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069A -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069A
KR20180044069A KR1020160137683A KR20160137683A KR20180044069A KR 20180044069 A KR20180044069 A KR 20180044069A KR 1020160137683 A KR1020160137683 A KR 1020160137683A KR 20160137683 A KR20160137683 A KR 20160137683A KR 20180044069 A KR20180044069 A KR 2018004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hemical liquid
valve
wat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737B1 (ko
Inventor
전은수
백혜선
Original Assignee
전은수
백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수, 백혜선 filed Critical 전은수
Priority to KR102016013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용 시설물 내에서 약액을 분사하는 약액 분사장치에 약액을 공급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는 약액이 이동하는 제1 라인과, 물이 이동하는 제2 라인과, 제1 라인 및 제2 라인과 연결되는 공급라인에 약액이나 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T관과, 제1 라인에 설치되는 제1 펌프와, 제2 라인에 설치되는 제2 펌프와,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CHEMICAL SUPPLY APPARATUS FOR IN AGRICULTUR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용 시설물 내에서 약액을 분사하는 약액 분사장치에 약액을 공급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란 비닐 하우스 내에 방제작업을 위해 설치된 약액분사장치(약액분사노즐)에 약액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191815호에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는 약재가 담긴 탱크(4)와, 탱크(4)와 관로로 연결되어 약재를 송급하는 펌프(5)와, 펌프(5)에 연결된 분무라인(6)과, 분무라인(6)에 연결된 분배기(7)와, 분배기(7)로부터 다수 가닥으로 분기되어 작물 재배 시설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분기된 각각의 다수 개의 노즐(3)이 설치된 다수개의 살포라인(2)과, 작물 재배 시설의 내부에 다수 열로 배열되게 설치된 다수 개의 유동팬(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분무라인(6)에는 밸브(13b)가 설치된 가압라인(11)이 접속되고, 가압라인(11)에는 압축공기 탱크(15)가 연결되며 탱크(15)에는 밸브(13a)가 설치된 혼합라인(12)이 설치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동팬(1)과의 연동에 의해 작물에 약재를 고르게 분무할 수 있으며 압력조절밸브(10)를 통해 모든 노즐(3)에서 일정량의 약재를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방제작업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물을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그에 따른 인건비나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91815 B1
약액 분사장치를 통하여 방제작업 뿐만 아니라 물을 주는 작업도 가능하도록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약액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농업용 시설물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우스 내부의 환경에 따라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는 약액이 이동하는 제1 라인과, 물이 이동하는 제2 라인과, 제1 라인 및 제2 라인과 연결되는 공급라인에 약액이나 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T관과, 제1 라인에 설치되는 제1 펌프와, 제2 라인에 설치되는 제2 펌프와,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관과 접하는 제1 라인과 제2 라인에는 각각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회수라인에는 회수 제어밸브 설치될 수 있다.
가령, 하우스 내의 방제를 위해 약액을 공급할 때에는 제1 개폐밸브는 개방하고 제2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는 폐쇄하여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약액의 압력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 내의 가습을 위해 물을 공급할 때에는 제1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는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는 개방함으로써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공급할 때에는 제1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는 개방하며, 이 상태에서 회수 제어밸브를 조절함으로써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는 제1 개폐밸브, 제2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제1 개폐밸브, 제2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단일 공급관을 통하여 약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방제작업 뿐만 아니라 물을 주는 작업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액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농업용 시설물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스 내부의 환경에 따라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의 개략도.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의 우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이하, "약액 공급장치"라 약칭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용 시설물 내에는 작물 방제를 위하여 다수의 약액 분사장치(160)가 설치되고 공급라인(126)을 통해 다수의 약액 분사장치(160)와 연결되어 약액을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장치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장치(100, 도 3참조)는, 약액이 이동하는 제1 라인(122)과, 물이 이동하는 제2 라인(124)과, 제1 라인(122) 및 제2 라인(124)과 연결되는 공급라인(126)에 약액이나 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T관(140)과, 제1 라인(122)에 설치되는 제1 펌프(132)와, 제2 라인(124)에 설치되는 제2 펌프(134)와, 공급라인(126)과 물통(114)을 잇는 회수라인(128)을 포함한다.
제1 라인(122)은 약액통(112)과 공급라인(126)을 연결하며, 제2 라인(124)은 물통(114)과 공급라인(126)을 열결한다. T관(140)은 제1 및 제2 라인(124)과 공급라인(126)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어 제1 라인(122)의 약액과 제2 라인(124)의 물을 공급라인(126)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T관(140)과 접하는 제1 라인(122)에는 제1 라인(122)의 약액이 공급라인(126)으로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1 개폐밸브(152)가 설치되고, T관(140)과 접하는 제2 라인(124)에는 제2 라인(124)의 물이 공급라인(126)으로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 개폐밸브(154)가 설치된다.
회수라인(128)은 공급라인(126)과 연결되어 공급라인(126)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일정량 물통(114)으로 회수한다. 이때, 회수라인(128)의 일측에는 회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회수 제어밸브(156)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개폐밸브(152), 제2 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156)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공급라인에 약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스 내의 작물을 방제하거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방제를 위해 약액 분사장치(160)에 약액을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물의 공급은 차단하고 약액만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제1 개폐밸브(152)는 개방하고 제2 개폐밸브(154) 및 회수 제어밸브(156)는 폐쇄한다. 이 경우 공급라인(126)을 통해 이동하는 약액의 압력이 최대로 하여 작물 방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스 내의 습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물을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제1 개폐밸브(152) 및 회수 제어밸브(156)를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154)를 개방한다. 이 경우 공급라인(126)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이 최대로 되어 약액 분사장치(160)의 분사노즐(16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입자가 무화(atomization, 霧化)됨에 따라 가습이 이루어진다.
한편,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공급할 때에는 제1 개폐밸브(152)는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154)를 개방하며, 이 상태에서 회수 제어밸브(156)를 조절함으로써 공급라인(126)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회수 제어밸브(156)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수 제어밸브(156)를 조절하여 회수라인(128)의 개방 정도가 증가되면 회수량이 증가되어 공급라인(126)을 통해 흐르는 물의 압력이 작아진다. 그 결과 분사노즐(16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입자가 커지게 되어 증발량은 감소되고 하우스 내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반대로 회수 제어밸브(156)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수 제어밸브(156)를 조금씩 잠그면 회수량이 감소되어 분사노즐(162)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입자가 작아지게 되어 증발량은 증가되고 하우스 내의 온도는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공급관을 통하여 약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방제작업 뿐만 아니라 물을 주는 작업도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약액 분사장치(160)에서 분사되는 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농업용 시설물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장치(100)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장치(100)는 공급관 및 제1, 제2 라인의 일부, T관 등이 내장되는 육면체 형태의 컨트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베이스(110)는 내부에는 공급관 및 제1, 제2 라인의 일부, T관을 포함하여 컨트롤 베이스(110) 외부에 위치한 약액통(112)과 물통(114)으로부터 약액과 물을 펌핑하기 위한 제1 펌프(132) 및 제2 펌프(134), 제1 펌프(132) 및 제2 펌프(13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6)가 설치되며, 배면에는 컨트롤 베이스(110) 내부의 열을 식히기 위하여 방열팬(138)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베이스(110) 내부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펌프(132, 134)와 연결되어 제1 라인(122)의 약액 또는 제2 라인(124)의 물을 공급라인으로 제공하는 T관(140)이 설치된다. 이때, 컨트롤 베이스(110) 바깥쪽에는 물통(114)으로부터 T관(140)에 이르는 제1 라인(122)의 개폐 및 약액통(112)으로부터 T관(140)에 이르는 제2 라인(124)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제1 개폐밸브(152)와 제2 개폐밸브(154)가 설치된다.
한편, 단일관으로 이루어진 공급라인(126)은 T관(140)과 연결되어 컨트롤 베이스(110) 외부로 이어지며 약액 분사장치(160)와 연결된다. 이때, 공급라인(12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물통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회수라인(128)이 연결되며 그 일측에는 회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회수 제어밸브(156)가 설치된다. 이때, 회수 제어밸브(156)는 제1 및 제2 개폐밸브(152, 154)와 함께 수동조작이 용이하도록 컨트롤 베이스(110) 외측의 제1 및 제2 개폐밸브(152, 154)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개폐밸브(152, 154)의 상측에는 개폐여부를 알려주는 LED 램프(153)가 각각 설치되며 회수 제어밸브(156)의 상측에는 밸브 개폐의 정도를 나타내는 다수개의 LED 램프(158)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베이스(110)의 내부에는 제1 개폐밸브(152), 제2 개폐밸브(154) 및 회수 제어밸브(1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개폐밸브(152), 제2 개폐밸브(154) 및 회수 제어밸브(156)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우스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하우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가령, 하우스 내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제1 개폐밸브(152) 및 회수 제어밸브(156)를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154)를 개방하여 가습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물을 주는 과정에서 하우스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회수 제어밸브(156)를 제어하여 회수라인(128)의 개방 정도를 작게 함으로써 온도를 자동으로 내려가도록 한다. 여기서, 회수라인(128)의 개방 정도를 작게 할 경우 분사노즐(162)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입자가 작아져 증발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하우스 내의 온도는 그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컨트롤 방식에 의하므로 하우스 내의 작물 방제 등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를 통하여 제1 개폐밸브(152), 제2 개폐밸브(154) 및 회수 제어밸브(156)를 하우스 내부의 환경에 따라 자동 제어함으로써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약액 공급장치 110: 컨트롤 베이스
112: 액액통 114: 물통
122: 제1 라인 124: 제2 라인
126: 공급라인 128: 회수라인
132: 제1 펌프 134: 제2 펌프
136: 구동모터 138: 방열팬
140: T관 152: 제1 개폐밸브
154: 제2 개폐밸브 156: 회수 제어밸브
160: 약액 분사장치 162: 분사노즐
180: 제어부

Claims (6)

  1. 공급라인을 통해 하우스 내에 설치된 약액 분사장치에 약액을 공급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로서,
    약액이 이동하는 제1 라인;
    물이 이동하는 제2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라인에 약액이나 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T관;
    상기 제1 라인에 설치되어 약액통의 약액을 상기 공급라인으로 송출하는 제1 펌프;
    상기 제2 라인에 설치되어 물통의 물을 상기 공급라인으로 송출하는 제2 펌프; 및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일정량 상기 물통으로 회수하는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관과 접하는 상기 제1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라인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개폐밸브;
    상기 T관과 접하는 상기 제2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라인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개폐밸브; 및
    상기 회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회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회수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개폐밸브 및 상기 회수 제어밸브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공급라인에 약액 또는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내의 방제를 위해 약액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제1 개폐밸브는 개방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 및 상기 회수 제어밸브는 폐쇄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약액의 압력을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내의 가습을 위해 물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제1 개폐밸브 및 상기 회수 제어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는 개방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을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제1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는 개방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회수 제어밸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밸브, 제2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폐밸브, 제2 개폐밸브 및 회수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KR1020160137683A 2016-10-21 2016-10-21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KR10200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83A KR102000737B1 (ko) 2016-10-21 2016-10-21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83A KR102000737B1 (ko) 2016-10-21 2016-10-21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69A true KR20180044069A (ko) 2018-05-02
KR102000737B1 KR102000737B1 (ko) 2019-07-16

Family

ID=6218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683A KR102000737B1 (ko) 2016-10-21 2016-10-21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927A (ko) * 2020-03-09 2021-09-17 (주)퓨로젠코리아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친환경 바이러스 살균소독장치
KR20220118120A (ko) * 2021-02-18 2022-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도색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825A (ja) * 2007-11-19 2009-06-04 Daiya Kk 薬液散布システムおよび薬液散布方法
KR20100120388A (ko) * 2009-05-06 2010-11-16 정연창 작물보호제 분사장치
KR101191815B1 (ko) 2009-05-19 2012-10-16 이종표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
JP2013021945A (ja) * 2011-07-19 2013-02-04 Chuo Green System:Kk 噴霧システム
KR20140132268A (ko) * 2013-05-06 2014-11-17 이광복 약액분무기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KR20160027827A (ko) * 2014-09-02 2016-03-10 (주)동서그린산업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825A (ja) * 2007-11-19 2009-06-04 Daiya Kk 薬液散布システムおよび薬液散布方法
KR20100120388A (ko) * 2009-05-06 2010-11-16 정연창 작물보호제 분사장치
KR101191815B1 (ko) 2009-05-19 2012-10-16 이종표 약재 분무 방법 및 장치
JP2013021945A (ja) * 2011-07-19 2013-02-04 Chuo Green System:Kk 噴霧システム
KR20140132268A (ko) * 2013-05-06 2014-11-17 이광복 약액분무기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KR20160027827A (ko) * 2014-09-02 2016-03-10 (주)동서그린산업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927A (ko) * 2020-03-09 2021-09-17 (주)퓨로젠코리아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친환경 바이러스 살균소독장치
KR20220118120A (ko) * 2021-02-18 2022-08-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도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37B1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8346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US2018031747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in plant cultivation room
KR101551353B1 (ko) 비가열식 무인 연막기
CN102293145A (zh) 大棚用自动控制气雾栽培设备及采用该设备的栽培方法
KR101674149B1 (ko)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KR20100034808A (ko)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000737B1 (ko)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CN203934555U (zh) 一种超声波雾化施药装置
WO2017050277A1 (zh) 灌溉系统
US20090261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elling Birds
CA3088672A1 (en) Modular aeroponic garden system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KR200375704Y1 (ko) 온실용 무인 방제 시스템
KR200264576Y1 (ko)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장치
KR101964640B1 (ko) 천장설치형 약액분무장치
CN209359147U (zh) 集中式药雾喷洒管理大棚
JP6857853B2 (ja) ミスト発生システム、農業用ハウス
KR101986889B1 (ko) 관수 및 쿨링 기능을 갖는 공기 와류 발생 무인 방제 장치
KR101984300B1 (ko) 약액분무장치
US20140261734A1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or purging fluids
KR10190243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가열식 무인 자동 방제기
CN206073342U (zh) 一种柑橘智能水雾喷淋系统
CN107787725A (zh) 一种喷淋式种植大棚
KR20180047786A (ko) 농업하우스용 자동 분무 시스템과 그의 자동 분무 방법 및 정보처리장치
CN208871778U (zh) 负离子智能环境调节系统、控制柜、加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