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067A -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067A
KR20180043067A KR1020160135917A KR20160135917A KR20180043067A KR 20180043067 A KR20180043067 A KR 20180043067A KR 1020160135917 A KR1020160135917 A KR 1020160135917A KR 20160135917 A KR20160135917 A KR 20160135917A KR 20180043067 A KR20180043067 A KR 2018004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product
travel product
time
shopp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엽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067A/ko
Publication of KR2018004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여행상품 추출부,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소요 시간 추정부,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 가능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대체상품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들 간의 더 많은 구매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더 많은 구매자가 접속해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만들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들은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에게 타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대한 여러 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여행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상기 여행상품을 이용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구매자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고, 교통 상황 악화로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참조하여 구매자가 구매한 여행상품을 이용하기 위해 많은 이동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 상기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여행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구매자가 상기 대체 여행상품을 통해 상기 여행상품의 여행 목적을 만족하면서 교통 체증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여행상품 추출부,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소요 시간 추정부,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 가능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대체상품 추출부를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소요 시간 추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2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 중 제2 소요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여행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을 평가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순위에 따라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소요 시간 추정부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숙박 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여행상품인 경우, 상기 숙박상품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예상 경로 및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 받으면,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하는 여행상품 변경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 가능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교통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예상 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소요되는 시간인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대체상품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 중 제2 소요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여행상품을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으로 상기 제2 여행상품을 평가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숙박 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여행상품인 경우, 상기 숙박상품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예상 경로 및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한 여행상품을 사용하는데 이동해야 하는 경로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추정하고, 평소에 비해 과다하게 많은 소요 시간이 추정되면, 상기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여행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구매자가 상기 대체 여행상품을 통해 상기 여행상품에 의한 여행 목적을 만족하면서 교통 체증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 중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소핑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구매자의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구매자의 단말기(200)(도 3 내지 도 5의 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부(110)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가 제공한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및 구매자의 위치를 수신 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구매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상기 구매자의 위치를 정기적으로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전국의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구매자가 요청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쇼핑 서비스를 처리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데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작업, 구매자의 여행상품의 종류 및 사용 예상 시점의 설정에 대응하여 여행상품의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여행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표시하는 작업, 여행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작업, 여행상품의 사용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전송하는 작업, 여행상품을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티켓을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 구매자의 위치 정보 및 여행상품의 사용 위치에 기초하여 예상 경로를 추정하는 작업, 상기 수신 받은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추정된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구매자의 단말기(200)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저장부(130)와 연계하여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신청/결제를 완료한 여행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여행상품을 지역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여행상품에 대한 사용 예정일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예정일은 구매자가 지정하거나, 여행상품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날짜로 결정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구매자의 단말기의 위치와 구매자가 구입한 여행상품간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50)는 구매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구매자 정보에는 구매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구매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의 주문에 따라 여행상품의 종류, 여행상품의 예약 방법, 여행상품의 사용 방법 등을 포함하는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여행상품의 예정된 사용 시점에 임박하면, 상기 여행상품의 사용 방법 및 유의점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로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상기 여행상품을 사용하는 시점에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상기 예측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여행상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여행상품은 예약 방법, 사용 방법 및 상기 사용 예정일에 사용될 티켓만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실제 여행상품을 사용하기 위해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곳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알려주고, 교통 체증에 따라 예상되는 시간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면 상기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여행상품을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교통 체증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체 여행상품을 이용할 수 있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대적으로 큰 편의성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 중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소핑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제1 여행상품 추출부(161), 위치 정보 수신부(163), 소요 시간 추정부(165), 대체상품 추출부(167), 리스트 생성부(168) 및 여행상품 변경부(169)를 포함한다.
제1 여행상품 추출부(161)는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 예정일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날짜로 지정되거나, 여행상품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여행상품이 특정 날짜에 사용할 수 있는 놀이 동산 자유 이용권인 경우, 상기 특정 날짜가 사용 예정일이 되고, 또는 상기 여행상품이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ATV 2시간 이용권으로 구매자가 특정 날짜에 사용할 것이라 지정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 받아 사용 예정일이 설정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구매한 여행 상품이 현재 날짜에 사용될 것을 예상되는 경우, 제1 여행상품 추출부(161)는 상기 여행상품을 상기 제1 여행상품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1 여행상품 추출부(161)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검출 또는 추출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다. 제1 여행상품 추출부(161)는, 상기 구매자의 정보를 획득하면, 이에 대응하는 다른 제1 여행상품들이 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정보는 복수의 구매자에 대한 것일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한 구매자의 제1 여행상품에 대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 및 제공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163)는 상기 획득한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63)는 GPS 모듈,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센싱 값 또는 상기 구매자가 직접 구매자의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63)는 구매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한 수집을 요청하는 신호를 미리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위치 정보의 수집에 동의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에 구매자의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구매자의 단말기(200)의 위치(이하, 구매자의 위치)와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곳 간의 이동 경로(이하, 제1 예상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상기 구매자가 구매한 여행상품 중 제1 여행상품이 복수 개 있는 경우, 복수의 제1 여행상품 중 어느 한 여행상품을 기준으로, 기준인 제1 여행상품을 경유하는 나머지 제1 여행상품들의 예상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상기 구매자의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제1 여행상품을 기준 여행상품으로, 상기 거리가 가장 가까운 기준 여행상품을 경유하여 나머지 제1 여행상품을 각각 방문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제1 여행상품이 A 여행상품, B 여행상품 및 C 여행상품이 있고 B 여행상품이 상기 구매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경우, B 여행상품을 경유한 A 여행상품의 예상 경로, B 여행상품을 경유한 C 여행상품의 예상 경로 각각을 제1 예상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여행상품 중 숙박 상품이 포함된 경우,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상기 숙박상품을 기준 여행상품으로 설정하여 나머지 제1 여행상품에 대한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가평에 있는 A 숙박상품이 상기 제1 여행상품에 포함된 경우,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상기 A 숙박상품에 대한 예상 경로를 생성한 후, 상기 A 숙박상품이 위치하는 곳부터 나머지 제1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는 예상 경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을 수신받고, 상기 수신 받은 교통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대응하는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현재 시점에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여행상품들인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여행상품은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을 참조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여행상품이 온천입장권인 경우에 상기 제2 여행상품도 다른 업체가 운영하는 온천의 입장권들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여행상품은 대체상품 추출부(167)에서 추출한 후보 여행상품 중에 선택된 여행상품이다. 한편, 후보 여행상품 중 제2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여행상품 중에서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이 상응하는 후보 여행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도 고려하여 후보 여행상품들을 추출하며, 예컨대,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행정구역 또는 인접한 행정구역에 위치하는 후보 여행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여행상품이 수상 레져 이용권이고, 가평군에 위치하는 경우,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상 레져와 관련된 다른 업체의 여행상품들 중 가평군이나, 가평군에 인접한 행정구역에 위치하는 여행상품들을 상기 후보 여행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보 여행상품은 하나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상기 후보 여행상품이 추출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구매자의 설정에 의해,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구매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후보 여행상품을 검출 및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 소요되는 평균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평균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통계상 평균 소요 시간이거나, 상기 제1 예상 경로의 정규 속도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기준 시간을 상기 평균시간에 가중치를 부과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평균시간이 50분이고 가중치가 2인 경우, 상기 기준 시간은 10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크게 상회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극심한 교통정체가 존재함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요 시간 추정부(165)는 대체상품 추출부(167)가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하는 여행상품들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여행상품에 대한 예상 경로 및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검출된 여행상품 중 상기 추정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시간 이하의 소요 시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대체상품 추출부(167)는 상기 제1 예상 경로의 교통 체증을 피하면서 상기 후보 여행상품 중에서 상기 구매자가 구매한 제1 여행상품과 상응하는 유형 및 특성을 갖는 여행상품인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여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167)가 복수의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한 것으로 가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추출된 복수의 제2 여행상품들을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은 상기 여행상품을 이용한 구매자들의 평가, 상기 제2 소요 시간, 가격 평가 및 접근성 등 복수의 평가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 조건을 포함한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여행상품들을 점수로 평가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평가된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들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은 구매자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들을 나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리스트 생성부(168)는 평가 점수가 좋은 순서로 나열되도록 상기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 리스트 생성부(168)는 평가 점수가 높은 제2 여행상품들이 먼저 구매자의 단말기 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생성부(168)가 생성한 리스트는 구매자의 단말기(200)에서 평가 점수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들의 자세한 정보가 노출되도록 하고, 나머지 여행상품에 대해선 서지사항만 노출시킬 수도 있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생성한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하면서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한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생성부(168)는 상기 제1 소요 시간 및 상기 제2 소요 시간을 상호 비교한 정보, 상기 제1 소요 시간 대비 절약 시간 및 상기 평가 점수 등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함께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는 상기 통계 정보를 통해 교통 체증으로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이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상기 평가 점수 및 제2 소요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하는 효율적인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행상품 변경부(169)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선택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 받는다. 여행상품 변경부(169)는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비용 및 판매자의 정보 등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비용 결제를 상기 구매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여행상품 변경부(169)는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 취소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여행상품 변경부(169)는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여행상품의 구매를 취소하지 않고, 차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예정일 변경하는 절차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구매자의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구매자의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와 구별되고 구매자의 단말기(200)와 분리된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구매자의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로 쇼핑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의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정보 등을 포함하는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
구매자의 단말기(2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주문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구매자의 단말기(201) 및 제2 구매자의 단말기(202)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자의 단말기(2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3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판매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판매자 단말기(3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판매자 단말기(301) 및 제2 판매자 단말기(302)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3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구매자의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구매자의 단말기(200) 및/또는 판매자 단말기(300)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 내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구매자의 단말기(200) 내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주문자들은 통신망(400)을 통하여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쇼핑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의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 구매자의 단말기(200) 자체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인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구매자의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매자의 단말기(200)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들이 구입한 여행상품 중 사용 예정일이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에 대해 검색 및 검출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된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있으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서, 상기 구매자가 구매한 다른 여행상품(구매자가 사용 완료하지 않은 여행상품)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검색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 및 사용 임박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S101).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구매자의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GPS 모듈,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센싱 값 또는 상기 구매자가 직접 구매자의 위치를 지정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3).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의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으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출발점에서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위치하는 장소인 여행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인 제1 예상 경로를 생성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예상 경로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실시간으로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추정할 수 있다(S10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하, 출발 시점)에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상 경로 상에 구매자가 이동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사용한다는 입력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출발 시점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사용하기 위해 출발한 시점에 정확한 교통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따라 상기 구매자가 이동하는지 상기 구매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정확히 일치하는 위치 변경이 있지 않더라도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제1 예상 경로 상에 위치하는 지역(각 시군 등)간을 이동하는 것만 감지하면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구매자의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사용하기 위한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출발 시점에 대응하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획득하여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예상 경로가 서울에서 가평의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경우, 상기 구매자의 위치 정보가 서울과 가평 사이에 있는 하남, 구리, 남양주 등 지역에 위치하는 것만 감지하면,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여,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유형 및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제2 여행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여행상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이하의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S10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시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제1 예상 경로 및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S111).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예상 경로상에 극심한 교통 체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에 가중치를 부가한 시간으로 상기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구매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이용하기 위해 예상하는 이동 시간을 미리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미리 입력된 이동 시간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과하여 상기 기준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의 목적지로 이동하는데 교통 체증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3).
다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구매자의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제1 예상 경로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재추정하고, 상기 기준 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재추정된 제1 소요 시간이 재설정된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에 기초(예컨대, 제1 여행상품의 종류,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유형 및 상기 여행상품이 제공되는 장소 등)하여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제주도 서귀포시의 수상 레져 상품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주도 시귀포시에서 상기 제1 여행상품 이외의 다른 수상 레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된 서귀포시에서 다른 업체들이 판매하는 상기 수상 레져 상품들을 후보 여행상품으로 추출한다(S115).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추출된 후보 여행상품들에 대한 제2 예상 경로 및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한 후 상기 구매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 각각의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2 소요 시간을 각각 추정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 각각의 제2 소요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 중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후보 여행상품을 제외한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후보 여행상품들만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S117).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들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은 상기 제2 소요 시간, 다른 사용자의 여행상품에 대한 평가, 여행상품의 가격 및 접근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여행상품들 상기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여행상품들 중 제2-1 여행상품은 다른 사용자에 의한 평점이 10점 만점 중 9점, 추정된 소요 시간 20분이고, 제2-2 여행상품은 평점 8점, 소요 시간 30분, 제2-3 여행상품은 평점 9점, 소요 시간 15분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제2-3 여행상품을 10점 만점(5분 단위로 1점 감점하는 형식으로 나머지 제2 여행상품 평가)으로 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평가한 평점을 더해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1 여행상품을 18점, 상기 제2-2 여행상품을 15점, 상기 제2-3 여행상품을 19점으로 평가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3 여행상품, 상기 제2-1 여행상품 및 상기 제2-2 여행상품 순서로 나열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리스트를 전송 받은 구매자의 단말기는 상기 제2-3 여행상품을 맨 위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여행상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S119).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시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구매자의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의 단말기(200)는 상기 리스트를 수신 받아 구매자의 단말기(200)에 포함된 표시부에 상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리스트는 상기 구매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이 선택될 수 있다(S13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전송하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제1 소요 시간 및 교통 정체에 대한 정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제2 여행상품의 제2 소요 시간, 다른 구매자의 평점, 상기 평가된 평가 점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제1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여행상품 대비 얼마나 많은 시간이 더 소요되는지에 대한 정보 및 교통 상황을 나타내는 맵 데이터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매자는 상기 통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교통 체증에 따른 불편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으면서,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여행상품 중 어느 하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써,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가 상기 제1 여행상품을 이용하기 위한 불필요한 교통 체증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교통 체증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정보도 제공받아 구매자의 본래의 여행 목적에 충족하는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여행상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선택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여행상품을 특정한다(S133).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특정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인 결제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을 구매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 받고 상기 특정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특정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 취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13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특정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어도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취소하지 않을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를 유지하면서, 사용 예정일을 변경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 중 숙박 상품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숙박 상품을 경유한 후 복수의 여행상품의 목적지 각각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여행상품은 E 펜션과 A 수상레져에 대한 여행상품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표는 상기 E 펜션을 경유한 후에 상기 여행상품들 각각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 중 숙박 상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숙박 상품을 기준으로 상기 나머지 제1 여행상품을 대체하는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숙박 상품에 인접한 레져 상품인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점을 고려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숙박 상품을 기준으로 제2 여행상품들을 추출한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숙박상품의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레져 상품들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검출된 레져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여행상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숙박 상품이 위치하는 곳까지의 소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소요 시간 및 상기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숙박 상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여행상품 중 상기 숙박 상품을 제외한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제1 예상 경로를 상기 숙박 상품을 경유하는 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제1 예상 경로에 대한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E 펜션을 방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1시간이고 상기 A 수상 레져를 방문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이 1시간45분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E 펜션을 기준으로 E 펜션을 방문한 후에 상기 A 수상 레져를 방문하는데 걸린 시간인 45분을 상기 A 수상 레져의 제1 소요 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E펜션에서 상기 A 수상 레져를 방문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15분이고, 상기 평균 시간에 가중치 2를 부가한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A 수상 레져에서 제1 여행 상품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기준 시간인 30분을 초과하는 상기 E펜션과 상기 A 수상 레져 사이의 경로의 소요 시간은 45분이 소요된다. 이는, 평소보다 교통 체증이 심하여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것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A 수상 레져의 제1 예상 경로에 극심한 교통 체증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상기 A 수상 레져 상품을 대체할 수 있는 후보 여행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펜션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있는 수상 레져 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B 수상 레져, X 수상 레져, Y 수상 레져 및 Z 수상 레져를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로 추출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B 수상 레져, 상기 X 수상 레져, 상기 Y 수상 레져 및 상기 Z 수상 레져들의 제2 예상 경로 및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들 각각의 제2 예상 경로들에 대한 제2 소요 시간들을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추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현재의 실시간 교통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B 수상 레져의 제2 소요 시간은 23분, 상기 X 수상 레져의 제2 소요 시간은 12분, 상기 Y 수상 레져의 제2 소요 시간은 15분 및 상기 Z 수상 레져의 소요 시간은 38분으로 추정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갈 수 있는 상기 B 수상 레져, 상기 X 수상 레져 및 상기 Y 수상 레져를 상기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소요 시간을 평가 기준으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X 수상 레져가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되며, 가장 긴 제2 소요 시간을 갖는 상기 B 수상 레져가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된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여행상품들을 제1 순위에 X 수상 레져, 제2 순위에 Y 수상 레져, 제3 순위에 B 수상 레져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X 수상 레져, Y 수상 레져, B 수상 레져 순으로 나열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 여행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쇼핑 서비스 제공부
161: 제1 여행상품 추출부
163: 위치정보 수신부
165: 소요 시간 추정부
167: 대체상품 추출부
168: 리스트 생성부
169: 여행상품 변경부
200: 구매자의 단말기
300: 판매자의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16)

  1.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여행상품 추출부;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소요 시간 추정부;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 가능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대체상품 추출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에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소요 시간 추정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2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상품 추출부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 중 상기 제2 소요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여행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여행상품을 평가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순위에 따라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시간 추정부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숙박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여행상품인 경우, 상기 숙박상품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예상 경로 및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 받으면,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하는 여행상품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8. 사용 예정일에 도달한 여행상품인 제1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예상 경로에 따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소요 시간을 교통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여행상품을 대체 가능한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예상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기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의 특성 및 유형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여행상품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로인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교통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예상 경로에 따라 이동하는 소요되는 시간인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행상품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보 여행상품 중 상기 제2 소요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여행상품을 제2 여행상품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으로 상기 제2 여행상품을 평가하여, 상기 제2 여행상품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순위에 따라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상기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요 시간을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여행상품이 숙박상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여행상품인 경우, 상기 숙박상품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예상 경로 및 상기 제2 예상 경로를 생성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기 제2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 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여행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8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35917A 2016-10-19 2016-10-19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3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17A KR20180043067A (ko) 2016-10-19 2016-10-19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17A KR20180043067A (ko) 2016-10-19 2016-10-19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67A true KR20180043067A (ko) 2018-04-27

Family

ID=6208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17A KR20180043067A (ko) 2016-10-19 2016-10-19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06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76A (ko) * 2003-08-05 2006-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예약 변경 시스템
KR20120093614A (ko) * 2011-02-15 2012-08-23 모젼스랩(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JP2016143192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日本ラノス 旅行プラン提案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76A (ko) * 2003-08-05 2006-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예약 변경 시스템
KR20120093614A (ko) * 2011-02-15 2012-08-23 모젼스랩(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JP2016143192A (ja) *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日本ラノス 旅行プラン提案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3590B (zh) 同乘支援装置、同乘支援系统及同乘支援方法
JP6789260B2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JP5251148B2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JP6246309B1 (ja) 仲介支援システム、仲介支援方法、および仲介支援プログラム
US201502279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ating locations and preferences
JP6507144B2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WO2010140504A1 (ja) 推薦情報提供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39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ip planning
WO2013003468A2 (en) Triggering collection of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data
WO2015009966A1 (en) Point-of-interest latency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location history
KR101395199B1 (ko) 위치 기반의 매장 내 실시간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42583A (ja) 経路検索装置、経路検索システム、経路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09617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877882B1 (ko) 휴게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58027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照合方法
JP2018101271A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WO2015094262A1 (en) Personalized shopping and routing
KR101585119B1 (ko) 경로정보를 이용한 소셜 커머스 딜 노출방법,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9049836A (ja)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JP5823332B2 (ja) 個人行動嗜好分析システムおよび個人行動嗜好分析方法
JP6811160B2 (ja) 仲介支援システム、仲介支援方法、および仲介支援プログラム
CN11113346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程序以及存储介质
JP6345212B2 (ja) 情報処理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123031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50058B1 (ko) 맞춤형 여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