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077A -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 Google Patents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077A
KR20180046077A KR1020160140884A KR20160140884A KR20180046077A KR 20180046077 A KR20180046077 A KR 20180046077A KR 1020160140884 A KR1020160140884 A KR 1020160140884A KR 20160140884 A KR20160140884 A KR 20160140884A KR 20180046077 A KR20180046077 A KR 2018004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extending
cigarette
l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250B1 (ko
Inventor
강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6014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를 사용시, 제1 프레임에 실장된 LED기판들과 회전부재에 실장된 LED기판들을 이용하여 담배 제품의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를 제공한다.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는 ⅰ) 담뱃갑이 진열되는 제1 상면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ⅱ)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된 제2 프레임, ⅲ)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2 프레임과 대향하고 제1 프레임의 타측과 연결된 제3 프레임, ⅳ)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의 전측과 연결된 제4 프레임, ⅴ)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4 프레임과 대향하고 제1 프레임의 후측과 연결된 제5 프레임, ⅵ)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재, ⅶ)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제3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가지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은 제3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회전부재는 제1 홈부에 삽입되고 제2 회전부재는 제2 홈부에 삽입된다.

Description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DISPLAY BOX FOR CIGARETTE SHOWCASE}
본 발명은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 판매처에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담배를 신속히 찾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담배를 종류별로 수납하는 담배 진열대가 있다. 담배 진열대에는 담배 제품의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한 조명수단과 전방부에 위치하는 광고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조명수단은 불빛을 일 방향을 향해 비추는 상태로 조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처음 설치시 설정된 조사 방향을 향해서만 불빛을 비추는 상태로 조사해야 했다. 따라서 진열장에 진열되는 상품이나 광고판의 진열 위치를 변동시켰을 때에는 그 변동된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은 밝게 조명될 수 없어 상품의 진열 위치에 따라 조명등의 재설치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를 사용시, 제1 프레임에 실장된 LED기판들과 회전부재에 실장된 LED기판들을 이용하여 담배 제품의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는 ⅰ) 담뱃갑이 진열되는 제1 상면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ⅱ)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된 제2 프레임, ⅲ)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2 프레임과 대향하고 제1 프레임의 타측과 연결된 제3 프레임, ⅳ)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1 프레임의 전측과 연결된 제4 프레임, ⅴ)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제4 프레임과 대향하고 제1 프레임의 후측과 연결된 제5 프레임, ⅵ)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재, ⅶ)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제3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가지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은 제3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1 회전부재는 제1 홈부에 삽입되고 제2 회전부재는 제2 홈부에 삽입된다.
제1 회전부재는 제1 회전부, 제1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하고 제1 회전부는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 타측에 위치하고 제1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제1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고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제1 회전부 LED기판은 제1 실장부가 뻗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실장부는 제1 회전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는 제2 회전부, 제2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고 제2 회전부는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 타측에 위치하고 제2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는 제2 삽입홈, 그리고 제2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고 제2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제2 회전부 LED기판은 제2 실장부가 뻗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2 실장부는 제2 회전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광고프레임과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광고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는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광고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1 홈부와 연결되며 제1 홈부의 원호 형상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은 제2 홈부와 연결되며 제2 홈부의 원호 형상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4 홈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3 홈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는 제4 홈부에 위치하고, 제1 돌출부는 제3 홈부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회동하고, 제2 돌출부는 제4 홈부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1 시트홈부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은 제2 시트홈부를 포함하고 일측은 제1 시트홈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제2 시트홈부에 삽입되는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은 제1 프레임이 뻗은 방향으로 뻗은 제1 방출홈을 포함하고 제1 방출홈은 제1 방출홈과 대향하며 제1 방출홈의 내부에 치하는 제1 방출홈 LED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1 반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2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제2 반사유닛은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3 반사유닛, 그리고 제3 반사유닛과 대향하고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제3 반사유닛으로 조사하는 제4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제3 반사유닛과 제4 반사유닛은 제1 방출홈을 향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 상면에 삽입되어 있는 탈착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상부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에 실장된 LED기판들과 회전부재에 실장된 LED기판들을 이용하여 진열된 담배 제품의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광고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적 각도를 조절하기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는 제1 프레임(10), 제2 프레임(20), 제3 프레임(30), 제4 프레임(40), 제5 프레임(50), 제1 회전부재(60), 제2 회전부재(70), 제1 광고프레임(81) 그리고 제2 광고프레임(8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은 제1 상면(101), 제1 방출홈(102) 그리고 제2 방출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으며 xy면과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0)의 제1 상면(101)에는 담뱃갑(T)이 진열될 수 있다. 제1 방출홈(102)과 제2 방출홈(103)은 그 내부에 LED기판 등의 조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수단에서 나온 광은 제1 방출홈(102)과 제2 방출홈(103)을 통과하여 제1 상면(101)에 위치한 담뱃갑(T)에 조사될 수 있다. 제1 방출홈(102)과 제2 방출홈(103)에서 동시에 광이 조사될 경우 담뱃갑(T)의 조명 입체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제1 프레임(1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yz 면과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제1 홈부(201)와 제3 홈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201)는 제2 프레임(20)에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홈 일 수 있다. 제1 홈부(201)와 제3 홈부(202)는 연결될 수 있다. 제3 홈부(202)는 제1 홈부(201)의 원호 형상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재(60)는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재(60)는 돌출부(611)와 삽입홈(61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60)는 제1 홈부(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611)는 제3 홈부(202)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611)의 xy면의 단면적은 제3 홈부(202)의 xy면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611)는 제3 홈부(202)에서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광고프레임(81)은 담배 제품 등의 광고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고프레임(81)은 삽입홈(6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광고프레임(81)은 삽입홈(613)을 통해 회전부재(60)와 연결되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동하며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광고프레임(81)을 삽입홈(613)에서 빼내어 광고물을 교체하거나 길이 또는 크기가 또다른 광고프레임들을 삽입할 수 있다. 제1 광고프레임(81)은 아크릴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0)은 제1 프레임(1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30)은 제2 프레임(20)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3 프레임(30)은 y축을 기준으로 제2 프레임(20)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프레임(30)은 yz면과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3 프레임(30)은 제2 프레임(20)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y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인 형상이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프레임(30)은 제1 홈부(201) 및 제3 홈부(202)와 각각 대칭인 제2 홈부(미도시)와 제4 홈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회전부재(6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또다른 회전부재(70)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부재(70)는 제2 광고프레임(82)과 연결되어 회동하며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4 프레임(40)은 xz면과 평행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4 프레임(40)의 하부는 제1 프레임(10)과 연결되고 양 측면은 각각 제2 프레임(20) 및 제3 프레임(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프레임(40)은 테두리부(401)에 LED들(40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테두리부(401)를 따라 위치하는 LED들(402)을 이용하여 시각적 집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는 제1 프레임(10)이 밑면, 제2 프레임(20)이 일측면, 제3 프레임(30)이 타측면, 제4 프레임(40)이 앞면 그리고 제5 프레임(50)의 뒷면인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회전부재(6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회전부재(60)는 길게 뻗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60)는 회전부(61)와 실장부(63)를 포함한다.
회전부(61)는 돌출부(611), 삽입홈(613) 그리고 결합홈(615)을 포함한다. 돌출부(611)는 회전부(61)의 상부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홈(613)은 회전부(61)가 길게 뻗은 방향을 따라 회전부(61)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내측으로 파인 홈 형상일 수 있다. 삽입홈(613)은 돌출부(611)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결합홈(615)은 회전부(61)가 길게 뻗은 방향을 따라 돌출부(611)의 하부부터 회전부(61)의 하부까지 내측으로 파인 홈 형상일 수 있다. 결합홈(615)과 삽입홈(613)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실장부(63)는 길게 뻗은 반원통 형상일 수 있다. 실장부(63)는 그 내부 홈에 회전부 LED기판(60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63)는 회전부(61)와 결합할 수 있다. 실장부(63)의 상부는 돌출부(611)의 하부와 맞닿고 실장부(63)의 하부는 회전부(61)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다. 회전부재(60)의 회전부 LED기판(605)은 제1 삽입홈(613)에 삽입된 제1 광고프레임(81)을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고프레임(81)의 시각적 집중도를 높여 광고물의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광고판을 조사할 경우, 처음 설치된 조사 방향을 향해서만 빛이 조사되므로 광고판의 위치를 변동시켰을 경우 변동된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광고판은 밝게 조명될 수 없어 조명의 재설치 과정의 필요했다.
반면에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는 제1 광고프레임(81)이 회전부 LED기판(605)이 실장된 제1 회전부재(60)와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고프레임(81)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회전부 LED기판(605)이 함께 회동하므로 빛이 일정하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재설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회전부 LED기판(605)이 작동 오류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제2 프레임(2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회전부재(60)를 빼내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회전부 LED기판(605)의 색상, 빛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제1 프레임(10)의 yz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은 제1 상면(101) 및 제1 방출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출홈(102)은 방출홈 LED기판(104) 및 제1 반사유닛(10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출홈 LED기판(104)은 제1 프레임(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방출홈 LED기판(104)이 조사하는 LED광은 제1 방출홈(102)을 통해 제1 프레임(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05)은 제1 상면(1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05)은 방출홈 LED기판(104)이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제1 프레임(1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05)에 의해 굴절된 빛은 담뱃갑(T)에 조사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05)은 직각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방출홈 LED기판(104)에서 조사된 빛은 직각삼각형의 빗면을 따라 광의 반사 각도가 각각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뱃갑(T)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제1 프레임(10)의 yz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제1 프레임(10)의 구조는 제2 반사유닛(106) 및 오목부(107)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제1 프레임(1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은 제1 상면(101) 및 제1 방출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출홈(102)은 제2 반사유닛(106) 및 오목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유닛(106)은 제1 상면(1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반사유닛(106)은 z축 방향으로 뻗으며 그 상부에 오목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유닛(106)은 방출홈 LED기판(104)이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제1 방출홈(102)을 통과하고 제1 상면(101)에 위치하는 담뱃갑(T)을 항해 조사할 수 있다. 제2 반사유닛(106)에 조사된 빛은 오목부(107)를 따라 광의 반사 각도가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오목부(107)의 곡률을 달리하여 담뱃갑(T)에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제1 프레임(10)의 yz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제1 프레임(10)의 구조는 제3 반사유닛(108) 및 제4 반사유닛(109)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제1 프레임(1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은 제1 상면(101) 및 제1 방출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출홈(102)은 제3 반사유닛(108) 및 제4 반사유닛(109)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사유닛(108)과 제4 반사유닛(109)은 제1 상면(1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반사유닛(108)은 z축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제4 반사유닛(109)은 제3 반사유닛(108)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4 반사유닛(109)은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제3 반사유닛(108)보다 z축 길이가 작을 수 있다. 제3 반사유닛(108)과 제4 반사유닛(109)은 제1 방출홈(102)을 향해 상호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출홈 LED기판(104)이 방출하는 빛은 제3 반사유닛(108)과 제4 반사유닛(109)에 조사될 수 있다. 먼저 제4 반사유닛(109)은 방출홈 LED기판(104)이 조사하는 빛을 제3 반사유닛(108)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3 반사유닛(108)은 제4 반사유닛(109)에 의해 반사된 빛을 제1 상면(101)에 위치하는 담뱃갑(T)을 항해 조사할 수 있으며, 방출홈 LED기판(104)에서 조사된 빛도 담뱃갑(T)을 항해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출홈 LED기판(104)에서 나오는 빛을 제4 반사유닛(109)을 통해 한번 더 모아줄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담뱃갑(T)에 조사되는 광량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의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구조는 제1 시트홈부(203), 제3 광고프레임(83), 시트부(84), 스토퍼(110) 그리고 분리벽(112)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1)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는 제3 광고프레임(83) 및 시트부(84)를 포함한다. 제3 광고프레임(83)은 yz면과 평행하는 정사각형 형상 일 수 있다. 제3 광고프레임(83)의 일측은 제1 회전부재(6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회전부재(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광고프레임(83)은 광고지 삽입구(831)를 포함하여 광고지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고지 삽입구(831)를 통해 광고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0)은 시트홈부(203)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은 시트홈부(203)와 대향하며 위치하고 x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인 또다른 시트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홈부(203)와 또다른 시트홈부는 제3 광고프레임(83)을 향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시트부(84)는 제3 광고프레임(8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시트부(84)의 일측은 제2 프레임(20)의 제1 시트홈부(203)에 삽입되고 타측은 제3 프레임(30)의 또다른 시트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시트부(84)는 페트(Polyethylene phthalate, PET)지 일 수 있다. 시트부(84)의 양단이 제2 프레임(20)과 제3 프레임(30)에 삽입될 경우, 시트부(84)는 페트의 탄성을 이용하여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은 분리벽(112) 및 스토퍼(110)를 포함한다. 분리벽(112)은 시트부(8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분리벽(112)은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벽(112)의 후방은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스토퍼(110)는 그 상부에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10)의 하부는 제1 프레임(10)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상품의 진열, 청소 등을 위해 디스플레이 박스를 담배 진열장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야 하는 경우, 제1 프레임(10)에 삽입된 탈착 가능한 스토퍼(11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스토퍼(11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1)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돌출부(111)를 손으로 잡은 후, 스토퍼(110)를 제1 프레임(10)으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의 yz평면도를 나타낸다.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는 진열장(S)에 서랍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110)의 하부는 제1 프레임(10)을 관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를 당겨 그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 스토퍼(110)가 진열장(S)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가 진열장(S)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진열장(S)은 담배 진열장 외에도 술, 화장품 등의 상품의 진열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30. 제3 프레임 40. 제4 프레임
50. 제5 프레임 60. 회전부재
61. 제1 회전부 63. 제1 실장부
70. 회전부재 81. 제1 광고프레임
82. 제2 광고프레임 83. 제3 광고프레임
84. 시트부 101. 제1 상면
102. 제1 방출홈 103. 제2 방출홈
104. 방출홈 LED기판 105. 제1 반사유닛
106. 제2 반사유닛 107. 오목부
108. 제3 반사유닛 109. 제4 반사유닛
110. 스토퍼 111. 돌출부
112. 분리벽 201. 제1 홈부
202. 제3 홈부 203. 시트홈부
401. 테두리부 402. LED들
605. 회전부 LED기판 611. 돌출부
613. 삽입홈 615. 결합홈
831. 광고지 삽입구 T. 담뱃갑
S. 진열장

Claims (14)

  1. 담뱃갑이 진열되는 제1 상면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과 연결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2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과 연결된 제3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전측과 연결된 제4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4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후측과 연결된 제5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제3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 LED기판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가지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3 프레임이 뻗은 방향을 따라 뻗고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2 홈부에 삽입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1 실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 LED기판은 상기 제1 실장부가 뻗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3. 제2항에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와 결합되는 제2 실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는 제2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재가 뻗은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 LED기판은 상기 제2 실장부가 뻗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광고프레임과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광고프레임을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5. 제3항에서,
    일단부는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광고프레임을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6. 제3항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원호 형상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2 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홈부의 상기 원호 형상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을 가지는 제4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3 홈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4 홈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3 홈부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회동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4 홈부에서 위치가 가변되어 회동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7. 제3항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제1 시트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제2 시트홈부를 포함하고 일측은 상기 제1 시트홈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시트홈부에 삽입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면은 제1 프레임이 뻗은 방향으로 뻗은 제1 방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출홈은 상기 제1 방출홈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방출홈의 내부에 치하는 제1 방출홈 LED기판을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9. 제8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상기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1 반사유닛을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반사유닛은 삼각형 형상인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11. 제8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상기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2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유닛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12. 제8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반사하고 상기 담뱃갑으로 조사하는 제3 반사유닛, 그리고 상기 제3 반사유닛과 대향하고 상기 제1 방출홈 LED기판에서 조사하는 빛을 상기 제3 반사유닛으로 조사하는 제4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사유닛과 상기 제4 반사유닛은 상기 제1 방출홈을 향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13.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면에 삽입되어 있는 탈착 가능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14. 제13항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부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KR1020160140884A 2016-10-27 2016-10-27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KR10188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84A KR101885250B1 (ko) 2016-10-27 2016-10-27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84A KR101885250B1 (ko) 2016-10-27 2016-10-27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77A true KR20180046077A (ko) 2018-05-08
KR101885250B1 KR101885250B1 (ko) 2018-08-03

Family

ID=621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84A KR101885250B1 (ko) 2016-10-27 2016-10-27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58U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메자인 담배진열대의 인출부 조명장치
JP2010078250A (ja) * 2008-09-26 2010-04-08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12157554A (ja) * 2011-02-01 2012-08-23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58U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메자인 담배진열대의 인출부 조명장치
JP2010078250A (ja) * 2008-09-26 2010-04-08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12157554A (ja) * 2011-02-01 2012-08-23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250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3519B (zh) 线性灯具
US8562167B1 (en) Cabinet having a light-emitting-translucent-shelf
US10660457B2 (en) Transparent window display apparatus
JP2012157554A (ja) ショーケース
US6533130B1 (en) Illuminated chip rack
JP5342398B2 (ja) 照明具及び商品陳列棚
US10161573B2 (en) Illuminated frame system
KR200445110Y1 (ko) 담배진열대의 인출부 조명장치
KR101885250B1 (ko) 담배 진열장 디스플레이 박스
US10002552B1 (en) Light panel display apparatus for image sheet illumination
KR20170002077U (ko) 물품 전시를 위한 조립식 케이스
CN221054862U (zh) 一种透镜及灯具
JP3584377B2 (ja) 自動販売機用商品見本
KR20190005458A (ko) 광고대로 사용가능한 충전식 상품진열대
KR200187041Y1 (ko) 진열장
CN220082904U (zh) 透镜、灯具及柜体
JP2005299964A (ja) ショーケース
US11644180B2 (en) Illumination device, luminaire and refrigerator
KR200349429Y1 (ko) 상품 조명프레임
CN210696944U (zh) 具有发光功能的搁板
IT202100009122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espositore di prodotti
JP3089934U (ja) 商品陳列装置
KR0117725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전시부 구조
KR200307101Y1 (ko) 조명 광고판이 부착된 자판기
JP3089039U (ja) 電照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