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656A - 모터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터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656A
KR20180043656A KR1020160136643A KR20160136643A KR20180043656A KR 20180043656 A KR20180043656 A KR 20180043656A KR 1020160136643 A KR1020160136643 A KR 1020160136643A KR 20160136643 A KR20160136643 A KR 20160136643A KR 20180043656 A KR20180043656 A KR 2018004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tor cover
motor
bus b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3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656A/ko
Publication of KR2018004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원통 형상의 모터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와,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모터 상부를 덮는 모터 커버와, 모터 커버 일측에 배치되어 제1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는 커넥터 홀더 내에서 유동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 커버 어셈블리{MOTOR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로는 직류식인 가변전압 전동기와 교류식인 3상 유도 전동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엘리베이터 또는 차량 등의 장비에 견인력을 구현하는 권상 전동기(traction motor), 나아가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동식 조향 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에 사용된다.
모터 커버는 모터 상부를 덮으며 배치되어 모터를 지지하는 역할과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모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회로 기판은 모터 커버 상부에 조립되어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모터 커버에 고정된 숫커넥터와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암커넥터는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숫커넥터는 암커넥터의 오목부에 삽입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암커넥터 핀 사이에 하나의 숫커넥터 핀이 삽입되어 이들 핀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숫커넥터는 모터 커버에 고정된 상태이고, 암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오차로 인해 숫커넥터와 암커넥터 간 결합 시 숫커넥터 핀과 암커넥터 핀 간의 미 접촉 예를 들면, 숫커넥터 핀이 한 쌍의 암커넥터 핀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핀 간 접촉 불량으로 인해 모터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 상호간 결합 시 2개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유동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고정된 커넥터의 위치로 이동시켜 이들 커넥터들을 서로 결합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 상호간 결합 시 2개의 커넥터의 핀 간 미 접촉을 방지함과 아울러, 모터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원통 형상의 모터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와,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모터 상부를 덮는 모터 커버와, 모터 커버 일측에 배치되어 제1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는 커넥터 홀더 내에서 유동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때, 커넥터 홀더 상부에는 제1커넥터를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개구부가 구비된다.
또한, 제1커넥터는 3상 커넥터이고, 버스바는 3개이다. 그리고, 제1커넥터는 숫커넥터 또는 암커넥터이다
또한, 커넥터 홀더는 모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가 암커넥터이면 상기 커넥터 홀더 하부에 제2개구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제2개구부는 제1개구부 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는 2개의 커넥터 상호간 결합 시 2개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유동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고정된 커넥터의 위치로 이동시켜 이들 커넥터들을 서로 결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2개의 커넥터 상호간 결합 시 2개의 커넥터의 커넥터 핀 간 미 접촉을 방지함과 아울러, 모터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100)는 버스바(Bus bar)(110), 제1커넥터(120), 모터 커버(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중앙부가 원통 형상의 모터(M)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120)는 버스바(110)의 일단에 연결되며, 버스바(110)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1커넥터(120)가 3개 즉 3상 커넥터인 경우 버스바(110)도 3개가 배치된다.
전술한 버스바(110)와 제1커넥터(120)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납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버스바(110)의 타단에는 원통 형상의 모터(M)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미도시)와 접속되는 단자부(1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모터 커버(130)는 모터(M) 상부를 덮으며 배치되며, 모터(M)를 지지하는 역할과 외부 환경 요인 예를 들면, 공기 또는 수분으로부터 모터(M)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버스바(110) 및 제1커넥터(120)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터 커버(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110), 제1커넥터(120) 및 모터 커버(130)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함께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형성된 제1커넥터(120) 및 단자부(110a)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모터 커버(130)에 고정 되고, 버스바(210)는 모터 커버(230)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커버(130) 상부에는 회로 기판(15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150) 상에는 모터(M)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자 부품들 중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2커넥터(160)는 회로 기판(150) 상에 표면 실장된 접촉 패드(미도시)와 연결된 후 납땜을 통해 회로 기판(150) 상에 그 위치가 고정 된다.
모터 커버(130)에 고정된 제1커넥터(120)와 회로 기판(1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160)는 서로 결합되는데, 제1커넥터(120)가 숫커넥터이면 제2커넥터(160)는 암커넥터가 되고, 제1커넥터(120)가 암커넥터이면 제2커넥터(150)는 숫커넥터가 된다.
여기서, 숫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커넥터 핀과, 상기 숫커넥터 핀을 감싸는 숫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암커넥터는 오목부를 갖는 암커넥터 하우징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암커넥터 핀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오목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암커넥터 핀이 한 쌍씩 배열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20)는 숫커넥터이고, 제2커넥터(160)는 암커넥터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모터 커버(130)는 모터(M)의 상부를 덮으며 조립되고, 이후 회로 기판(150)은 모터 커버(130)에 조립된다, 이때, 모터 커버(130)에 고정된 제1커넥터(120)와 회로 기판(1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160)는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120)는 제2커넥터(160)의 오목부에 삽입되며, 이 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커넥터(160) 핀 사이에 하나의 제1커넥터(120) 핀이 삽입되어 이들 핀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20)는 모터 커버(130)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2커넥터(160)는 회로 기판(150) 상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오차로 인해 제1커넥터(120)와 제2커넥터(160) 간 결합 시 제1커넥터(120) 핀과 제2커넥터(160) 핀 간의 미 접촉 예를 들면, 제1커넥터(120) 핀이 한 쌍의 제2커넥터(160) 핀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핀 간 접촉 불량으로 인해 모터(M)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버스바(110), 제1커넥터(120) 및 모터 커버(130)가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함께 형성되는 경우 공정 오차 등으로 인해 제2커넥터(160)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12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더욱더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200)는 버스바(210), 제1커넥터(220), 모터 커버(230) 및 커넥터 하우징(2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중앙부가 원통 형상의 모터(M)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220)는 버스바(210)의 일단에 연결되며, 버스바(210)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1커넥터(220)가 3개 즉 3상 커넥터인 경우 버스바(210)도 3개가 배치된다.
전술한 버스바(210)와 제1커넥터(220)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납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버스바(210)의 타단에는 원통 형상의 모터(M)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미도시)와 접속되는 단자부(2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모터 커버(230)는 모터(M) 상부 덮으며 배치되며, 모터(M)를 지지하는 역할과 외부 환경 요인 예를 들면, 공기 또는 수분으로부터 모터(M)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커넥터 홀더(240)는 모터 커버(230) 일측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제1커넥터(2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모터 커버(230) 및 커넥터 홀더(240)는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모터 커버(230) 및 커넥터 홀더(24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커버(230) 상부에는 회로 기판(25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250) 상에는 모터(M)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자 부품들 중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2커넥터(260)는 회로 기판(250) 상에 표면 실장된 접촉 패드(미도시)와 연결된 후 납땜을 통해 회로 기판(250) 상에 그 위치가 고정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200)는 제1커넥터(220)가 커넥터 홀더(240)에 수용되어 커넥터 홀더(24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홀더(240) 상부에는 제1커넥터(220)를 회로 기판(2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260)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개구부(OP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개구부(OP1)는 그 단면이 제1개구부(OP1)에 삽입되는 제1커넥터(220)의 단면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커넥터 홀더(240)에 삽입되어 수용된 제1커넥터(220)는 커넥터 홀더(240)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홀더(240) 내측면에는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되고, 제1커넥터(220)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턱(미도시)과 결합되는 후크(220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홀더(240)에 제1커넥터(220)를 수용 시 걸림턱(미도시)에 후크(220a)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커넥터 홀더(24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1커넥터(220)가 커넥터 홀더(240)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220)는 숫커넥터이고 제2커넥터(260)는 암커넥터이며, 모터 커버(230)에 조립된 제1커넥터(220)와 회로 기판(2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260)는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숫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커넥터 핀과, 상기 숫커넥터 핀을 감싸는 숫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암커넥터는 오목부를 갖는 암커넥터 하우징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암커넥터 핀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오목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암커넥터 핀이 한 쌍씩 배열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모터 커버(230)는 모터(M)의 상부를 덮으며 조립되고, 버스바(210) 및 제1커넥터(220)는 제1개구부(OP1)을 통해 모터 커버(230) 및 커넥터 홀더(240)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 때, 제1커넥터(220)는 커넥터 홀더(240)에 수용되어 그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버스바(210) 및 단자부(210a)는 모터 커버(23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 회로 기판(250)은 모터 커버(230) 및 커넥터 홀더(240) 상부에 조립된다, 이때, 커넥터 홀더(240)에 수용된 제1커넥터(220)와 회로 기판(2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260)는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220)는 제2커넥터(260)의 오목부에 삽입되며, 이 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커넥터(260) 핀 사이에 하나의 제1커넥터(220) 핀이 삽입되어 이들 핀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200)는 제1커넥터(220)가 커넥터 홀더(240) 내에서 유동되기 때문에,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60) 조립 시 제1커넥터(220)를 고정된 제2커넥터(260)의 위치로 이동시켜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6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60) 간 결합 시 제1커넥터(220) 핀과 제2커넥터(260) 핀 간의 미 접촉 예를 들면, 제1커넥터(220) 핀이 한 쌍의 제2커넥터(260) 핀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핀 간 접촉 불량으로 인해 모터(M)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모터 커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300)는 버스바(310), 제1커넥터(320), 모터 커버(330) 및 커넥터 하우징(3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중앙부가 원통 형상의 모터(M)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320)는 버스바(310)의 일단에 연결되며, 버스바(310)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1커넥터(320)가 3개 즉 3상 커넥터인 경우 버스바(310)도 3개가 배치된다.
전술한 버스바(310)와 제1커넥터(320)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납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버스바(310)의 타단에는 원통 형상의 모터(M)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자(미도시)와 접속되는 단자부(3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모터 커버(330)는 모터(M) 상부 덮으며 배치되며, 모터(M)를 지지하는 역할과 외부 환경 요인 예를 들면, 공기 또는 수분으로부터 모터(M)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커넥터 홀더(340)는 모터 커버(330) 일측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제1커넥터(3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모터 커버(330) 및 커넥터 홀더(340)는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모터 커버(330) 및 커넥터 홀더(34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커버(330) 상부에는 회로 기판(35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350) 상에는 모터(M)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자 부품들 중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2커넥터(360)는 회로 기판(350) 상에 표면 실장된 접촉 패드(미도시)와 연결된 후 납땜을 통해 회로 기판(350) 상에 그 위치가 고정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300)는 제1커넥터(320)가 커넥터 홀더(340)에 수용되어 커넥터 홀더(34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홀더(340) 상부에는 제1커넥터(320)를 회로 기판(3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360)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개구부(OP1)가 구비되고, 커넥터 홀더(340) 하부에는 제1커넥터(320)를 커넥터 홀더(340)에 삽입시키기 위한 제2개구부(OP2)가 구비된다
이때, 제1개구부(OP1)는 제1커넥터(320) 및 제2커넥터(36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홀더(340)에 제1커넥터(320)가 수용되었을 때 제1커넥터(320)의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제2개구부(OP2)는 그 단면이 제2개구부(OP2)에 삽입되는 제1커넥터(320)의 단면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커넥터 홀더(340)에 삽입되어 수용된 제1커넥터(320)는 커넥터 홀더(340)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개구부(OP2)는 제1개구부(OP1)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홀더(340) 내측면에는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되고, 제1커넥터(320)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턱(미도시)과 결합되는 후크(320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홀더(340)에 제1커넥터(320)를 수용 시 걸림턱(미도시)에 후크(320a)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커넥터 홀더(34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1커넥터(320)가 커넥터 홀더(340)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20)는 암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60)는 숫커넥터이며, 모터 커버(330)에 조립된 제1커넥터(320)와 회로 기판(3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360)는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숫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커넥터 핀과, 상기 숫커넥터 핀을 감싸는 숫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암커넥터는 오목부를 갖는 암커넥터 하우징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암커넥터 핀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오목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암커넥터 핀이 한 쌍씩 배열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모터 커버(330)는 모터(M)의 상부를 덮으며 조립되고, 버스바(310) 및 제1커넥터(320)는 제2개구부(OP2)를 통해 모터 커버(330) 및 커넥터 홀더(340)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 때, 제1커넥터(320)는 커넥터 홀더(340)에 수용되어 그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버스바(310)는 모터 커버(230)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음, 모터 커버(330)는 모터(M)의 상부를 덮으며 조립되고, 회로 기판(350)은 모터 커버(330) 및 커넥터 홀더(340) 상부에 조립된다, 이때, 커넥터 홀더(340)에 수용된 제1커넥터(320)와 회로 기판(350)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360)는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360)는 제1커넥터(320)의 오목부에 삽입되며, 이 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커넥터(320) 핀 사이에 하나의 제2커넥터(360) 핀이 삽입되어 이들 핀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버 어셈블리(300)는 제1커넥터(320)가 커넥터 홀더(340) 내에서 유동되기 때문에, 제1커넥터(320)와 제2커넥터(360) 조립 시 제1커넥터(320)를 고정된 제2커넥터(360)의 위치로 이동시켜 제1커넥터(320)와 제2커넥터(36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1커넥터(320)와 제2커넥터(360) 간 결합 시 제1커넥터(320) 핀과 제2커넥터(360) 핀 간의 미 접촉 예를 들면, 제1커넥터(320) 핀이 한 쌍의 제2커넥터(360) 핀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핀 간 접촉 불량으로 인해 모터(M)를 정상적으로 구동 및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210, 310 : 버스바
120, 220, 320 : 제1커넥터
130, 230, 330 : 모터 커버
240, 340 : 커넥터 홀더

Claims (8)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
    상기 버스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
    모터 상부를 덮는 모터 커버; 및
    상기 모터 커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홀더 내에서 유동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중앙부는 원통 형상의 모터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갖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 상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를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제2커넥터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개구부가 구비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3상 커넥터이고, 상기 버스바는 3개인 모터 커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숫커넥터 또는 암커넥터인 모터 커버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모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 하부에 제2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 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모터 커버 어셈블리.
KR1020160136643A 2016-10-20 2016-10-20 모터 커버 어셈블리 KR20180043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43A KR20180043656A (ko) 2016-10-20 2016-10-20 모터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43A KR20180043656A (ko) 2016-10-20 2016-10-20 모터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56A true KR20180043656A (ko) 2018-04-30

Family

ID=6208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43A KR20180043656A (ko) 2016-10-20 2016-10-20 모터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107A1 (ja) * 2018-12-19 2020-06-25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107A1 (ja) * 2018-12-19 2020-06-25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WO2020130107A1 (ja) * 2018-12-19 2021-09-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1260899B2 (en) 2018-12-19 2022-03-01 Nsk Ltd. Electric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7424344B2 (ja) 2018-12-19 2024-01-30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0955B2 (en)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and electromotive drive device using same
KR100839280B1 (ko) 모터
KR20160123143A (ko)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04472027A (zh) 用于接纳插塞模块的壳体盖板
US9899755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US11444510B2 (en)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CN107660322B (zh) 控制装置
EP2852264B1 (en) Electronics module with a side entry connection
KR102327471B1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KR20180112359A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362805B2 (en) Structure of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having direct connection between main body and controller
CN113196577A (zh) 多件式印刷电路板适配器插头
KR20180043656A (ko) 모터 커버 어셈블리
RU2696250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е клеммы неопределенного тип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109891721B (zh) 电动机
EP3525335B1 (en) Capacitor unit, and electric compressor
US20200274423A1 (en)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KR20150008812A (ko) 차량용 전기 센터
JP5476791B2 (ja) モータの給電構造及びモータ
CN103119798B (zh) 电夹式连接器、电夹式连接结构以及成套电缆
JP2019204577A (ja) コネクタ
CN107819257B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机
US20150076957A1 (en)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CN103840282A (zh) 执行机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