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59A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4559A KR20180044559A KR1020160138205A KR20160138205A KR20180044559A KR 20180044559 A KR20180044559 A KR 20180044559A KR 1020160138205 A KR1020160138205 A KR 1020160138205A KR 20160138205 A KR20160138205 A KR 20160138205A KR 20180044559 A KR20180044559 A KR 20180044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housing
- lens
- adhesive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H04N5/23287—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04N5/2251—
-
- H04N5/225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ens driving device,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이미지 센서 모듈,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and storing the image or moving image is being developed. Generally,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module, and a lens drive device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module.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다. 렌즈 구동장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s are equipped with ultra-compact camera modules. The lens driving device can perform auto focusing to adjust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는데, 사용자의 손떨림에 기인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부가한 렌즈 구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be shaken finely due to user's hand movements during photographing of a subject. In order to correct distortion of an image or a moving image due to a shaking of a user, a lens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OIS) A driving device is being developed.
따라서, 실시예는, 외부충격에 강한 견고한 구조를 가진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a rigid structure that is resistant to an external impact,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portable devic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렌즈배럴이 본딩되는 상기 보빈의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installed therein;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wherein a coating extension region extending an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gent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bobbin to which the lens barrel is bonded.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 상부에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경사면은, 제1방향에 수직인 x-y평면상에서 상기 렌즈배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lens barrel on an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함몰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복수의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cesses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ing.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일부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bos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sse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surface partly.
상기 복수의 보스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bosses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단차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 step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단차는, 상기 경사면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using.
상기 경사면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고,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상기 제1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렌즈가 본딩되는 상기 보빈의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for mounting the lens; A first coil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il; And a bas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a coating extension region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gent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bobbin to which the lens is bonded.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렌즈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렌즈배럴과 본딩되는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 상부에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의 함몰홈, 보스 또는 단차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comprises: 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installed therein;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 lens barrel coupled to the bobbin, wherein the bobbin has a coating extension region for expanding a coating area of the adhesive on a portion to be bonded to the lens barrel, and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The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pressed grooves, bosses, or steps.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the lens driving device.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 changes by an electrical signal; The camera module converting an image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은 보빈측과 렌즈배럴측 양쪽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도포면적이 확장됨으로 인해 보빈과 렌즈배럴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ating extension area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can expand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on both the bobbin side and the lens barrel side, and the adhesion area of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bobbin to the lens barrel The bonding force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함몰홈, 보스 또는 단차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경사면과 함께,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여 보빈과 렌즈배럴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oating extension area includes a recessed groove, a boss, or a step,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bobbin and the lens barrel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together with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접착제의 결합력이 증가됨으로써, 렌즈 구동장치가 외부로부터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는 결합력을 유지하고 떨어져 나가는 것이 억제되어, 렌즈 구동장치의 고장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of the adhesive, even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receives continuous and continuous impact from the outside, the adhesive maintains the bonding force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and the occurrence of failure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suppressed.
도 1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와 다른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2A.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bbin of on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on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explaining a coating extension region of an embodiment.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explaining a coating extension region of another embodiment.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C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explaining a coating extension area of another embodiment.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D of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of one embodiment.
Fig. 15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are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o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the upper or lower (on or under Quot; includes both that the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elements. Also, when expressed as "on" or "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top / top / top" and "bottom / bottom / bottom", as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imply n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Further, in the drawing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the x axis and y 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x 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미도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n auto focusing device applied to a small camera modul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an image of a subject on an image sensor (not shown). Such an auto focusing apparatus can be variously configured. In the embodiment, the optical focusing unit can be operated by moving the optical module including the plurality of lenses in the first direc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ortion and a fixed portion. At this time, the movable part can perform the auto focusing function of the lens.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a
보빈(110)은 상기 하우징(140) 내측에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LB)(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LB)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예를 들어,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LB)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fe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LB)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LB)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LB)과 보빈(110)이 접착제로 결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LB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상기 렌즈배럴(LB)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LB may be a single lens,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 및/또는 전류량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auto 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 or the current amount of the current, and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가이드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cylindrical or prismatic lik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and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ower
상측 탄성부재(150)는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 및/또는 홈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 및/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 및/또는 홈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and the through holes and / or the grooves may be fixedly join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heat seal or epoxy.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부재(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측에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40)의 변 부위에 결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결합 또는 배치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제1마그네트(130)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다층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거나 또는 전류 전달통로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upper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as a modified embodiment, the lower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베이스(210)는 보빈(110) 및 인쇄회로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300)와 결합할 수 있다.The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10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측 탄성부재(150)에 결합 및 연결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및 회로부재(231)를 포함하는 기판 등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모서리 즉,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x-y평면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또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2개 모서리에 2개씩 나머지 2개 모서리에 1개씩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총 7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two pieces may be arranged at two corners and one piece at the other two corners so that a total of six pieces may be arranged. Or, as the case may be, a total of seven or more.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솔더링(soldering),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가 회로부재(231) 및 인쇄회로기판(250)을 포함하는 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기판과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20)는 회로부재(23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에 형성되는 통공에 하부가 삽입되어 솔더링 됨으로써,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including the
또는 회로부재(23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회로부재(231)의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전기적으로 솔더링될 수도 있다.Or the
한편, 도 2a에서는 일 실시예로 선형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220)는 판형부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2A, the linear supporting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이고, 지지부재(220)가 탄성변형 함으로 인해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2, 제3방향은 x축(또는 제1방향), y축(또는 제2방향) 방향뿐만 아니라 x축, y축방향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구동측면에서 본다면, 하우징(140)은 x축,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도 있지만, 또한,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움직일 경우 x축, y축에 약간 경사지게 움직일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may include directions substantially in the x-axis (or the first direction), the y-axis (or the second direction) as well as the x- and y-axis directions. In other words, as seen from the driving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4개의 변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또는 제2방향용 제1변에 1개, 제2방향용 제2변에 2개, 제3방향용 제3변에 1개, 제3방향용 제4변에 2개가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이 경우에 제1변과 제4변이 서로 이웃하고, 제2변과 제3변이 서로 이웃할 수 있다.Or one in the first direction for the second direction, two in the second direction for the second direction, one in the third direction for the third direction, and two in the fourth direction for the third direction, .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직접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제2코일(230)을 포함하는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The
기판은 상기 하우징(140)과 상기 베이스(210)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부재(231) 및 인쇄회로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부재(231)와 인쇄회로기판(2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bstr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상기 회로부재(231)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230)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회로부재(2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본딩 결합될 수 있다.The printed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재(220)가 회로부재(231)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상기 지지부재(220)와 대응되는 코너부에는 지지부재(220)와 회로부재(231) 사이의 솔더링 등 결합작업을 용이하기 위해 도피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ing
인쇄회로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회로부재(23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상기 베이스(210)의 측면에 배치되고, 단자(251)가 설치되는 단자면(253)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절곡된 단자면(253)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50)이 도시되었다.The printed
상기 단자면(253)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 제2코일(2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251)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3)이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커버부재(300)는 모서리가 형성되는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The
또한, 커버부재(300)는 추가적으로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도 2b는 도 2a와 다른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와 비교하면,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지지부재(230), 제2코일(230) 및 회로부재(231)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 2A. FIG. Compared with FIG. 2A,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may not include the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오토 포커싱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 제2코일(230) 및 회로부재(23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하여는 도 2a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can perform only the auto focusing function without performing the camera-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이하에서는 도 3, 도 4 등을 참조하여 보빈(110)과 하우징(14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보빈(1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보빈(110)은 제1상측지지돌기(113) 및 제3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측지지돌기(113)는 상측 탄성부재(150)에 형성되는 통공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상측지지돌기(113)는 원통형상,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를 상기 보빈(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제3돌출부(111)는 보빈(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제3돌출부(111)의 상면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면과 부딪힘으로써, 스프링의 탄성한계를 넘는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보빈(110)의 초기위치가 보빈(110)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보빈(110)의 오토 포커싱은 단방향 제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코일(12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증가할 때 보빈(110)이 상승하고, 공급되는 전류량이 감소할 때 보빈(110)이 점차 하강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그러나, 보빈(110)의 초기위치가 보빈(110)이 하강할 수 있는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경우, 보빈(110)의 오토 포커싱은 양방향 제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우징(140)은 마그네트(130)를 지지하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The
하우징(140)은 제2상측지지돌기(143) 및 제4돌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에 형성되는 통공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원통형상,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를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제4돌출부(144)는 하우징(14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돌출부(144)는 커버부재(300)와 하우징(140)의 몸체가 서로 스토핑(stopping)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제4돌출부(144)의 상면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면과 부딪힘으로써, 상기 커버부재(300)와 하우징(140)의 몸체가 서로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하우징(140)은 보빈(110)의 제1폭(W1)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함몰부(148)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보빈(110)과 대향하는 하우징(140)의 제3함몰부(148)의 면은 보빈(110)에서 돌출형성되는 부위인 제1폭(W1)과 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보빈(110)의 제1폭(W1)과 도 4에 도시된 하우징(140)의 제3함몰부(148)의 제2폭(W2)이 일정 공차를 가질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제3함몰부(148)가 보빈(110)의 제1폭(W1)에 형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110)이 광축 또는 광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더라도, 하우징(140)의 제3함몰부(148)가 보빈(11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The
또한, 하우징(140)의 코너부에는 제2함몰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2함몰부(147)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A
상기 제2함몰부(147)는,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나의 코너부에 구비된 한 쌍의 제2함몰부(147)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함몰부(147)는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하나씩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지면(paper)로 보아, 제2함몰부(147)는 하우징(140)의 코너부 중 지지부재(220)가 관통하는 좌상측에만 형성되고, 우하측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140)의 코너부에는 상기 제2함몰부(147) 대신 상기 지지부재(220)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공은, 제2함몰부(147)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한 쌍씩 또는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한편, 하우징(140)은 하측 탄성부재(160)와 결합을 위하여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의 하부면에 하측 지지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하우징(140)은 각 변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제3스토퍼(149)를 구비할 수 있다. 제3스토퍼(149)는 하우징(140)이 제2 및 제3방향으로 움직일 때 커버부재(30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도 5는 일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1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보빈(110)에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렌즈배럴(LB)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LB)은 상기 보빈(11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a lens barrel LB is provided, and the lens barrel LB can be coupled to the
이때,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110)에서, 상기 렌즈배럴(LB)과 본딩되는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serve to expand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on the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면, 렌즈배럴(LB)은 상기 보빈(110)의 내주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본딩부(BD)가 형성되고, 상기 본딩부(BD)에 의해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9, a lens barrel LB is formed with a bonding portion BD to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을 결합하는 접착제는 경화된 후,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렌즈배럴(LB)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The adhesive for bonding the
예를 들어, 경화된 상기 접착제가 외부충격을 받으면, 상기 접착제에 크랙(crack)이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외부충격이 경화된 상기 접착제에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ed adhesive is subjected to an external impact, a crack may partially occur in the adhesive. Continuous use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cause an external impact to be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ured adhesive.
계속적, 지속적 외부충격으로 인해 상기 접착제에 발생한 크랙은 성장하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 크랙으로 인해 상기 접착제는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의 접착부위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Cracks generated in the adhesive due to a continuous external impact may grow and eventually the adhesive may be separated from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상기 접착제가 떨어져 나가면, 떨어져 나간 접착제의 잔해가 렌즈 구동장치의 각 부분에 유입되어 렌즈 구동장치를 파손시킬 수 있다.When the adhesive agent falls off, debris of the adhesive agent that has fallen off may flow into each part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damage the lens driving apparatus.
더 큰 문제는, 상기 접착제가 떨어져 나감으로써 렌즈배럴(LB)은 상기 보빈(110)으로부터 이탈되어 결국, 렌즈 구동장치가 작동할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될 수도 있다.A bigger problem is that the adhesive may fall off and the lens barrel LB may be detached from the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는 계속적, 지속적인 외부충격에도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접착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so that the adhesive does not fall off even under continuous external shock.
실시예에서는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을 결합하는 접착제의 보빈(110)에 대한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보빈(110)에 도포확장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도 도포확장영역은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be formed in the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은 접착제의 도포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예를 들어 경사면(710)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ame adhesive agent is use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agent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agent. Accordingly, the application extension region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 상부에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경사면(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710)은 상기 보빈(110)의 내주를 따라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710)은 제1방향에 수직인 x-y평면상에서 상기 렌즈배럴(L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5, the
만약, 상기 경사면(710)이 없는 경우, 대부분의 접착제가 상기 보빈(110)의 내주의 상단 즉, 상부평면(720)에 도포되고,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배럴(LB) 사이의 빈틈이 매우 좁으므로, 접착제는 상기 빈틈을 통해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으로 거의 흘러들어가지 않는다.Most of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결국, 서로 수직한 면인 보빈(110)의 상부평면(720)과 렌즈배럴(LB)의 외주면에 접착제가 대부분 접착되어, 경화된 접착제는 보빈(110)과 렌즈배럴(LB)에 대하여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As a result, most of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실시예에서 경사면(710)이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는 보빈(110)의 상부평면(720)과 경사면(710)에 도포됨과 함께, 상기 경사면(710)의 제1방향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따라서, 보빈(110)에 상기 경사면(710)을 형성함으로 인해, 보빈(110)의 상부평면(720), 경사면(710), 그리고 상기 경사면(710)의 제1방향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면에 모두 도포되어, 경사면(71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도포면적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러한 도포면적의 증가로 인해, 상기 접착제의 보빈(110) 및 렌즈배럴(LB)에 대한 접착력이 현저히 증가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접착제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현저히 억제될 수 있다.Due to the increase in the application area,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to the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7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함몰홈(711)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함몰홈(711)은 예를 들어, 일부가 상기 경사면(710)에 형성되고, 나머지가 보빈(110)의 상부평면(720)이 함몰됨으로써, 상기 경사면(710)과 상기 상부평면(72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The recessed
접착제를 상부평면(720) 및 경사면(710)에 도포할 경우, 접착제가 상기 함몰홈(711)에 유입되어, 접착제의 상기 보빈(110)측 도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함몰홈(711)으로 인해 보빈(110)측 도포면적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접착제의 보빈(110)측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상기 복수의 함몰홈(711)은, 예를 들어,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홈(711)의 크기, 함몰홈(711)들 사이의 이격간격 등은 렌즈 구동장치의 전체구조, 크기, 접착제에 요구되는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도 7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렌즈배럴(LB)이 보빈(110)의 내주에 삽입된 경우, 상기 경사면(710), 상부평면(720) 및 상기 복수의 함몰홈(711)들은 상기 렌즈배럴(L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7, when the lens barrel LB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접착제는 상기 경사면(710), 상부평면(720) 및 복수의 함몰홈(711)들과 이들에 대응되는 렌즈배럴(LB)의 외주면 부위에 도포되어 경화됨으로써, 상기 렌즈배럴(LB)과 보빈(1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is applied and cured on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렌즈배럴(LB)과 보빈(110)에 접착되어 경화됨으로써, 상기 렌즈배럴(LB)과 보빈(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본딩부(BD)를 형성할 수 있다.9,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lens barrel LB and the
이때, 상기 본딩부(BD)를 형성하는 접착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에폭시, 열 경화성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adhesive forming the bonding part (BD), for example,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an epoxy, a thermosetting adhesive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본딩부(BD)는 일측은 상기 보빈(110)측의 경사면(710), 상부평면(720) 및 함몰홈(711)에 본딩되고, 타측은 상기 접착제의 외주면에 본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BD may be bonded to the
특히, 보빈(110)에 상기 경사면(710)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면(710)의 제1방향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면에도 상기 본딩부(BD)가 용이하게 본딩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즉, 상기 경사면(710)은 보빈(110) 뿐만아니라 상기 렌즈배럴(LB)의 외주면 상에서도 접착제의 도포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본딩부(BD)의 렌즈배럴(LB) 외주면 상에서의 접착면적을 넓힐 수 있다.That is, the
본딩부(BD)의 렌즈배럴(LB) 외주면 상에서의 접착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본딩부(BD)의 상기 렌즈배럴(LB)에 대한 결합력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The bonding area of the bonding part B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LB is widened so that the bonding force of the bonding part BD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LB can be remarkably increased.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11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일부가 상기 경사면(7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712)(boss)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보스(712)는 예를 들어, 일부가 상기 경사면(710)에 형성되고, 나머지가 보빈(110)의 상부평면(720)이 함몰됨으로써, 상기 경사면(710)과 상기 상부평면(72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함몰홈(711)과 마찬가지로, 상기 보스(712)는 상기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접착제를 상부평면(720) 및 경사면(710)에 도포할 경우, 접착제가 상기 보스(712)의 표면에 도포되어, 접착제의 상기 보빈(110)측 도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보빈(110)의 접착제 도포부위에 형성되는 상기 보스(712)로 인해 보빈(110)측 도포면적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접착제의 보빈(110)측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As the coated area of the
한편, 상기 복수의 보스(712)는, 예를 들어,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712)의 크기, 보스(712)들 사이의 이격간격 등은 렌즈 구동장치의 전체구조, 크기, 접착제에 요구되는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포확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보빈(11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710)에 형성되는 단차(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713)는, 예를 들어, 상기 경사면(710)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may include a
상기 함몰홈(711) 또는 보스(712)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단차(713)는 상기 보스(712)는 상기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Like the
즉, 접착제를 단차(713)가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710)에 도포하는 경우, 접착제가 상기 단차(713)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도포되어, 접착제의 상기 보빈(110)측 도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차(713)는 상기 경사면(710)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단차(713)들의 개수, 그 폭 등은 렌즈 구동장치의 전체구조, 크기, 접착제에 요구되는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경사면(710)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710)은 보빈(110)측과 렌즈배럴(LB)측 양쪽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도포면적이 확장됨으로 인해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area forms the
또한,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함몰홈(711), 보스(712) 또는 단차(71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경사면(710)과 함께,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여 보빈(110)과 렌즈배럴(LB)을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ating extension region includes the recessed
또한, 상기 접착제의 결합력이 증가됨으로써, 렌즈 구동장치가 외부로부터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는 결합력을 유지하고 떨어져 나가는 것이 억제되어, 렌즈 구동장치의 고장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of the adhesive, even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receives continuous and continuous impact from the outside, the adhesive maintains the bonding force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and the occurrence of failure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suppressed.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LB),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LB)은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LB coupled to the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the infrared light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이 경우, 도 2a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는 베이스(2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2A, an infrared cutoff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Further, the holder member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베이스(210)에는 인쇄회로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장치가 별도의 기판을 포함하고 있다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없을 수도 있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14는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바이스(200A)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2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00A, 이하 "디바이스"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a
몸체(850)의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디바이스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device can b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무선 통신부(71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721)는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를 포함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센싱부(740)는 디바이스(200A)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바이스(200A)의 방위, 디바이스(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바이스(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디바이스(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 /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input /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바이스(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디바이스(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 구동부의 패널 제어부(144)를 포함하거나, 패널 제어부(14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While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mutually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e same.
110: 보빈
120: 제1코일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50: 상측 탄성부재
160: 하측 탄성부재
210: 베이스
220: 지지부재
230: 제2코일
231: 회로부재
250: 인쇄회로기판110: Bobbin
120: first coil
130: first magnet
140: housing
150: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210: Base
220: Support member
230: second coil
231: Circuit member
250: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17)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렌즈배럴이 본딩되는 상기 보빈의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installed therein;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Lt; / RTI >
And a coating extension region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bobbin to which the lens barrel is bonded.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 상부에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경사면은,
제1방향에 수직인 x-y평면상에서 상기 렌즈배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lined surface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lens barrel on an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함몰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And a plurality of depressed groove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복수의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depressed-
Wherein the bobbin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bobbin, and has a spacing interval set between the bobbins.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일부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boss)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And a plurality of bosses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복수의 보스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서로 설정된 이격간격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bosses
Wherein the bobbin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bobbin, and has a spacing interval set between the bobbins.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단차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And a step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단차는,
상기 경사면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difference,
And a plurality of lens groups ar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s.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렌즈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nd a len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using.
상기 경사면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고,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상기 제1코일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및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고,
렌즈가 본딩되는 상기 보빈의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housing;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for mounting the lens;
A first coil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il; And
And a base
Lt; / RTI >
Wherein a coating extension region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bobbin to which the lens is bonded.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렌즈배럴
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렌즈배럴과 본딩되는 부위에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하는 도포확장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확장영역은,
상기 보빈의 내주면 상부에 제1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의 함몰홈, 보스 또는 단차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installed therein;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 lens barrel
/ RTI >
The bobbin
A coating extension region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area of the adhesive is formed on a portion to be bonded to the lens barrel,
Wherein the coating extension region
And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nd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bosses, or steps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6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 changes by an electrical signal;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amera module converts the image inpu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205A KR102631963B1 (en) | 2016-10-24 | 2016-10-24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5/790,483 US11099351B2 (en) | 2016-10-24 | 2017-10-23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2211048973.3A CN115327727A (en) | 2016-10-24 | 2017-10-24 |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N201711001250.7A CN107976765B (en) | 2016-10-24 | 2017-10-24 |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US17/376,945 US11573394B2 (en) | 2016-10-24 | 2021-07-15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8/150,361 US20230152554A1 (en) | 2016-10-24 | 2023-01-05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205A KR102631963B1 (en) | 2016-10-24 | 2016-10-24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559A true KR20180044559A (en) | 2018-05-03 |
KR102631963B1 KR102631963B1 (en) | 2024-01-31 |
Family
ID=6224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205A KR102631963B1 (en) | 2016-10-24 | 2016-10-24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196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3522A (en) * | 2018-11-28 | 2020-06-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112291457A (en) * | 2020-10-23 | 2021-01-29 |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 Camera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under scre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619A (en) * | 2008-03-05 | 2010-11-16 | 소니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110111624A (en) * | 2010-04-05 | 2011-10-12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Lens actuator preventing particle induction and process thereof |
KR20120041327A (en) * | 2010-10-21 | 2012-05-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Voice coil motor |
JP2015118331A (en) * | 2013-12-19 | 2015-06-25 |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 Lens drive device |
US20150212291A1 (en) * | 2014-01-28 | 2015-07-30 | Lg Innotek Co., Ltd.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KR20160045384A (en) * | 2014-10-17 | 2016-04-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20160094636A (en) * | 2015-02-02 | 2016-08-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lens mo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205A patent/KR10263196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619A (en) * | 2008-03-05 | 2010-11-16 | 소니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110111624A (en) * | 2010-04-05 | 2011-10-12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Lens actuator preventing particle induction and process thereof |
KR20120041327A (en) * | 2010-10-21 | 2012-05-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Voice coil motor |
JP2015118331A (en) * | 2013-12-19 | 2015-06-25 |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 Lens drive device |
US20150212291A1 (en) * | 2014-01-28 | 2015-07-30 | Lg Innotek Co., Ltd.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KR20160045384A (en) * | 2014-10-17 | 2016-04-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20160094636A (en) * | 2015-02-02 | 2016-08-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lens mo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3522A (en) * | 2018-11-28 | 2020-06-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112291457A (en) * | 2020-10-23 | 2021-01-29 |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 Camera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under scre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1963B1 (en) | 2024-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76765B (en) |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09477999B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12198736B (en) |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14355545B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equipment | |
KR102454210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711448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08603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86927A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44559A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109340A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652995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52233A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568372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458713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05381A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13574852B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 |
KR20170019095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80263A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