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027A - 액체 댐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댐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027A
KR20180049027A KR1020187009526A KR20187009526A KR20180049027A KR 20180049027 A KR20180049027 A KR 20180049027A KR 1020187009526 A KR1020187009526 A KR 1020187009526A KR 20187009526 A KR20187009526 A KR 20187009526A KR 20180049027 A KR20180049027 A KR 2018004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amper
rotating body
liquid
dam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267B1 (ko
Inventor
카케루 카가타
쇼고 코지마
유키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2Brakes with direct 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actu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 or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with forced flui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8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16F9/125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characterised by adjustment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4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 H02K49/106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with a radial air ga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6Fluid filling 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 F16F2230/183Control arrangement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2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회전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회전체(100)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1)으로서, 회전체(100)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액체가 봉입된 케이스(11) 내에 액체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충돌할 수 있는 충돌부(14)가 설치된 액체 댐퍼(10)와,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2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 댐퍼 시스템
본 발명은 회전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세탁기에는, 세탁조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세탁조에 액체 밸런서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액체 밸런서는 원환 형상의 용기에 액체가 봉입되어 있고, 용기의 내부에 복수의 장해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의 발생시에 액체가 장해부에 충돌함으로써 액체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서 에너지의 발산이 행해져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143287호 공보
일반적으로, 회전체의 회전수가 회전체의 고유 진동수에 일치하면 매우 큰 진동(주공진)이 생긴다. 회전체가 가감속하면서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를 통과할 경우나,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 이외에서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 생기는 진동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의 액체 밸런서와 같은 액체 댐퍼에서도 진동의 억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는, 회전체의 진동 주위에 의한 공전과 회전체의 자전이 일치하기 때문에 회전체와 액체 댐퍼 내의 액체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액체가 원심력에 의해 액체 댐퍼의 내벽면에 붙어서 움직이지 않게 되고, 액체의 충돌에 의한 에너지의 발산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회전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으로서, 상기 회전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액체가 봉입된 케이스 내에 상기 액체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충돌할 수 있는 충돌부가 설치된 액체 댐퍼와, 상기 액체 댐퍼를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댐퍼 시스템에서는, 상대회전 수단에 의해서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의 진동 주위에 의한 회전체의 공전과 액체 댐퍼의 자전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와 액체 댐퍼 내의 액체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할 일이 없고, 액체가 원심력에 의해 액체 댐퍼의 내벽면에 붙어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액체가 충돌부에 충돌함으로써 액체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서 에너지의 발산이 행하여지므로,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가 회전할 때의 공기저항을 증대시키는 공기저항 부여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저항 부여부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댐퍼가 회전할 때에 액체 댐퍼에 회전저항이 작용하여 액체 댐퍼의 회전속도가 회전체보다 느려진다. 그 결과,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 부여부는 상기 액체 댐퍼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이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액체 댐퍼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공기저항 부여부로 함으로써 공기저항 부여부의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판 형상 부재를 액체 댐퍼의 외주면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저항의 작용 위치와 액체 댐퍼의 회전중심의 거리가 커지므로 액체 댐퍼에 작용하는 회전저항 토크가 증대한다. 따라서, 액체 댐퍼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끝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액체 댐퍼 시스템이 지름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액체 댐퍼 시스템을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회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는 형상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판 형상 부재가 상술의 형상이면, 액체 댐퍼의 회전시에 공기가 판 형상 부재를 따라서 원심 방향 외측으로 방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강한 공기저항을 판 형상 부재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체압을 작용시키도록 유체를 분출하는 유체 분출 수단을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체 분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판 형상 부재에 작용하는 회전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케이스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에 설치된, 전자작용을 받는 피전자 작용부와, 상기 피전자 작용부에 전자작용을 끼치는 전자 작용부를 갖는 브레이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대회전 수단을 전자식의 브레이크 기구로 하면, 액체 댐퍼가 회전할 때에 액체 댐퍼에 브레이크를 작용시킴으로써 액체 댐퍼의 회전속도를 회전체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작용부 및 피전자 작용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림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액체 댐퍼에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기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액체 댐퍼에 회전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는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변경 가능한 가변속 모터이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체 댐퍼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의 진동의 형태에 따라서 액체 댐퍼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진동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는, 액체 댐퍼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와 액체 댐퍼 내의 액체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검증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 댐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댐퍼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회전체(100)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100)의 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지만, 회전체(100)의 축 방향은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이라도 된다.
액체 댐퍼 시스템(1)은 액체 댐퍼(10)를 갖는 댐퍼 시스템이다. 액체 댐퍼(10)는 케이스(11)에 형성된 내부공간(12)에 액체(13)가 봉입되어서 구성되어 있고, 회전체(100)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체(100)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13)로서 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액체(13)의 종류는 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 댐퍼(10)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체(100)의 외주면에는 원통 향싱의 보스(101)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보스(101)의 외주면에는 상하에 2개의 베어링(102)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102)으로서 볼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볼 베어링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스(101)의 외주면의 상부에는 단차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베어링(102)은 이 단차부(101a)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스(101)에 밖으로 끼워져 있다. 상측의 베어링(102)의 하방에는, 순서대로 제1스페이서(103), 하측의 베어링(102), 제2스페이서(104) 및 록킹 부재(105)가 보스(101)에 밖으로 끼워져 있다. 록킹 부재(105)는, 예를 들면 C링이며, 보스(10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101b)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제2스페이서(104)와 록킹 부재(105) 사이에는 접시 스프링이나 파형 와셔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싱 부재(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어싱 부재(106)에 의해서 2개의 베어링(102)이 단차부(101a)측으로 바이어싱됨으로써 베어링(102)에 적절한 예압이 부여된다. 각 베어링(102)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O링(107)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102)의 내륜(102a)은 보스(101)에 고정되고, 외륜(102b)은 액체 댐퍼(10)의 케이스(11)에 고정된다. 액체 댐퍼(10)는 베어링(102)의 마찰에 의해서 회전체(100)와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진동 억제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어서, 액체 댐퍼(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체 댐퍼(10)는 케이스(11)에 형성된 내부공간(12)에 액체(13)가 봉입된 기본구성을 갖는다. 케이스(11)는 주로, 케이스 본체(11a)와 덮개 부재(11b)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11a)는 회전체(100)를 삽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중심에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원환 형상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공간(12)의 상부는 개구가 되어 있고, 이 개구를 막도록 덮개 부재(11b)가 케이스 본체(11a)의 상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원심 방향 외측(지름 방향 외측)의 내벽면(11c)에는, 이 내벽면(11c)으로부터 내부공간(12)을 향해서 돌출하여, 액체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충돌할 수 있는 판 형상의 충돌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14)는 둘레 방향으로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충돌부(14)의 수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외주면에는 원심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고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21)는 둘레 방향으로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21)의 수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 댐퍼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체(100)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액체 댐퍼(10)는 베어링(102)의 마찰에 의해 끌려 회전한다. 액체 댐퍼(10)가 회전하면 판 형상 부재(21)에는 공기저항이 작용하고, 액체 댐퍼(10)에 대하여 회전저항이 발생한다.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서 회전저항도 커지고, 회전저항의 크기가 베어링(102)의 마찰력보다 커지면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는 회전체(100)에 대하여 느려지기 시작한다. 그 결과, 케이스(11)는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게 된다.
(효과)
본 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1)에서는, 판 형상 부재(21)로 이루어지는 상대회전 수단에 의해서 액체 댐퍼(10)를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100)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100)와 액체 댐퍼(10) 내의 액체(13)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할 일이 없고, 액체(13)가 원심력에 의해 액체 댐퍼(10)의 내벽면(11c)에 붙어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액체(13)가 충돌부(14)에 충돌함으로써 액체(13)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서 에너지의 발산이 행하여지므로, 주공진을 일으키는 회전수로 회전체(100)가 정상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도 회전체(10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액체 댐퍼 시스템(1)에 의한 회전체(100)의 진동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검증 실험은 회전체(100)에 액체 댐퍼(10)를 부착하지 않을 경우와, 회전체(100)에 액체 댐퍼(10)를 부착한 후에 액체 댐퍼(10)의 회전수를 회전체(100)와 같게 했을 경우(동기시켰을 경우)와, 회전체(100)에 액체 댐퍼(10)를 부착한 후에 액체 댐퍼(10)의 회전수를 회전체(100)와 다르게 했을 경우(비동기로 했을 경우)의 3케이스에 대해서 행하였다. 각 케이스에 있어서, 회전체(100)의 회전수를 소정 간격으로 크게 해 두고, 각 회전수로 정상 회전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회전체(100)의 진동값을 측정했다. 덧붙여서, 액체 댐퍼(10)를 설치할 경우, 판 형상 부재(21)를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액체 댐퍼(10)와 회전체(100)를 동기시키고, 판 형상 부재(21)를 부착함으로써 액체 댐퍼(10)와 회전체(100)를 비동기로 했다.
도 3은 검증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액체 댐퍼(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체(100)의 회전수가 1350rpm일 때에 큰 주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회전체(100)에 액체 댐퍼(10)를 부착해서(판 형상 부재(21)는 없음)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와 동기시켰을 경우, 주공진은 저감하기는 커녕, 오히려 액체 댐퍼(10)를 부착하기 전보다 증대했다. 이것은 액체 댐퍼(10)의 회전수가 회전체(100)와 같을 때에는 회전체(100) 및 액체 댐퍼(10) 내의 액체(13)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하고, 액체(13)의 충돌부(14)로의 충돌이 생기지 않게 됨으로써 에너지가 발산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한편, 액체 댐퍼(10)와 함께 판 형상 부재(21)를 부착하여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와 비동기로 했을 경우, 주공진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되고, 넓은 회전수 영역에서 회전체(10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액체(13)로서의 물이 내부공간(12)의 용적에 차지하는 비율은 약 17%이며, 액체(13)가 소량이여도 매우 큰 진동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원심력에 의해 액체(13)의 겉보기의 중량이 늘고, 충돌의 에너지가 커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액체 댐퍼(10)가 회전하면 액체 댐퍼(10) 내의 액체(13)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원심 방향 외측의 내벽면(11c)에 액체(13)가 붙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이 내벽면(11c)으로부터 내부공간(12)을 향해서 돌출하는 충돌부(14)를 설치함으로써 내벽면(11c)에 붙은 액체(13)가 한덩어리가 되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상 상태에서도 액체(13)의 충돌이 생김으로써 에너지를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액체 댐퍼(10)가 회전할 때의 공기저항을 증대시키는 공기저항 부여부(판 형상 부재(2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댐퍼(10)가 회전할 때에 액체 댐퍼(10)에 회전저항이 작용하고,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가 회전체(100)보다 느려진다. 그 결과,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저항 부여부는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21)이므로, 공기저항 부여부의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형상 부재(21)는 액체 댐퍼(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저항의 작용 위치와 액체 댐퍼(10)의 회전중심의 거리가 커지고, 액체 댐퍼(10)에 작용하는 회전저항 토크가 증대한다. 따라서,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22)를 지름 방향을 따른 형상이 아니라,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판 형상 부재(22)에 의하면, 액체 댐퍼(10)의 회전시에 공기가 판 형상 부재(22)를 따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방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도 4에 있어서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를 판 형상 부재(22)와 액체 댐퍼(10) 사이의 공간에 도입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강한 공기저항을 판 형상 부재(22)에 작용시킬 수 있다.
(변형예 2)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23)의 형상 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지만, 유체 분출 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유체 분출 수단(24)은 액체 댐퍼(10)의 주위에 복수 배치되어 있고, 분출구(24a)로부터 공기 등의 유체를 분출한다. 분출구(24a)가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의 대략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유체 분출 수단(24)은 판 형상 부재(23)에 대하여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체압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판 형상 부재(23)에 작용하는 회전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 분출 수단(24)의 개수나 배치는, 도 5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2실시형태]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1)에 있어서는,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전자식의 브레이크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기구(30)는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외주면에 설치된 도전체(31)(피전자 작용부)와, 액체 댐퍼(10)의 외주면에서 이간해서 설치된 코일(32)(전자 작용부)과, 코일(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33)를 갖는다. 또한, 도전체(31) 및 코일(32)의 개수나 배치는, 도 6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일(32)을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해도 된다.
전류 제어부(33)로부터 전류가 코일(32)에 공급되면, 전자유도에 의해서 코일(32)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과, 액체 댐퍼(10)에 설치된 도전체(31)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한 자속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브레이크력으로서 작용한다. 환언하면, 액체 댐퍼(10)가 회전할 때에 브레이크 기구(30)에 의해 액체 댐퍼(10)에 브레이크를 작용시킴으로써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00)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류 제어부(33)에 의해 코일(32)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코일(32)에 발생하는 자계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도전체(31)와 코일(32) 사이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00)의 진동의 형태에 따라서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진동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체(31)를 자성체로 구성하면, 보다 큰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큰 브레이크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작용부(32)를 코일 대신에 영구자석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류 제어부(33)를 생략할 수 있고, 상대회전 수단을 비교적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액체 댐퍼(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전자 작용부(31)를 영구자석으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코일(32)에 접속된 전류 제어부(33)에 의해 코일(32)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적당히 제어함으로써 큰 브레이크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형태]
도 7은 제3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댐퍼 시스템(1)에 있어서는,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기어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 기구(40)는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11d)와, 기어부(11d)에 맞물리는 기어(41)와, 기어(41)에 연결되고 회전체(100)에 대략 평행한 회전축(42)과, 회전축(42)에 도시하지 않은 출력축이 연결되고 회전축(42)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3)(구동부)를 갖는다. 모터(43)의 하우징(도시생략)은, 예를 들면 마찰이 거의 제로인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체(100)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체(100)나 액체 댐퍼(10)의 회전시에 모터(43)가 위치를 바꾸는 일이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액체 댐퍼(10)가 회전하면 기어(41)도 도 7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모터(43)를 액체 댐퍼(10)의 회전에 동기하는 기어(41)의 회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시키면, 모터(43)가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회전체(100)에 끌려 회전하려고 하는 액체 댐퍼(10)에는 회전저항이 작용하게 되고,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가 회전체(100)보다 느려진다. 그 결과,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43)는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변경 가능한 가변속 모터이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어(41)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00)의 진동의 형태에 따라서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진동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돌부(14)가 케이스(11)의 원심 방향 외측의 내벽면(11c)으로부터 내부공간(12)을 향해서 돌출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충돌부(14)를 케이스(11)의 원심 방향 내측의 내벽면으로부터 내부공간(12)을 향해서 돌출시켜도 좋고, 케이스(11)의 천장면이나 저면으로부터 내부공간(12)을 향해서 돌출시켜도 좋다. 또한, 원심 방향 내측의 내벽면으로부터 원심 방향 외측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전역에 걸쳐 설치되고, 둘레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나 노치부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를 충돌부(14)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충돌부(14)는 판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기둥 형상의 것이나 블록 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케이스(11)의 측면이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나 파 형상부를 충돌부(14)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1)의 내부공간(12)이 1실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내부공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칸막이벽을 설치하고, 내부공간(12)을 지름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분할된 각공간에 충돌부(14)가 설치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판 형상 부재(21∼23)를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외주면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판 형상 부재(21∼23)를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끝면(상면이나 하면)에 설치해도 된다. 일례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25)를 액체 댐퍼(10)(케이스(11))의 상면(11e)에 설치하고 있지만, 상면(11e)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판 형상 부재(25)를 하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체 댐퍼 시스템(1)이 지름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액체 댐퍼 시스템(1)을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피전자 작용부로서 액체 댐퍼(10)에 도전체(31)를 설치하고, 전자 작용부로서 액체 댐퍼(10)의 주위에 코일(32)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피전자 작용부로서 액체 댐퍼(10)에 코일을 설치하고, 전자 작용부로서 액체 댐퍼(10)의 주위에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이동시켜서 액체 댐퍼(10)와의 이간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3실시형태에서는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00)보다 느리게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00)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상대속도가 생기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2(도 5 참조)의 유체 분출 수단(24)의 방향을 변경하고,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으로 유체압을 작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제3실시형태(도 7 참조)에 있어서 모터(43)에 의해 액체 댐퍼(10)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00)보다 빠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액체 댐퍼(10)의 회전 방향과 회전체(100)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2(도 5 참조)의 유체 분출 수단(24)으로부터의 유체의 분출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제3실시형태(도 7 참조)에 있어서 모터(42)에 의해 액체 댐퍼(10)를 회전체(100)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1 : 액체 댐퍼 시스템
10 : 액체 댐퍼
11 : 케이스
11d : 기어부
12 : 내부공간
13 : 액체
14 : 충돌부
21∼23 : 판 형상 부재(상대회전 수단, 공기저항 부여부)
24 : 유체 분출 수단
30 : 브레이크 기구(상대회전 수단)
31 : 도전체(피전자 작용부)
32 : 코일(전자 작용부)
33 : 전류 제어부
40 : 기어 기구(상대회전 수단)
41 : 기어
43 : 모터(구동부)
100 : 회전체

Claims (15)

  1. 회전체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으로서,
    상기 회전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액체가 봉입된 케이스 내에 상기 액체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충돌할 수 있는 충돌부가 설치된 액체 댐퍼와,
    상기 액체 댐퍼를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가 회전할 때의 공기저항을 증대시키는 공기저항 부여부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댐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 부여부는 상기 액체 댐퍼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인 액체 댐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댐퍼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끝면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댐퍼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액체 댐퍼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회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는 형상을 갖는 액체 댐퍼 시스템.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체압을 작용시키도록 유체를 분출하는 유체 분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에 설치된, 전자작용을 받는 피전자 작용부와,
    상기 피전자 작용부에 전자작용을 끼치는 전자 작용부를 갖는 브레이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댐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자 작용부는 도전체이며, 상기 전자 작용부는 영구자석인 액체 댐퍼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자 작용부는 도전체이며, 상기 전자 작용부는 코일인 액체 댐퍼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자 작용부가 자성체인 액체 댐퍼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자 작용부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 작용부는 코일인 액체 댐퍼 시스템.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 가능한 전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액체 댐퍼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회전 수단으로서,
    상기 액체 댐퍼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액체 댐퍼에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기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댐퍼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변경 가능한 가변속 모터인 액체 댐퍼 시스템.
KR1020187009526A 2015-10-07 2016-06-24 액체 댐퍼 시스템 KR102027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9097 2015-10-07
JPJP-P-2015-199097 2015-10-07
PCT/JP2016/068859 WO2017061147A1 (ja) 2015-10-07 2016-06-24 液体ダンパ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027A true KR20180049027A (ko) 2018-05-10
KR102027267B1 KR102027267B1 (ko) 2019-10-01

Family

ID=5848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526A KR102027267B1 (ko) 2015-10-07 2016-06-24 액체 댐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83564B2 (ko)
EP (1) EP3361120A4 (ko)
JP (1) JP6539745B2 (ko)
KR (1) KR102027267B1 (ko)
CN (1) CN108138887B (ko)
TW (1) TWI700446B (ko)
WO (1) WO2017061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720B1 (ko) * 2017-03-31 2020-11-17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제진 장치 및 보빈 홀더 시스템
JP6770019B2 (ja) * 2018-05-10 2020-10-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複数のモータが1つの動作軸を駆動する駆動装置、及び駆動装置を備えるロボット
CN109505908A (zh) * 2018-12-28 2019-03-22 江阴凯迈机械有限公司 销杆粘滞滑动轴承式阻尼器
CN113833777B (zh) * 2021-11-25 2022-03-22 东营昱辰技术有限公司 一种油田用具有缓冲功能的梁式抽油机辅助刹车装置
CN114623199A (zh) * 2022-03-31 2022-06-1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扭转减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515A (ja) * 2004-10-14 2006-04-27 Atom Livin Tech Co Ltd ロータリダンパ回転制御装置
JP2012143287A (ja) 2011-01-07 2012-08-02 Sharp Corp 洗濯機
JP2013185649A (ja) * 2012-03-08 2013-09-19 Nifco Inc 回転ダンパ
JP2014125177A (ja) * 2012-12-27 2014-07-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437U (ko) * 1989-12-12 1991-08-20
GB9801780D0 (en) * 1998-01-29 1998-03-25 Rover Group A roll damper arrangement
KR100640866B1 (ko) * 2004-09-0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밸런서
JP4254696B2 (ja) * 2004-11-22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自動平衡装置、回転駆動装置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ITTO20070412A1 (it) 2007-06-11 2008-12-12 Antonino Cultraro Smorzatore rotativo con innesto unidirezionale.
CN201265619Y (zh) 2008-09-27 2009-07-01 翟羽倬 一种单向旋转缓冲器
CN102927188A (zh) 2011-08-12 2013-02-13 北京中金社文化有限公司 一种阻尼机构
US9362812B2 (en) 2012-09-18 2016-06-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haft coupling apparatus, rotary fluid damper, and deployable device with magnetic coupling mechanism
JP5925672B2 (ja) 2012-12-27 2016-05-25 株式会社構造計画研究所 減衰装置、及び構造物の制振装置
US20150159722A1 (en) * 2013-12-05 2015-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orsional keyed sleeve fluid damper
EP3169454B1 (en) * 2014-07-14 2018-04-18 Stoneage, Inc. Isolated bearing viscous speed retarding device for rotary nozz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515A (ja) * 2004-10-14 2006-04-27 Atom Livin Tech Co Ltd ロータリダンパ回転制御装置
JP2012143287A (ja) 2011-01-07 2012-08-02 Sharp Corp 洗濯機
JP2013185649A (ja) * 2012-03-08 2013-09-19 Nifco Inc 回転ダンパ
JP2014125177A (ja) * 2012-12-27 2014-07-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1120A4 (en) 2019-06-26
WO2017061147A1 (ja) 2017-04-13
TWI700446B (zh) 2020-08-01
JPWO2017061147A1 (ja) 2018-07-26
US10883564B2 (en) 2021-01-05
JP6539745B2 (ja) 2019-07-03
EP3361120A1 (en) 2018-08-15
KR102027267B1 (ko) 2019-10-01
CN108138887B (zh) 2019-11-22
TW201713872A (zh) 2017-04-16
CN108138887A (zh) 2018-06-08
US20180298981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9027A (ko) 액체 댐퍼 시스템
JP6818506B2 (ja) 高速において回転機械のロータのバランスを取るためのバランス方法
JP5750280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JP6423891B2 (ja) 発電機が設けられた油圧振動抑制装置
JP5925672B2 (ja) 減衰装置、及び構造物の制振装置
JP6766026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ー
KR102179720B1 (ko) 제진 장치 및 보빈 홀더 시스템
CN103107642A (zh) 一种飞轮储能转子轴
KR10128975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WO2010117069A1 (ja) 制振構造
JP2013148186A (ja) ねじり動吸振器および回転電機
JP5118221B2 (ja) フライホイール装置
JP5883061B2 (ja) 軸受部品の飛散防止部材を備える電動機
WO2013031304A1 (ja) 制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499594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clutch apparatus with low permeability drums
KR101722659B1 (ko) 수직형 풍력발전기
TW202147745A (zh) 動平衡裝置及維持動平衡且兼具減少振動之方法
JP2011214698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7098141B2 (ja) Mr流体装置
US11221010B2 (en) Apparatus for a counterbalance for an eccentric motor
JP2013062912A (ja) 回転電機の冷却構造
JP2019213281A (ja) 回転電機のロータ、及び回転電機
JP2017104807A (ja) 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