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176A -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176A
KR20180046176A KR1020160141111A KR20160141111A KR20180046176A KR 20180046176 A KR20180046176 A KR 20180046176A KR 1020160141111 A KR1020160141111 A KR 1020160141111A KR 20160141111 A KR20160141111 A KR 20160141111A KR 20180046176 A KR20180046176 A KR 2018004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connecting device
power transmitting
trans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갑
Original Assignee
임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갑 filed Critical 임채갑
Priority to KR102016014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176A/ko
Publication of KR2018004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등의 유동 통로로서 제공되는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 파이프 연결장치를 파이프에 용이하게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를 메인 파이프에 대해 체결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를 구비하고, 잠금부는 기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조임장치는 상기 메인 파이프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동력 전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기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동력 구동수단과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위한 조임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AND TIGHTEN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유체 등의 유동 통로로서 제공되는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 파이프 연결장치를 파이프에 용이하게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공급에는 통상 파이프라 칭하는 내부가 중공된 유동관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와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등이 채용된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밸브 등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적절한 파이프 연결장치가 채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파이프 연결부재(3)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다른 파이프가 체결되는 파이프 또는 밸브의 단부, 즉 다른 파이프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 밸브 또는 파이프(1)에는 다른 파이프(2)가 삽입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명확한 구분을 위해서 밸브 또는 파이프(1)를 메인 파이프라 하고, 여기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파이프(2)를 연결 파이프라 칭한다. 메인 파이프(1)에 연결 파이프(2)를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파이프 연결장치(3)가 채용된다.
파이프 연결장치는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것이 존재한다. 도면에서 파이프 연결장치(3)는 몸체(31)를 구비하고, 몸체(31)의 외주면에는 잠금부(32)가 형성된다. 몸체(3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33)이 형성된다. 이 중공(33)을 통해서 연결 파이프(2)가 메인 파이프(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몸체(3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34)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메인 파이프(1)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34)와 체결되는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잠금부(32)는 외주면이 다각형, 예컨대 육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잠금부는(32)는 작업자가 조임장치, 예컨대 스패너(spanner) 또는 렌치(wrench)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장치(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파이프(1)에 연결 파이프(2)를 결합하는 경우, 작업자는 연결 파이프(2)를 파이프 연결장치(3)의 중공(33)을 통해서 메인 파이프(1)에 삽입하고, 렌치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장치(3)의 잠금부(3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파이프 연결장치(3)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하게 된다. 메인 파이프(1)로부터 연결 파이프(2)를 제거하는 동작은 잠금부(32)를 타측 방향, 즉 상기 일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파이프 연결장치(3)에는 이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할 때 연결 파이프(2)를 고정하여 연결 파이프(2)가 메인 파이프(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예컨대 가압 부재 등의 다양한 결합 부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에 파이프 연결장치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렌치 등의 조임장치가 채용된다. 조임장치로서는 다양한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92-0004185호(명칭: 파이프 렌치). 특허출원 특1993-0027438호(명칭: 파이프렌치), 특허출원 특1995-0034080호(명칭: 배관용 래치트 렌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6-0011955호(명칭: 파이프렌치 지지구),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96-0020319호(명칭: 파이프 랜치),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96-0020881호(명칭: 체인파이프 랜치), 특허출원 제10-2002-0026775호(명칭: 파이프 렌치), 특허출원 제10-2008-0125398호(명칭: 파이프렌치) 및 특허출원 제10-2014-0131467호(명칭: 휴대용 파이프 렌치) 등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임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수동식 파이프 렌치는 머리부와 손잡이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머리부를 파이프 연결장치의 잠금부(32)에 체결한 후 그 원주방향으로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방법으로 머리부와 잠금부(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연결장치는 체결되거나 해제된다. 수동식 파이프 렌치는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파이프 연결장치 등의 체결과 해제 동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전동식 파이프 렌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국제특허공개 WO 87/02609(명칭: 동력 파이프 렌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특1995-0036534호(명칭: 전동식 배관용 래치트 렌치), 특허출원 특1996-045800호(명칭: 휴대용 전동 파이프렌치) 및 특허출원 제10-2009-0027615호(명칭: 전동식 렌치)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파이프 연결장치의 잠금부(32)와 분리가 가능하게 체결되는 머리부와, 이 잠금부(32)를 예컨대 전기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전동식 파이프 렌치는 작업자가 단지 스위치 조작을 통해 파이프 연결장치를 체결 및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전동식 파이프 렌치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다각형 구조의 잠금부(32)와 체결되어 이를 회전 구동하게 되므로 그 구동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들에 대하여 범용성을 갖도록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의 설계 자유도가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급수 파이프 등과 같이 직경이 큰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에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커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파이프 연결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필연적으로 이를 파이프에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파이프 렌치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즉, 수동식 파이프 렌치의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필수적으로 이와 체결되는 머리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머리부에 상대적으로 큰 회전력을 가하기 위해 손잡이의 길이가 길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인 외형의 증대는 파이프 렌치의 크기 및 중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 렌치의 휴대성과 작업성을 대폭 저하시키게 된다. 전동식 파이프 렌치도 이와 마찬가지로, 파이프 연결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필수적으로 이와 체결되는 머리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서 그 중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파이프 렌치의 머리부의 크기 및 중량이 증가되면 이를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 구조의 크기 및 중량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 렌치의 전체적인 크기 및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파이프 렌치의 휴대성 및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심한 경우 파이프 렌치의 동력전달 구조와 그 동력원에 대한 구조 변경 및 개선이 요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전기, 공압 또는 유압식 동력장치를 적용하여 용이하게 체결 및 해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하여 적용가능하고, 작업자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체결하고, 메인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몸체와, 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몸체와 연동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파이프 연결장치를 체결할 때 상기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 파이프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톱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재 또는 동력 구동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조임장치는 메인 파이프에 나사 결합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하며, 메인 파이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잠금부를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동력 전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동력 구동수단과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외측에 기어 캡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잠금부와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동력 전달부재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부와 기어 결합을 위한 톱니가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한개 이상의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몸체 저면에는 상기 지지축과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동력 전달부재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몸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인되는 결합축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동력 전달부재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 링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상의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 구동수단은 전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조임장치는 메인 파이프에 나사 결합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하며, 메인 파이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잠금부를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측에 지지축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축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렌치 결합부를 구비하고, 전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렌치 결합부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동력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장치를 메인 파이프에 대해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에 대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체결 동작이 동력 구동수단에 의한 일정한 구동 토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메인 파이프에 대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체결 상태를 항상 안정적이면서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부 구성은 과장되게 묘사되거나 생략되었다. 또한 도면 전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3)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파이프 연결부재(3)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대해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조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동력 전달부재(40)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대해 조임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동력 전달부재(40)를 위한 동력 구동수단 중의 하나로서, 임팩트 렌치(8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지지 부재(50)에 대해 동력 전달부재(40)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와 그 조임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조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임팩트 렌치(80)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임팩트 렌치(80)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3)를 위한 기어 캡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파이프 연결장치(3)에 도 16의 기어 캡(160)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파이프 연결장치(10)는 메인 파이프(1)와 연결 파이프(2)를 이후에 다시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 또는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파이프(1)는 내부 중공을 통해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 또는 밸브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파이프 연결장치(10)는 몸통(11)이 구비되고, 이 몸통(11)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는 잠금부(12)가 형성된다. 몸체(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의 외주면에는 본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파이프(1)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14)에 대응하여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인 파이프(1)에 대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 파이프(1)에 파이프 연결장치(10)가 체결되거나 그 체결 상태가 해제된다. 이들은 메인 파이프(1)에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분리가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장치(10)의 몸체(11)의 구성이나 형상은 특정한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파이프 연결장치(11)에는 연결 파이프(3)를 메인 파이프(1)와 체결할 때, 연결 파이프(3)를 적절하게 가압하여 연결 파이프(3)가 메인 파이프(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몸체(11)에는 가압부재에 적절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형상 및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10)와 메인 파이프(1)의 체결 방식도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몸체(11)와 잠금부(12)의 사이에 메인 파이프(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마련되고, 잠금부(12)의 내주면이 메인 파이프(1)의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제결수단이 적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46583호(명칭: 플라스틱 관 연결구), 실용신안등록 제20-120330호(명칭: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특허등록 제10-1329279호(명칭: 파이프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특허공개 제10-2009-0035941호(명칭: 파이프 연결구조), 특허공개 제10-2004-0041866호(명칭: 파이프 연결장치), 특허공개 제2002-0011000호(명칭: 파이프 연결소켓의 협지링 구조), 특허공개 제1999-0037879호(명칭: 파이프의 연결구조) 등에는 다양한 구조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몸체(11)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잠금부(12)가 구비되는 어떠한 형태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잠금부(12)는 작업자가 본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잠금부(12)에 회전력을 가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하거나 해제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잠금부(3)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데 대하여, 본 실시 예에서 잠금부(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잠금부(12)의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톱니(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잠금부(3)는 기어(gear)의 형상을 갖는다. 잠금부(3)에는 바람직하게 전기나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수단이나 이들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다른 기어 등의 동력 전달부재가 기계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잠금부(12)는 전체적으로 평기어나 헬리컬 기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 잠금부(12)는 구동수단이나 동력 전달부재와의 결합 위치를 고려하여 베벨 기어나 웜 기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대해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조임장치는 기본적으로 동력 전달부재(40)를 구비한다. 동력 전달부재(40)는 예컨대 전기나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잠금부(3)에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재(40)는 원통 형상의 몸체(41)를 구비한다. 몸체(41)의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톱니(41a)가 형성된다. 이 톱니(41a)는 파이프 연결장치(10)에 구비되는 잠금부(12)의 톱니(121)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동력 전달부재(40)는 전체적으로 기어 형상을 갖는다. 동력 전달부재(40)는 잠금부(12)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기어나 헬리컬 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재(40)는 잠금부(12)와의 결합 위치 및 각도에 따라 베벨 기어나 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재(40)의 몸체(41)에는 결합부(42)가 구비된다. 결합부(42)는 바람직하게 몸체(4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부(42)의 상측에는 다각형, 예컨대 육각형의 홈(42a)의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변형 예에서, 몸체(41)에 구비되는 결합부(60)는 전체적으로 다각형, 예컨대 육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결합부(42, 60)에는 렌치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결합부(42, 60)의 구조나 형상은 특정한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부(42, 60)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에 다각형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42, 60)의 구조 및 형상은 렌치의 구동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구조도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재(40)는 바람직하게 메인 파이프(1)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재(40)를 위해 지지 부재(50)가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지지 부재(50)는 메인 파이프(1)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51)를 구비한다. 몸체(52)의 상면에는 동력 절단부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52)이 설치된다. 지지축(52)에는 동력 전달부재(4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동력 전달부재(40)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축(52)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동력 전달부재(40)는 지지축(52)에 대해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축(52)은 동력 전달부재(40)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와 적절하게 결합되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동력 전달부재(40)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기어비는 적절하게 설정된다. 동력 전달부재(4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구동 토크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할 때,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 및 해제에 큰 힘이 요구될수록 동력 전달부재(40)와 파이프 연결장치(10)와의 감속비는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따라 동력 전달부재(40)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동력 전달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동력 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50)에는 다수의 지지축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지지축들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와 다른 이격 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것이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구현 예로서, 상기 지지축(52)의 설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나 슬라이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51)는 예컨대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또는 프로파일 클램프(profile clamp)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몸체(51)는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 밴드(511, 512)를 구비한다. 제1 밴드(511)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공(513)이 형성되고, 제2 밴드(512)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 돌기(514)가 구비되면서 상기 결합공(5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514a)이 형성된다. 이들 결합공(513, 514a)에 결합핀(515)이 결합된다. 제1 및 제2 밴드(511, 512)의 타측 단부에는 각각 체결공(516, 5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체결공(516, 517)에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518)이 체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밴드(511, 512)는 상기 결합핀(51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측 단부가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50)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밴드(512)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지지축(52)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지지축(52)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재(40)의 외측으로 보호 커버(53)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는 동력 전달부재(40)를 메인 파이프(1)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 부재(50)는 메인 파이프(1)에 제거가 가능하게 체결되고, 동력 전달부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것도 동일한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어,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와, 이를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조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파이프 연결장치(10)에 대해 조임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파이프(1)와 연결 파이프(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 파이프(2)의 일측 단부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중공(13)을 통해 메인 파이프(1)의 선단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파이프 연결장치(10)는 메인 파이프(1)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게 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1)에 연결 파이프(2)를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우선 연결 파이프(2)의 일측 단부를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중공(13)을 통해 메인 파이프(1)의 선단부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통상 파이프 렌치 등의 조임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수동으로 회전 구동하여 메인 파이프(1)에 대해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적절하게 체결하게 된다. 이후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 통상적인 파이프 렌치나 본 발명의 조임 장치가 채용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 파이프(1)에 대해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메인 파이프(1)의 선단부에 지지 부재(50)를 결합시키게 된다. 즉, 작업자는 지지 부재(50)의 몸체(51)의 제1 및 제2 밴드(511, 512)가 메인 파이프(1) 선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함과 더불어, 체결수단(518)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밴드(511, 512)의 단부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체결수단(518)을 체결함에 따라 몸체(51)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지지 부재(50)는 메인 파이프(1)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 부재(50)의 지지축(52)에 동력 전달부재(40)를 결합하게 된다. 동력 전달부재(40)가 설치되면 그것의 톱니(41a)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의 톱니(121)와 맞물려서 파이프 연결장치(10)는 동력 전달부재(40)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어, 작업자는 동력 전달부재(40)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통해 메인 파이프(1)에 대해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동력 전달부재(40)의 회전 구동은 일반적인 렌치 등의 수동식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기나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동력 구동수단이 채용된다.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시에 작업자가 수동식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파이프 연결장치(10)의 과도한 체결에 의해 연결 파이프(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3)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종종 발생되어 왔다.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시에 동력 구동수단을 채용하는 경우, 파이프 연결장치(10)에는 동력 전달부재(40)를 통해 일정한 구동 토크가 가해지므로 메인 파이프(1)에 대한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력은 일정하게 설정된다. 즉,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 동작 및 체결 상태가 일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동력 전달부재(40)를 위한 동력 구동수단 중의 하나로서, 이른 바 임팩트 렌치라 칭하는 전동식 동력 구동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임팩트 렌치(80)는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81)는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81)의 내부에는 전기 모터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수납된다. 본체(81)의 선단부에는 구동축(82)이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82)의 단부에는 렌치 결합부(83)가 구비된다. 렌치 결합부(83)는 동력 전달부재(40)의 결합부(42, 6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것이 선택된다. 본체(81) 후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손잡이(84)가 마련되고, 이 손잡이(84)의 상측 전단부에는 트리거(85)가 구비된다. 손잡이(84)의 하단에는 임팩트 렌치(8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86)이 연결된다. 또한 손잡이(84)에는 구동축(82)의 회전 방향을 일측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87)가 구비된다.
도 7에서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는 경우, 작업자는 임팩트 렌치(80)의 손잡이(84)를 손으로 잡고 렌치 결합부(83)를 동력 전달부재(40)의 결합부(42, 60)와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선택 스위치(87)를 이용하여 구동축(82)의 회전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한 후 트리거(85)를 눌러 임팩트 렌치(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임팩트 렌치(80)가 작동되면 구동축(82)이 일정한 구동 토크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82)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재(40)가 회전하게 된다. 동력 전달부재(4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것과 기어 결합된 파이프 연결장치(10)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시, 파이프 연결장치(10)는 회전하면서 메인 파이프(1)의 내측을 향해 진입하게 되고, 이때 내부의 가압 부재들이 연결 파이프(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연결 파이프(2)에 대한 가압력 또는 메인 파이프(1)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결합력이 높아지게 되면 그에 대응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의 회전 구동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이 부하는 역방향으로 동력 전달부재(40)와 임팩트 렌치(80)의 구동축(82)을 통해 모터에 전달된다. 파이프 체결동작이 더욱 진행하여 상기 부하가 모터의 구동 토크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임팩트 렌치(80)의 동작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작업자는 임팩트 렌치(80)를 동력 전달부재(4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연결 파이프(10)에 대한 체결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연결장치(10)는 메인 파이프(1)에 대해 항상 안정적이면서 일정한 결합력으로 체결된다.
메인 파이프(1)로부터 파이프 연결장치(10)를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술한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체결 동작과 마찬가지로 임팩트 렌치(80)의 손잡이(84)를 손으로 잡고 렌치 결합부(83)를 동력 전달부재(40)의 결합부(42, 60)와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선택 스위치(87)를 이용하여 구동축(82)의 회전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한 후 트리거(85)를 눌러 임팩트 렌치(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축(82)의 회전 방향은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는 경우와 역방향으로 설정된다. 임팩트 렌치(80)가 작동되면 상기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동력 전달부재(4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 연결장치(10)가 회전되면서 파이프 연결장치(10)가 메인 파이프(1)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이탈 거리가 일정 이상이 되면 가압 부재들에 의해 연결 파이프(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거나 저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력의 반작용에 의한 메인 파이프(1)와 파이프 연결장치(10) 사이의 체결력이 크게 저하된다. 이때 작업자는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지 부재(50)로부터 동력 전달부재(40)를 제거하거나 메인 파이프(1)로부터 지지 부재(50)를 제거한 후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메인 파이프(1)로부터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제거하게 된다.
도 9는 지지 부재(50)에 대해 동력 전달부재(40)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50)의 몸체(51)를 구성하는 제2 밴드(512)의 상면에 동력 전달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52)이 설치되어 동력 전달부재(40)가 이 지지축(52)에 제거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동력 전달부재(40)의 몸체(41)에 결합축(90)이 구비되고, 제2 밴드(512)에는 상기 결합축(90)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520)이 마련된다. 동력 전달부재(40)의 결합축(40)은 상기 관통공(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구동축(40)의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체결홈(91)이 형성되고, 여기에 와셔(92)를 개재하면서 스냅 링(93)이 체결된다. 스냅 링(93)은 동력 전달부재(40)가 지지 부재(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지지 부재(50)에 대해 동력 전달부재(40)를 회전이 가능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와 그 조임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메인 파이프(1)의 단부, 즉 파이프 연결장치(10)가 체결되는 부분에 플랜지(110)가 구비된다. 이 플랜지(110)는 동력 전달부재(40)를 위한 지지 부재로서 제공된 것이다. 플랜지(110)는 메인 파이프(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서 체결된다. 플랜지(110)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동력 전달부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11)이 형성된다. 지지축(111)에는 동력 전달부재(40)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축(111)은 동력 전달부재(40)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와 적절하게 결합되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따라 동력 전달부재(40)와 파이프 연결장치(10)의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동력 전달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와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는 다수의 지지축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조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메인 파이프(1)의 플랜지(110)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 연결 파이프(2)가 결합되고, 이를 위해 파이프 연결장치(10)가 채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파이프(1)에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는 경우에 연결 파이프를 가압하여 연결 파이프(2)가 메인 파이프(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채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대해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경우에는 메인 파이프(1)의 플랜지(110)에 구비되는 지지축(111)에 대해 동력 전달부재(40)가 결합된다. 그리고 동력 전달부재(40)의 결합부(42)에 전기나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동력 구동수단이나 수동식 구동수단을 결합하여 동력 전달부재(40)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부재(4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동력 구동수단으로 구동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2는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직접 구동하기 위한 동력 구동수단 중의 하나로서, 임팩트 렌치(80)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 임팩트 렌치(80)는 본체(81)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130)을 구비하고, 구동축(130)의 단부에는 렌치 결합부(131)가 마련된다. 렌치 결합부(131)는 원통 형상의 몸체(132)를 구비하고, 몸체(132)의 외주면에는 톱니(13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렌치 결합부(131)는 기어의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이때 렌치 결합부(131)의 직경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재(40)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몸체(132)의 전면 중앙 부분에는 지지홈(134)이 형성된다. 이 지지홈(134)은 지지 부재(50, 110)의 지지축(52, 111)과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3은 도 12의 임팩트 렌치(80)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 및 해제하는 작업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파이프 연결장치(10)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임팩트 렌치(80)의 손잡이(85)를 잡고 렌치 결합부(131)의 지지홈(134)에 도 5에서의 지지 부재(50)의 지지축(52)이나 도 10의 플랜지(110)에 구비되는 지지축(111)이 삽입되도록 임팩트 렌치(80)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동력 전달부재(40)의 설치 위치에 임팩트 렌치(80)의 렌치 결합부(131)가 직접적으로 설치된다. 임팩트 렌치(80)가 지지축(52, 111)에 배치되면 렌치 결합부(131)의 톱니(133)는 파이프 연결장치(10)의 잠금부(12)에 구비되는 톱니(121)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임팩트 렌치(80)의 트리거(85)를 눌러서 구동축(130)를 일측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 연결장치(10)를 메인 파이프(1)에 대해 체결 또는 해제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각형 형상의 잠금부(32)를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3)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장치를 채용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기어 캡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기어 캡은 파이프 연결장치(3)의 몸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각형상이나 그 밖의 다른 형태를 갖는 잠금부(32)의 외주면에 동력 전달부재(40)나 동력 구동수단(80)과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기어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기어 캡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기어 캡(140)은 원통 형상의 몸체(141)를 구비하고, 이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톱니(142)가 형성된다. 이 톱니(142)는 이후 동력 전달부재(40)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몸체(141)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공(143)이 형성된다. 관통공(143)의 내주면은 파이프 연결장치(3)의 잠금부(3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관통공(143)의 형상은 육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 관통공(143)에는 파이프 연결장치(3)가 삽입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몸체(141)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44)이 형성되고, 여기에 예컨대 세트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145)이 체결된다. 이 체결수단(145)은 관통공(143)에 파이프 연결장치(3)의 잠금부(32)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기어 캡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기어 캡(150)은 반원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는 도 14의 기어 캡(140)을 중앙 부분에서 절단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는 각각 내측면(150a)은 다각형 형상을 갖고, 외측면(150b)에는 전체적으로 톱니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체결공(153)이 구비되고, 여기에 체결수단(154)이 체결된다.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를 체결수단(154)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그 결과 구조체는 도 14에 나타낸 기어 캡(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4에 나타낸 기어 캡(140)은 이를 파이프 연결장치(3)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연결장치(3)를 메인 파이프(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 예의 기어 캡(150)은 제1 및 제2 캡 부재(151, 152)로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되므로 파이프 연결장치(3)가 메인 파이프(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기어 캡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여기에 파이프 연결장치(3)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기어 캡(160)은 원통 형상의 몸체(161)를 구비한다. 몸체(161)의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톱니(162)가 형성된다. 몸체(161)의 중앙 부분에는 파이프 연결장치(3)의 잠금부(32)를 안착하기 위한 다각형상의 안착홈(163)이 구비되고, 안착홈(163)의 저부에는 파이프 연결장치(3)의 몸체(31)를 위한 관통공(164)이 형성된다. 본 기어 캡(160)은 작업자가 메인 파이프(1)에 파이프 연결장치(3)를 체결할 때, 파이프 연결장치(3)의 몸체(31)를 기어 캡(160)의 관통공(164)으로 통과시킨 상태로 체결하게 되므로 기어 캡(160)은 파이프 연결장치(3)와 메인 파이프(1)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 기어 캡(160)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파이프 연결장치(160)를 메인 파이프(1)에 체결 및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 캡의 구조나 형상은 특정한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의 외주면에 동력 전달부재(40)와 기어 결합을 위한 톱니가 형성되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몸체(31) 또는 잠금부(32)를 수납하면서 이들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과 관련된 당업자와 전문가는 본 발명의 구성이나 형상을 일부 변경하거나 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1: 메인 파이프, 2: 연결 파이프,
10: 파이프 연결장치, 12: 잠금부,
121: 톱니, 40: 동력 전달부재,
41: 몸체, 41a: 톱니,
42: 결합부, 42a: 홈,
50: 지지 부재.

Claims (11)

  1.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체결하고, 메인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몸체와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파이프 연결장치를 체결할 때 상기 중공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 파이프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 및,
    상기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톱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재 또는 동력 구동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메인 파이프에 나사 결합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하며, 메인 파이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잠금부를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동력 전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동력 구동수단과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외측에 기어 캡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상기 잠금부와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원통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동력 전달부재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부와 기어 결합을 위한 톱니가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한개 이상의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몸체 저면에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동력 전달부재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몸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축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는 동력 전달부재가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 링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상의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구동수단은 전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11. 메인 파이프에 나사 결합되고, 메인 파이프에 대해 연결 파이프를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하며, 메인 파이프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몸체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잠금부를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파이프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측에 지지축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축에 제거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잠금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렌치 결합부를 구비하고, 전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렌치 결합부를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장치.
KR1020160141111A 2016-10-27 2016-10-27 조임장치 KR20180046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111A KR20180046176A (ko) 2016-10-27 2016-10-27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111A KR20180046176A (ko) 2016-10-27 2016-10-27 조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00A Division KR20180046394A (ko) 2018-02-12 2018-02-12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76A true KR20180046176A (ko) 2018-05-08

Family

ID=6218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111A KR20180046176A (ko) 2016-10-27 2016-10-27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61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841A1 (ko) * 2018-04-23 2019-10-31 Lim Min Sub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위한 조임장치
CN116423446A (zh) * 2023-05-25 2023-07-14 南京同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漏气机构的气管拔出辅助工具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709A (ja) * 1993-09-18 1997-04-15 フュージョン・グループ・ピーエルシー パイプ結合
KR200344501Y1 (ko) * 2003-11-04 2004-03-11 안병무 배관 체결구
KR20060130278A (ko) * 2005-06-14 2006-12-19 박강훈 연결구
KR100893038B1 (ko) * 2008-12-18 2009-04-15 윤성환 벨트식 클램프
KR20100087978A (ko) * 2009-01-29 2010-08-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회전형 배관 연결구
KR101017961B1 (ko) * 2010-07-27 2011-03-02 주식회사 엠아이 진공 배관용 클램프
KR20110028061A (ko) * 2009-09-11 2011-03-17 이해문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104085B1 (ko) * 2011-01-05 2012-01-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00719B1 (ko) * 2012-05-23 2012-11-12 김형동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KR101281743B1 (ko) * 2013-02-06 2013-07-04 성기천 조립성과 기밀성 향상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KR101398314B1 (ko) *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709A (ja) * 1993-09-18 1997-04-15 フュージョン・グループ・ピーエルシー パイプ結合
KR200344501Y1 (ko) * 2003-11-04 2004-03-11 안병무 배관 체결구
KR20060130278A (ko) * 2005-06-14 2006-12-19 박강훈 연결구
KR100893038B1 (ko) * 2008-12-18 2009-04-15 윤성환 벨트식 클램프
KR20100087978A (ko) * 2009-01-29 2010-08-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회전형 배관 연결구
KR20110028061A (ko) * 2009-09-11 2011-03-17 이해문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017961B1 (ko) * 2010-07-27 2011-03-02 주식회사 엠아이 진공 배관용 클램프
KR101104085B1 (ko) * 2011-01-05 2012-01-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00719B1 (ko) * 2012-05-23 2012-11-12 김형동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KR101281743B1 (ko) * 2013-02-06 2013-07-04 성기천 조립성과 기밀성 향상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KR101398314B1 (ko) *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841A1 (ko) * 2018-04-23 2019-10-31 Lim Min Sub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위한 조임장치
CN116423446A (zh) * 2023-05-25 2023-07-14 南京同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漏气机构的气管拔出辅助工具
CN116423446B (zh) * 2023-05-25 2023-10-13 南京同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漏气机构的气管拔出辅助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618B (zh) 具有可收起操纵臂的紧固装置和包括这种装置的设备
US8813868B2 (en) Auxiliary handle for use with a power tool
US7497147B2 (en) Torque tool for tightening or loosening connections, and method of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ame
US10456895B2 (en) Ratchet tools
KR20110041529A (ko) 안전 장치를 가진 패스너 조임 장치
US9492912B2 (en) Hydraulic torque wrench system
TWI592264B (zh) 夾鉗裝置
US20130074315A1 (en) Fastener wrenc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46176A (ko) 조임장치
US20020096023A1 (en) Adapter used in conjunction with a hand drill for installing insert fittings of a sprinkler or irrigation system
US5926913A (en) Pneumatic tool extension
US6330840B1 (en) Planetary ratchet wrench and pipe cutting tool
KR20180046394A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19208841A1 (ko)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위한 조임장치
GB24903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te Removal of Fasteners
JP3129070U (ja) ボルト・ナット締付装置
KR20170089540A (ko) 래칫 렌치
US7013760B1 (en) Torque reaction control jig
US20060169106A1 (en) Compression nut removal device
RU169871U1 (ru) Головка разборного гаечного ключа для труднодоступных соединений
ITBZ20090016A1 (it) Attrezzo per il fissaggio di connettori a vite su cavi elettrici
KR102078269B1 (ko)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RU2587007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снятия винтового средства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предмета
WO1999059756A1 (en) A multi-usage electric tool with angle-changeable grip
EP3395503A1 (en) Wrench socket for fire hydrant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