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670A -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670A
KR20180043670A KR1020160136687A KR20160136687A KR20180043670A KR 20180043670 A KR20180043670 A KR 20180043670A KR 1020160136687 A KR1020160136687 A KR 1020160136687A KR 20160136687 A KR20160136687 A KR 20160136687A KR 20180043670 A KR20180043670 A KR 2018004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roduct
shaped
packaging
g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472B1 (ko
Inventor
임찬선
Original Assignee
임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선 filed Critical 임찬선
Priority to KR102016013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4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 특히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틱형 제품들이 세워서 배출되는 제품 공급부와,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모아지도록 파지하는 제품 파지부 및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되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는 제품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정 개수, 특히 소량의 스틱형 제품을 쉽고 빠르게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FOR STICK}
본 발명은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 특히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틱형 제품들이 세워서 배출되는 제품 공급부와,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모아지도록 파지하는 제품 파지부 및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되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는 제품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정 개수, 특히 소량의 스틱형 제품을 쉽고 빠르게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커피믹스나 각종 액상 또는 분말의 건강 기호식품 등의 내용물을 개별 포장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회용 스틱형 용기가 있다.
스틱형 용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을 갖고, 사용되는 포장지가 내약성, 내화학성 등을 갖으며 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적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포장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틱형 제품은, 포장지를 스틱 형태로 말은 상태에서, 상, 하측 가로 접착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포장지가 포개진 세로 접착면을 각각 삼면으로 접착하고, 가로 접착면을 절단하여 생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틱형 제품은, 일정 개수만큼 별도의 포장 용기에 수납되어 포장된 상태로 출하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제품의 묶음 포장은, 정량 개수만큼 스틱형 제품들을 분배 및 공급하는 로봇암을 이용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로봇암은 설비의 구축 및 유지비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일정 규모 이상의 대형 제조업체가 스틱형 제품을 대량 생산 후 포장하는데 주로 사용될 뿐이고,
특히 로봇암은, 대부분 대형 포장 용기에 다량의 스틱형 제품을 수납하여 포장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스틱형 제품의 소량 포장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0798753호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커피믹스와 같은 스틱형 제품을 하방으로 밀어서 비닐 백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로,
일정 높이의 기대에 수직되고 고정된 소형실린더와, 상기 소형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된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개폐장치가 구비되고 일측변이 개구된 투입통체로 구성된 제1 하강장치와,
상기 투입통체 내에 위치된 블록이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기대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메인실린더로 구성된 제2 하강장치가 구비되어,
개폐판이 닫힌 상태에서, 투입통체 내에 스틱형 제품이 일정 개수만큼 적재된 후, 적재된 스틱형 제품을 메인실린더의 블록이 하강하여 눌러주어, 개폐판이 열리면서 스틱형 제품이 개폐장치를 통과해 비닐 백 내로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제1, 제2 푸셔를 이용한 스틱형 제품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스틱형 제품들이 눕혀진 상태로 적재되어 이송된 후, 상기 투입장치를 통해 스틱형 제품들이 눕힌 상태로 비닐 백에 수납되어 포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량의 스틱형 용기를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에 세워서 수납하여 포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형 포장 용기는 스틱형 제품들의 다량 보관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데 반하여, 소형 포장 용기는 스틱형 제품들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으므로,
소형 포장 용기에는, 용기의 개구부에 대해 소량의 스틱형 제품들을 세운 상태로 수납하여 포장되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스틱형 제품들을 세워서 포장할 수가 없어 다량의 스틱형 제품 포장에 보다 적합한 구조이고, 스틱형 제품들을 투입하는 부품 및 부품들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비의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 특히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 가능하고, 포장될 스틱형 제품들의 개수 조절이 쉽고, 구조 간소화를 통한 제작의 용이성 및 작동 안정성 확보와 함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소량의 스틱형 제품 포장에 최적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쉽고 편리한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는,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배출하는 제품 공급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모아지도록 파지하는 제품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서 모아진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되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는 제품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서,
상기 제품 파지부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그랩과, 스틱형 제품 뭉치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 그랩이, 서로 엇갈림 구조로 구비되어, 그랩들 사이에 스틱형 제품 뭉치를 파지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상기 제1 그랩과 상기 제2 그랩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서,
상기 제품 파지부는,
그랩들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고, 그랩들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파지되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을 받치면서 정렬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서,
상기 제품 공급부는,
상기 배출구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보다 큰 상측 개구부를 갖으면서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배출부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는, 제품 공급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배출되는 스틱형 제품들이, 제품 파지부에서 동일 높이에 모아지도록 파지된 상태에서, 스틱형 제품 뭉치가 제품 수납부의 포장 용기에 수납되어 포장되므로, 소량의 스틱형 제품을 휴대 및 사용이 편하도록 쉽게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는, 구조 간소화를 통해 제작이 쉽고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작동 안정성 확보 및 다른 설비와의 호환성이 뛰어나, 다양한 종류의 스틱형 제품을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에 소량 포장하는데 최적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소량의 스틱형 제품을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형태로 빠르게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림 동작하는 제1, 제2 그랩을 도입하여, 포장할 스틱형 제품의 개수 조절 및 포장 용기로의 투입이 용이하고,
그랩들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그랩들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받침판을 도입하여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정확하게 정렬됨과 아울러, 스크랩 제품 뭉치가 그랩들 하부로 일부 노출되므로 포장 용기, 특히 파우치형 용기로의 투입 및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배출구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된 깔때기 형상의 배출부재를 통해, 스틱형 제품이 낙하될 때 스틱형 제품들의 이탈 및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구와 배출부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개폐판을 구비하여 1차 정렬된 정량의 스틱형 제품들을 제품 파지부로 낙하시켜, 스틱형 제품 뭉치를 정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파우치형 용기로의 투입 및 포장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서 제품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정면도와 그랩들만을 따로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로 이루어진 도 1, 본 발명의 좌측면도인 도 2, 본 발명의 제품 수납부만을 따로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투입구(11a)와 배출구(11b)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소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배출하는 제품 공급부(10);
상기 배출구(11b)로 배출되는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모아지도록 파지하는 제품 파지부(20); 및
상기 파지부(20)에서 모아진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되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는 제품 수납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품 공급부(10)는, 내용물의 포장이 완료된 스틱형 제품을 일정 개수만큼 공급받아 제품 파지부(20)로 배출하는 것으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의 상부에는 공지된 스틱형 용기 포장기와 연결되어, 호퍼(11) 내부에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수납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호퍼(11)는, 상측 투입구(11a)와 하측 배출구(11b)를 구비하여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품 공급부(10)는,
상기 배출구(11b)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1b)보다 큰 상측 개구부를 갖으면서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출부재(12)와,
상기 배출구(11b)와, 상기 배출부재(12)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1b)를 개폐하는 개폐판(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재(12)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는 배출로(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배출로(12a)의 상측 개구부가 상기 배출구(11b)보다 크게 형성되며, 배출로(12a)의 하측 개구부는 후술하는 그랩(21)(22)들의 수용부(G)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부재(12)는, 포장될 스틱형 제품 뭉치의 전체 둘레(즉 그랩(21)(22)들이 오므려지면서 형성되는 수용부(G)의 전체 크기)에 따라, 하측 개구부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것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판(13)은, 모터나 실린더에 의해 배출구(11b)와 배출부재(12) 사이를 수평이동 하도록 구비되어, 배출구(11b)를 폐쇄하도록 전진한 상태에서 배출구(11b)에 모아진 스틱형 제품들의 하측단부를 받치고, 배출구(11b)를 개방하도록 후진하면 배출구(11b)의 스틱형 제품들이 배출부재(12)로 낙하하여 배출되며,
상기 배출부재(12)는, 상기 배출부재(12)에서 낙하하면서 흐트러지는 스틱형 제품들을 다시 한번 모아서 그랩(21)(22)들 사이의 수용부(G)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품 파지부(20)는, 상기 배출부재(12)에서 낙하되는 스틱형 제품들을 동일 높이에 정렬한 상태로 모아서 파지한 후, 파지된 스틱형 제품 뭉치를 제품 수납부(30)에 구비된 포장 용기로 투입하는 것으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제품 뭉치를 모아서 파지하는 제1, 제2 그랩(21)(22)과,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부를 받쳐 동일 높이에 정렬되도록 하는 받침판(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랩(21)은 스틱형 제품 뭉치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랩(22)은 스틱형 제품 뭉치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제2 그랩(21)(22)이 서로 엇갈림 구조로 구비되어, 그랩(21)(22)들 사이에 스틱형 제품 뭉치가 파지되는 수용부(G)가 형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제2 그랩(21)(22)이 각각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엇갈리는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원형 형상 등, 스틱형 제품 뭉치의 전체 형상 내지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출부재(12) 역시 도면과 같은 사각 형상에만 제한되지 않고, 제1, 제2 그랩(21)(22)의 전체적인 엇갈림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그랩(21)(22)은, 수평프레임(2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모터나 실린더를 통해 상기 수용부(G)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동한다.
특히 상기 제1, 제2 그랩(21)(22)은, 하나의 그랩(21)이 다른 그랩(22) 내측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오므림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제1, 제2 그랩(21)(22)의 오므림 정도에 따라 수용부(G)의 크기를 달리하여 파지되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양(또는 둘레 크기)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그랩(21)(22)은, 수직프레임(25)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모터나 실린더에 의해 제품 공급부(10)와 제품 수납부(30)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23)은, 상기 그랩(21)(22)들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고, 그랩(21)(22)들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G)에 파지되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을 받치면서 정렬한다.
본 발명의 제품 파지부(20)는, 상기 받침판(23)이 전진한 상태에서 배출부재(12)에서 낙하되는 스틱형 제품들이 받침판(23)에 접촉하면서 정렬되면, 제1, 제2 그랩(21)(22)이 오므려져 스틱형 제품 뭉치를 파지한다.
이때 그랩(21)(22)들과 받침판(23) 사이는 일정 간격 이상 이격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부가 그랩(21)(22)들 하부로 일부가 노출된 형태로 파지된다.
그리고 받침판(23)이 후진한 상태에서, 제품 파지부(20)가 하강하면, 노출된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부가 제품 수납부(30)의 포장 용기로 투입되며, 이 상태에서 제1, 제2 그랩(21)(22)이 벌어지면, 스틱형 제품 뭉치가 낙하하여 포장 용기에 수납된다.
이어서 상기 제품 수납부(30)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어, 빈 포장 용기의 공급 및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된 포장 용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포장 용기의 구조(예를 들어, 박스형 용기 또는 비닐 백과 같은 파우치형 용기 등)에 따라, 포장 용기의 장착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스틱형 제품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소량의 스틱형 제품들을, 파우치형 용기의 상측 개구부에 대해 세워서 포장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바,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수납부(30)를 로터리형 회전 구조로 구성하여, 파우치형 용기(P)의 공급, 파우치형 용기(P)의 밀봉, 파우치형 용기(P)의 배출 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포장 작업이 연속적으로 실시되도록 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품 수납부(30)는,
상기 제품 파지부(20) 하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회전체(31)와,
상기 회전체(31)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며, 내측단이 회전체(31)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단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회동 작동하는 한 쌍의 그리퍼(32A)와, 각 그리퍼(32A)의 외측단에 구비되어 파우치형 용기(P)의 양 측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편(32B)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용기 장착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31)는, 포장 공정별로 소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장착부재(32)를 각 포장 파트(미도시) 위치로 연속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장착부재(32)는, 고정편(32B)에 의해 파우치형 용기(P)의 양 측단(특히 상부 양 측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각 그리퍼(32A)가 벌어지면 파우치형 용기(P)의 양 측단을 당겨 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시키고, 각 그리퍼(32A)가 오므려지면 파우치형 용기(P)의 양측단이 밀리면서 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한다.
상기 고정편(32B)은, 각 그리퍼(32A)의 외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작동하며, 고정편(32B)이 물림 작동하면 고정편(32B)과 그리퍼(32A) 사이에 파우치형 용기(P)의 측단이 물리면서 고정되고, 고정편(32B)이 열림 작동하면 고정편(32B)과 그리퍼(32A) 사이가 벌어지면서 파우치형 용기(P)가 분리, 배출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개폐판(13)이 전진한 상태에서,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이 세워진 상태로 호퍼(11)의 투입구(11a)로 투입되면, 호퍼(11)의 깔때기형 구조로 인해 스틱형 제품들이 배출구(11b)에 모아져 대기한다.
그리고 제품 파지부(20)가 상승하면, 상기 개폐판(13)이 후진하여 배출구(11b)가 개방됨에 따라, 스틱형 제품들은 배출부재(12)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이때 배출로(12a)의 깔때기형 구조에 의해 스틱형 제품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모아지면서 제품 파지부(20)의 수용부(G)로 낙하된다.
상기 받침판(23)이 전진한 상태에서, 제1, 제2 그랩(21)(22) 사이의 수용부(G)로 스틱형 제품들이 받침판(23)에 안착되면,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제1, 제2 그랩(21)(22)이 오므림 작동하면 수용부(G)가 좁아지면서 수용부(G)의 스틱형 제품 뭉치를 모아서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품 수납부(30)는, 파우치형 용기(P)의 양 측단을 그리퍼(32A)와 고정편(32B) 사이에 물려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체(31)가 회전하여 장착부재(32)에 장착된 파우치형 용기(P)를 제품 파지부(20) 하부로 이송하며, 상기 그리퍼(32A)들이 오므림 작동하여 파우치형 용기(P)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어서 상기 받침판(23)이 후진한 후, 제1, 제2 그랩(21)(22)이 하강하면, 제1, 제2 그랩(21)(22) 하부로 노출된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부가 개방된 파우치형 용기(P) 내부로 투입되고,
이후 제1, 제2 그랩(21)(22)이 벌어짐 작동한 다음 상승하면, 수용부(G)에서 스틱형 제품 뭉치가 낙하하여 파우치형 용기(P)에 수납된다.
스틱형 제품 뭉치의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그리퍼(32A)들이 벌어짐 작동하여 파우치형 용기(P)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회전체(31)가 회전하여 장착부재(32)에 장착된 파우치형 용기(P)를 다른 포장 파트 위치로 이송하여 후속 포장 작업이 실시되며,
포장 작업이 완료된 파우치형 용기(P)는 고정편(32B)의 열림 작동에 따라 최종 배출된다.
이때 회전체(3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실시되는 일련의 포장 작업은, 스틱형 제품의 종류나 포장 형태 등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장 작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품 공급부 11 : 호퍼
11a : 투입구 11b : 배출구
12 : 배출부재 12a : 배출로
13 : 개폐판 20 : 제품 파지부
21, 22 : 그랩 23 : 받침판
24, 25 : 프레임 30 : 제품 수납부
31 : 회전체 31 : 그리퍼
32 : 고정편 P : 파우치형 용기
G : 수용부

Claims (4)

  1. 일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세워서 포장 용기에 수납하여 포장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소정 개수의 스틱형 제품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배출하는 제품 공급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스틱형 제품들이 동일 높이에서 모아지도록 파지하는 제품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서 모아진 스틱형 제품 뭉치가 수납되는 포장 용기가 장착되는 제품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파지부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그랩과, 스틱형 제품 뭉치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 그랩이, 서로 엇갈림 구조로 구비되어, 그랩들 사이에 스틱형 제품 뭉치를 파지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상기 제1 그랩과 상기 제2 그랩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파지부는,
    그랩들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고, 그랩들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파지되는 스틱형 제품 뭉치의 하측단을 받치면서 정렬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공급부는,
    상기 배출구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보다 큰 상측 개구부를 갖으면서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배출부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KR1020160136687A 2016-10-20 2016-10-20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KR10186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87A KR101869472B1 (ko) 2016-10-20 2016-10-20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87A KR101869472B1 (ko) 2016-10-20 2016-10-20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70A true KR20180043670A (ko) 2018-04-30
KR101869472B1 KR101869472B1 (ko) 2018-06-20

Family

ID=6208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87A KR101869472B1 (ko) 2016-10-20 2016-10-20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2270A (zh) * 2023-09-08 2023-10-20 泰州市大明不锈钢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自动化包装机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898B1 (ko) 2022-06-15 2023-06-08 김영산 야구공 낙하개수 선택형 자동 포장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60B1 (ko) * 2012-02-08 2012-10-12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포장장치
KR20130014015A (ko) * 2011-07-27 2013-02-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피포장물 충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015A (ko) * 2011-07-27 2013-02-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피포장물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1190160B1 (ko) * 2012-02-08 2012-10-12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2270A (zh) * 2023-09-08 2023-10-20 泰州市大明不锈钢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自动化包装机械
CN116902270B (zh) * 2023-09-08 2023-11-24 泰州市大明不锈钢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自动化包装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472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91012T3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ackaging of solids
ATE438577T1 (de) Automatisierte lag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lagern und ausgeben von arzneimitteln
EP2986446B1 (en) Pouch collectio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mbly and collection of non-filled spouted pouches
KR20180039056A (ko) 약제 조제 장치
DK2821128T3 (en) System to cook recipes with components coming from sealed containers
EP1859418B1 (en) Capsule dispensing apparatus
KR101869472B1 (ko) 스틱형 제품 포장장치
JP7345826B2 (ja) 物品移動システム
CN112368211B (zh) 一种从由药盆和蜂巢构成的相应支撑元件中取出药物容器的设备
JP2009532293A5 (ko)
KR20180121978A (ko) 정맥주사용 약제들을 조제하기 위한 기계 및 프로세스
JP6054633B2 (ja) 薬包容器
EP2644515B1 (en) Container emptying apparatus
RU26227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и переноса комплектов фильтрующих пакетов, содержащих вещества для настаивания
JP2002019705A (ja) 薬剤分包機
RU275124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порционных пакетиков
CN107993363B (zh) 自动按处方出药系统
CN109414372B (zh) 药片处理设备
CN109712331B (zh) 物品自动发放系统
GB2438192A (en) Dispensing device
IT201900006338A1 (it) Metodo per confezionare prodotti e relativo apparato di confezionamento
JP2002284101A (ja) 分包機
JP6019323B2 (ja) 被包装物の圧縮充填方法
JP2001072002A (ja) 分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