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764A -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764A
KR20180043764A KR1020180041517A KR20180041517A KR20180043764A KR 20180043764 A KR20180043764 A KR 20180043764A KR 1020180041517 A KR1020180041517 A KR 1020180041517A KR 20180041517 A KR20180041517 A KR 20180041517A KR 20180043764 A KR20180043764 A KR 2018004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ceiving groove
retaining wall
natural stone
earth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81B1 (ko
Inventor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4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의 전면 미관 개선을 위하여 자연석판(自然石板)을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 전면에 설치하되, 접착제의 열화에 따른 탈락 위험증가와 예고 없는 탈락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자연석판을 본체 전면에 장착한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그리고 이러한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결합부재(3)를 자연석판(2)의 배면 상단에 결합하고 상부결합부재(3)를 본체(1)의 상면에 걸쳐지게 하여 자연석판(2)이 본체(1)의 전면에 결합 장착되도록 하되, 하층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에 하면지지부재(4)를 설치해두고, 하면지지부재(4)가 상층 본체에 결합되는 자연석판(2)의 하면에 결합되어 지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Block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Reinforced Retaining Wall using such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inforced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 미관 개선을 위하여 자연석판(自然石板)을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 전면에 설치하되,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판을 부착하는 종래 방식의 문제점인 "시간 경과에 따른 부착력 감소 및 그에 따른 탈락 위험증가"와 "예고 없는 갑작스러운 탈락 및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해결하면서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자연석판을 보강토 옹벽블록에 설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구성에 의해 자연석판을 본체의 전면에 설치한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그리고 이러한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블록을 연직하게 적층하면서 블록의 후방으로 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배치하고 토사를 적층하여 층별로 다짐하여 성토부를 시공하게 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을 이루는 블록 즉,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자연석판을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에 설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80호에 개시된 것처럼 종래 기술에서는 자연석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에 단순히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판을 단순히 부착하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되면서 접착제의 열화(劣化)에 의해 자연석판과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자연석판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자연석판의 탈락이 갑작스럽게 예고도 없이 발생하게 되고, 탈락된 자연석판이 낙하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80호(2011.01. 10.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블록의 젼면에 자연석판(自然石板)을 설치하여 보강토 옹벽블록의 미관을 향상시키되,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연석판을 설치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자연석판이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하며, 필요할 때 자연석판의 교체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석판과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 간의 분리를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자연석판과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간의 예고도 없는 갑작스러운 완전한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자연석판의 탈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하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으로서, 상면에는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하면에는 하면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배면에는 배면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결합부재와 하면지지부재에 의해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연석판을 포함하는데; 상부결합부재는 수평걸침부, 수평걸침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직부와 제2연직부, 및 제1연직부의 하단에서 자연석판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평끼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평끼움부가 배면수용홈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석판과 상부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제2연직부가 본체의 제2수용홈에 삽입되면서 상부결합부재가 본체의 상단 전면에 걸쳐지며; 하면지지부재는 수평연장부, 수평연장부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연직하향 삽입부, 및 수평연장부의 전방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연직상향 삽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가 상,하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을 형성할 때, 하층 본체의 제1수용홈에 연직하향 삽입부가 삽입되면서 하면지지부재가 하층 본체에 결합 설치되고, 하층 본체에 결합된 하면지지부재의 연직상향 삽입부가 자연석판의 하면수용홈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석판이 본체의 전면에 결합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보강토 옹벽블록을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구축된 보강토 옹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석판이 상부측에서는 상부결합부재에 의해, 그리고 하부측에서는 하면지지부재에 의해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 전면에 결합 장착되므로, 자연석판과 본체간의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및 일체화 상태를 이루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상부결합부재와 본체 간의 결합은 상부결합부재의 제2연직부를 본체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에 삽입하고 상부결합부재의 수평걸침부를 본체 상면에 형성된 제1오목부 내에 위치시켜서 상부결합부재가 본체의 전면에 걸쳐지게 만드는 것에 의하며, 하면지지부재를 이용한 자연석판 하부의 지지 및 본체와의 결합은, 하면지지부재의 연직하향 삽입부를 아래 단에 설치된 본체 상면의 제1수용홈에 삽입하고 하면지지부재의 연직상향 삽입부를 자연석판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수용홈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게 되는 바, 자연석판을 본체 전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용이하게 수행되는 장점도 발휘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자연석판의 하면에 하면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지지하고 있는 바, 자연석판이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자연석판의 상부에서 본체와의 분리가 시작되더라도 하면지지부재에 의한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자연석판의 갑작스러운 낙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관리자는 자연석판의 분리 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상당한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자연석판의 분리 및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리한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블록에 구비되는 자연석판의 전면, 배면 및 하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연석판에서 상부결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상부결합부재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하면지지부재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연석판에 결합된 상부결합부재가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자연석판에 결합된 상부결합부재가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하면지지부재가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복수 단의 블록층이 형성되어 보강토 옹벽이 구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 E-E에 따른 폭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석판(2)이 본체(1)의 전면에 조립 장착된 보강토 옹벽블록(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블록(100)에 구비되는 자연석판(2)의 전면, 배면 및 하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자연석판(2)에서 상부결합부재(3)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록(1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하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의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조립 결합되는 자연석판(2)을 포함한다. 자연석판(2)은 자연석(自然石)을 소정 두께의 판(板)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서,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자연석판(2)의 전면은 울퉁불퉁한 자연스러운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문양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자연석판(2)의 배면은 본체(1)의 전면(前面)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매끈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 자연석판(2)의 배면에는 본체(1)와의 결합을 위한 상부결합부재(3)가 결합된다.
도 4의 (a) 및 (b)에는 각각 상부결합부재(3)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결합부재(3)는 수평걸침부(30), 상기 수평걸침부(30)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 하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제1연직부(31) 및 제2연직부(32), 그리고 상기 제1연직부(31)의 하단에서 자연석판(2)의 배면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수평끼움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연석판의 폭방향에서 상부결합부재(3)의 측면을 바라볼 때 상부결합부재(3)는 대략 한글 ㄷ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수평걸침부(30), 제1연직부(31), 제2연직부(32) 및 수평끼움부(33)는 각각 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판부재를 절곡하여 위와 같이 수평걸침부(30), 제1연직부(31), 제2연직부(32) 및 수평끼움부(33)를 가지는 상부결합부재(3)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수평걸침부(30), 제1연직부(31), 제2연직부(32) 및 수평끼움부(33)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개별적인 판부재로 준비하여, 이들 판부재를 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ㄷ자 형상의 상부결합부재(3)를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수평걸침부(30), 제1연직부(31), 제2연직부(32) 및 수평끼움부(33)가 모두 판부재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결합부재(3)는 스테인리스 스틸, 아연도금강판 등의 강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결합부재(3)는 자연석판(2)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자연석판(2)의 배면에는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가 삽입되는 배면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결합부재(3)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연직부(31)와 제2연직부(32)가 수평걸침부(30)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끼움부(33)가 배면수용홈(23)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자연석판(2)의 상부 배면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배면수용홈(23)에 삽입된 수평끼움부(33)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수평끼움부(33)에 접착제를 바른 후 배면수용홈(23)에 삽입하는 방식, 또는 배면수용홈(23)에 접착제를 채운 상태에서 수평끼움부(33)를 삽입하는 방식, 또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제에 의해 수평끼움부(33)를 배면수용홈(23)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부결합부재(3)를 자연석판(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반드시 접착제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의 (a), (b) 및 (c)에 도시된 자연석판(2)은, 보강토 옹벽의 최저층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블록 즉, 중간층 및 최상층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보강토 옹벽의 중간층 및 최상층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에 구비되는 자연석판(2)의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자연석판(2)의 하면(下面)에는 후술하는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삽입되는 하면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강토 옹벽에서 옹벽블록의 최저층 즉, 제1단 블록층에 배치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에 결합되는 자연석판(2)의 경우, 낙하 위험도 없고 그에 따라 하면지지부재(4)와의 결합도 불필요하므로 하면수용홈(24)은 생략될 수 있다. 물론 최저층의 보강토 옹벽블록에 구비되는 자연석판(2)의 경우에도, 그 하면에 하면수용홈(24)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의 (a) 및 (b)에는 각각 하면지지부재(4)의 일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면지지부재(4)는 수평연장부(40), 상기 수평연장부(40)의 후방 단부에서 연직 하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일체 구비되어 있는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상기 수평연장부(40)의 전방 단부에서 연직 상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일체 구비되어 있는 연직상향 삽입부(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연석판의 폭방향에서 하면지지부재(4)의 측면을 바라볼 때 하면지지부재(4)는 크랭크 형상을 가지게 된다. 수평연장(40),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연직상향 삽입부(44)는 각각 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판부재를 절곡하여 위와 같이 수평연장(40),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연직상향 삽입부(44)를 가지는 하면지지부재(4)를 제작할 수도 있고, 수평연장(40),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연직상향 삽입부(4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개별적인 판부재로 준비하여, 이들 판부재를 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크랭크 형상의 하면지지부재(4)를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수평연장(40),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연직상향 삽입부(44)가 모두 판부재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면지지부재(4)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 아연도금강판 등의 강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록(100)의 본체(1)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자연석판(2)에 결합된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1)에 결합되는 것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하면지지부재(4)가 본체(1)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토 옹벽블록(100)의 본체(1)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으로 제작되는데, 상면에는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하향 삽입부(45)가 삽입되는 제1수용홈(15)과,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가 연직하향으로 삽입되는 제2수용홈(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결합부재(3)는 자연석판(2)의 폭에서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수용홈(12) 역시 이에 맞추어 본체(1)의 폭에서 중앙에 형성된다. 자연석판(2)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의 상부결합부재(3)를 본체(1)의 전면 위치에서 하강시켜서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가 제2수용홈(12)에 삽입되면,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1)의 상단 전면에 걸쳐지면서 자연석판(2)의 배면이 본체(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본체(1)의 전면에는 상부결합부재(3)의 제1연직부(31)가 위치하게 되는 전면 오목부(11)가 형성된다. 보강토 옹벽을 구축할 때에는 본체(1)의 전면에 자연석판(2)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쪽으로 또다른 본체(1)가 놓이도록 보강토 옹벽블록이 적층되는데, 이 때 하층에 위치하는 본체("하층 본체")의 상면과 상층에 위치하는 본체("상층 본체")의 하면이 서로 접하게 만들기 위해서, 본체(1)의 상면에서 제2수용홈(12)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상면 제1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에 결합될 때, 수평걸침부(30)가 상면 제1오목부 내에 놓이게 되어 수평걸침부(30)가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지 않게 된다.
자연석판(2)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의 상부결합부재(3)를 본체(1)의 전면 위치에서 하강시키면, 제2연직부(32)는 제2수용홈(12)에 삽입되고 수평걸침부(30)는 상면 오목부 내에 위치하며 제1연직부(31)는 전면 오목부(11)에 위치하면서,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1)의 전면에 걸쳐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자연석판(2)이 상부결합부재(3)에 의해 본체(1)에 매달린 상태로 그 배면이 본체(1)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부결합부재(3)가 결합된 자연석판(2)을 보강토 옹벽블록(100)의 본체(1) 전면에서 연직하게 하강시켜서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를 제2수용홈(12)에 삽입하는 단순하고 간편한 작업을 수행하기만 하면, 자연석판(2)가 본체(1)의 전면에 밀착한 상태로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연석판(1)의 장착 및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그만큼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수용홈(12) 내에 접착제를 채운 상태에서 제2연직부(32)가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 또는 제2연직부(32)에 접착제를 바른 후 제2수용홈(12)에 삽입하는 방식, 또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제에 의해 제2수용홈(12)에 삽입된 제2연직부(3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물론 반드시 접착제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추후 보수를 위한 교체 가능성을 고려하면 접착제 없이 단순히 제2연직부(32)가 제2수용홈(12)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체(1)의 상면에는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하향 삽입부(45)가 삽입되는 제1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수용홈(15)이 형성된 위치에서도 본체(1)의 상면에는 하면지지부재(4)의 수평연장부(40)가 위로 돌출되지 않은 채 놓이게 되는 상면 제2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면지지부재(4)를 본체(1)의 전면 위치에서 하강시키면 연직하향 삽입부(45)는 제1수용홈(15)에 삽입되고 수평연장부(40)는 상면 제2오목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연장부(40)가 상면 제2오목부 내에 위치하게 되면 수평연장부(40)가 본체(1)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하면지지부재(4)가 설치된 하층 본체 위에 상층 본체가 놓였을 때, 하층 본체의 상면과 상층 본체의 하면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하층 본체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연직하향 삽입부(45)가 제1수용홈(15)에 삽입되도록 하면지지부재(4)가 설치되었을 때, 수평연장부(40)의 전면 방향 단부와 연직상향 삽입부(44)는 본체(1)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연장(40)의 전면 방향 단부가 놓일 수 있도록 자연석판(2)의 상면에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오목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연장부(40)의 전면 방향 단부가 상면오목부(26)에 놓이게 되므로, 상,하로 위치하는 자연석판(2)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하여 연속되는 것에 수평연장부(40)가 장애물로 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수용홈(15) 내에 접착제를 채운 상태에서 연직하향 삽입부(45)를 삽입하는 방식, 또는 연직하향 삽입부(45)에 접착제를 바른 후 제1수용홈(15)에 삽입하는 방식, 또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제에 의해 제1수용홈(15)에 삽입된 연직하향 삽입부(4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물론 반드시 접착제를 이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추후 보수를 위한 교체 가능성을 고려하면 접착제 없이 단순히 연직하향 삽입부(45)를 제1수용홈(15)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의 기타 구성 즉, 상기한 본체(1)의 전면 및 상면 구성 이외에 것은 필요에 따라 종래의 보강토 옹벽블록이 가지는 구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블록(100)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필요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토 옹벽벽체가 구축될 기초(9)를 시공하게 된다(단계 S-0). 후속하여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기초(9) 위에 복수개의 본체(1)를 보강토 옹벽의 폭방향(본체의 폭방향/자연석판의 폭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여 보강토 옹벽벽체의 제1단 블록층(최저층)을 형성하고(단계 S-1),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결합부재(3)가 구비되어 있는 자연석판(2)을 제1단 블록층의 본체(1) 전면에 결합 설치한다(단계 S-2). 즉,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연석판(2)의 배면에 상부결합부재(3)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자연석판(2)을 본체(1)의 전면 위치에서 연직 하강시켜서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를 제2수용홈(12)에 삽입하고 수평걸침부(30)를 제1오목부(10) 내에 위치시켜서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1)의 전면에 걸쳐지게 만들므로써, 자연석판(2)을 본체(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1단 블록층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각각의 본체(1)에 상기한 과정에 의해 자연석판(2)을 결합 설치하고, 이렇게 자연석판(2)이 결합된 본체(1)를 보강토 옹벽의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하여 제1단 블록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본체(1)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취급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설치 후에 자연석판(2)을 결합하는 것이 작업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자연석판(2)의 설치가 완료된 본체(1)에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하면지지부재(4)를 설치한다(단계 S-3). 즉, 하면지지부재(4)를 본체(1)의 전면 위치에서 하강시켜서 연직하향 삽입부(45)를 제1수용홈(15)에 삽입하고 수평연장부(40)는 상면 제2오목부(14) 내에 위치시키며 연직상향 삽입부(44)는 본체(1)의 전면 앞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하면지지부재(4)를 제1단 블록층을 이루는 각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1)에 결합 설치하는 것이다. 제1단 블록층의 설치 및 자연석판(2)의 설치가 모두 완료된 후에 하면지지부재(4)를 각 본체(1)에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1단 블록층 형성을 위하여 각 본체(1)를 설치하고 자연석판(2)의 설치가 완료될 때마다 하면지지부재(4)를 해당 본체(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1단 블록층의 구축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그 위에 제2단 블록층을 적층하기 위한 새로운 본체 즉, 상층 본체(1-1)를 보강토 옹벽의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한다(단계 S-4). 이 때 제1단 블록층의 본체와 제2단 블록층의 본체는 그 연직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설치한다. 편의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층의 블록층(제1단 블록층)을 이루는 본체는 "본체(1)"이라고 기재하고, 그 위쪽에 구축되는 상층 블록층(제2단 블록층)을 이루는 본체는 "상층 본체(1-1)"라고 기재하며, 하층 블록층의 본체(1)에 결합되는 자연석판은 "자연석판(2)"라고 기재하며, 상층 본체(1-1)에 결합되는 자연석판은 "상층 자연석판(2-1)"이라고 기재한다.
상층 본체(1-1)의 설치에 후속하여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결합부재(3)가 구비되어 있는 상층 자연석판(2-1)을 상층 본체(1-1)에 결합 설치한다(단계 S-5). 이 때, 상층 본체(1-1)에 설치되는 상층 자연석판(2-1)의 경우, 그 하면에 형성된 하면수용홈(24)에, 하층 블록층의 본체(1)이 이미 결합되어 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층 자연석판(2-1)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수용홈(24)에, 하층 본체(1)에 미리 설치해두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삽입되도록, 상층 자연석판(2-1)을 하층의 자연석판(1) 위쪽으로 연직하게 연속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단 블록층을 이루는 상층 본체(1-1) 전면에 상층 자연석판(2-1)을 설치한 후에는, 앞서 제1단 블록층 형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하면지지부재(4)를 제2단 블록층을 이루는 상층 본체(1-1) 각각에 결합 설치함으로써 제2단 블록층의 구축 작업을 완료한다. 제2단 블록층의 구축 완료 후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의 보강토 옹벽을 이루도록 복수 단의 블록층을 구축하게 된다. 도 16에는 복수 단의 블록층이 형성되어 보강토 옹벽이 구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하층 본체(1)에서 하면지지부재(4)가 설치된 위치 및 상층 본체(1-1)에서 상부결합부재(3)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가는 가상의 선 즉, 도 16의 선 E-E에 따른 폭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아래쪽 블록층을 이루는 하층 본체(1) 위에 위쪽 블록층을 이루는 상층 본체(1-1)를 적층하고 상층 본체(1-1)의 전면에 상층 자연석판(2-1)을 설치할 때, 상층 자연석판(2-1)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수용홈(24)에, 하층 본체(1)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층 자연석판(2-1)은, 상층 자연석판(2-1)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결합부재(3)가 상층 본체(1-1)에 걸쳐지는 것에 더하여 그 하면이 하층 본체(1)에 구비된 하면지지부재(4) 위에 놓여서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상층 자연석판(2-1)은 상부결합부재(3)에 의해 상층 본체(1-1)에 매달림과 동시에, 그 하층 본체(1)에 구비된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연석판이 상,하에서 본체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자연석판과 본체간의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및 일체화 상태를 이루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하면,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제의 열화 또는 기타 불측의 원인으로 인하여 자연석판과 상부결합부재 간의 결합이 약화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자연석판의 하면이 하층 본체에 구비된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자연석판이 갑작스럽게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아래로 낙하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매우 우수한 장점이 발휘된다.
접착제의 열화, 손상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가 배면수용홈(23) 내에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헐겁게 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층 자연석판(2-1)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수용홈(24)에, 하층 본체(1)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삽입되어서 상층 자연석판(2-1)이 하층 본체(1)에 구비된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수평끼움부(33)가 배면수용홈(23)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평끼움부(33)가 배면수용홈(23)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층 자연석판(2-1)이 순식간에 상층 본체(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자연석판이 갑작스럽게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석판의 하단이 아래에 설치된 본체에 구비된 하면지지부재(4)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채, 상단만이 회전하면서 본체로부터 천천히 이탈하는 형태로 움직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블록의 본체로부터 자연석판의 갑작스러운 완전한 분리 및 그에 따른 낙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관리자는 이러한 자연석판의 분리 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상당한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자연석판의 분리 및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 본체
2: 자연석판
3: 상부결합부재
4: 하면지지부재

Claims (4)

  1.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하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토 옹벽블록으로서,
    상면에는 제1수용홈(15)과 제2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하면에는 하면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배면에는 배면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결합부재(3)와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연석판(2)을 포함하는데;
    상부결합부재(3)는 수평걸침부(30), 수평걸침부(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직부(31)와 제2연직부(32), 및 제1연직부(31)의 하단에서 자연석판(2)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평끼움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평끼움부(33)가 배면수용홈(23)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석판(2)과 상부결합부재(3)가 결합되고, 제2연직부(32)가 본체(1)의 제2수용홈(12)에 삽입되면서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1)의 상단 전면에 걸쳐지며;
    하면지지부재(4)는 수평연장부(40), 수평연장부(40)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수평연장부(40)의 전방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연직상향 삽입부(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가 상,하로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을 형성할 때, 하층 본체의 제1수용홈(15)에 연직하향 삽입부(45)가 삽입되면서 하면지지부재(4)가 하층 본체에 결합 설치되고, 하층 본체에 결합된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자연석판(2)의 하면수용홈(24)에 삽입됨으로써, 자연석판(2)이 본체(1)의 전면에 결합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의 상면에서 제2수용홈(12)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상면 제1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결합부재(3)가 본체에 결합될 때, 수평걸침부(30)가 상면 제1오목부(10) 내에 놓이게 되어 수평걸침부(30)가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지 않으며;
    본체(1)의 상면에서 제1수용홈(15)이 형성된 위치에도 상면 제2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면지지부재(4)가 본체에 설치될 때, 수평연장부(40)가 상면 제2오목부(14) 내에 놓이게 되어 수평연장부(40)가 본체(1)의 상면에 돌출되지 않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3. 보강토 옹벽블록을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보강토 옹벽블록은, 상면에는 제1수용홈(15)과 제2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하면에는 하면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배면에는 배면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결합부재(3)와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연석판(2)을 포함하는데;
    상부결합부재(3)는 수평걸침부(30), 수평걸침부(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직부(31)와 제2연직부(32), 및 제1연직부(31)의 하단에서 자연석판(2)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평끼움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하면지지부재(4)는 수평연장부(40), 수평연장부(40)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수평연장부(40)의 전방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연직상향 삽입부(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1)를 폭방향으로 연속배치하여 보강토 옹벽블록의 하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S-1);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를 자연석판(2)의 배면수용홈(23)에 삽입 결합하고, 상부결합부재(3)를 하층 본체의 전면 위치에서 연직 하강시켜서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를 제2수용홈(12)에 삽입하여 상부결합부재(3)가 하층 본체의 전면에 걸쳐지게 만들므로써, 자연석판(2)을 하층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단계 S-2);
    하층 본체의 제1수용홈(15)에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하향 삽입부(45)를 삽입하여 하면지지부재(4)를 하층 본체에 결합하는 단계(단계 S-3);
    하층 본체 위에 새로운 본체를 연직 위치가 어긋나도록 폭방향으로 연속배치하여 보강토 옹벽블록의 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S-4); 및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를 자연석판(2)의 배면수용홈(23)에 삽입 결합하고, 상부결합부재(3)를 상층 본체의 전면 위치에서 연직 하강시켜서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를 제2수용홈(12)에 삽입하여 상부결합부재(3)가 상층 본체의 전면에 걸쳐지게 만듦과 동시에 하층 본체에 설치되어 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자연석판(2)의 하면수용홈(24)에 삽입되도록 하여 만들므로써, 자연석판(2)을 상층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단계 S-5)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S-1부터 단계 S-5를 설계된 높이에 이를 때까지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4. 보강토 옹벽블록의 적층에 의해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으로서,
    보강토 옹벽블록은, 상면에는 제1수용홈(15)과 제2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하면에는 하면수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배면에는 배면수용홈(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결합부재(3)와 하면지지부재(4)에 의해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연석판(2)을 포함하는데;
    상부결합부재(3)는 수평걸침부(30), 수평걸침부(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직부(31)와 제2연직부(32), 및 제1연직부(31)의 하단에서 자연석판(2)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평끼움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하면지지부재(4)는 수평연장부(40), 수평연장부(40)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연직하향 삽입부(45), 및 수평연장부(40)의 전방 단부에서 연속되어 있는 연직상향 삽입부(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1)가 폭방향으로 연속배치되어 보강토 옹벽블록의 하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가 자연석판(2)의 배면수용홈(23)에 삽입 결합되고 상부결합부재(3)가 하층 본체의 전면 위치에서 연직 하강되어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가 제2수용홈(12)에 삽입되어 상부결합부재(3)가 하층 본체의 전면에 걸쳐짐으로써 자연석판(2)이 하층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하층 본체의 제1수용홈(15)에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하향 삽입부(45)가 삽입되어 하면지지부재(4)가 하층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층 본체 위에 새로운 본체가 연직 위치가 어긋나도록 폭방향으로 연속배치되어 보강토 옹벽블록의 상층이 형성되며;
    상부결합부재(3)의 수평끼움부(33)가 자연석판(2)의 배면수용홈(23)에 삽입 결합되고, 상부결합부재(3)가 상층 본체의 전면 위치에서 연직 하강되어 상부결합부재(3)의 제2연직부(32)가 제2수용홈(12)에 삽입되어 상부결합부재(3)가 상층 본체의 전면에 걸쳐짐과 동시에 하층 본체에 설치되어 있던 하면지지부재(4)의 연직상향 삽입부(44)가 자연석판(2)의 하면수용홈(24)에 삽입된 상태로 자연석판(2)이 상층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KR1020180041517A 2018-04-10 2018-04-10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1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17A KR101919381B1 (ko) 2018-04-10 2018-04-10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17A KR101919381B1 (ko) 2018-04-10 2018-04-10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764A true KR20180043764A (ko) 2018-04-30
KR101919381B1 KR101919381B1 (ko) 2018-11-19

Family

ID=6208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17A KR101919381B1 (ko) 2018-04-10 2018-04-10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10B1 (ko) * 2021-09-01 2021-12-28 박광일 갤러리 블록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구조
WO2023164757A1 (en) * 2022-03-01 2023-09-07 Cornerstone Wall Solutions Inc.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s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50B1 (ko) * 2011-05-09 2011-11-22 천은욱 반분리형 옹벽블럭의 장식스톤 장착구조와 그 시공법
KR101284122B1 (ko) * 2013-04-26 2013-07-10 추성우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85266B1 (ko) * 2012-11-05 2013-07-12 주식회사 대흥코퍼레이션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406896B1 (ko) * 2013-03-26 2014-06-13 박미녀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KR20150122616A (ko) * 2015-10-19 2015-11-02 김대중 외면 장식재 장착형 옹벽 블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50B1 (ko) * 2011-05-09 2011-11-22 천은욱 반분리형 옹벽블럭의 장식스톤 장착구조와 그 시공법
KR101285266B1 (ko) * 2012-11-05 2013-07-12 주식회사 대흥코퍼레이션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406896B1 (ko) * 2013-03-26 2014-06-13 박미녀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KR101284122B1 (ko) * 2013-04-26 2013-07-10 추성우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22616A (ko) * 2015-10-19 2015-11-02 김대중 외면 장식재 장착형 옹벽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10B1 (ko) * 2021-09-01 2021-12-28 박광일 갤러리 블록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구조
WO2023164757A1 (en) * 2022-03-01 2023-09-07 Cornerstone Wall Solutions Inc.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81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368B2 (en)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trench of a predetermined shape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919381B1 (ko) 자연석판 붙임 보강토 옹벽블록,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02377B1 (ko)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101225070B1 (ko) 전면판이 결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FR2570421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construction pour la realisation d'edifices ou autres devant avoir de bonnes caracteristiques de ductilite
KR2012002876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200418842Y1 (ko)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CN109667240A (zh) 用于在用于挡住水的装置中使用的壁元件以及用于挡住水的装置
KR101656270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JP2015169013A (ja) コンクリート岸壁に用いる残存型枠と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岸壁の構築方法
KR102180280B1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KR101708274B1 (ko)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중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림 플로어와 중공 무량판 구조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JP5869131B2 (ja) 壁面構築方法および壁面構造
JP6235509B2 (ja) シェッドとその施工方法
JP6329824B2 (ja) 山留部材及び路面覆工方法
JP4388881B2 (ja) 橋脚の上縁拡幅構造
SU1746893A3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колонн и плиты перекрыти
JP7125780B2 (ja) 壁面構築用ブロック
KR100690072B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JP2001090240A (ja) デッキプレ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