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827A -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827A
KR20160027827A KR1020140116426A KR20140116426A KR20160027827A KR 20160027827 A KR20160027827 A KR 20160027827A KR 1020140116426 A KR1020140116426 A KR 1020140116426A KR 20140116426 A KR20140116426 A KR 20140116426A KR 20160027827 A KR20160027827 A KR 2016002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upply pipe
humidity
ai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149B1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그린산업 filed Critical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to KR102014011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관부와, 약액 또는 물을 저수되는 저수 탱크와,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약액을 교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저수 탱크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에어공급관과,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분사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제2에어공급관과,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유체의 확산 및 실내의 내기를 환풍시키기 위한 환풍팬과, 저수탱크에 저수된 유체를 펌핑에 의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펌프와, 시설하우스 내의 약액 분무, 온도조절, 습도조절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 및 습도센서와,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제2에어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전자밸브와, 온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수신받고, 조작부의 설정조건에 따라 환풍팬, 펌프, 에어 공급기 및 제1 및 제2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이러한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에 의하면, 에어발생기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약액 혼합 및 노즐 청소시 사용할 수 있고,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습도를 분무 및 환풍팬의 가동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분무된 입자의 체류시간 증가 및 확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temperature/humidity and spray control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facilities}
본 발명은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약제 살포 및 온습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는 계절에 관계 없이 채소류, 과일과 같은 식용 식물을 재배하거나 축산용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있도록 된 시설로서, 농촌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 또는 가축에 대해 생육기간 동안 용수공급, 약액의 공급 및 방제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며, 최근 약액방제작업을 무인방제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18865호에는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무인방제장치는 약액방제처리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약액에 의한 노즐 막힘을 억제하거나, 내부 온도 및 습도 범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노즐을 통해 분사된 약액은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기 때문에 바닥에 떨어지기까지 하우스 내에서 유동하는 시간이 짧고, 시설하우스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게 살포하기 어려우며, 작물의 경우 잎 뒷면에는 살포가 거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약제의 분사 이외에도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습도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환풍팬의 가동에 의해 분무된 액체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고른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액에 의한 노즐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는 농축산용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관부와; 약액 또는 물을 저수하여 상기 분사 공급관과 접속된 유체 공급관을 통해 저수된 유체를 공급하는 저수 탱크와;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약액을 교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 탱크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상기 분사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제2에어공급관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유체의 확산 및 실내의 내기를 환풍시키기 위한 환풍팬과;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유체를 펌핑에 의해 상기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약액 분무, 온도조절 및 습도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제2에어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전자밸브와; 상기 온도센서와 습소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조작부의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환풍팬, 상기 펌프, 상기 에어 공급기 및 상기 제1 및 제2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약액을 분무하는 방제모드 ,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범위 내로 조절하는 온도조정모드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설정된 습도범위 내로 조절하는 습도조정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방제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공급기를 가동하고, 상기 에어공급기에서 공급된 에어가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저수탱크에 공급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투입된 약액을 혼합하게 처리하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에어공급기의 가동을 중지하고, 설정된 제2시간동안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내에 저수된 유체가 상기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게 처리하고,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펌프의 가동은 중단하고, 상기 에어공급기를 설정된 제3시간동안 가동하되 상기 에어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가 상기 제2에어공급관을 거쳐 상기 분사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게 처리한다.
또한, 상기 분사 공급관의 종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유로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종단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제모드시 상기 제3시간동안 상기 종단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하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저수탱크에 담수된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도록 상기 펌프 및 상기 환풍팬을 함께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 내의 수위레벨을 검출하는 수위검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검출센서로부터 수신된 수위레벨이 설정된 저수위레벨에 도달되면 상기 조작부의 설정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하한 습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펌프 및 상기 환풍팬을 함께 가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에 의하면, 에어발생기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약액 혼합 및 노즐 청소시 사용할 수 있고,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습도를 분무 및 환풍팬의 가동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분무된 입자의 체류시간 증가 및 확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100)는 토출관부(110), 에어공급기(131), 저수탱크(141), 제1에어공급관(135), 제2에어공급관(136), 환풍팬(121), 펌프(171), 조작부(190), 온도센서(175), 제1전자밸브(163), 제2전자밸브(165), 제3전자밸브(167)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토출관부(110)는 시설하우스(10)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노즐(114)을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시설하우스(10)는 농작물, 원예작물 재배 또는 축산용으로 구축 시설로서 비닐하우스, 유리 하우스, 축사 등 내부 공간을 갖게 형성된 시설을 말한다.
노즐(114)이 설치되는 부분은 시설하우스(10)의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시설하우스(10)에 지지되게 설치되면 된다.
토출관부(110)의 분사 공급관(112)의 종단에는 즉, 유체의 이송경로 중 최종단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제어되어 분사공급관(112)의 내부 유로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종단밸브(16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종단밸브(161)는 약액분무 이후 관로에 남아 있는 약액을 제거하고자 할 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저수탱크(141)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저수공간에 저수된 약액 또는 물을 분사 공급관(112)과 접속된 유체 공급관(118)을 통해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저수탱크(141)에는 상부에 설치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저수공간 내부를 교반하는 교반기(145)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37은 저수탱크(141) 내부로 방제용 약재 또는 액체비료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된 약재 투입관이며, 캡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위검출센서(151)는 저수탱크(141) 내의 수위레벨을 검출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참조부호 144는 외부에서 저수탱크(141)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입수관이며,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의해 입수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될 수있음은 물론이다.
에어공급기(131)는 제어부(18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생성된 압축 에어를 출력관(133)에서 분기된 제1에어공급관(135) 또는 제2에어공급관(136)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1에어공급관(135)은 에어 공급기(131)에서 생성된 에어를 약액을 교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저수 탱크(141)내부 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전자밸브(163)는 제1에어공급관(135)에 설치되어 제1에어공급관(135)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의 저수탱크(141)내로의 토출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에어공급관(136)은 에어 공급기(131)에서 생성된 에어를 분사 공급관(112)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분사공급관(112)과 접속되어 있다.
제2전자밸브(165)는 제2에어공급관(136)에 설치되어 제2에어공급관(136)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의 분사공급관(112)으로의 토출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풍팬(121)은 시설하우스(10) 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노즐(114)을 통해 분무되는 유체의 시설하우스(10) 내로의 확산 및 실내의 내기를 환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P)(171)는 저수탱크(141)로부터 분사공급관(112)으로 연통되게 접속된 유체 공급관(118)상에 설치되어 저수탱크(141)에 저수된 유체를 펌핑에 의해 분사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한다.
제3전자밸브(167)는 유체공급관(118)상에 설치되어 저수탱크(141)에 저수된 유체의 분사공급관(112)으로의 송출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90)는 시설하우스(10) 내의 약액 분무,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90)는 노즐을 통해 약액을 분무하는 방제모드,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범위내로 조절하는 온도조정모드 및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습도범위 내로 조절하는 습도조정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90)는 방제모드, 온도조정모드 및 습도조정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자동모드, 수동모드 및 정지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 키(192a)와, 수동모드시 방제모드를 온/오프 선택하는 키(192b), 수동모드시 온도조정모드를 온/오프 선택하는 키(192c), 수동모드시 습도조정모드를 온/오프 선택하는 키(192e), 자동모드시 방제모드, 온도조정모드, 습도조정모드 및 정지를 선택하는 키(192d) 및 온도 또는 습도를 설정하는 설정키(192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조작키가 마련될 수 있다. 참조부호 195는 온도 및 습도 설정시 현재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창이다.
온도센서(175)는 시설하우스(1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습도센서(177)는 시설하우스(10)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온도센서(175)와 습도센서(177)소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및 습도정보를 수신받고, 조작부(190)의 설정조건에 따라 환풍팬(121), 펌프(171), 에어 공급기(131) 및 제1 내지 제3전자밸브(163)(165)(167), 종단밸브(161) 및 모터(143)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조작부(190)에 의해 방제모드로 설정되면 먼저 에어공급기(131) 및 모터(143)를 가동하고, 제1전자밸브(163)가 개방되게 제어하여 에어공급기(131)에서 공급된 에어가 설정된 제1시간동안 저수탱크(141)에 공급되어 저수탱크(141)에 투입된 약액을 혼합하게 처리하고, 제1시간이 경과하면, 에어공급기(131)의 가동을 중지하고 제1전자밸브(163)는 폐쇄되게 하고 제3전자밸브(167)는 개방되게 제어하며, 설정된 제2시간동안 펌프(171)에 의해 저수탱크(141) 내에 저수된 유체가 분사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되게 처리하고, 제2시간이 경과하면, 펌프(171)의 가동은 중단하고 제2전자밸브(167)는 폐쇄되게 제어하며, 에어공급기(131)를 다시 설정된 제3시간동안 가동하되 제2전자밸브(165)는 개방되게 제어하여 에어공급기(131)에서 생성된 에어가 제2에어공급관(136)을 거쳐 분사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되게 순차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방제모드시 제3시간동안 종단밸브(161)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제1시간, 제2시간 및 제3시간은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이 경우 제2시간동안 노즐(114)을 통해 약액을 분무한 분사공급관(112)을 통해 제3시간동안 에어가 토출됨으로써 분사공급관(112) 및 노즐(114)에서의 약액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제모드시 제어부(180)는 환풍팬(121)이 정역 회전되게 제1시간 내지 제3시간동안 가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이 경우 노즐(114)을 통해 분무된 약액의 환풍팬(121)이 정역 회전에 의해 확산효율이 향상되며, 체류시간이 증가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온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온도센서(175)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하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저수탱크(141)에 담수된 물이 노즐(114)을 통해 분무되도록 펌프를 가동한다.
여기서, 온도 조정모드를 이용시에는 저수탱크(141)에 물만 저수되게 한 후 가동시키면 된다.
또한, 온도조정모드시 제어부(180)는 수위검출센서(151)로부터 수신된 수위레벨이 설정된 저수위레벨에 도달되면 조작부(190)의 설정조건에 관계없이 펌프(171)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저수탱크(141)의 수위가 설정된 고수위레벨에 도달하면 앞서 설명된 온도조정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온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온도센서(175)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하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171) 및 환풍팬(121)을 함께 가동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 예로서, 자동모드시 온도조정모드에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가동되게 설정되고, 가동 온/오프 주기가 10분 동작 10분정지로 설정된 경우 정지 이후 8분동안 가동하여 설정된 하한온도에 도달한 후 나머지 가동잔류 시간인 2분 안에 상한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가동은 계속오프되고 다음 온주기내에서 상한온도에 도달하면 가동을 온시킨다.
이러한 온도조정모드에서 저수탱크(141)에 저수된 물이 노즐(114)을 통해 분무되면 환풍팬(121)의 작동에 의해 분무 입자의 미립화가 촉진되고, 분무 입자의 미립화 및 유동성 증가에 의해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증발효율이 향상되어 작물에 분무 입자가 도달하기 전에 증발이 이루어짐으로써 온도하강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작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환풍팬(121)의 가동 없이 노즐(114)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분사된 분무 입자의 낙하속도가 빨라 작물 및 지면에 빨리 도달되고, 작물의 표면에 도달한 물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작물에 손상이 야기되거나 지면에 도달된 물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작물과의 접촉에 의해 열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환풍팬(121)이 노즐(114) 분사와 함께 가동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습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습도센서(177)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하한습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상한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저수탱크(141)에 담수된 물이 노즐(114)을 통해 분무되도록 펌프(171)를 가동한다.
여기서, 습도 조정모드를 이용시에는 저수탱크(141)에 물만 저수되게 한 후 가동시키면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습도 조정모드 수행시 펌프(171) 가동기간 동안 환풍팬(121)도 함께 가동한다.
이러한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100)에 의하면, 약액 분무,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에어발생기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약액 혼합 및 노즐 청소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습도를 분무 및 환풍팬의 가동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분무된 입자의 체류시간 증가 및 확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토출관부 131: 에어공급기
121: 환풍팬 135: 제1에어공급관
136: 제2에어공급관 141: 저수탱크
171: 펌프 175: 온도센서
177: 습도센서 180: 제어부
190: 조작부

Claims (7)

  1. 농축산용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토출관부와;
    약액 또는 물을 저수하여 상기 분사 공급관과 접속된 유체 공급관을 통해 저수된 유체를 공급하는 저수 탱크와;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와;
    상기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약액을 교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 탱크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에어 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를 상기 분사 공급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제2에어공급관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유체의 확산 및 실내의 내기를 환풍시키기 위한 환풍팬과;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유체를 펌핑에 의해 상기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약액 분무, 온도조절 및 습도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제1에어공급관과 상기 제2에어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전자밸브와;
    상기 온도센서와 습소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조작부의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환풍팬, 상기 펌프, 상기 에어 공급기 및 상기 제1 및 제2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을 통해 약액을 분무하는 방제모드 ,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범위 내로 조절하는 온도조정모드와 상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설정된 습도범위 내로 조절하는 습도조정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방제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공급기를 가동하고, 상기 에어공급기에서 공급된 에어가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저수탱크에 공급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투입된 약액을 혼합하게 처리하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에어공급기의 가동을 중지하고, 설정된 제2시간동안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내에 저수된 유체가 상기 분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게 처리하고,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펌프의 가동은 중단하고, 상기 에어공급기를 설정된 제3시간동안 가동하되 상기 에어공급기에서 생성된 에어가 상기 제2에어공급관을 거쳐 상기 분사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공급관의 종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유로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종단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제모드시 상기 제3시간동안 상기 종단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하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저수탱크에 담수된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분무되도록 상기 펌프 및 상기 환풍팬을 함께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 내의 수위레벨을 검출하는 수위검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검출센서로부터 수신된 수위레벨이 설정된 저수위레벨에 도달되면 상기 조작부의 설정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가동 온/오프 주기내에서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하한 습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상한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펌프 및 상기 환풍팬을 함께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KR1020140116426A 2014-09-02 2014-09-02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KR10167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26A KR101674149B1 (ko) 2014-09-02 2014-09-02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26A KR101674149B1 (ko) 2014-09-02 2014-09-02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827A true KR20160027827A (ko) 2016-03-10
KR101674149B1 KR101674149B1 (ko) 2016-11-22

Family

ID=5553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426A KR101674149B1 (ko) 2014-09-02 2014-09-02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4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8358A (zh) * 2016-12-23 2017-05-31 广东高而美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温棚及其环境控制系统
CN107148913A (zh) * 2017-05-25 2017-09-12 陈值英 高度自动化的畜牧业生产养殖系统
CN107306688A (zh) * 2017-08-10 2017-11-03 南京林业大学 一种蕨类植物水肥氧微型集成板
CN107432221A (zh) * 2017-09-22 2017-12-05 太仓宇佳食品有限公司 一种分布式自动喷灌装置的工作方法
CN107593179A (zh) * 2017-09-28 2018-01-19 麻江县生产力促进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蓝莓种植大棚
CN107889746A (zh) * 2017-10-18 2018-04-10 凤台县顺民养殖有限公司 一种一体化养猪设备
KR20180044069A (ko) * 2016-10-21 2018-05-02 전은수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CN109673533A (zh) * 2019-03-01 2019-04-26 郑州智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场的温控装置
KR20200064513A (ko) * 2018-11-29 2020-06-08 민일홍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2446939B1 (ko) * 2021-10-20 2022-09-26 주식회사 에코산업개발 시설하우스의 냉각과 환기를 위한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4179C1 (ru) * 2020-09-22 2021-03-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Устройство побуждения воздухообмена 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фер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62A (ko) * 2002-12-31 2004-07-07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경상대학교총장) 실내 냉방 및 방제용 초음파 가진 시스템
KR20100034808A (ko) * 2008-09-25 2010-04-02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62A (ko) * 2002-12-31 2004-07-07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경상대학교총장) 실내 냉방 및 방제용 초음파 가진 시스템
KR20100034808A (ko) * 2008-09-25 2010-04-02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69A (ko) * 2016-10-21 2018-05-02 전은수 농업용 약액 공급장치
CN106718358A (zh) * 2016-12-23 2017-05-31 广东高而美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温棚及其环境控制系统
CN107148913A (zh) * 2017-05-25 2017-09-12 陈值英 高度自动化的畜牧业生产养殖系统
CN107148913B (zh) * 2017-05-25 2019-10-29 阳信亿利源清真肉类有限公司 高度自动化的畜牧业生产养殖系统
CN107306688A (zh) * 2017-08-10 2017-11-03 南京林业大学 一种蕨类植物水肥氧微型集成板
CN107306688B (zh) * 2017-08-10 2022-09-30 南京林业大学 一种蕨类植物水肥氧微型集成板
CN107432221A (zh) * 2017-09-22 2017-12-05 太仓宇佳食品有限公司 一种分布式自动喷灌装置的工作方法
CN107593179A (zh) * 2017-09-28 2018-01-19 麻江县生产力促进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蓝莓种植大棚
CN107889746A (zh) * 2017-10-18 2018-04-10 凤台县顺民养殖有限公司 一种一体化养猪设备
KR20200064513A (ko) * 2018-11-29 2020-06-08 민일홍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CN109673533A (zh) * 2019-03-01 2019-04-26 郑州智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场的温控装置
KR102446939B1 (ko) * 2021-10-20 2022-09-26 주식회사 에코산업개발 시설하우스의 냉각과 환기를 위한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49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149B1 (ko) 농축산 시설 하우스의 약제살포 및 온습도 제어장치
US10999985B2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WO2021026007A1 (en) Vertical hydroponic solid nutrient growing system and method
KR101049150B1 (ko) 친환경 방제 시스템
US7360503B2 (en) Atomization system for odor and environmental control in livestock holding areas
US20190009285A1 (en) An Agricultural Sprayer and Associated Method
KR100436442B1 (ko) 농약 자동살포장치
CN106659133B (zh) 水耕栽培装置
NL2023340B1 (en) Insect drinking water supply
KR20130007122A (ko) 약제 분무장치
KR100696599B1 (ko) 축사용 냉온수 분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060114183A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US8919366B2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or purging fluids
KR200409997Y1 (ko) 작물재배사 습도 조절장치
EP1834522A2 (en) Method to reduce odour and dust inside buildings
KR200390063Y1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KR101754815B1 (ko) 농축산 악취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20180129183A (ko) 유동팬을 이용한 방제 및 온습도 관리장치
KR102213530B1 (ko) 다기능 액체 살포장치
JP2019146501A (ja) 薬液噴霧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507150B1 (ko) 농산물 저장창고용 소독액 분무장치
KR200399262Y1 (ko) 공중 부유균 살균기
KR20180023192A (ko) 버섯 배지 살균장치를 갖는 모듈러 버섯 재배 시스템
KR101818733B1 (ko) 친환경 모듈러 식물 재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