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653A -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653A
KR20180049653A KR1020160145847A KR20160145847A KR20180049653A KR 20180049653 A KR20180049653 A KR 20180049653A KR 1020160145847 A KR1020160145847 A KR 1020160145847A KR 20160145847 A KR20160145847 A KR 20160145847A KR 20180049653 A KR20180049653 A KR 2018004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eave
weight
li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731B1 (ko
Inventor
안한배
Original Assignee
안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한배 filed Critical 안한배
Priority to KR102016014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7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수평부재와,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구성된 카운터웨이터의 상부면에 시브들과 연결된 카리프트본체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카리프트본체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케이지를 정밀하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카운터웨이터의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며 카운터웨이터에 의한 승강 중량감소로 막대한 에너지절감을 목적으로 한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Lift Apparatus for Freight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수평부재와,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구성된 카운터웨이터의 상부면에 시브들과 연결된 카리프트본체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카리프트본체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케이지를 정밀하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카운터웨이터의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며 카운터웨이터에 의한 승강 중량감소로 막대한 에너지절감을 목적으로 한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물차량 리프트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리프트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110)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변환부(120)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200a)으로 구성된다.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0a)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0a)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0)으로 구성된다.
양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와이어(150)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2시브(160a,160b)로 구성된다.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0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0a)내에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수직이동통로(170b)의 하부에 설치된 지하피트프레임(170d)를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0c)내부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0)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드럼(180)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이스트본체(10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일,타측의 상기 제2시브(160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0)는 카운터웨이터(190)를 구비한 제3시브(160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모터(110)에 구동되어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동력변환부(120) 및 상기 동력연결축(130)을 통해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전달되고,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감압된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제1,2시브(160a,160b) 및 상기 케이지(170)의 상기 시브(180)들에 차례로 감압되어 구동되어 화물차량을 실은 상기 케이지(170)가 건설공사현장의 수직지하통로(170b)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프레임빔(170a)내에 다수개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0c)들의 내부에서 승강되는데 이 상기 케이지(17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90)는 단순히 웨이트부(190a)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웨이터(19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0)가 상기 가이드체인(170c)들의 내부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지(170)자체의 무게와 화물차량 및 적재물의 무게를 상기 카운터웨이터(190)의 무게가 많이 상쇄시키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처럼 상부수평부재와,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구성된 카운터웨이터의 상부면에 시브들과 연결된 카리프트본체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카리프트본체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케이지를 보다 쉽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카운터웨이터로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가 제공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수평부재와,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구성된 카운터웨이터의 상부면에 시브들과 연결된 카리프트본체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카리프트본체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케이지를 정밀하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카운터웨이터의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며 카운터웨이터에 의한 승강 중량감소로 막대한 에너지절감을 목적으로 한 새로운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13)과,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과,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2시브(16a,16b)와,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고, 일,타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화물차량 리프트에 있어서
일측 상기 제2시브(16b)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0)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와 연결설치되고, 타측 상기 제2시브(16b)와 상기 호이스트본체(10)의 타측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9)의 상부타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에 연결설치되어서, 상기 케이지(17)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착되어 다수개로 고정설치된 상부수평부재(19a)들과,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상부면 양측에 상기 제3시브(16c)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5)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하부에는 안착홈프레임(19b-1.19b-2)이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19b-2))의 사이에 메인웨이트부재(19c)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들의 전,후방면에 삽입되는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과 양측면에 연결부(19c-1)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되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일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며,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타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2)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의 하부면과 양측면과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의 양 상기 제3시브(16c)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부(19e)가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부(19e)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설치된 가이드와이어(19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부(19e)는 본체(19e-1)에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설치된 가이드롤러(19e-2)와, 상기 가이드롤러(19e-2)는 상기 본체(19e-1)에 회동축(19e-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19e-2)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와이어(19f)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수평부재와,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구성된 카운터웨이터의 상부면에 시브들과 연결된 카리프트본체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카리프트본체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케이지를 정밀하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메인웨이트부재와, 보조웨이트삽입구로 카운터웨이터의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며 카운터웨이터에 의한 승강 중량감소로 막대한 에너지절감을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평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리프트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트웨이트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본체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평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터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리프트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리프트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리트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본체(10)와, 모터(11)와, 동력연결축(13)과, 와이어드럼(14)과, 와이어(15)와, 제1,2,3시브(16a,16b,16c)와, 케이지(17)와, 시브(18)와, 카운터웨이터(19)로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0a)들과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0b)들로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모터(11)와, 상기 동력연결축(13)과, 상기 메인드럼(14)과, 상기 와이어(15)와, 상기 제1,2,3시브(16a,16b,16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동력연결축(13)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변환부(12)에는 감속기(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터(11)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모터(11)와 연계되고, 상기 카리프트본체(10)상에 설치된 메인브레이크(11a)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브레이크(11a)는 상기 모터(11)에 구동되어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동력변환부(12) 및 상기 동력연결축(13)을 통해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전달되고, 상기 와이어드럼(14)에 감입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제1,2시브(16a,16b) 및 상기 케이지(17)의 상기 시브(18)들에 차례로 감압되어 구동되어 화물차량을 실은 상기 케이지(17)가 건설공사현장의 수직지하통로(17b)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프레임빔(17a)의 내부에 다수개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내에서 승강되는데, 상기 케이지(17)가 상기 수직프레임빔(17a) 및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측에서 승강시 비상상황발생시 또는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시 상기 수직프레임빔(17a) 및 상기 가이드체인(17c)들 내에서 상기 케이지(17)의 승강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드럼(14)은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2시브(16a,16b)는 상기 호이스트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시브(16a,16b)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부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설치된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부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17)는 화물차량이 출입하여 상기 화물차량을 상기 케이지(17)상에 승차시켜 실어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빔(17a)은 공사현장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이동통로(17b)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빔(17a)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부에서 상하로 상기 케이지(17)가 승강되도록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체인(17c)의 상부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그 하부는 상기 수직이동통로(17b)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지하피트프레임(17d)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체인(17c)는 4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일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타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상기 케이지(17)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일측 상기 제2보조드럼(16b)과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0)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타측 상기 제2시브(16b)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9)의 상부타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에 연결설치되어서, 상기 케이지(17)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착되어 다수개로 고정설치된 상부수평부재(19a)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상부면 양측에 상기 제3시브(16c)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5)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하부에는 안착홈프레임(19b-1.19b-2))이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19b-2))의 사이에 메인웨이트부재(19c)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들의 전,후방면에 삽입되는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과 양측면에 연결부(19c-1)가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일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타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2)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일,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일,타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2)의 일,타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는 것은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가 상기 안착홈프레임(19b-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의 하부면과 양측면과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의 하부면과 양측면과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은;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가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에서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의 양 상기 제3시브(16c)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부(19e)가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부(19e)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설치된 가이드와이어(19f)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의 양 상기 제3시브(16c)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부(19e)가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부(19e)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설치된 가이드와이어(19f)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과 상기 메인웨이트부(19c)들과,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구성된 상기 카운터웨이트(19)와, 상기 카운트웨이트(19)의 구성인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상부면에 설치된 양 상기 가이드롤러부(19e)가 상기 가이드와이어(19f)에 안내되도록 승강되게 하여로 상기 카운트웨이트(19)가 승강시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승강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부(19e)는 본체(19e-1)에 서로 거리를 두과 복수개로 설치된 가이드롤러(19e-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19e-2)는 상기 본체(19e-1)에 회동축(19e-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가이드롤러(19e-2)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와이어(19f)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와,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와,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구성된 상기 카운터웨이터(19)의 상부면에 상기
제1,2,3시브(16a,16b,16c)들과 연결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에서 구동되고 상기 와이어(15)와 연결되어, 리프트에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에서 발생된 구동력으로 승강되고 화물차량이 승차되는 상기 케이지(17)를 정밀하고 손쉽게 승강시켜 공사현장 수직지하통로의 일측 상부 출입구(20a)와, 수직지하통로의 타측 공사현장 하부출입구(20b)로 화물차량을 손쉽게 출입시키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와,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상기 카운터웨이터(19)의 중량을 보다 정밀하고 손쉽게 조정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카리프트본체 11: 모터
12: 구동변환부 13: 동력연결축
14: 와이어드럼 15: 와이어
16a: 제1시브 16b: 제2시브
17: 케이지 18: 시브
19: 카운터웨이터 19a: 상부수평부재
19a-1,19a-2: 안착프레임 19c: 메인웨이트부재
19d: 보조웨이트삽입구 19d: 보조웨이트삽입구
19e:가이드롤러부 19e-1: 본체
19e-2: 가이드롤러 19e-3: 회동축

Claims (6)

  1.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13)과,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13)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과,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2시브(16a,16b)와,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고, 일,타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화물차량 리프트에 있어서
    일측 상기 제2시브(16b)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0)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와 연결설치되고, 타측 상기 제2시브(16b)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후방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운터웨이터(19)의 상부타측에 설치된 상기 제3시브(16c)에 연결설치되어서, 상기 케이지(17)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터(19)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착되어 다수개로 고정설치된 상부수평부재(19a)들과,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상부면 양측에 상기 제3시브(16c)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5)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수평부재(19a)들의 하부에는 안착홈프레임(19b-1.19b-2))이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19b-2))의 사이에 메인웨이트부재(19c)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고,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들의 전,후방면에 삽입되는 보조웨이트삽입구(19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과 양측면에 연결부(19c-1)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되고,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일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1)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며, 상기 메인웨이트부재(19c)의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19c-1)들의 타측면이 상기 안착홈프레임(19b-2)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관통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웨이트삽입구(19d)의 하부면과 양측면과 상기 메인웨이트부(19c)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부재(19a)의 양 상기 제3시브(16c)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부(19e)가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부(19e)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설치된 가이드와이어(19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19e)는 본체(19e-1)에 서로 거리를 두과 복수개로 설치된 가이드롤러(19e-2)와, 상기 가이드롤러(19e-2)는 상기 본체(19e-1)에 회동축(19e-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양 상기 가이드롤러(19e-2)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와이어(19f)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트.
KR1020160145847A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KR10263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47A KR10263673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47A KR10263673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53A true KR20180049653A (ko) 2018-05-11
KR102636731B1 KR102636731B1 (ko) 2024-02-14

Family

ID=6218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847A KR10263673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7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8929A (ko) * 1985-05-08 1986-12-19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장치
KR20000025369A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EP1006071A1 (de) *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Aufzug mit zwei Antrieben
KR20080003785A (ko) * 2005-03-12 2008-01-08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엘리베이터
KR20140046271A (ko) * 2012-10-10 2014-04-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방화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8929A (ko) * 1985-05-08 1986-12-19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장치
KR20000025369A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EP1006071A1 (de) *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Aufzug mit zwei Antrieben
KR20080003785A (ko) * 2005-03-12 2008-01-08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엘리베이터
KR20140046271A (ko) * 2012-10-10 2014-04-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방화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731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6355B1 (en) Elevator system
CN105384039A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CN205294551U (zh) 一种多方开门的电梯
JP2012166947A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EP1533265A1 (en) Elevator
CN102745578A (zh) 一种电梯装置
AU2009349981B2 (en) Improved lifting mechanism for elevator
WO2013186890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5417319B (zh) 一种多方开门的电梯
KR20180049653A (ko)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EP1717184B1 (en) Elevator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CN206395669U (zh) 具有逃生功能的电梯
CN107246203A (zh) 一种快速提升库门
EP1795484B1 (en) Elevator apparatus
CN216785408U (zh) 电梯超高低音运行驱动机电一体化智能联动结构
US20240017964A1 (en) Construc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2687699U (zh) 一种电梯装置
CN212356134U (zh) 一种防晃动减震电梯
CN210457084U (zh) 曳引绳的端接装置以及家用电梯
CN211712395U (zh) 一种往复式提升机
CN212475696U (zh) 偏置电梯布置结构
CN208700371U (zh) 一种钢结构电梯轿厢保护装置
CN113911952B (zh) 一种移动站台车升降装置
CN213568993U (zh) 一种电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