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57A - 스마트 제본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제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57A
KR20180042957A KR1020160135595A KR20160135595A KR20180042957A KR 20180042957 A KR20180042957 A KR 20180042957A KR 1020160135595 A KR1020160135595 A KR 1020160135595A KR 20160135595 A KR20160135595 A KR 20160135595A KR 20180042957 A KR20180042957 A KR 2018004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lamp
bookbinding
thicknes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현
Original Assignee
(주)스코어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코어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스코어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6013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957A/ko
Publication of KR2018004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1/00Casing-in
    • B42C11/04Machines or equipment for casing-in or applying covers to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3/00Bookbinding presses; Joint-creasing equipment for bookbinding; Drying or setting devices for boo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2/00Bookbinding: process and apparatus
    • Y10S412/901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본 대상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과 면적을 조절하게 하고, 또한 표지를 제본할 때에 압력을 가하는 시간과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하는 스마트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제본기 { Smart Binding Unit }
본 발명은 스마트 제본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본 대상의 두께를 측정하고, [0001] 이를 통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과 면적을 조절하게 하고, 또한 표지를 제본할 때에 압력의 크기, 압력을 가하는 시간 및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하는 스마트 제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의 제조공정은 크게 인쇄공정과 제본공정을 통해 완성되는데, 인쇄공정은 인쇄지에 인쇄하는 공정이고, 제본공정은 인쇄된 인쇄지들을 결합시키는 공정이다. 또한, 인쇄공정에서는 통상 인쇄작업과 접지 작업을 행한다.
공지된 제본기 중에는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의 원주면에 제본 책자를 끼워 압축한 상태에서 회전의 소정 위치에서 제본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이루어진 제본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제본기라 함은 책자의 일측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책자 페이지가 상호 접합을 이루어 제본하는 것으로, 제본되는 과정에서 도포된 접착제 층에 표지를 일치시켜 공급하여 동시에 접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에 따르면 제본된 책자의 일측 단부에만 접착제 층이 도포되고 표지가 그 단부에 한정적으로 접함됨으로서 표지의 박리와 책자 페이지의 분리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본 책자의 일측 단부 뿐만 아니라 양측 외곽 페이지에 일정 높이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책자의 표지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접합되도록 제본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책자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또는 너무 얇은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제본이 이루어지게 되어 책자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박리의 문제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지나치게 많은 부분이 접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책제본을 수행함에 있어 제본할 책의 두께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접착제 도포 롤러의 회전수 및 도포면적을 제어하고,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 제어 및 표지 클램핑 압력과 높이,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책 두께에 따라 최적의 제본 결과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제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본기는,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소정의 속도를 가지고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이동 중에 상기 제본 대상(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외부에 접착제가 제공되는 도포롤러(30)와, 상기 도포롤러(30)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도포롤러(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터를 조절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본기는,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도포량 조절부 높이 조절수단(64)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도포량 조절부 높이 조절수단(64)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가 높아지도록 상기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 제본기는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또는 압축시간을 조절하는 클램프 압축조절수단(67)과,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또는 압축 시간을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변화되도록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본기는,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본 대상(100)의 하측에 접촉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히팅 플레이트(41)와, 상기 히팅 플레이트(41)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히팅 플레이트 온도 조절수단(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책제본을 수행함에 있어 제본할 책의 두께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접착제 도포량 및 도포면적을 제어하고, 히팅 플레이트의 온도 제어 및 표지 클램핑 압력과 높이,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책 두께에 따라 최적의 제본 결과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제본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책의 두께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책의 두께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본면을 정리하는 회전 칼날부의 동작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본면을 정리하는 회전 칼날부의 동작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롤러의 동작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의 표지 제본 공정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표지 제본 공정의 동작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0016]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1)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가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가 위치하고 있는 제2 위치로 구별된다.
제1 위치에서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 사이에 제본 대상이 삽입되고,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에 의해 고정되어 중간 위치에서 도포롤러(3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의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2 지그(10b)는 지그 연결 부재(1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지그(10a)에는 지그 연결 부재(12)가 관통 삽입되는 홀이 제공되고, 이에 지그 연결 부재(12)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지그(10a)는 상기 지그 연결 부재(12)를 따라 제2 지그(10b) 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는 공압 실린더 등 동력수단이 제1 지그(10a)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이동하게 하는 구조이다.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 사이에 제본 대상(100)이 삽입되면, 제1 지그(10a)가 제2 지그(10b)로 이동하여 제본 대상(100)을 고정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t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를 이후의 공정에서 전자동으로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부분을 본 발명에서는 두께 측정부(60)라고 한다. 다만, 두께 측정부(60)는 반드시 별도의 기계적 구조체라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그 및 제2 지그의 위치를 계산하여 수치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한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본 대상(100)의 두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에 센서를 두어 거리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초기의 제1 지그(10a)와 제2 지그(10b) 사이의 거리에서 제1 지그(10a)가 이동한 거리의 차를 통해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그에 의해 제본 대상(100)이 고정이 된 후에,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는 제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는 지그 이동 수단(62)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된다. 지그 이동 수단(62)는 선형 액츄에이터 등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지그 이동 수단(62)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구조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는 지그 고정부(1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그 연결 부재(12) 또는 지그 고정부(11)에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그 이동 수단(62)이 연결될 수 있고, 지그 이동 수단(62)은 제어부에 의해 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본 대상 지지부(18, 19)는 제본 대상의 높이가 큰 경우에도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본면을 정리하는 회전 칼날부의 동작 구조도를 나타낸다. 제본 대상의 제본면은 표면에 접착되가 도포되는 면적이 넓어저야 제본의 효과가 좋아진다. 따라서 제본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칼날을 이용하여 책등에 접착제 도포가 잘 이루어지도록 삼각 또는 사각 모양의 자국이나 홈을 파주는 스카핑(scuffing)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전칼날부는 제본과정의 운용상에 있어 인체에 위해한 요소이기 때문에 안전적인 요소를 고려해야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칼날부가 위치하는 공간을 위험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안전판(20)으로 차단하고 회전칼날부(21)가 작동시 안전판(20)을 개방한 후에, 회전 칼날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스카핑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스카핑작업은 책 등을 긁어내는 작업으로 작업시 미세한 분진을 발생시킨다. [0030] 발생된 분진은 제본기 기계장치에 누적되어 작동상에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개방형태의 접착제 통에 전달되어 접착제의 접착 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칼날부 하부에 분진 흡입장치를 두어 회전칼날부를 이용한 스카핑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분진저장소에 적층한다.
안전판(20)의 수평 이동 및 회전 칼날부(21)의 수직 이동을 선형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회전 칼날부(21)는 회전 부재(22)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게 된다.
이후,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에 의해 고정된 제본 대상(100)에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접착제(110)의 도포는 회전하는 도포롤러(3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포롤러(30)를 제본 대상의 저면이 통과하면서 제본 대상의 저면과 일정 높이의 측면에 접착제(110)가 도포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과 도포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도포롤러 회전속도 조절수단(63)을 더 포함한다.
도포롤러(30)는 회전모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회전모터는 도포롤러 회전속도 조절수단에 의하여 그 회전수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는 모터의 회전 및 제어에 관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그 원리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기계적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포롤러(30)는 제본 대상의 두께가 두껍다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대시켜야 하는데, 도포롤러(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면, 이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조절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즉, 제본 대상의 두께가 두껍다면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감속한다면, 도포롤러(30)에 제본 대상이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도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포롤러(30)의 상류에는 책등에 도포되는 도포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도포면적 조절핀(39a, 39b)을 제공한다.도포면적 조절핀(39a, 39b)은 도포롤러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책의 두께에 따라 위치가 수평으로 조절된다.
다만, 도포면적 조절핀(39a, 39b)은 제1 도포면적 조절핀(39a) 및 제2 도포면적 조절핀(39b)으로 구성이 되는데, 제1 도포면적 조절핀(39a)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도포면적 조절핀(39b)은 책의 두께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그(10a)에 연동하여 제2 도포면적 조절핀(39b)의 이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포면적 조절핀(39b)은 도포면적 조절핀 이동 조절 수단(69)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위치가 변화된다.
이 도표면적 조절핀은 책등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 책 등의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도포롤러 부분에 의해서 접착제가 책 옆면에 과도하게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포면적 조절핀(39a, 39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형상을 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포면적 조절핀은 폭이 좁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형상이면 가능하고, 책의 두께에 따라 조절되어 책 등의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도포롤러 부분에 의해서 접착제가 책 옆면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도포롤러(30)의 하류에는 도포량 조절부(35)를 제공한다. 이는 제2 위치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부재로서 도포된 접착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책의 두께에 따라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도포량 조절부의 높이를 제어한다. 두꺼운 책의 경우는 도포량 조절부의 위치를 하강시키고, 얇은 책의 경우는 도포량 조절부의 위치를 상승시켜 책의 두께에 맞는 적정량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포량 조절부(35)는 도포량 조절판 높이 조절 수단(64)에 연결되어 있고, 책의 두께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된다. 도포량 조절판 높이 조절 수단(64)은 선형 액츄에이터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의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에 의해 고정된 제본 대상이 제2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히팅 플레이트(41)과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 상에는 책의 표지가 위치하고 있다.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가 제2 위치에 오게 되면(Ⅰ), 히팅 플레이트(41)[0043] 와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책의 표지와 제본 대상의 저면을 접하게 하고, 적정 온도로 가열된 히팅 플레이트(41)가 압력을 가하여 표지를 부착시킨다.
이후,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가 제본 대상 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지와 제본 대상을 접하게 하여, 측면으로부터 압력을 가한다. 특히,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가 압력을 가하게 될 때, 표지와 제본 대상 사이의 접착제가 외부로 밀려 나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는 윗부분이 돌출되도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본 대상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너무 강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최종 책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너무 약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표지가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제본 대상의 두께에 따라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가 제본 대상에 가하는 압력과 시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즉, 클램프 압력 조절수단(67) 및 클램프 시간 조절수단(68)을 제공하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그 압력과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 클램프 압력 조절수단(67)은 제본 대상에 가해지는 두 개의 클램프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수단이고, 클램프 시간 조절수단(68)은 이러한 두 개의 클램프가 제본 대상을 압축하고 있는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흐리게 할 수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의 측면 혹은 저면에는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해지는 압력 및 시간은 클램프 압력 조절수단(67) 및 클램프 시간 조절수단(68)으로부터 제어된다. 이러한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부재는 클램프 하부에 제공되는 클램프 지지부(42a, 42b)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 기술사상은 책의 두께에 따라 클램핑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앞에서 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제본 대상의 측면에 도포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이는 저면을 기준으로 도포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h의 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클램프가 상승하는 위치를 더 높게 조절하여 클램핑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더 포함하여 제어한다. 클램프 높이 조절 수단(66)이란, 제1 클램프(40a), 제2 클램프(40b)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한다.
클램핑하는 위치는 두께에 따라 제본 대상의 측면에 도포되는 높이를 측정 또는 계산하여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등에 높은온도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표지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온도와 클램프 중앙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의 온도차이가 높으면 급속한 온도 저하로 인해 책등과 표지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등 접착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환경적인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온도를 제공하는 히팅플레이트(41)를 적용하여, 표지 압착시 책등에 도포된 접착제와 표지를 압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간의 높은 온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표지압착의 성능을 높혀준다.
책의 옆 측면에 접하게 되는 제1 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접촉면은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어, 클램프 높이 이상의 책 옆측면으로 본드가 누전되지 않도록 하고, 책표지를 펼치는데 도움을 주는 라인을 생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제어부(61)가 스마트 제본기의 각각의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의 동작 원리 및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였다.
본 발명의 핵심적 사상이 아니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위험성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는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소정의 속도를 가지고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이동 중에 상기 제본 대상(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외부에 접착제가 제공되는 도포롤러(30)와, 상기 도포롤러(30)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도포롤러(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터를 조절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스마트 제본기는,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도포량 조절부 높이 조절수단(64)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도포량 조절부 높이 조절수단(64)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가 높아지도록 상기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제본기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또는 압축시간을 조절하는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과,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및 압축 시간을 미리 설정된 값에 따르도록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본 대상(100)의 하측에 접촉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히팅 플레이트(41)와,상기 히팅 플레이트(41)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히팅 플레이트 온도 조절수단(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도면에 표시된 형상에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표현된 문구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 : 스마트 제본기, 10a : 제1 지그, 10b : 제2 지그, 12 : 지그 연결 부재, 18, 19 : 제본 대상 지지부, 20 : 안전판, 21 : 회전 칼날부, 22 : 회전 부재, 23 : 저면부, 30 : 도포롤러, 35 : 도포량 조절부, 40a : 제1 클램프, 40b : 제2 클램프, 41 : 히팅 플레이트

Claims (4)

  1.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소정의 속도를 가지고 이동시키는 지그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이동 중에 상기 제본 대상(1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외부에 접착제가 제공되는 도포롤러(30)와,상기 도포롤러(30)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도포롤러(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터를 조절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이동 수단(62)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스마트 제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본기는,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도포량 조절부 높이 조절수단(64)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제본 대상(1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도포량 조절부(35)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도포량 조절부높이 조절수단(64)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압축력을 가하는 위치가 높아지도록 상기 클램프 높이 조절수단(66)을 제어하는 스마트 제본기.
  3. 제본 대상(100)을 양측에서 잡아 고정하는 제1 지그(10a) 및 제2 지그(10b)와,
    상기 제본 대상(10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60)와,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62)과,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양측에서 압축력을 가하는 제1 클램프(40a) 및 제2 클램프(40b)와,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또는 압축시간을 조절하는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과,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된 제본 대상(10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40a) 및 상기 제2 클램프(40b)가 상기 제본 대상(100)에 가하는 압축력의 크기 또는 압축 시간을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변화되도록 상기 클램프 압축 조절수단(67)을 제어하는 스마트 제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본기는, 상기 제1 지그(10a) 및 상기 제2 지그(10b)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본 대상(100)의 접착제 도포 부위에 표지(10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본 대상(100)의 하측에 접촉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히팅 플레이트(41)와, 상기 히팅 플레이트(41)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히팅 플레이트 온도 조절수단(65)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제본기.

KR1020160135595A 2016-10-19 2016-10-19 스마트 제본기 KR20180042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95A KR20180042957A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제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95A KR20180042957A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제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57A true KR20180042957A (ko) 2018-04-27

Family

ID=6208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595A KR20180042957A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제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87B1 (ko) 2019-12-03 2020-04-23 강진규 접착제 도포 조절을 위한 제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87B1 (ko) 2019-12-03 2020-04-23 강진규 접착제 도포 조절을 위한 제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6356A (ko) 스마트 제본기
US3717366A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book binding
JP5171665B2 (ja) 表紙貼付機及び製本装置
EP0481633A1 (en) Hot melt adhesive applicator
WO2017099178A1 (ja) シート加工装置、シートの加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931555B2 (ja) 箔押し装置
JP5804580B2 (ja) 無線綴じ製本装置の糊付けユニット
KR20180042957A (ko) 스마트 제본기
JPWO2013027279A1 (ja) 表紙貼付機および該表紙貼付機を備えた製本装置
DK2120096T3 (en) A process for positioning on a carrier of a flexible printing plate was prepared essentially by the photopolymer and the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such a method
CN1211218C (zh) 制作书本类物品封面的方法和设备
EP0791478A1 (e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bookbinding
JP2010137561A (ja) フィルム背部折込み装置及びフィルムカバー貼付けシステム
JP4381061B2 (ja) 製本装置
JP4330397B2 (ja) 接着剤塗布装置、製本装置および接着剤塗布方法
TW201605369A (zh) 鞋面三維印刷系統
CN107618715A (zh) 一种片状膜贴膜机
JP2623347B2 (ja) 製本用糊塗布装置
KR102267473B1 (ko) 실시간 장력제어를 이용한 미세패턴 롤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롤 제작방법
CN111605181A (zh) 一种贴膜装置
US200602103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covers of a book or similar
JP7002740B2 (ja) 製本装置、製本方法
EP0125120A2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Surfacing Material on Surfaces in the Area of Edges or Corners of Support Elements
US6632059B2 (en) Method for adhesive attachment of a cover provided with a binding strip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2066618A1 (ja) 製本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