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69B1 -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 Google Patents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69B1
KR102078269B1 KR1020190078263A KR20190078263A KR102078269B1 KR 102078269 B1 KR102078269 B1 KR 102078269B1 KR 1020190078263 A KR1020190078263 A KR 1020190078263A KR 20190078263 A KR20190078263 A KR 20190078263A KR 102078269 B1 KR102078269 B1 KR 10207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ody
tightening
pressing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성대
박좌호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전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7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 B25B23/142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4Spanners; Wrenches of the chu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홀부, 주입홀부 및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잡고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회전운동을 상기 공구본체의 일 방향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전달부; 상기 공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방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 상기 공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압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레버부재의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표시부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TOOLING DEVICE FOR TIGHTENING}
본 발명은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와 같이 회전력을 가하여 조임작업을 진행하는 체결부재를 조일 때에 조임작업이 완료되어 체결부재가 설정치 이상의 강도로 체결되면 체결부재에 작업자가 조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출력하여 다음 공정의 작업이 진행될 때에 체결부재가 조여지지 않을 상태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임 공구의 종류는 공기압 및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변환하여 공구의 일부분에 회전을 주어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전동공구와, 또한 몽키 스패너 및 복스 스패너와 스패너 등과 같이 사람의 악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임 공구로 구분된다.
특히, 수동 조임 공구 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렌치이다. 이러한 렌치는 몽키 스패너나 복수 렌치로 작업하기 어려운 비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볼트와 너트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서 렌치 및 스패너의 크기도 동일한 치수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스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두 개의 파이프 사이 또는 파이프와 연결구 사이를 연결용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스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너트의 형상은 육각 또는 팔각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규격화 되어 있고, 가스관의 직경과 연결너트의 직경도 몇 가지 종류로 규격화 되어 있다.
또한, 가스관에 연결관을 연결하고 또한 볼트 너트 등의 체결기구들을 일정각도로 조이는 조임기구의 예를 들면, 노즐 파이프 등에 설치되는 스프레이 노즐의 설치각도 또는 분사각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 또는 세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판의 안정적인 패터닝 공정을 제공받을 수 있는 스프레이 노즐 각도 조절하는 렌치가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레이 노즐의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천공되며, 스프레이 노즐의 장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표식부 및 그 기준 표식부에 대해 설정각도를 이루는 고정표식부를 구비하는 체결부 등을 구비하여 원하는 각도로 노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레이 노즐의 장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표식부 및 그 기준표식부에 대해 설정각도를 이루는 고정표식부 등을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사용용도가 노즐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정렬 조임렌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의 렌치는, 몸체의 측면에 원주부로부터 손잡이쪽으로 파여진 고정이동자수용홈과 고정이동자수용홈이 관통된 레버이동구멍이 형성되어, 이 고정이동자수용홈과 레버이동구멍에 박판이동자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서, 박판이동자에 설정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각도표시부들이 원주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005호(2018년 03월 0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이중 정렬 조임렌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임렌치는,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임작업을 종료한 후에 볼트 또는 너트에 조임완료를 표시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의 구조물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에 조임작업을 진행한 후에 작업자가 조임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조임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볼트 또는 너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조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물을 이송하는 경우에 부품들이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와 같이 회전력을 가하여 조임작업을 진행하는 체결부재를 조일 때에 조임작업이 완료되어 체결부재가 설정치 이상의 강도로 체결되면 체결부재에 작업자가 조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출력하여 다음 공정의 작업이 진행될 때에 체결부재가 조여지지 않을 상태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동홀부, 주입홀부 및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잡고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회전운동을 상기 공구본체의 일 방향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전달부; 상기 공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방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 상기 공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압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레버부재의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표시부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공구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 하단에 설치되고,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삽입되며, 다각형의 내부에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의 머리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일방향전달부는, 상기 공구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구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구동축과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구비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공구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부재의 나사산과 기어연결되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부재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공구본체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홀부 내벽에 밀착되는 제1패널; 상기 작동홀부 외벽에 밀착되는 제2패널; 및 상기 작동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상기 가압센싱부를 가압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센싱부는, 상기 공구본체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가압판; 상기 제2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가압판; 상기 제1가압판과 상기 제2가압판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축이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과 비교하여 큰 힘으로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가압판과 상기 제2가압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패널과 접촉되면서 작동되어 상기 표시부에 작동을 전달하는 센싱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구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고, 페인트, 잉크 등의 표시용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 및 상기 구동축을 통과하여 상기 캡부재 내부로 연장되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레버가 연결되어 상기 센싱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저장탱크에 담수되는 액상의 표시재를 상기 캡부재 내부로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홀부, 주입홀부 및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를 감싸고, 전동공구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전동캡; 상기 전동캡과 상기 공구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공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 상기 공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압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전동캡의 회전운동을 상기 표시부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조임작업 또는 전동공구에 의한 조임작업에 의해 볼트 또는 너트에 조임작업이 완료되면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조임 대상물에 조임작업이 완료됨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므로 조임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구조물을 이송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 이송작업 중에 구조물이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요구되는 레버부재, 또는 전동공구에 연결되는 전동캡을 공구본체 및 가압센싱부에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므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조임작업 완료 후에 조임 대상물에 조임작업 완료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조임작업 완료 후에도 조임 대상물에 조임작업 완료 여부를 표시할 수 있어 다양한 공구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의 레버부재, 공구본체 및 가압센싱부 사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의 가압센싱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전동공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의 레버부재, 공구본체 및 가압센싱부 사이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의 가압센싱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는, 작동홀부(12), 주입홀부(14) 및 안착홈부(16)가 구비되는 공구본체(10)와, 공구본체(10)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잡고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버부재(50)와, 레버부재(50)의 왕복회전운동을 공구본체(10)의 일 방향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전달부(36)와, 공구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방향전달부(36)를 통해 전달되는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30)와, 공구본체(10)에 구비되고, 가압부(30)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80)와, 가압부(30)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레버부재(50)의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표시부(80)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구본체(10)에 일체로 연결되는 가압부(30)를 체결부재에 씌워 레버를 잡고 왕복회전운동을 반복하면 일방향전달부(36)의 작동에 의해 레버부재(50)의 일 방향 회전운동만이 공구본체(10) 및 가압부(30)에 전달되므로 체결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임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임작업이 지속되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고, 레버부재(50)의 회전운동에 의해 더 이상 공구본체(10) 및 가압부(30)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때부터 레버부재(50)가 공구본체(10)의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설정치 이상 슬라이딩되면 가압센싱부(70)의 작동에 의해 레버부재(50)의 회전운동이 변환되어 표시부(80)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압부(30)를 통해 체결부재에 표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조임작업이 완료된 체결부재에는 표시가 제공되어 조임 작업 이후에도 작업자는 조임작업이 완료된 체결부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체결부재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형의 제품이 이송되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조임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제품이 이송되는 중에 부품이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제안의 가압부(30)는, 공구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34)과, 구동축(34) 하단에 설치되고,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삽입되며, 다각형의 내부에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의 머리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캡부재(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캡부재(32)를 씌우고 레버부재(50)를 왕복회전운동시키면 일방향전달부(36)의 작도에 의해 공구본체(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임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본 제안의 일방향전달부(36)는, 공구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구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구동축(34)과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구비되는 피니언부재(37)와, 공구본체(10) 내부에 형성되고, 피니언부재(37)의 나사산과 기어연결되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피니언부재(37)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기어치(38)를 포함한다.
피니언부재(37)의 나사산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곡면을 형성하고, 곡면의 반대 측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어치(38)는 곡면에 대향되는 면에 경사면이 구비되고, 기어치(38)의 타면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레버부재(5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경사면과 곡면이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간섭되지 않고, 레버부재(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기어치(38)와 나사산이 기어연결되면서 레버부재(50)의 회전운동을 구동축(34)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부재(50)의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가압부(30)가 회전되면서 조임작업이 완료되면 레버부재(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체결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가압부(30) 또한 회전되지 않으므로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압센싱부(70)를 작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레버부재(50)는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버부재(50)를 공구본체(10)에 연결하는 연결부(52)에 의해 결합되고, 본 실시예의 연결부(52)는, 작동홀부(12) 내벽에 밀착되는 제1패널(54)과, 작동홀부(12) 외벽에 밀착되는 제2패널(56)과, 작동홀부(12)를 관통하여 제1패널(54)과 제2패널(56)을 연결하고,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가압센싱부(70)를 가압하는 연결축(58)을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된 후에도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레버부재(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연결축(58)이 가압센싱부(70)를 작동시키게 된다.
본 제안의 가압센싱부(70)는, 공구본체(10)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홀부(12)를 따라 연장되는 제1가압판(72)과, 제2가압판(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홀부(12)를 따라 연장되는 제2가압판(74)과, 제1가압판(72)과 제2가압판(74)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6)와, 연결축(58)이 탄성부재(76)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과 비교하여 큰 힘으로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 제1가압판(72)과 제2가압판(74)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이때, 제1패널(54)과 접촉되면서 작동되어 표시부(80)에 작동을 전달하는 센싱레버(78)를 포함한다.
공구본체(10)의 둘레면에는 공구본체(10)의 둘레면을 따라 길게 곡선의 작동홀부(12)가 형성되고, 작동홀부(12)의 내벽에는 제1패널(54)이 배치되며, 작동홀부(12)의 외벽에는 제2패널(56)이 배치되고, 제1패널(54)과 제2패널(56)은 작동홀부(12)를 관통하는 연결축(58)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제2패널(56)의 외벽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레버부재(50)가 연장된다.
본 제안의 표시부(80)는, 공구본체(10)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6)에 삽입되고, 페인트, 잉크 등의 표시용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86)와, 저장탱크(86)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안착홈부(16)로부터 연장되어 피니언 및 구동축(34)을 통과하여 캡부재(32) 내부로 연장되는 분사관(82)과, 분사관(82)에 설치되고, 센싱레버(78)가 연결되어 센싱레버(78)가 조작되면 저장탱크(86)에 담수되는 액상의 표시재를 캠부재 내부로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부재(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임작업을 지속하여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된 후에 레버부재(50)를 더 가압하면 레버부재(50)가 작동홀부(1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가압판(72)과 제2가압판(74)을 벌리면서 슬라이딩되고, 제1패널(54)이 센싱레버(78)를 조작하면 밸브부재(84)가 구동되어 저장탱크(86)에 저장되는 액상의 표시재가 분사관(82)을 통해 캡부재(32) 내부로 분사되므로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조임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재가 도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전동공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는, 전동공구(154)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공구본체(10)를 감싸는 전동캡(150)이 구비되고, 전동캡(150)과 공구본체(10)를 연결부(52)에 의해 연결하며, 연결부(52)가 설치되는 전동캡(150)의 일측으로부터 반대 측에는 전동캡(150)의 둘레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고, 공구본체(10)의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간격돌기(15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동캡(150)의 상면에 전동공구(154)의 출력축이 연결되고, 전동공구(154)에는 가압센싱부(70)의 작동 없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임 완료를 표시할 수 있도록 분사버튼(156)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정도의 조임작업이 종료되면 가압센싱부(70)가 구동되기 전에 작업자가 분사버튼(156)을 누르면 밸브부재(84)가 구동되어 저장탱크(86)에 담수되는 페인트가 분사관(82)을 통해 공급되면서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에 도포되어 조임작업 완료 후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페인트 도포 여부를 확인하면서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임작업 완료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공구에 전동캡(150)이 연결되므로 일 실시예의 일방향구속부(36)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일방향구속부(36)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전동공구(15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볼트 또는 너트에 조임작업 또는 풀림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표시부(80)는, 공구본체(10)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6)에 삽입되고, 페인트, 잉크 등의 표시용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86)와, 저장탱크(86)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안착홈부(16)로부터 연장되어 캡부재(32)내부로 연장되는 분사관(82)과, 분사관(82)에 설치되고, 가압센싱부(70 : 도 3 및 도 4 참조)가 연결되어 가압센싱부(70)가 조작되면 저장탱크(86)에 담수되는 액상의 표시재를 캡부재(32) 내부로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부재(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동공구(154)에 의해 조임작업을 지속되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된 후에 조임작업이 지속되면 가압센싱부(70)의 작동에 의해 밸브부재(84)가 구동되어 저장탱크(86)에 저장되는 액상의 표시재가 분사관(82)을 통해 캡부재(32) 내부로 분사되므로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조임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재가 도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센싱부(70)는, 일 실시예의 가압센싱부(7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본 실시예의 가압센싱부(70)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와 같이 회전력을 가하여 조임작업을 진행하는 체결부재를 조일 때에 조임작업이 완료되어 체결부재가 설정치 이상의 강도로 체결되면 체결부재에 작업자가 조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출력하여 다음 공정의 작업이 진행될 때에 체결부재가 조여지지 않을 상태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공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구본체 12 : 작동홀부
14 : 주입홀부 16 : 안착홈부
30 : 가압부 32 : 캡부재
34 : 구동축 34a : 제1베어링
34b : 제2베어링 36 : 일방향구속부
37 : 피니언부재 38 : 기어치
50 : 레버부재 52 : 연결부
54 : 제1패널 56 : 제2패널
58 : 연결축 70 : 가압센싱부
72 : 제1가압핀 74 : 제2가압핀
76 : 탄성부재 78 : 센싱레버
80 : 표시부 82 : 분사관
84 : 밸브부재 86 : 저장탱크
150 : 전동캡 152 : 간격돌기
154 : 전동공구 156 : 분사버튼

Claims (7)

  1. 작동홀부, 주입홀부 및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작업자가 잡고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왕복회전운동을 상기 공구본체의 일 방향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일방향전달부;
    상기 공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일방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
    상기 공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압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레버부재의 일 방향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표시부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공구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 하단에 설치되고,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삽입되며, 다각형의 내부에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의 머리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전달부는,
    상기 공구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구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구동축과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구비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공구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부재의 나사산과 기어연결되며, 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부재의 타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공구본체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홀부 내벽에 밀착되는 제1패널;
    상기 작동홀부 외벽에 밀착되는 제2패널; 및
    상기 작동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상기 가압센싱부를 가압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센싱부는,
    상기 공구본체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가압판;
    상기 제1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가압판;
    상기 제1가압판과 상기 제2가압판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축이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과 비교하여 큰 힘으로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가압판과 상기 제2가압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작동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패널과 접촉되면서 작동되어 상기 표시부에 작동을 전달하는 센싱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구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고, 페인트, 잉크 등의 표시용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 및 상기 구동축을 통과하여 상기 캡부재 내부로 연장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레버가 연결되어 상기 센싱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저장탱크에 담수되는 액상의 표시재를 상기 캡부재 내부로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7. 작동홀부, 주입홀부 및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를 감싸고, 전동공구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전동캡;
    상기 전동캡과 상기 공구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공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를 조이는 가압부;
    상기 공구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 내부에 출력물질을 분사하여 체결부재에 조임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물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가압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전동캡의 회전운동을 상기 표시부의 조작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구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고, 페인트, 잉크 등의 표시용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부의 캡부재 내부로 연장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센싱부가 연결되어 상기 가압센싱부가 조작되면 상기 저장탱크에 담수되는 액상의 표시재를 상기 캡부재 내부로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KR1020190078263A 2019-06-28 2019-06-28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KR10207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63A KR102078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63A KR102078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69B1 true KR102078269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263A KR102078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2646A (zh) * 2021-10-29 2022-02-08 合肥工业大学 一种摇摆传动双头双路紧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653A (ja) * 1993-01-29 1994-08-16 Sanwa Tekki Corp マーカ筒付トルクレンチ
JPH1086075A (ja) * 1996-09-10 1998-04-07 Shibaura Eng Works Co Ltd ボルト締結機
JP2000280185A (ja) * 1999-03-30 2000-10-10 Nakamura Seisakusho:Kk マーキング機能付きトルクレンチ
JP2014100756A (ja) * 2012-11-19 2014-06-05 Nissei:Kk マーキング機能付きねじ締付け工具
KR101726547B1 (ko) * 2016-05-18 2017-04-12 김나영 다용도 라쳇렌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653A (ja) * 1993-01-29 1994-08-16 Sanwa Tekki Corp マーカ筒付トルクレンチ
JPH1086075A (ja) * 1996-09-10 1998-04-07 Shibaura Eng Works Co Ltd ボルト締結機
JP2000280185A (ja) * 1999-03-30 2000-10-10 Nakamura Seisakusho:Kk マーキング機能付きトルクレンチ
JP2014100756A (ja) * 2012-11-19 2014-06-05 Nissei:Kk マーキング機能付きねじ締付け工具
KR101726547B1 (ko) * 2016-05-18 2017-04-12 김나영 다용도 라쳇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2646A (zh) * 2021-10-29 2022-02-08 合肥工业大学 一种摇摆传动双头双路紧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147B2 (en) Torque tool for tightening or loosening connections, and method of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ame
AU737509B2 (en) Universal torque power tool
US6516689B1 (en) Ratchet wrench
US20230330821A1 (en) Ratcheting tool
KR102078269B1 (ko) 조임 표시용 공구장치
GB1559093A (en) Ratchet drivers
US2836090A (en) Fluid pressure operated torque wrench
US20120279365A1 (en) Bolt-Through Torque Wrench Assembly
US4513644A (en) Fluid powered torque wrench
GB20461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Nuts
US5138915A (en) Impact pipe wrench
EP3810368B1 (en) Tool for tightening nut on a bolt to form a fixed connection
US4187746A (en) Power wrench having ratchet means at both surfaces of socket thereof
JPH0530595B2 (ko)
US12017332B2 (en) Bolt tensioning tool
US20210299832A1 (en) Bolt tensioning tool
CN219946086U (zh) 螺栓张紧工具
JP3659510B2 (ja) 油圧トルクレンチ用マーキング装置
JPH04322974A (ja) インパクトレンチ
KR20180046394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60031122A (ko) 체결부재 조임풀림장치
JPH0557629A (ja) ボルトナツト締結装置
JPH0129011Y2 (ko)
JP2001071278A (ja) トルクレンチ
JPH07328942A (ja) 反力解放式油圧トルク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