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29A - 임펠러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임펠러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29A
KR20180047129A KR1020160142877A KR20160142877A KR20180047129A KR 20180047129 A KR20180047129 A KR 20180047129A KR 1020160142877 A KR1020160142877 A KR 1020160142877A KR 20160142877 A KR20160142877 A KR 20160142877A KR 20180047129 A KR20180047129 A KR 2018004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old
blade
blo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480B1 (ko
Inventor
박종원
김경엽
이태훈
정연석
김순식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김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김순식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4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25Producing blades or the like, e.g. blades for turbines, propellers, or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 제조용 금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상단과 하단의 곡률이 상이한 임펠러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제조용 금형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한 금형의 블럭이 임펠러의 수직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의 곡률과 하단의 곡률이 어긋나게 형성된 허브와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를 제조한다. 이를 위하여 금형은 하부틀과, 복수의 삽입틀 및 상부틀을 포함한다. 하부틀은 상기 블럭의 일부가 상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블레이드부가 내부에 돌기된다. 상기 삽입틀은 상기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의 분리된 나머지부를 구성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틀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틀은 상기 임펠러가 사출되도록 상기 하부틀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금형의 블럭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1블레이드부와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부로 분리함으로써 임펠러와 금형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를 일체로 금형에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펠러 제조용 금형{Mold for manufacturing the impeller}
본 발명은 임펠러 제조용 금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상단과 하단의 곡률이 상이한 임펠러를 제조할 수 있는 금형에 대한 것이다.
임펠러는 일반적으로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허브 및 허브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로에 유체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임펠러는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 유체의 송출 효율이 많이 달라진다. 그래서 유체의 송출능률을 올리기 위하여 허브 및 블레이드의 형상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상단(3_1)이 중심부로 향할수록 하단(3_2)의 바깥으로 벗어나서 상단(3_1)의 곡률과 상단(3_2)의 곡률이 상이한 임펠러(1)가 개발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16-0015902호(공개일자 2016년 02월 15일)
블레이드의 형상이 단순한 임펠러의 경우에는 금형을 만들어 사출한 후 금형에서 임펠러를 분리시켜서 임펠러를 만든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임펠러(1)의 경우 금형을 제작하여 사출하면, 블레이드(3)와 블레이드(3) 사이의 공간에 금형의 블럭이 삽입된다. 이때 사출 후 금형에서 임펠러(1)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블레이드(3) 사이의 위치한 금형의 블럭이 임펠러(1)에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도 4에 같이 블레이드(3)의 상단(3_1)이 중심부로 향할수록 하단(3_2)의 바깥으로 벗어나서 상단(3_1)의 곡률과 상단(3_2)의 곡률이 상이하게 형성되면 블레이드(3) 사이에 위치한 금형은 임펠러(1)의 수직방향(a) 또는 원주방향(b)으로 슬라이딩할 수가 없어서 금형에서 임펠러(1)를 분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임펠러(1)를 일체형으로 하지 못하고, 블레이드(3)가 허브(5)에 조립되도록 하여 임펠러(1)를 제작하였다. 이 경우 공정이 복잡해지므로 작업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상단과 하단의 곡률이 상이하여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한 금형이 수직 및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어려운 임펠러도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제조용 금형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한 금형의 블럭이 임펠러의 수직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의 곡률과 하단의 곡률이 어긋나게 형성된 허브와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를 제조한다. 이를 위하여 금형은 하부틀과, 복수의 삽입틀 및 상부틀을 포함한다. 하부틀은 상기 블럭의 일부가 상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블레이드부가 내부에 돌기된다. 상기 삽입틀은 상기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의 분리된 나머지부를 구성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틀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틀은 상기 임펠러가 사출되도록 상기 하부틀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삽입틀은 상기 제2블레이드부에 결합된 몸체블럭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틀은 임펠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돌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삽입되는 임펠러홈과, 상기 몸체블럭이 삽입되는 블럭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금형의 블럭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1블레이드부와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부로 분리함으로써 임펠러와 금형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를 일체로 금형에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틀 및 삽입틀의 결합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삽입틀 및 임펠러의 사시도,
도 4는 도 1로 제작되는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제조용 금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으로 제작되는 임펠러(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 및 허브(5)로 구성된다. 이때 블레이드(3)는 상단(3_1)과 하단(3_2)의 곡률이 어긋나게 형성된다. 그래서 블레이드(3) 사이에 위치한 금형의 블럭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 블레이드(3)의 간섭으로 인하여 수직방향(a) 및 원주방향(b)으로 슬라이딩이 고정되어 금형의 블럭을 임펠러(1)에서 분리시키지 못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은 하부틀(10)과, 복수의 삽입틀(20) 및 상부틀(30)을 구비한다.
하부틀(10)은 임펠러홈(11) 및 블럭홈(13)이 형성된다. 임펠러홈(11)은 임펠러(1)가 사출되기 위한 홈으로서 임펠러(1)의 블레이드(3)가 형성되도록 임펠러홈(11)에는 제1블레이드부(15)가 돌기된다. 수지가 임펠러홈(11)에 사출되어 임펠러(1)의 블레이드(3)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임펠러홈(11)에 블레이드(3)와 블레이드(3) 사이의 빈공간의 크기에 해당하는 블럭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수지가 사출되어 블레이드(3)가 형성된 후 블레이드(3)와 블럭의 간섭 때문에 임펠러(1)를 임펠러홈(11)에서 인출할 수가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블레이드(3)와 블레이드(3) 사이의 빈공간의 크기에 해당하는 블럭을 임펠러(1)에서 수직방향(a)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부위와 원주방향(b)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부위로 분리한다. 이때 수직방향(a)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부위를 제1블레이드부(15)로 형성하여 임펠러홈(11)에 돌기되도록 형성시킨다.
블럭홈(13)은 삽입틀(20)을 하부틀(10)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삽입틀(20)의 몸체블럭(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삽입틀(20)은 몸체블럭(21)과 제2블레이드부(23)를 구비한다. 몸체블럭(21)은 삽입틀(20)이 하부틀(10)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블럭홈(13)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제2블레이드부(23)는 위에서 설명한 블레이드(3)와 블레이드(3) 사이의 빈공간의 크기에 해당하는 블럭에서 원주방향(b)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부위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2블레이드부(23) 및 제1블레이드부(15)가 합쳐지면 임펠러홈(11)에서 블레이드(3)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부틀(30)은 임펠러홈(11) 내에 수지가 사출되어 임펠러(1)가 성형되도록 하부틀(10)과 결합한다.
하부틀(10)에 삽입틀(20)을 삽입한 후 상부틀(30)을 체결하여 수지를 사출하면 임펠러홈(11) 내에서 임펠러(1)가 성형된다. 임펠러(1)가 성형된 후 상부틀(30)을 분리하면 하부틀(10)에서 삽입틀(20) 및 임펠러(1)를 꺼낼 수 있다. 하부틀(10)의 제1블레이드부(15)가 임펠러(1)에서 수직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부(23)가 원주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임펠러(1)와 삽입틀(20)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금형을 사용하면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상단(3_1)의 곡률과 하단(3_2)의 곡률이 어긋나서 금형에서 임펠러(1)를 분리하기 힘든 경우에도 임펠러(1)를 일체로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다.
1 : 임펠러 3 : 블레이드
5 : 허브 10 : 하부틀
11 : 임펠러홈 13 : 블럭홈
15 : 제1블레이드부 20 : 삽입틀
21 : 몸체블럭 23 : 제2블레이드부
30 : 상부틀

Claims (2)

  1.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한 금형의 블럭이 임펠러의 수직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의 곡률과 하단의 곡률이 어긋나게 형성된 허브와 블레이드를 구비한 상기 임펠러를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일부가 상기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블레이드부가 내부에 돌기된 상기 임펠러의 하부틀과,
    상기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의 분리된 나머지부를 구성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틀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틀과,
    상기 임펠러가 사출되도록 상기 하부틀과 결합되는 상기 임펠러의 상부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제조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틀은 상기 제2블레이드부에 결합된 몸체블럭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틀은 임펠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돌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삽입되는 임펠러홈과, 상기 몸체블럭이 삽입되는 블럭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제조용 금형.

KR1020160142877A 2016-10-31 2016-10-31 임펠러 제조용 금형 KR10189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77A KR101890480B1 (ko) 2016-10-31 2016-10-31 임펠러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877A KR101890480B1 (ko) 2016-10-31 2016-10-31 임펠러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29A true KR20180047129A (ko) 2018-05-10
KR101890480B1 KR101890480B1 (ko) 2018-09-28

Family

ID=6218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877A KR101890480B1 (ko) 2016-10-31 2016-10-31 임펠러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49B1 (ko) 2019-04-29 2021-03-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밀폐형 원심펌프 임펠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13B1 (ko) * 2015-10-28 2016-02-05 원강금속(주) 임펠러 주조용 주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480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4415B2 (en) Rotor for brushless motor
US3175757A (en) Rotor construction
US10267313B2 (en) Centrifugal pump impeller
EP3070337B1 (en) Fan impel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167531A1 (en) Rotor and electric motor
KR101890480B1 (ko) 임펠러 제조용 금형
CN106194756A (zh) 离心泵制造方法
US3801221A (en) Impel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impeller
CN104110392A (zh) 霍尔维克泵级的定子元件及制造方法和带该泵级的真空泵
CN106602764B (zh) 扭矩最佳化的转子和具有该类型转子的小型电动机
CN107428049B (zh) 用于制造叶轮的方法
CN202367909U (zh) 斜齿轮模具的复位机构及斜齿轮模具
US20180328197A1 (en) Stator
KR101528877B1 (ko) 팬용 허브조립체
US20150200579A1 (en) Motor r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77991B2 (ja) インペ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32800A (ko) 수지 몰드 스테이터 및 그 제조 방법
CN104362792A (zh) 电机及其转子组件
KR20140028508A (ko) 전동기 회전자의 원심 주조를 위한 금형 구조체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전동기 회전자
CN206686059U (zh) 一种振动电机
CN105612356A (zh) 送风用风扇的防振具
CN108473049B (zh) 具有盆状安装体的塑料容器
KR20200096207A (ko) 하나의 작업 단계로 생산되는 하우징
KR102392575B1 (ko) 펌프용 조립식 임펠러
JP2017129015A (ja) 樹脂製インペ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