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972B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972B1
KR102660972B1 KR1020230174858A KR20230174858A KR102660972B1 KR 102660972 B1 KR102660972 B1 KR 102660972B1 KR 1020230174858 A KR1020230174858 A KR 1020230174858A KR 20230174858 A KR20230174858 A KR 20230174858A KR 102660972 B1 KR102660972 B1 KR 10266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side support
protrusion
spring plate
coi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몬스
Priority to KR102023017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07Edg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프링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된 다수의 오픈 스프링 및 최외곽에 배치되는 오픈 스프링들을 둘러싸며 이들과 연결되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판과; 스프링판의 측면을 감싸면서 엣지 와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과 돌출부 사이에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안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트리스 { A mattress }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프링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침대에 사용되는 매트리스는 다수의 스프링 및 이를 둘러싸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연결되어 마련되는 스프링판과, 스프링판의 측면을 둘러싸는 지지 블럭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블럭은 스프링판의 측면을 둘러싸기는 형태를 가지고, 그 재질은 스펀지와 같은 완충재로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측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스프링판을 보호하여 스프링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스프링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완충될 수 있으나, 위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스프링이 아닌 엣지 와이어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서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10945 (2009. 8. 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스프링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된 다수의 오픈 스프링 및 최외곽에 배치되는 오픈 스프링들을 둘러싸며 이들과 연결되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판과; 스프링판의 측면을 감싸면서 엣지 와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과 돌출부 사이에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안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상기 측면 지지 블록은 스프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과, 상기 장변 측면 지지 블록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판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장변 측면 지지 블록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의 양 측면과, 상기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의 양측면에는 사선 테두리부가 마련되고, 장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 스프링판의 코너 영역에 있는 오픈 스프링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고, 공간부에 수용된 오픈 스프링을 둘러싸서 감싸는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픈 스프링은 상부 코일부와, 하부 코일부와, 상부 코일부 및 하부 코일부 사이에 마련되는 중간 코일부와, 상부 코일부의 끝단부를 상부 코일부의 다른 부분이나, 상부 코일부 및 중간 코일부 간의 연결부 또는 그 인접한 부분에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매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오픈 스프링의 매듭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지지 블록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타공부는 측면 지지 블록의 외면과, 측면 지지 블록의 내면 중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 지지 블록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부 공간과, 측면 블록의 바깥 공간 간의 환기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 블록에 있는 돌출부에 의하여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그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판을 구성하는 오픈 스프링에 마련되는 매듭부가 서로 모여서 배치되므로 지지력을 집중하여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측면 지지 블록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타공부는 측면 지지 블록의 외면과, 측면 지지 블록의 내면 중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 지지 블록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부 공간과, 측면 블록의 바깥 공간 간의 환기를 유발하여 측면 지지 블록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즉 스프링판이 위치한 공간에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를 외부로 제거하고, 그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공기의 순환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그 내부에 먼지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에서 측면 지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에서 측면 지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5(a)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5(b)는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코너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코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9와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11은 오픈 스프링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오픈 스프링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13은 오픈 스프링 모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1)는 스프링판(100)과, 스프링판(100)을 둘러싸는 측면 지지 블록(200)을 포함한다.
스프링판(100)은 코일 형태의 다수의 오픈 스프링(110)과, 각 오픈 스프링(1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120)와, 최외곽에 마련되는 오픈 스프링(110)들을 둘러싸며, 이들과 연결되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도3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지지 블록(200)은 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그 재질은 스펀지와 같은 완충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지지 블록(200)은 스프링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스프링판(10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을 포함하며, 장변 지지 블록(210)과 단변 지지 블록(220)은 상호 밀착되고 이웃하게 배치된다.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의 내면에는 각 측면 지지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돌출부(211, 221)가 마련된다. 돌출부(211, 221)의 높이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의 높이보다는 작고, 돌출부(211, 221)의 길이도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된다.
따라서 돌출부(211, 221)의 상하면에는 단차부(211a, 221a)가 형성되어, 그 단차부(211a, 221a)에 스프링판(100)의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이 안착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11, 221)의 양측면에는 사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사선 테두리부(211b, 221b)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사선 테두리부(211b, 221b)가 형성되는 이유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이 이웃하게 배치된 경우, 돌출부(211, 221) 사이에서 공간부를 형성하여 스프링판(100)의 코너에 있는 오픈 스프링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3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과 2개의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이 연결되면, 사각형 형태의 측면 지지 블록이 완성되며, 그 내부의 코너부에는 공간부(23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부(230)에는 도6과 도7과 같이 스프링판(100)의 코너부에 배치되는 오픈 스프링(110)이 수용되어 있고, 더 나아가 공간부(230)에는 수용된 오픈 스프링(1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U자 형의 보호 패드(240)도 같이 설치된다.
코너에 배치되는 오픈 스프링(110)의 경우 충격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 패드(24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패드(240)는 측면 지지 블록(20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스펀지와 같은 완충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면 지지 블록(200), 특히 장변 측면 지지 블록(200)에는 타공부(219)가 형성된다. 타공부(219)는 장변 지지 블록(210)의 외면 및 장변 지지 블록(210)의 내면에 있는 돌출부(211)에 내면에 형성되어, 장변 측면 지지 블록(200) 및 돌출부(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타공부(219)가 형성됨으로써 측면 지지 블록(200)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과 외부 공간 간의 공기 순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내부 공간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 및 먼지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내부 공간을 최대한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이물질이나 먼지가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타공부(219)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210) 뿐만 아니라 단변 측면 지지 블록(220)에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8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 221)는 측면 지지 블록(200)에서 내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211, 221)의 상면과 하면에는 측면 지지 블록(200)의 내면과 함께 형성하는 단차부(211a, 22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부(211a, 2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이 배치되어 있다.
즉, 돌출부(211, 221)는 상부에 있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과 하부에 있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에 상부에 압력이 상부에 있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130)에 가해져서 변형을 유발시키려는 경우, 그 밑에 있는 돌출부(211, 221)가 받치고 있기 때문에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픈 스프링(110)들의 받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구조를 제공한다.
즉, 도11 내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오픈 스프링(110)은 상부 코일부(111)와, 하부 코일부(112), 상부 코일부(111)와 하부 코일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코일부(113)를 포함한다.
중간 코일부(113)의 직경에 비해서 상부 코일부(111)와 하부 코일부(11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각각의 오픈 스프링(110)은 이웃한 오픈 스프링(110)과 클립과 같은 파스너에 의하여 결합하여 스프링판(100)을 구성한다.
한편, 단일의 오픈 스프링(110)의 상부 코일부(111)(또는 하부 코일부(112)의 끝단부의 마무리 처리를 위해서는 그 끝단부를 상부 코일부(111)(또는 하부 코일부(112)의 다른 부분이나 또는 상부 코일부(111)(또는 하부 코일부(112)와 중간 코일부(113)의 연결부에 고정시키는 매듭부(114)가 마련된다.
각 단일 오픈 스프링(110)마다 매듭부(114)가 마련되는데, 매듭부(114)자체의 강도로 인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약간의 반력을 제공할 수 있므로, 이 매듭부(114)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반력을 집중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11 내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매듭부(114)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이격되되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오픈 스프링에 있어서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스프링판 110: 오픈 스프링
111: 상부 코일부 112: 하부 코일부
113: 중간 코일부 114: 매듭부
200: 측면 지지 블록 210: 장변 측면 지지 블록
220: 단변 측면 지지 블록 211, 221: 돌출부
211a, 221a : 단차부 219: 타공부
230: 공간부 240: 보호 패드

Claims (7)

  1. 상호 연결된 다수의 오픈 스프링 및 최외곽에 배치되는 오픈 스프링들을 둘러싸며 이들과 연결되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판과;
    스프링판의 측면을 감싸면서 엣지 와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에는 측면 지지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블록 내벽과 돌출부 사이에는 엣지 와이어 프레임이 안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 블록은 스프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장변 측면 지지 블록과
    상기 장변 측면 지지 블록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판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장변 측면 지지 블록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은 서로 이웃하고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장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의 양 측면과, 상기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의 양측면에는 사선 테두리부가 마련되고,
    장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과 단변 측면 지지 블록의 돌출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 스프링판의 코너 영역에 있는 오픈 스프링 및 공간부에 수용된 오픈 스프링을 둘러싸서 감싸는 보호패드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스프링은 상부 코일부와, 하부 코일부와, 상부 코일부 및 하부 코일부 사이에 마련되는 중간 코일부와,
    상부 코일부의 끝단부를 상부 코일부의 다른 부분이나, 상부 코일부 및 중간 코일부 간의 연결부 또는 그 인접한 부분에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매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오픈 스프링의 매듭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 블록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타공부는 측면 지지 블록의 외면과, 측면 지지 블록의 내면 중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 지지 블록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부 공간과, 측면 지지 블록의 바깥 공간 간의 환기 또는 공기 순환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1020230174858A 2023-12-05 2023-12-05 매트리스 KR10266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858A KR102660972B1 (ko) 2023-12-05 2023-12-05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858A KR102660972B1 (ko) 2023-12-05 2023-12-05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972B1 true KR102660972B1 (ko) 2024-04-25

Family

ID=9088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858A KR102660972B1 (ko) 2023-12-05 2023-12-05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9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64Y1 (ko) * 2004-06-02 2004-08-2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매트리스용 에지포머의 설치 구조
KR100910945B1 (ko) 2007-10-16 2009-08-0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고탄성 쿠션재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100970910B1 (ko) * 2010-03-19 2010-07-20 (주)금성토탈퍼니처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101393469B1 (ko) * 2013-07-01 2014-05-12 최광준 통풍건조가 용이한 침대 매트리스
KR101400502B1 (ko) * 2013-11-06 2014-05-27 (주)한성헬스피아 매트리스
KR20180041557A (ko) * 2017-06-13 2018-04-24 주식회사 금성침대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KR102048824B1 (ko) * 2018-06-04 2019-11-26 (주)보화산업 침대 매트리스의 스프링 홀더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64Y1 (ko) * 2004-06-02 2004-08-2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매트리스용 에지포머의 설치 구조
KR100910945B1 (ko) 2007-10-16 2009-08-0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고탄성 쿠션재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100970910B1 (ko) * 2010-03-19 2010-07-20 (주)금성토탈퍼니처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101393469B1 (ko) * 2013-07-01 2014-05-12 최광준 통풍건조가 용이한 침대 매트리스
KR101400502B1 (ko) * 2013-11-06 2014-05-27 (주)한성헬스피아 매트리스
KR20180041557A (ko) * 2017-06-13 2018-04-24 주식회사 금성침대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KR102048824B1 (ko) * 2018-06-04 2019-11-26 (주)보화산업 침대 매트리스의 스프링 홀더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0044B1 (en) Corner protection pad for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packing structure using the same
US5031369A (en) Free access floor
US20120091644A1 (en) Pocket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US5139838A (en) Shock absorbent structure for carrying cases
KR102660972B1 (ko) 매트리스
US4476595A (en) Mattress for use on a bed and settee
US6983503B2 (en) Apparatus for packing free terminal convolutions of spring assembly used in mattress
US20150084251A1 (en) High tension coil-spring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al noise
US20030229943A1 (en) Coil spring containing mattress and method
AU2013270541B2 (en) High tension coil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 noise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US7383667B2 (en) Exterior facing panel system for outer walls of buildings
US20220232992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 noise
WO2002070320A1 (en) Gangway diphragm structure for a railway vehicle
KR100820579B1 (ko)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의 완충장치
US5325553A (en) Mattress spring structure with reinforcing frame in the lumbar area
KR200423683Y1 (ko)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KR102419977B1 (ko) 테이블 다리 구조체
JPS5940858Y2 (ja) スプリング構体
JPS5834693B2 (ja) スプリング構体
KR20170022280A (ko) 하단 매트리스 지지프레임
JP7379185B2 (ja) 梱包用緩衝具
KR100717531B1 (ko)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KR101658881B1 (ko) Lcm 패널 어셈블리의 완충장치 및 완충장치가 적용된 lcm 패널 어셈블리
KR200234625Y1 (ko) 이중 침대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