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299A -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 Google Patents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299A
KR20180047299A KR1020160143263A KR20160143263A KR20180047299A KR 20180047299 A KR20180047299 A KR 20180047299A KR 1020160143263 A KR1020160143263 A KR 1020160143263A KR 20160143263 A KR20160143263 A KR 20160143263A KR 20180047299 A KR20180047299 A KR 2018004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harging
movable roll
moving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150B1 (ko
Inventor
정해권
서경원
임인택
김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4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50B1/ko
Priority to PCT/KR2016/014841 priority patent/WO2018079933A1/ko
Priority to JP2019522328A priority patent/JP2019536967A/ja
Priority to EP16919841.3A priority patent/EP3534098A4/en
Priority to CN201680090525.6A priority patent/CN109891175A/zh
Publication of KR2018004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F27D3/028Roller rails or succession of small sized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2Transforming a single row in a multiple r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roller tr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85Movement of the container or support of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93Movement on a slo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를 저장기에 장입하도록 원료공급부와 저장기 사이에 구비되는 장입슈트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로서, 상기 장입 슈트는 상기 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롤을 포함하고, 조업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소결배합원료의 장입 패턴을 제어하여 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Charging apparatus for raw materi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업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 제조 공정은 분철광석과 부원료 및 연료(분코크스, 무연탄) 등을 드럼 믹서에 넣고 혼합 및 조습을 하여 의사입자화한 소결배합원료를 소결대차에 장입한다.
이러한 소결배합원료는 경사판, 다수의 롤 또는 로드로 구성된 장입슈트를 이용하여 소결대차에 장입된다. 장입슈트는 소결배합원료 중 입자 크기가 크고 무거운 입자는 소결대차의 하층부에 장입되고, 이보다 입자 크기가 작고 가벼운 입자는 상단부에 장입되도록 입도편석을 일으켜 소결 과정 중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편석 장입을 유도하며 원료층을 형성한다.
한편, 소결광 제조에 있어서 원료층의 높이(층후) 변동이나, 소결배합원료 중 수분 함유량 또는 입도 변화 등과 같은 조업 변동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른 장입 패턴의 변동이 불가피하다. 예컨대 통상의 조업보다 층후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장입슈트의 최하단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압장입이 발생하게 되므로 장입슈트의 최하단 높이를 낮추거나 장입슈트의 기울기를 감소시켜 소결배합원료의 이동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소결배합원료 중 비교적 많은 수분이 함유된 경우에는 소결배합원료 중 미분 원료가 장입슈트에 부착되어 장입슈트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배합원료의 이동속도가 저감하므로 소결배합원료의 이동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입슈트의 기울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통상의 조업보다 층후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장입슈트의 하단부가 원료층에 접촉하여 표층부의 압하가 이루어져 소결 공정 시 통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업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주변 설비와의 관계가지 고려하여 장입슈트의 높이나 기울기를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1-0058259A KR 2001-0098102A
본 발명은 조업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조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층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를 저장기에 장입하도록 원료공급부와 저장기 사이에 구비되는 장입슈트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로서, 상기 장입 슈트는 상기 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롤은 상기 장입슈트에서 상기 원료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최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실린더, 스크류 샤프트 및 유압 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롤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장입 방법은,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장입슈트를 이용하여 저장기에 원료를 장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입 슈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원료를 상기 장입 슈트에 공급하여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원료의 입자 크기, 상기 원료의 수분 함유량 및 상기 원료의 장입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슈트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가동롤을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료가 상기 장입슈트를 이탈하는 속도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동롤을 이동시켜 상기 가동롤과 인접한 롤과 이격시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료를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료 중 일부를 상기 공간으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기에 형성되는 원료층의 상층부에 장입할 수 있다.
상기 원료를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롤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은, 조업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소결배합원료의 장입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입슈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최하단부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결배합원료가 장입슈트에서의 이탈하는 속도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업 변동에 따라 장입 패턴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소결 대차 내 원료층의 장입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소결 과정에서 원료층 내 통기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정한 강도를 갖는 소결광을 제조함으로써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구성하는 장입슈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입슈트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롤을 구동하기 위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를 장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 호퍼(100)와 드럼피더(120)를 포함하는 원료공급부와, 장입슈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 호퍼(100)는 미분 철광석, 부원료 및 미분 코크스 등의 배합 원료(1)를 호퍼게이트(110)를 거쳐 드럼피더(120)로 공급하고, 드럼피더(120)는 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배합 원료(1)를 혼합하여 장입 슈트(130)로 불출한다.
장입 슈트(130)는 원료 호퍼(1)와 소결대차(200) 사이에 구비되어 원료 호퍼(1)에서 배출되는 배합 원료(1)를 소결대차(200)에 장입한다. 장입슈트(130)는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그 상부에 배합 원료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장입슈트(130)는 면적을 갖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이동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장입슈트(130)가 면적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장입슈트(130)의 횡단면 형상은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장입슈트(130)는 소결대차(200)의 하부에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큰 배합원료가 장입되고, 상부에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작은 배합원료가 장입되도록 수직편석을 조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료장입장치를 이용하여 소결대차(200)에 배합 원료(1)가 장입되어 원료층이 형성되면, 소결대차(2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구비되는 표면고름판(140)에서 원료층의 표층부가 평탄화될 수 있다. 이어서 표면고름판(14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점화로(150)에서 표층부가 점화되고, 소결대차(200)가 소결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윈드박스의 흡인력에 의해 소결대차(200) 내 배합원료 중 연료 물질, 예컨대 미분 코크스가 연소되면서 소결광이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구성하는 장입슈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입슈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롤을 구동하기 위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입슈트(130)는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배합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롤(13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입슈트(130)는 복수의 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배합원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는 고정롤(132)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는 그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동롤(131)일 수 있다. 이때, 고정롤(132)은 장입슈트(130)의 길이방향에서 상부로부터 구비될 수 있고, 가동롤(131)은 장입슈트(130)의 길이방향에서 하부로부터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가동롤(131)은 장입슈트(130)의 형성되는 이동경로로부터 배합원료가 이탈하는 장입슈트(130)의 최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장입슈트(130)의 최하단에 가동롤(131)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최하단에 구비되는 롤을 포함하여 장입슈트(130)의 하부로부터 2 내지 3개 정도의 롤을 가동롤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롤(132)은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배합원료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롤(132)에 의해 형성되는 배합원료의 이동 경로는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롤(132)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배합원료의 이동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배합원료의 장입량, 배합원료 중 수분 함유량 및 배합원료의 입도에 따라 그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가동롤(131)은 장입슈트(130)의 최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 예컨대 연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동롤(131)은 고정롤(132)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롤과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동롤(131)은 조업 조건, 예컨대 층후 변동이나 배합원료의 입도나 배합원료 중 수분함유량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소결대차(200)로 배출되는 배합원료의 이동 거리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가동롤(13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승강수단(300) 및 가동롤(1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수단(300)은 실린더, 스크류 샤프트, 유압 잭 등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승강수단(300)으로 스크류 샤프트를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수단(300)은 가동롤(131)의 양쪽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310)과, 가동롤(131)을 지지프레임(3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롤(131)을 연결부재(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가동롤(131)과 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베어링 등과 같은 접속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은 가동롤(131)의 길이방향, 예컨대 장입슈트(130)의 폭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동롤(131)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프레임(310)은 가동롤(131)의 이동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지지프레임(310)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10)에는 파지부(314)가 구비될 수도 있고, 지지프레임(31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별도의 동력부(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지지프레임(310)을 회전시켜 가동롤(131)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롤(131)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미도시)와,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동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20)는 지지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지프레임(310)을 회전시키면, 연결부재(320)가 지지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동롤(13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접속부재(330)는 가동롤(131)이 회전하더라도 연결부재(320)에는 그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가동롤(131)과 연결부재(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330)는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일측은 고정측이 될 수 있고, 가동롤(131)에 연결되는 타측은 자유측이 될 수 있다.
구동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350)와, 구동기(35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가동롤(131)에 전달하는 운동전달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동전달부재(340)는 가동롤(131)과 접속부재(3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원료 장입 장치는 장입슈트(130)의 위치, 각도,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가동롤(13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업 조건의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가동롤(131)의 높이를 변경하면 소결대차(200)에 배합원료를 장입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장입슈트(130)의 최하단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업 조건의 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때, 가동롤(131)은 소결대차(200)에 장입 가능한 원료층의 최대 높이, 예컨대 층후 1500㎜에 대응하는 높이를 초기 높이로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초기 높이란 가동롤(13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최대 높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동롤(131)은 초기 높이에서 하향 이동만 가능하다. 이는 가동롤(131)을 상승시키게 되면 가동롤(131)이 배합원료가 이송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여 배합원료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층후 변동, 예컨대 소결대차(200)에 장입되는 원료층의 높이가 1500㎜보다 낮은 경우 그 높이 차이에 따라 가동롤(131)를 하향 이동시켜 배합원료가 장입슈트(130)를 이탈하는 높이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소결대차(200) 내 압장입이나 경장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배합원료를 소결대차에 장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를 장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장입슈트(130)를 구성하는 고정롤(132)과 가동롤(131)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고정롤(132)의 중심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1선(L1)이라 하고, 제1선(L1)은 고정롤(132)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롤(132)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1고정롤(132a)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선을 제2선(L2)이라 한다. 그리고 제1선(L1)과 제2선(L2)이 이루는 각도는 제1각도(a)이라 하며, 제1각도(a)는 고정롤(132) 상에서 배합원료가 이동하는 각도가 될 수 있다. 다만, 고정롤(132)이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합원료가 고정롤(132) 상부를 이동하는 동안 배합원료가 이동하는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롤(132a)의 중심과 가동롤(131)의 중심을 상호 연결한 선을 제3선(L3)라 하고, 가동롤(131)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선을 제4선(L4)이라 한다. 이때, 제3선(L3)과 제4선(L4)이 이루는 각도는 배합원료가 장입슈트(130)에서 이탈하는 각도인 제2각도(a0)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업 조건에 따라 가동롤(13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각도(a0)를 변경하여 배합원료가 장입슈트(130)로부터 이탈하는 높이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대차(200)에 장입할 수 있는 최대 높이(H0), 예컨대 1500㎜로 배합원료를 장입하는 경우 가동롤(131)은 초기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각도(a)와 제2각도(a0)는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대차(200)에 배합원료를 높이(H1)를 900㎜로 장입하는 경우, 가동롤(131)을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동롤(131)의 중심이 하향 이동하기 때문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선(L3)과 제4선(L4)이 이루는 제2각도(a1)는 가동롤(131)을 이동시키기 전 제3선(L3)과 제4선(L4)이 이루는 제2각도(a0)보다 증가하게 된다.
소결대차(200)에 형성되는 원료층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면, 배합원료는 장입슈트(130)에서 이탈하여 소결대차(200)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속도에 의해 압장입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롤(131)를 하향 이동시켜 가동롤(131)과 소결대차(200) 간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가동롤(131)과 소결대차(200) 간의 거리가 단축되면 장입슈트(130)를 이탈한 배합원료의 이동거리가 단축되고, 이동거리가 단축된 만큼 배합원료의 이동속도에 더해지는 가속도가 감소하여 소결대차(200) 내에서 압장입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합원료가 장입슈트(130)를 이탈하는 각도, 즉 제3선(L3)과 제4선(L4)이 이루는 각도(a1)가 증가하여 배합원료의 이동 경로가 변동되기 때문에 배합원료는 고정롤(132)에서의 이동 속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동롤(131)에서 이탈할 때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소결대차(200)에 장입됨으로써 압장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결대차(200) 내에 압장입이 억제 혹은 방지되면 원료층 내 통기성이 확보되어 소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균일한 강도를 소결광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롤(131)을 하강시키면 가동롤(131)과 제1고정롤(132a) 사이가 이격되고, 그 사이로 간에 비교적 입자 크기가 작은 배합원료, 예컨대 미분 코크스 등이 배출되어 소결대차(200) 내 원료층의 상층부에 장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은 배합원료가 소결대차(200) 내 원료층의 상층부에 장입되면 원료층 내 통기성이 향상되어 소결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소결광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는 가동롤(131)의 이동 거리, 즉 하향 이동 거리에 따라 제1고정롤(132a)과 가동롤(131) 간에 이격거리 및 가동롤(131)으로부터 배합원료의 이탈 각도(제2각도)를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내용은 하나의 예시로서 제1고정롤(132a)과 가동롤(131) 간 간격이나 제2각도의 수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하방향 이동 거리(h㎜) 제1고정롤과 가동롤 간 간격(p㎜) 제2각도(a1˚)
0 4.12 41.4
10 8.82 44.1
20 13.34 46.55
30 17.64 48.8
40 21.73 50.9
50 25.59 52.7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가동롤(131)을 하향 이동시키면, 가동롤(131)의 이동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고정롤(132a)과 가동롤(131) 간 간격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롤(132a)가 가동롤(131) 간 간격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소결대차(200) 내 원료층의 수직편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동롤(131)를 지나치게 많이 이동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동롤(131)의 이동거리가 증가할수록 가동롤(131)으로부터 배합원료의 이탈 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배합원료의 이탈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이 역시 소결대차(200) 내 원료층의 수직편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롤(131)을 적절하게 이동시켜 소결대차(200) 내 원료층의 장입패턴과 수직편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동롤(131)의 이동과 함께 소결대차(200)로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입자 크기, 수분 함유량 및 장입량에 따라 가동롤(13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배합원료의 입자 크기가 작거나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배합원료가 장입슈트(130)에 부착되거나 마찰에 의해 그 이동 속도가 감소하여 경장입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동롤(131)을 배합원료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합원료의 장입속도, 즉 장입슈트(130)를 이탈하는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때, 가동롤(131)은 배합원료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 소결대차(200)로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압장입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합원료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가동롤(131)을 회전시켜 배합원료의 장입 속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때, 가동롤(131)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에는 소결대차(200) 내 수직 편석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동롤(131)은 배합원료의 이동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결대차(200)에 배합원료를 장입하는 경우, 장입슈트(130)의 전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조업 조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소결대차(200) 내 장입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업 조건이 변동하더라도 소결대차(200) 내 압장입이나 경장입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통기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강도를 갖는 고품질의 소결광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배합원료 100 : 원료 호퍼
110 : 호퍼 게이트 120 : 드럼피더
130 : 장입 슈트 131: 가동롤
132: 고정롤 140 : 표면고름판
150 : 점화로 200 : 소결 대차
300: 승강수단 310: 지지프레임
314: 파지부 320: 연결부재
330: 접속부재 350: 구동기

Claims (13)

  1. 원료를 저장기에 장입하도록 원료공급부와 저장기 사이에 구비되는 장입슈트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로서,
    상기 장입 슈트는 상기 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롤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는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원료 장입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은 상기 장입슈트에서 상기 원료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최하단에 구비되는 원료 장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실린더, 스크류 샤프트 및 유압 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장치.
  7.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원료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장입슈트를 이용하여 저장기에 원료를 장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입 슈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원료를 상기 장입 슈트에 공급하여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원료의 입자 크기, 상기 원료의 수분 함유량 및 상기 원료의 장입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수행하는 원료 장입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 중 적어도 하나의 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장입슈트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가동롤을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료 장입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원료가 상기 장입슈트를 이탈하는 속도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원료 장입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을 이동시켜 상기 가동롤과 인접한 롤과 이격시켜 공간을 형성하는 원료 장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료를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료 중 일부를 상기 공간으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기에 형성되는 원료층의 상층부에 장입하는 원료 장입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료를 상기 저장기에 장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롤을 회전시키는 원료 장입 방법.
KR1020160143263A 2016-10-31 2016-10-31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10189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63A KR101892150B1 (ko) 2016-10-31 2016-10-31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PCT/KR2016/014841 WO2018079933A1 (ko) 2016-10-31 2016-12-16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JP2019522328A JP2019536967A (ja) 2016-10-31 2016-12-16 原料の装入装置及び装入方法
EP16919841.3A EP3534098A4 (en) 2016-10-31 2016-12-16 APPARATUS FOR LOADING RAW MATERIAL AND RELATED LOADING METHOD
CN201680090525.6A CN109891175A (zh) 2016-10-31 2016-12-16 原材料装载装置及其装载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63A KR101892150B1 (ko) 2016-10-31 2016-10-31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99A true KR20180047299A (ko) 2018-05-10
KR101892150B1 KR101892150B1 (ko) 2018-08-27

Family

ID=6218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63A KR101892150B1 (ko) 2016-10-31 2016-10-31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1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874A (ja) * 1993-03-26 1994-10-04 Nisshin Steel Co Ltd 回転体を介した焼結機パレットへの原料装入
JP2000018837A (ja) * 1998-06-30 2000-01-18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装入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8259A (ko) 1999-12-27 2001-07-05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KR20010098102A (ko) 2000-04-28 2001-11-08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72913B1 (ko) * 2012-06-05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KR101375561B1 (ko) * 2012-10-26 201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874A (ja) * 1993-03-26 1994-10-04 Nisshin Steel Co Ltd 回転体を介した焼結機パレットへの原料装入
JP2000018837A (ja) * 1998-06-30 2000-01-18 Kawasaki Steel Corp 焼結原料の装入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8259A (ko) 1999-12-27 2001-07-05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KR20010098102A (ko) 2000-04-28 2001-11-08 이구택 소결원료 장입상태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72913B1 (ko) * 2012-06-05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KR101375561B1 (ko) * 2012-10-26 2014-04-0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150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913B1 (ko)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CN206218872U (zh) 螺旋加料防尘整平平台移动装钵机
CN211255665U (zh) 一种均匀上料的玻璃窑炉
KR101892149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101326052B1 (ko)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KR101892150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180047298A (ko) 원료 장입 장치
CN209222209U (zh) 一种液压复合辊式破碎机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EP3534098A1 (en) Raw material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JP2005226113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CN212549827U (zh) 一种球磨机
CN106715728B (zh) 原料加载设备及加载方法
KR101373111B1 (ko) 원료의 장입장치
KR101723447B1 (ko)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CN108548419B (zh) 烧结机平料机构和烧结机平料方法
KR920007603B1 (ko) 소결될 원료를 소결기로 장입하기 위한 장치
CN207372844U (zh) 精磨机进料机构
KR101299331B1 (ko) 소결광 원료 저장 호퍼
CN102027143A (zh) 烧结原料装入方法及装置
CN110981230A (zh) 一种分槽升降式石灰立窑布料系统及布料方法
CN108160183A (zh) 一种生物医药研磨设备
KR101622284B1 (ko) 원료 장입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KR101977356B1 (ko) 원료 장입 장치
CN210528880U (zh) 一种浸出设备料层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