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079A -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079A
KR20180046079A KR1020160140887A KR20160140887A KR20180046079A KR 20180046079 A KR20180046079 A KR 20180046079A KR 1020160140887 A KR1020160140887 A KR 1020160140887A KR 20160140887 A KR20160140887 A KR 20160140887A KR 20180046079 A KR20180046079 A KR 20180046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lar tube
drainage
circul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935B1 (ko
Inventor
권선오
Original Assignee
권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오 filed Critical 권선오
Priority to KR102016014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9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배수로를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 및 그의 배수방법이 개시된다. 배수로 시스템의 유공관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으로 배수로를 구성하여 고압블럭에서 주변 고압블럭이 침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제공하여 내구성이 좋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유공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Drainage system with a tube check inside for easy}
본 발명은 배수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로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유공관을 매설하여 배주로 주변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하거나 유공관 단독으로 배수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공관의 막힘이나 손상을 용이하게 배관내시경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산, 하천 주변이나 농수로, 산업단지, 주택단지 등에는 빗물 및 배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로가 설치된다.
이는 산마루 측구, 도수로, 우수용 배수로 용도로 설치하여 빗물이나 우수 등을 원활하게 안내해 배수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로는 크게 대별하여 보면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이하 : 현장타설)하거나, 콘크리트 기성품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해 일정길이를 갖는 블록으로 제작된 배수로가 있다.
이런 시공 방법들 모두가 측벽을 넘어 빗물이 안쪽으로 우수가 흘러 들어가는 구조로 우수를 배수로로 유도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빗물에 의해서 배수로(10) 주변의 흙(1)이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배수로관(10)의 길이는 2.5m 정도이며, 여러개의 배수로관(10)을 연결하여 배수로(1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연결부위의 누수로 밑면의 흙(2)이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유로 종래에는 배수로 주변의 흙이 없어져 빗물이 배수로로 흘러가지 못하고, 더 많은 주변의 흙이 유실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농로 및 농수로에 크랙, 붕괴 및 유실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그래서 사람들은 궁여지책으로 비닐 보온덮개, 차광망 등으로 흙의 유실을 방지하려고 한다.
한편, 주차장이나 고압 블럭 등의 경우, 배수로가 고압 블럭보다 낮게 설치되고 주변의 물이 배수로 쪽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배수로 쪽으로 이동한 물이 배수로 주변의 흙으로 침투하여 배수로 주변흙이 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고압 블럭이 배수로 보다 밑으로 내려앉게 되고 많은 우수량이 배수로가 아닌 고압블럭으로 흐르게 되어 배수로의 기능이 저하 된다. 이와 같이 배수가 안된 우수의 영향으로 고압블럭의 침하는 가속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82819호(등록일자: 2010년 09월 10일. 제목: 조립식 배수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유공관으로 배수로를 구성하여 고압블럭에서 주변 고압블럭이 침하하지 않도록 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제공하여 내구성이 좋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유공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배수로 주변에 소정 길이의 유공관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유공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투시구를 설치하고, 배관 내시경으로 유공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이 있는 유공관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유공관 상부에 투시구를 개폐식으로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공관 유입을 차단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농로 또는 농수로에 크랙, 붕괴 또는 유실을 방지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은,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배수로를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투시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공관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원형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면의 지지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시구의 상부에는 여닫이가 가능한 뚜껑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은 힌지방식으로 여닫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공관의 물이 상기 배수로로 흘러가도록 연결관을 추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공관은 상기 배수로보다 위치적으로 높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구멍의 배치는 벌집 모양의 허니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에는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물구조의 망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공관의 각각의 구멍은 역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공관의 구멍에는 수섬유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리드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로는 농수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은,
고압블럭 사이의 배수로를 형성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 주변의 공압블럭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투시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공관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의 배수 방법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 리드선이 상기 유공관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는 단계;
상기 흡수된 빗물을 상기 유공관 내부로 가이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된 빗물이 유공관 내부로 흘러들어가 상기 유공관으로 빗물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유공관의 물을 상기 배수로로 흘러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으로 배수로를 구성하여 고압블럭에서 주변 고압블럭이 침하하지 않도록 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제공하여 내구성이 좋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유공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 주변에 소정 길이의 유공관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투시구를 설치하고, 배관 내시경으로 유공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이 있는 유공관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 상부에 투시구를 개폐식으로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공관 유입을 차단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 주변에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 상부의 다수개의 구멍에 빗물이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수섬유로 이루어진 리드선을 설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 및 그의 배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 하단부를 방수기능을 가진 특수 접착제로 접착하여 배수로 밑면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농수로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농로 또는 농수로에 크랙, 붕괴 또는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로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에서 유공관(200)에 형성된 구멍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에서 구멍에 형성된 망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멍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에서 배수로와 유공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의 배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의 유공관 확인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서 유공관에 형성된 구멍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서 구멍에 형성된 망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구멍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서 배수로와 유공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은,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0)를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2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공관(200)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231);
상기 제1 원형관(231)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231)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232);
상기 제2 원형관(232)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232)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233);
상기 제3 원형관(233)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233)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234);
상기 제4 원형관(234)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4 원형관(234)의 지름보다 작은 제5 원형관(235);
상기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236, 237, 238)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원형관(235)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은 지름 비율이 각각 300, 250, 200, 150.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름의 크기는 빗물의 처리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양측면의 지지부(236, 238)에는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공관(2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투시구(220)이 구비되고,
상기 투시구(220)의 상부에는 여닫이가 가능한 뚜껑(221)이 구비된다.
이때, 유공관(200)을 일정길이(10 내지 15 미터)로 하고, 유공관끼리 서로 연결하고, 어느 유공관이 막힌거나 손상된 경우 해당 유공관(200)만 들어내어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투시구(220)는 하나일 수도 있으나, 유공관(200)이 길이가 긴 경우 또는 배관 내시경의 검사 범위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뚜껑(221)은 힌지방식으로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도 여닫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공관(200)의 상부 및 측면에는 빗물이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구멍(210)의 배치는 벌집 모양의 허니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멍(210)의 배치는 격자무늬 또는 랜덤하게 또는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멍(210)에는 외부의 흙이 유공관(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구조의 망사(2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공관(200)의 각각의 구멍(210)은 내부가 깔대기를 거구로 뒤집은 모양(213)으로 형성하여 빗물이 유공관(200) 내부로 빠르게 흐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공관(200)의 구멍(210)에는 수섬유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리드선이 설치되며, 다수개의 리드선(212)을 망사(211)의 그물구조 사이로 설치하여 빗물이 빠르게 유공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00)은 상기 배수로(10)보다 위치적으로 높이 설치하고, 도 6을 참조하면, 유공관(200)의 물이 상기 배수로(10)로 흘러가도록 연결관(220)을 추가 구비하여 유공관(200)에 모여진 빗물도 배수로(10)로 흘러가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리드선(212)은 도 2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유공관(200) 내부로 빗물을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유공관(200) 내부로 소정 길이 이상 삽입되어 빗물이 유공관(200) 바닥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한다.
유공관(200)도 배수로(10)처럼 소정길이로 제작한 후 연결되는 형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시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의 제작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수로(10)를 구성하는 배수관을 설치하되,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방수 기능을 가진 특수 접착제로 접착을 한다.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S710).
그리고 나서, 배수로(10) 주위에 배수로(10) 보다는 높게 유공관(200)을 매설한다(S720).
유공관(200)은 설치 지역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비탈 지역인 경우, 산비탈 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농로 지역인 경우 농로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농수로의 경우 농수로의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다수개의 리드선(212)을 지상으로부터 구멍(210)으로 삽입하면서 흙을 매립한다(S730).
필요에 따라서는 도 9와 같이 유공관 주변에 자갈을 매설한 후 흙을 매립할 수 있다. 이 경우 흙이 유공관의 구멍(210)으로 삽입될 확률이 더 적어지며, 빗물 흡수가 더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도 1 또는 도 9와 같이 흙 경사면을 형성하여 빗물이 배수로(10)로 잘 흐르도록 한다(S740).
여기서, 리드선(212)은 흙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의 배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의 배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0) 및 상기 배수로(10)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200)을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상기 유공관(20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210)에 설치된 다수의 리드선(212)이 배수로(10)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한다(S810).
그러면, 리드선(212)이 흡수된 빗물을 상기 유공관(200)까지 가이드하게 되며, 빗물은 유공관(200)의 구멍(210)을 통과하게 된다(S820).
그리고 나서, 상기 가이드된 빗물이 유공관(200) 내부로 흘러들어가 상기 유공관(200) 바닥으로 떨어지며, 빗물이 수집된다(S830).
그리고 유공관(200) 내부의 물은 연결관(220)을 통해 상기 배수로(10)로 흘러가게 된다(S840)
이러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예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공관(200)을 부직포(215)로 감싸서 이물질의 유공관 유입을 방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공관(200)을 부직포(215)로 감싸고, 경사면(1)에 덴트를 형성하여 빗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공관(200)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공관을 매립할 땅을 파고 나서, 자갈(214)과 흙으로 부직포로 감싼 유공관(200)을 도 10과 같은 구조로 매립한다.
이때 리드선(212)은 부직포(215) 또는 자갈(214)까지 연결한다.
그리고 유공관(200)과 자갈(214)까지는 3~10cm 이내로 하여 신속하게 빗물이 흡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경사면(1)에 덴트를 형성하여 경사로(1)의 빗물이 고이도록 하여 빗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공관(200)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부직포(215) 대신 압축된 스펀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공관을 배관 내시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관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유공관에 설치되어 지상으로 노출된 뚜껑을 열고(S1100), 배관 내시경의 카메라부를 삽입한다(S1101). 여기서 배관 내시경은 이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나서, 배관내시경을 조작하고,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유공관 내부를 전체적으로 관찰한다(S1102).
다음,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상이 있는 유공관의 교체작업을 실시한다(S1104).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유공관을 배수로와 같이 시공하여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유공관만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주차장이나 고압블럭을 이용하는 곳에서는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은,
고압블럭 사이의 배수로를 형성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 주변의 고압블럭(310)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200)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2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투시구(220)가 구비되고,
상기 유공관(200)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231);
상기 제1 원형관(231)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231)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232);
상기 제2 원형관(232)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232)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233);
상기 제3 원형관(233)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233)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234);
상기 제4 원형관(234)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4 원형관(234)의 지름보다 작은 제5 원형관(235);
상기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236, 237, 23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5 원형관(231, 232, 233, 234, 235)이 사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관은 4개층 또는 6개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빗물이 고압블럭(310), 모래층(320) 및 자갈층(330)을 통해 유공관(200)으로 흘러들게 된다. 자갈층(330) 옆의 흙을 통해서도 일부 빗물이 스며들지만 이는 유공관(200)의 측면 구멍을 통해 흡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갈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깔대기 형상으로 빗물을 유공관(200)으로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빗물을 유공관(200)으로 유도한다.
필요에 따라 유공관 주위에 부직포나 리드선을 설치하여 빗물을 유공관(200)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으로 배수로를 구성하여 고압블럭에서 주변 고압블럭이 침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러겹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제공하여 내구성이 좋고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유공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여기에도 부직포나 리즈선 등의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 주변에 소정 길이의 유공관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투시구를 설치하고, 배관 내시경으로 유공관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이 있는 유공관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 상부에 투시구를 개폐식으로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공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10) 주변에 유공관(200)을 설치하고, 유공관(200)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21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10)을 통해 빗물을 흡수하여 배수로(10)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200) 상부의 다수개의 구멍(210)에 빗물이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수섬유로 이루어진 리드선(212)을 설치하여 배수로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수로 하단부를 방수기능을 가진 특수 접착제로 접착하여 배수로 밑면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배수로를 구비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주변의 흙에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수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원형관의 상부 및 양측면의 지지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투시구가 구비되고,
    상기 투시구의 상부에는 여닫이가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는 배수로 시스템.
  4. 고압블럭 사이의 배수로를 형성되는 배수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 주변의 공압블럭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은,
    반원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된 제1 원형관;
    상기 제1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1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2 원형관;
    상기 제2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2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3 원형관;
    상기 제3 원형관과 소정간격 떨어져서 지지되며, 상기 제3 원형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4 원형관;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원형관의 양측면과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수로 시스템.
KR1020160140887A 2016-10-27 2016-10-27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KR10186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87A KR101862935B1 (ko) 2016-10-27 2016-10-27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87A KR101862935B1 (ko) 2016-10-27 2016-10-27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79A true KR20180046079A (ko) 2018-05-08
KR101862935B1 KR101862935B1 (ko) 2018-05-30

Family

ID=6218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87A KR101862935B1 (ko) 2016-10-27 2016-10-27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740A (zh) * 2022-05-19 2022-07-29 华东师范大学 聚集式红树林人工定植系统及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740A (zh) * 2022-05-19 2022-07-29 华东师范大学 聚集式红树林人工定植系统及其方法
CN114793740B (zh) * 2022-05-19 2024-02-20 华东师范大学 聚集式红树林人工定植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935B1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9095B (zh) 渗透块
CA2683616C (en) Dust-removal managing pit
KR20030026055A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JP2014109141A (ja) 雨水貯溜配管構造
KR101862935B1 (ko)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KR101924402B1 (ko)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 시스템 및 그의 배수 방법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1926930B1 (ko) 배수가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JP2007023603A (ja) 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方法とその装置
JP3171331B2 (ja) マンホールの排水装置
KR101460758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JP5940951B2 (ja) 仮設トイレの排水システム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JP5650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及び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の施工方法
KR100641069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CA3035851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KR20200061250A (ko) 유공관 내부로 배수가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JP3140982B2 (ja) ドレン管束を用いた水処理設備
KR100970339B1 (ko) 성토부 수해방지 배수관구조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101420821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의 흡배수재
KR102201825B1 (ko)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KR101309427B1 (ko)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 형성방법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