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557A -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557A
KR20180041557A KR1020170074397A KR20170074397A KR20180041557A KR 20180041557 A KR20180041557 A KR 20180041557A KR 1020170074397 A KR1020170074397 A KR 1020170074397A KR 20170074397 A KR20170074397 A KR 20170074397A KR 20180041557 A KR20180041557 A KR 2018004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attress
reinforcing
foam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to KR102017007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557A/ko
Publication of KR2018004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6Edg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고,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강재를 통해 매트리스 내부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유지시켜 매트리스의 가장자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MATTRESSES WITH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이나 침대에 깔아 취침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실내 바닥이나 침대 프레임 위에 깔아서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직물외피 내에 외부 하중을 완충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정렬 배치되어 취침시 스프링이 신체를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침대용 매트리스는 다수의 스프링이 종·횡의 다수 열로 배열되어 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주며, 스프링 구조물의 상·하부에 부직포, 스펀지 및 화학솜 등의 쿠션 부재를 적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용 매트리스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는 침대의 바닥 프레임과 접촉되어 상부 하중을 바닥 프레임에 전달하는 하부 쿠션(12)과, 이 하부 쿠션(12)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하부 쿠션(12)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쿠션(12) 및 상/하부 쿠션(12)의 사이 공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부 쿠션(12)에 탄성 및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침대용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쿠션(12)의 외 측에 설치되어 상/하부 쿠션(12)이 이루는 공간을 차폐하면서 스프링과 함께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된 측면 쿠션(13)과, 이 측면 쿠션(13)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프링과 함께 상부 쿠션(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지지부재는 상부 쿠션(12)의 내측에 접촉 고정되어 측면 쿠션(13)에 의해 지지 되면서 상부 쿠션(12)을 스프링과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매트리스(1)의 표면에는 원단커버(30)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완충작용 및 복원력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존하게 되는데, 매트리스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이 집중되는 부분에 위치한 스프링이 다른 부분의 스프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탄성이 약화되어 부분적인 꺼짐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분적인 꺼짐 현상이 있는 매트리스에서 취침시 불편한 자세가 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없으며,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면 피로가 누적되고, 사고능력이 저하되어 다음날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매트리스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4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해서 가해는 압력이나 충격의 집중에 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해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고, 이를 통해 매트리스의 가장자리가 처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측면보강폼;
상기 제1 측면보강폼의 양단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4 측면보강폼;
상기 제2,4 측면보강폼에 양단이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측면보강폼; 및
상기 제1,3 측면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3 측면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과 어느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연장보강폼;
상기 제1 연장보강폼의 일단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
상기 제1 연장보강폼과 제2 측면보강폼에 양단이 각기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측면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연장보강폼 및 제3 측면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장보강폼 및 제3 측면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 및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과 어느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연장보강폼;
상기 제2 연장보강폼에 양단이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연장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연장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연장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연장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본넬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개부가 외면에 상하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강재를 통해 매트리스 내부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유지시켜 매트리스의 가장자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강재를 통해 매트리스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일부 절개하여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100)는 외피(120)에 감싸져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매트리스(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탄성력 및 복원력을 보완하는 보강재(2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매트리스(100)는 상, 하부에 구성되어 탄성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쿠션부(140), 상기 쿠션부(140) 사이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0) 및 이 스프링(160)을 사면으로 감싸 보호하는 보강재(200)를 포함한다.
쿠션부(140)는 외피(120)의 내부에 복수로 구비되어 매트리스(100)의 쿠션을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쿠션부(140)는 예컨대,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요성 구조물로 이루어져 탄성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며, 매트리스(100)의 내부에 배열배치되는 스프링(160) 및 상기 매트리스(100)의 사면에 구성된 보강재(200)의 상·하부에 구성된다.
즉 쿠션부(140)는 보강재(200)의 상·하부에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부 쿠션재(141) 및 이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고, 보강재(200)의 하부에 구성되어 매트리스(100)의 지지력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 쿠션재(143)로 이루어진다.
상부 쿠션재(141)는 예컨대, 매트리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락감 및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라텍스, 메모리폼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서 휴식을 취할 때 허리, 엉덩이, 허벅지 등의 면적이 크고 무게 중심을 갖는 신체부위가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쿠션재(143)는 스프링(1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상부 쿠션재(141)보다 강성 및 지지력이 견고하도록 구성되고, 매트리스(100)를 장시간 동안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160)은 수용공간(223)에 종·횡으로 규칙적이고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스프링(160)은 본넬스프링 또는 포켓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하부 쿠션재(143)의 상단부에 종·횡으로 배열배치하게 되며, 매트리스(1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매트리스(100)가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160)은 예컨대, 하부 쿠션재(143)의 상단부에 배치가 이루어질 때, 접착제 또는 봉합에 의해 하부 쿠션재(143)와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한 스프링 커버(163)와 지퍼 또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프링(160) 중에서 포켓스프링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1) 및 상기 탄성부재(161)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스프링 커버(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상부 쿠션재(141)의 하부 및 하부 쿠션재(143)의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고, 독립된 스프링 구조로 구성되어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취침 또는 착석시 신체 체중이 분산되어 동침하는 또 다른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스프링(16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장시간 동안 탄성력 및 복원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보강재(200)는 예컨대, 우레탄, 라텍스, 스펀지, 메모리 폼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매트리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각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수용공간(223)에 수용되어 종·횡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스프링(160)을 보호하는 기능과,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상부 쿠션재(141) 및 하부 쿠션재(143)의 사이에 구성되고, 매트리스(100)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측면보강폼(220) 및 제3 측면보강폼(260)과, 제1 측면보강폼(220)의 양단에 배치되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240) 및 제4 측면보강폼(280)으로 이루어진다.
제1,3 측면보강폼(220)(260)은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착석 또는 취침시 상부 쿠션재(141)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보강하기 위해 일정한 강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폭(W), 길이(L) 및 간격(i)이 규칙 또는 불규칙한 돌출부(225)가 요철(凹凸)형태로 스프링(160)을 향해 사각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3 측면보강폼(220)(260)은 양단에 측면접착면(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25)는 외면에 본넬스프링이 삽입되어 밀착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절개부(227)가 상하로 이격 형성된다.
즉 측면접착면(221)은 제2 측면보강폼(240) 및 제4 측면보강폼(280)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된 측면접착면(221)에 예컨대, 벨크로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호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225)의 폭(W), 길이(L) 및 간격(i)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1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160)의 직경과 동일 또는 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160)의 외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스프링(160)이 외부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160)과의 밀착반경을 확대시켜 스프링(160)과의 용이한 밀착으로 외부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160) 대신 돌출부(225)가 제1 측면보강폼(220)과 함께 신축되어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225)가 내측에 형성된 제1 측면보강폼(220)의 양단에는 제2,4 측면보강폼(240)(280)이 배치되어 스프링(160)의 탄성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4 측면보강폼(240)(280)은 제1 측면보강폼(220)의 양단에 각기 배치되고, 제1 측면보강폼(22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스프링(160)이 종·횡으로 배열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쿠션력 및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4 측면보강폼(240)(280)은 제1 측면보강폼(220)의 돌출부(225)와 같은 구성요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면보강폼(22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스프링(16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각기 형성되어 제공되는 제1 측면보강폼(220) 내지 제4 측면보강폼(280)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들 대신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제1 연장보강폼(220a), 제2 연장보강폼(240a) 또는 제3 연장보강폼(260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제1,4 측면보강폼 대신 일체로 형성되어 도면상 상부와 좌측에 배치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연장보강폼(220a)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보강폼(220a)의 내측에 접힘용 틈새부(200a)가 형성된다. 상기 접힘용 틈새부(200a)는 보강재(200)가 일체로 이루어질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재(200)는 제1 연장보강폼(220a)에 결합되어 도면상 우측에 구비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2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보강폼(220a)과 제2 측면보강폼(240)에 양단이 각기 결합되어 도면상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측면보강폼(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200)를 구성하기 위한 결합은 예컨대, 제1 연장보강폼(220a) 및 제2,3 측면보강폼(240)의 끝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벨크로를 구비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제1 측면보강폼 내지 제3 측면보강폼 대신 일체로 이루어져 도면상 상부, 좌측 및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연장보강폼(240a)을 포함하며, 도면상 상기 제2 연장보강폼(240a)의 내측 좌상단 및 좌하단에 2개의 접힘용 틈새부(200a)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2 연장보강폼(240a)이 직각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200)는 제2 연장보강폼(240a)에 양단이 결합되어 도면상 우측에 구비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200)를 구성하기 위한 결합은 예컨대, 제2 연장보강폼(240a) 및 제2 측면보강폼(240)의 끝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벨크로를 구비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200)는 제1 측면보강폼 내지 제4 측면보강폼 대신 일체로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접힘용 틈새부(200a)가 형성되어 사면을 이루도록 도면상 상, 하, 좌, 우에 배치됨으로써, 직사각형의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연장보강폼(260a)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매트리스 120 - 외피
140 - 쿠션부 141 - 상부 쿠션재
143 - 하부 쿠션재 160 - 스프링
200 - 보강재 220 - 제1 측면보강폼
220a - 제1 연장보강폼 221 - 측면접착면
223 - 수용공간 225 - 돌출부
227 - 절개부 240 - 제2 측면보강폼
240a - 제2 연장보강폼 260 - 제3 측면보강폼
260a - 제3 연장보강폼 280 - 제4 측면보강폼
L - 돌출부의 길이 W - 돌출부의 폭
i - 돌출부의 간격

Claims (5)

  1.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측면보강폼;
    상기 제1 측면보강폼의 양단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4 측면보강폼;
    상기 제2,4 측면보강폼에 양단이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측면보강폼; 및
    상기 제1,3 측면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3 측면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2.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과 어느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연장보강폼;
    상기 제1 연장보강폼의 일단에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
    상기 제1 연장보강폼과 제2 측면보강폼에 양단이 각기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측면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1 연장보강폼 및 제3 측면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장보강폼 및 제3 측면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3.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 및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과 어느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연장보강폼;
    상기 제2 연장보강폼에 양단이 결합되어 매트리스의 다른 하나의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측면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2 연장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4. 매트리스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 배치된 상부 쿠션재 및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배치되는 포켓스프링 또는 본넬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쿠션재와 하부 쿠션재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접힘용 틈새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매트리스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도록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연장보강폼; 및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제3 연장보강폼의 내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상기 스프링을 향해 사각형상의 요철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폭, 길이 및 간격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연장보강폼과 함께 신축작용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본넬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개부가 외면에 상하로 이격 형성된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KR1020170074397A 2017-06-13 2017-06-13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KR2018004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7A KR20180041557A (ko) 2017-06-13 2017-06-13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7A KR20180041557A (ko) 2017-06-13 2017-06-13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683 Division 2016-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557A true KR20180041557A (ko) 2018-04-24

Family

ID=6208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397A KR20180041557A (ko) 2017-06-13 2017-06-13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12B1 (ko) 2019-08-20 2020-07-28 (주)티모드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KR102494701B1 (ko) * 2022-07-19 2023-01-31 이경화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KR102660972B1 (ko) * 2023-12-05 2024-04-25 주식회사 시몬스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12B1 (ko) 2019-08-20 2020-07-28 (주)티모드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KR102494701B1 (ko) * 2022-07-19 2023-01-31 이경화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KR102660972B1 (ko) * 2023-12-05 2024-04-25 주식회사 시몬스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384B2 (ja) 介護・医療適性を向上させたマットレス
US4447922A (en) Pillow apparatus
EP1683448B1 (en) Infant mattress
KR20180041557A (ko)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KR101471607B1 (ko) 보강 부재가 구비된 침대 매트리스
TW201907833A (zh) 床墊構造體
KR100671937B1 (ko) 젤상 쿠션
US6845534B1 (en) Support pillow
KR101901889B1 (ko) 방염 및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1715566B1 (ko)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KR101851721B1 (ko) 기능성 베개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2300525B1 (ko)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KR101826277B1 (ko)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JP2005095472A (ja) クッション
KR20160139425A (ko) 높낮이가 다른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110010973U (ko) 수면자세교정용 침구
KR20170135799A (ko) 높낮이가 다른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JP3167964U (ja) 車椅子用クッション
KR102285166B1 (ko) 매트리스
KR102468409B1 (ko) 의료용 매트
KR102146237B1 (ko) 스프링조립체용 노출회선 밀봉부를 완충하는 침대매트리스
JP4733308B2 (ja) クッション装置
KR20190001012U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2221517B1 (ko) 허리보강 구조를 갖는 개선된 침대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6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116

Effective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