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612A -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612A
KR20180044612A KR1020160138341A KR20160138341A KR20180044612A KR 20180044612 A KR20180044612 A KR 20180044612A KR 1020160138341 A KR1020160138341 A KR 1020160138341A KR 20160138341 A KR20160138341 A KR 20160138341A KR 20180044612 A KR20180044612 A KR 2018004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insertion tube
stopper
shaft
ada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Priority to KR102016013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4612A/ko
Publication of KR2018004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기저면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받침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과 일단이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관과 축 삽입관의 타단에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어댑터 삽입관과 일단이 어댑터 삽입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은 부품이 탑재되는 어댑터와 축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축 삽입관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1고정장치 및 어댑터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어댑터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2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어댑터는 타단이 부품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는 어댑터가 작업대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항공기 부품을 탑재할 수 있고, 항공기 부품이 어댑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어댑터에 고정시킬 수 있어 항공기 부품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어댑터와 축 삽입관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할 수 있어 항공기 부품의 분해 및 조립하는 정비작업이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Assembling and Disassembling Work Bench for Parts of Aircraft}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탑재시켜 부품의 분해 및 조립작업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투기 또는 수송기와 같은 항공기는 엔진이나 날개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전투를 수행하기 위한 미사일이나 각종 폭탄 및 연료나 화물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항공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은 항공기에서 탈착된 후 분해 및 조립 등을 통해 정비업무가 수행되며, 이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항공기 부품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그 무게 또한 상당하여 작업자를 보조하기 위해 부품을 고정하고 부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적합한 작업대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10-1031872호에 개시된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항공기의 부품 또는 외면에 추가 부착물이 형성된 부품을 탑재할 수 있지만,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항공기 부품을 탑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대에 탑재되는 항공기 부품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없어서 항공기 부품의 분해 및 조립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다양한 항공기 부품이 어댑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항공기 부품을 분해 및 조립하는 정비작업을 수행할 때 다양한 각도로 항공기 부품을 회전시켜 작업자가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저면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받침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과 일단이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관과 축 삽입관의 타단에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어댑터 삽입관과 일단이 어댑터 삽입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은 부품이 탑재되는 어댑터와 축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축 삽입관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1고정장치 및 어댑터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어댑터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2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어댑터는 타단이 부품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장치는, 축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과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스토퍼 및 제1스토퍼의 일단에 제1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손잡이로 구성되되, 제1스토퍼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1만곡부가 형성되며, 제1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제1만곡부가 회전축과 접촉할 경우 축 삽입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고정장치는, 어댑터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스토퍼 및 제2스토퍼의 일단에 제2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손잡이로 구성되되, 제2스토퍼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2만곡부가 형성되며, 제2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제2만곡부가 어댑터와 접촉할 경우 어댑터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어댑터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댑터가 어댑터 삽입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어댑터의 타단에는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는 어댑터가 작업대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항공기 부품을 탑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공기 부품을 어댑터에 고정할 수 있어 항공기 부품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댑터와 축 삽입관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할 수 있어 항공기 부품의 분해 및 조립작업이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축 삽입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축 삽입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부품 분해 조립용 작업대는 받침판(100), 축 삽입관(200), 어댑터 삽입관(300), 어댑터(400), 제1고정장치(600), 제2고정장치(7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판(100)은 원형의 판재의 형태로 기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판(100)의 형상은 원형이 일반적이나,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각형과 원형이 함께 결합된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받침판(100)에는 회전축(110)이 형성 될 수 있다.
회전축(110)은 받침판(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0)은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막대의 형태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10)이 후술할 축 삽입관(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회전축(110)의 외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의 걸림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 삽입관(200)은 일정길이를 갖으며 내부가 천공된 중공형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 삽입관(200)은 일단이 받침판(100)의 회전축(110) 외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축 삽입관(200)의 외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구(10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구(1000)는 일반적으로 볼트일 수 있으나, 핀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 삽입관(200)의 중공된 일부분에 고정구(1000)가 삽입되고, 고정구(1000)의 일단이 회전축(110)의 걸림홈(111)에 걸려 축 삽입관(200)이 회전축(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1000)의 일단은 걸림홈(111)에 걸리게 될 뿐 회전축(11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축 삽입관(200)은 회전축(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댑터 삽입관(300)은 일정길이를 갖으며 내부가 천공된 중공형 원통 또는 다각형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 삽입관(300)은 축 삽입관(200)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400)의 일단은 어댑터 삽입관(3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에는 부품이 탑재될 수 있다. 어댑터(400)는 일단이 어댑터 삽입관(3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어댑터 삽입관(30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어댑터(400)의 타단에 탑재되는 부품은 실린더, 랜딩기어 등 소정의 무게를 갖는 부품일 수 있다.
어댑터(400)는 타단이 부품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400)의 타단 형상은 원형, 다각형, 중공부를 갖는 타원형 등 부품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어댑터(400) 중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부품에 적합한 어댑터(400)를 선택하여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어댑터(400)의 타단에는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후술할 고정수단(450)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체결홈(40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45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벨트와 집게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일예로, 고정수단(450)은 어댑터(40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홈(403) 중 하나 이상의 체결홈(403)과 부품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볼트가 관통한 후 돌출된 볼트의 끝부분에 너트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고정수단(450)이 부품을 어댑터(400)에 고정시키게 되면, 부품을 탑재한 상태에서 어댑터(400)를 회전시키더라도 부품이 어댑터(40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어댑터(400)의 일단에는 이탈방지 캡(80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 캡(800)은 어댑터(400)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볼트나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400)가 어댑터 삽입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고정장치(600)는 축 삽입관(200) 일측에 구비되어 축 삽입관(200)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장치(600)는 제1브라켓(610), 제1스토퍼(620), 제1손잡이(6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610)은 축 삽입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라켓(610)과 축 삽입관(200)의 접촉면에는 제1브라켓(610)과 축 삽입관(200)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6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620)는 제1브라켓(6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스토퍼(620)에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1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620)의 일단에는 제1스토퍼(620)를 조작하기 위한 제1손잡이(6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장치(600)에 의한 축 삽입관(200)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손잡이(630)를 조작하여 제1스토퍼(620)의 제1만곡부가 제1관통공(650)으로 노출된 회전축(110)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제1만곡부의 곡률에 의해 회전축(110)과 제1스토퍼(620)가 접촉하지 않으면서 축 삽입관(200)이 자유롭게 회전한다. 반면에, 제1손잡이(630)를 조작하여 제1만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스토퍼(620)의 일부분을 회전축(110)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제1스토퍼(620)와 회전축(110)이 접촉하면서 제1스토퍼(620)가 회전축(110)을 가압하여 축 삽입관(200)의 회전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스토퍼(620)의 제1만곡부가 회전축(110)과 접하면 축 삽입관(20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제1만곡부가 아닌 제1스토퍼(620)의 일부분이 회전축(110)과 접하면 축 삽입관(200)이 고정된다.
제2고정장치(700)는 어댑터 삽입관(300) 일측에 구비되어 어댑터(400)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다. 제2고정장치(700)는 제2브라켓(710), 제2스토퍼(720), 제2손잡이(7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710)은 어댑터 삽입관(30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710)과 어댑터 삽입관(300)의 접촉면에는 제2브라켓(710)과 어댑터 삽입관(300)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7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720)는 제2브라켓(7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스토퍼(720)에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2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720)의 일단에 제2스토퍼(720)를 조작하기 위해 제2손잡이(7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고정장치(700)에 의한 어댑터 삽입관(300)의 고정은 제1고정장치(600)에 의한 축 삽입관(200)의 고정과 그 동작이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받침판 110 : 회전축
111 : 걸림홈 200 : 축 삽입관
300 : 어댑터 삽입관 400 : 어댑터
403 : 체결홈 450 : 고정수단
600 : 제1고정장치 610 : 제1브라켓
620 : 제1스토퍼 630 : 제1손잡이
650 : 제1관통공 700 : 제2고정장치
710 : 제2브라켓 720 : 제2스토퍼
730 : 제2손잡이 750 : 제2관통공
800 : 이탈방지 캡 1000 : 고정구

Claims (5)

  1. 기저면을 형성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관;
    상기 축 삽입관의 타단에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어댑터 삽입관;
    일단이 상기 어댑터 삽입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은 부품이 탑재되는 어댑터;
    상기 축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축 삽입관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1고정장치; 및
    상기 어댑터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댑터의 회전을 고정하는 제2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댑터는 타단이 상기 부품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장치는,
    상기 축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스토퍼의 일단에 상기 제1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손잡이로 구성되되,
    상기 제1스토퍼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1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만곡부가 상기 회전축과 접촉할 경우 상기 축 삽입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장치는,
    상기 어댑터 삽입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일단에 상기 제2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손잡이로 구성되되,
    상기 제2스토퍼는 외주면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제2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만곡부가 상기 어댑터와 접촉할 경우 상기 어댑터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가 상기 어댑터 삽입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캡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타단에는 상기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KR1020160138341A 2016-10-24 2016-10-24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KR20180044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41A KR20180044612A (ko) 2016-10-24 2016-10-24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41A KR20180044612A (ko) 2016-10-24 2016-10-24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12A true KR20180044612A (ko) 2018-05-03

Family

ID=6224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341A KR20180044612A (ko) 2016-10-24 2016-10-24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46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41B1 (ko) * 2019-10-16 2020-02-27 티엠디이엔지(주) 터빈쉘 보수용 회전식 지지장치
CN113816302A (zh) * 2021-10-21 2021-12-21 武汉华中天经通视科技有限公司 一种五自由度可调的装卸装置
KR102528598B1 (ko) 2022-07-28 2023-05-02 황인호 신형 항공기엔진 내부정비 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41B1 (ko) * 2019-10-16 2020-02-27 티엠디이엔지(주) 터빈쉘 보수용 회전식 지지장치
CN113816302A (zh) * 2021-10-21 2021-12-21 武汉华中天经通视科技有限公司 一种五自由度可调的装卸装置
KR102528598B1 (ko) 2022-07-28 2023-05-02 황인호 신형 항공기엔진 내부정비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612A (ko) 항공기 부품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US8590417B1 (en) Trailer landing gear apparatus
EP3090149B1 (en) Handling device
KR20120071325A (ko) 블레이드 착탈 장치
EP3538310B1 (en) Blade clamp for a reciprocating power tool and power tool
US7647852B1 (en) Ratchet screwdriver and connection arrangement
JP5948384B2 (ja) プロペラ組立体およびプロペラ翼固定組立体
CN104456464B (zh) 照明灯具及其灯头安装支架结构
TWI595978B (zh) Nut locking system
JP6564455B2 (ja) アクセサリギアボックスのマウント機構
KR101216475B1 (ko) 원통구조물 조립 장치
US9770798B2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workpiece
US8202171B2 (en) Safety guard for a double universal joint
CN108858052B (zh) 用于弯曲开口销的装置
TWI633948B (zh) 彎折裝置
BR102014025569B1 (pt) Unidade de vedação e de suporte e método para separação de uma unidade de vedação e de suporte
CN209755055U (zh) 用于制动卡钳活塞的拆装工具
JP2016522093A (ja) コレットアセンブリのロック機構
JP4372037B2 (ja) ソケット交換型レンチ
US9707626B2 (en) Hole saw assembly
EP3006147A1 (en) Hole saw assembly
EP3463768B1 (en) Spring balancing device and industrial robot comprising a spring balancing device
JP6692979B1 (ja) カップリングカバー
CN114206554B (zh) 弹簧销拆装辅具
CN214980717U (zh) 盲孔衬套拆除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