체결 및 교체시 편리하다.
나사산링(22-1)은 상기 할로겐 처리조 도킹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21-1)과 결합하는 부품이다.
뚜껑(25)은 일단이 힌지(23)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장치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에 체결부(24)가 연결되며, 상부는 유체의 주입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 깔데기(20) 내부에 거름망(26)이 부착되어 있고, 공기구멍과 기둥(27)이 거름망(26)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둥(27)을 따라 흘러 들어가는 용액의 튐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주입구 깔데기(20) 내부에 내부 가스 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데 상기 필터부(30) 등에서 필터링된 에어에 가스 성분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알람을 울리도록 설정된다.
상기 알람 경보는 뚜껑(25)에 설치되는 경보 색을 표시하는 LED에 의해 외부로 알려줄 수 있는 데, LED가 적색으로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뚜껑(25)을 열기 전 필터부(30)의 교체 여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위험성을 예측한 상태로 뚜껑(25)을 조심스럽게 열어 안전하게 폐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는 받침대(31)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의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활성탄(38)과 상기 활성탄을 통과한 가스를 필터링하는 내부 필터망(37)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제로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야자각탄(palmhusk charcoal), 목분탄(slack charcoal), 피트탄(peat charcoa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경이 약 1~10㎜인 입상탄(granular charcoals), 직경이 약 1~5㎜이고 길이가 약 3~30㎜인 펠렛상탄(pellet-type charcoals) 또는 섬유상탄(fibrous charcoals)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활성탄에 의해 환기 및 유해물질 정화, 냄새제거의 기능을 갖는다.
흡착제로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합성 제올라이트 및 천연 제올라이트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이 없이 어떤 종류라도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3~15Å에 상당하는 세공(pore) 직경을 갖는 시판 중인 임의의 합성 제올라이트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흡착제로서 다공질 세라믹을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이들 흡착제의 2종 이상을 조합하거나 다른 종류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필터부(30)는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상측부를 관통 형성된 연결 호스(35)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 처리조(10)의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서 발생되는 할로겐 가스를 필터링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링할 수 있는 할로겐계 가스의 예는 염소 가스, 브롬 가스 또는 요오드 가스 등의 할로겐 가스; 불화수소 가스, 염화수소 가스, 브롬화수소 가스 또는 요오드화수소 가스 등의 할로겐화수소 가스; 삼불화붕소 가스 또는 삼염화붕소 등의 할로겐화붕소 가스; 사불화규소 가스 또는 사염화규소 등의 할로겐화규소 가스; 육불화텅스텐 가스 등의 할로겐화텅스텐 가스를 포함하고, 삼불화염소 가스, 사염화티탄 가스, 염화알루미늄 가스, 사불화게르마늄 가스 등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하는 액체 또는 가스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폐비할로겐, 폐알카리, 폐산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수용액,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 및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폐시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탄에는 TiO₂와 ZnO를 침착시켜, 필터링 효과를 높이고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화를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필터부의 내부에는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된 자외선 엘이디 램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엘이디 램프는 파장의 범위가 300nm 내지 4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최적 : 365nm).
상기 자외선 엘이디 램프를 감싸는 보호렌즈는 엘이디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그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필요에 따라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엘이디 램프 옆에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필터링된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에 유독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렌즈는 이상적인 배광분포를 갖도록,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methacrylate, PMMA), 폴리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과 같이 투과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일명 아크릴 수지로도 불리는데, 투명성과 같은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전광선 투과율이 90%이상이다.
반사 시트는 광원 및 보호렌즈 사이에 개재되어,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보호렌즈에 집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의 일부는 보호렌즈로 직접 입사되고, 광원으로 부터 나오는 광의 다른 일부는 반사 시트에 반사되어 보호렌즈로 입사된다.
반사 시트는 광원으로부터 나온 자외선이 보호렌즈로 입사되기 전의 폐할로겐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각을 조절하여 필터부 형상에 따른 적절한 광 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에 의해 같은 광원을 사용하더라도 자외선들을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 깊숙이 집중하여 보낼 수 있으므로 광 집속도를 높여 폐할로겐 등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호렌즈의 하부에 반사 시트를 대신하여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사 시트와 프리즘 시트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광원의 하부로 누설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보호렌즈로 재입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프리즘 시트는 수평방향으로 비대칭형의 양각 프리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면에 형성된 상측 프리즘 시트에 의하여 공기와의 매질차이에 의하여 다시 굴절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바 이때 상측 프리즘 시트에 의하여 빛은 더욱 필터부의 중앙으로 집중될 수 있고, 중앙 부분으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분포해 있는 폐할로겐 가스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의 내측면(내부 벽면)에는, 티타늄(Ti)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티타늄 코팅층은 주기율표 4A족에 속하는 티탄족 원소 즉, 티타늄을 코팅한 것으로, 이 티타늄은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다음으로 가벼우며 전연성(展延性)이 높고,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며, 비강도(比强度;강도/비중)는 보통강철의 약 2배, 알루미늄의 약 6배나 되고, 내열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 산(酸)이나 부식에 강하고, 특히 코팅 과정에서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고강도를 발휘함으로써 외부의 접촉에 의한 긁힘이나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티타늄 코팅층은 티타늄 분말 60∼95wt%, 이산화티타늄(TiO2) 분말 5∼40w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타늄 코팅층의 코팅 향상을 위하여 질산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질산화 처리 공정은 티타늄 코팅층에 초순수를 넣고 pH를 중성화 시킨다. 이때 티타늄 분말 응집 방지를 위해 증류수에 HNO3(질산)를 넣고 교반 후 티타늄 분말을 넣어 질산처리한다.
연결호스(35)는 상기 필터부(30)와 할로겐 처리조(10)를 연결하는 호스로서, 할로겐 처리조(10)의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결합체결부(36)와 체결된다.
도 9의 A 부분을 보면 결합체결부(36)는 상기 연결호스(35)에서 할로겐 처리조(1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체결 장치이다.
상기 결합체결부(36)는 유도부재(36-1), 조임부재(36-3), 탄성원통(36-2), 패킹(36-4)을 포함한다.
유도부재(36-1)는 상기 연결호스(35)가 상측부에 삽입되어 조임부재(36-3)를 관통하여 조여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임부재(36-3)는 상기 유도부재(36-1)의 유도된 상기 연결호스(35)가 조임부(36-31)와 탄성원통(36-2)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유도부재(36-1) 내부면과 나사 조립되도록 외부에 나사산(36-32)이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상기 유도부재(36-1)가 체결되어 멈춰지도록 하는 정지부(36-33)를 포함한다.
탄성원통(36-2)은 상기 조임부재(36-3)의 내부에서 상기 유도부재(36-1)의 조임에 대응하는 탄성 지지력을 유지시키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조임부재(36-3)가 조여질 때 탄성력으로 반발하여 상호간 밀착된 부분에 압력을 증가시켜 기밀을 유지시킨다.
패킹(36-4)은 조임부재(36-3)의 나사산과 관통홀(36-5)의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부품으로서, 외부로 유독 가스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조임부재(36-3)와 관통홀(36-5) 사이에 위치한다.
10 : 할로겐 처리조
20 : 주입구 깔데기
21 : 회전부
21-1 : 나사산
21-2 : 연통부
22 : 도킹어댑터
22-1 : 나사산링
23 : 힌지
24 : 체결부
25 : 뚜껑
26 : 거름망
27 : 기둥
30 : 필터부
31 : 받침대
35 : 연결호스
36 : 결합체결부
36-1 : 유도부재
36-2 : 탄성원통
36-3 : 조임부재
36-31 : 조임부
36-32 : 나사산
36-33 : 정지부
36-4 : 패킹
36-5 : 관통홀
37 : 필터망
38 : 활성탄

Claims (7)

  1.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5);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주입되어 낙하되는 상기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을 할로겐 처리조로 유도하기 위한 주입구 깔데기(20);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에서 주입된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할로겐 처리조(10);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회전부(21); 상기 주입구 깔데기(20)의 하측으로 연통되고, 상측부 주위로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부(21-2); 상기 연통부(21-2)에 끼워져 결합하는 도킹어댑터(22); 상기 도킹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링(22-1);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상측부를 관통 형성된 필터링 호스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 처리조의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서 발생되는 할로겐 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30); 상기 필터부(30)와 할로겐 처리조(1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5); 상기 연결호스(35)에서 할로겐 처리조(1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36);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결부(36)는, 상기 연결호스(35)가 상측부에 삽입되어 조임부재(36-3)를 관통하여 조여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도부재(36-1); 상기 유도부재(36-1)의 유도된 상기 연결호스(35)가 조임부(36-31)와 탄성원통(36-2)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유도부재(36-1)의 내부면과 나사 조립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상기 유도부재(36-1)가 체결되어 멈춰지도록 하는 정지부(36-33)를 포함하는 조임부재(36-3); 상기 조임부재(36-3)의 내부에서 상기 유도부재(36-1)의 조임에 대응하는 탄성 지지력을 유지시키는 탄성원통(36-2); 조임부재(36-3)의 나사산과 관통홀(36-5)의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패킹(36-4);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는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된 파장의 범위가 300nm 내지 400nm인 자외선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엘이디 램프를 감싸는 보호렌즈는 엘이디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그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마련되고, 상기 자외선 엘이디 램프 옆에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필터링된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에 유독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렌즈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네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 및 상기 보호렌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의 일부는 보호렌즈로 직접 입사되고, 광원으로 부터 나오는 광의 다른 일부는 반사 시트에 반사되어 보호렌즈로 입사되고, 상기 반사 시트는 광원으로부터 나온 자외선이 보호렌즈로 입사되기 전의 폐할로겐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각을 조절하여, 자외선들을 할로겐계 가스 흡수액에만 집중하여 보내고, 상기 보호렌즈의 하부에 반사 시트를 대신하여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거나 반사 시트와 프리즘 시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데, 상기 프리즘 시트는 광원의 하부로 누설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보호렌즈로 재입사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프리즘 시트는 수평방향으로 비대칭형의 양각 프리즘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30)의 내부 벽면에는, 티타늄(Ti)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티타늄 코팅층은 티타늄 분말 60∼95wt%, 이산화티타늄(TiO2) 분말 5∼40wt%를 포함하고, 상기 티타늄 코팅층에 초순수를 넣고 pH를 중성화 시킬 때, 티타늄 분말 응집 방지를 위해 증류수에 HNO3(질산)를 넣고 교반 후 티타늄 분말을 넣어 질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는
    가스의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활성탄(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0)의 내측면에는, 티타늄(Ti)이 코팅되고, 상기 활성탄(38)을 통과한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깔데기(20) 내부에 거름망(26)이 부착되어 있고, 공기구멍과 기둥(27)이 거름망(26)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둥(27)을 따라 흘러 들어가는 용액의 튐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을 통과한 가스를 필터링하는 내부 필터망(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7. 삭제
KR1020180113139A 2018-09-20 2018-09-20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KR10213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39A KR102132985B1 (ko) 2018-09-20 2018-09-20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39A KR102132985B1 (ko) 2018-09-20 2018-09-20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21A KR20200033621A (ko) 2020-03-30
KR102132985B1 true KR102132985B1 (ko) 2020-07-10

Family

ID=7000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39A KR102132985B1 (ko) 2018-09-20 2018-09-20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9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8B1 (ko) * 2015-12-31 2016-11-15 신정문 기밀성을 갖는 선박용 가스 샘플링 장치
KR101838920B1 (ko) * 2017-09-07 2018-03-15 이민수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0051C2 (ru) * 2008-12-22 2013-08-20 3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Компактный фильтр для различных газов
KR101397526B1 (ko) * 2012-08-24 2014-05-20 정태완 유체주입용 깔때기
KR101290103B1 (ko) 2013-02-19 2013-07-26 이만자 깔때기
KR101549649B1 (ko) * 2013-05-14 2015-09-03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활성탄 필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 및 중화 장치
KR20180007495A (ko) 2016-07-13 2018-01-23 조강희 폐시약 수거함
KR101849318B1 (ko) 2017-07-21 2018-04-16 이영배 안전 깔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8B1 (ko) * 2015-12-31 2016-11-15 신정문 기밀성을 갖는 선박용 가스 샘플링 장치
KR101838920B1 (ko) * 2017-09-07 2018-03-15 이민수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21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665B2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EP0056054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RU2413570C2 (ru) Затвор картридж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MX2011000399A (es) Filtro con resina yodada e indicador de vida de filtro.
US5273650A (en) Ceramic filter
US7632397B2 (en) Integrated portable water purifier
JP6067060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2005508228A5 (ko)
CN101535187A (zh) 水净化设备和过滤单元
JP2006525870A (ja) 水処理装置及び該装置用カートリッジ
TWI549734B (zh) 淨水濾心、淨水器以及濾材
CN201454183U (zh) 一种便携式净化水滤芯和设有该滤芯的容器
KR102132985B1 (ko) 노출형 필터를 갖는 폐액 보관 용기
KR200490656Y1 (ko) 폐시약 저장 용기
EP1937598B1 (en) Scavenging filter
KR101957496B1 (ko) 파우셋 필터,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KR200221643Y1 (ko) 정화수단을 갖는 병 뚜껑
KR100996290B1 (ko) 삼중수소수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및 그를 이용한 정화호흡기
RU2113410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водо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фляга"
JPH1147733A (ja) 浄水器
KR100487095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일회용 정수기
KR200251194Y1 (ko) 수도직결식 간이 정수기
KR20190101099A (ko) 이중 기밀 구조의 정화통
JPH06126136A (ja) 浄水器
WO1995029878A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