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83Y1 -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 Google Patents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83Y1
KR200423683Y1 KR2020060007595U KR20060007595U KR200423683Y1 KR 200423683 Y1 KR200423683 Y1 KR 200423683Y1 KR 2020060007595 U KR2020060007595 U KR 2020060007595U KR 20060007595 U KR20060007595 U KR 20060007595U KR 200423683 Y1 KR200423683 Y1 KR 200423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insertion hole
exposed
exposed circu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to KR2020060007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with padding material, e.g. foamed material, in top, bottom, or sid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47C23/0438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of speci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5Spring inlays of speci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7Attaching, or interconnecting of, springs in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2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springs moulded in, or situated in cavities or openings in foamed material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삽입구를 갖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이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상단 또는 상하단으로부터 연장된 노출회선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고, 노출회선 스프링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쿠션감을 얻을 수 있으며,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매트리스의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과,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과 호그링으로 결속되는 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조립체와;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또는 하부쪽으로 연장되면서 링의 높이보다 높게 배열되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 조립체에 있어서, 스프링조립체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그 저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쿠션재를 구비하고, 이 쿠션재를 상기 스프링조립체상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기 삽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를 제공한다.
침대, 매트리스, 스프링, 노출회선 스프링, 쿠션재, 삽입구, 스프링조립체

Description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Cushion structure for encapsulation auxiliary spring of spring assembly for mattress}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a,4b,4c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에 형성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삽입구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에 대한 일예(종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6b,6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본 고안의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7b,7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본 고안의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에 대한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9b,9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10b,10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의 또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a,12b,12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a,13b,13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a 및 14b는 통상의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스프링 12 : 최상단권선
14 : 상단 스프링 16 : 최하단권선
18 : 하단 스프링 20 : 노출회선 스프링
22 : 접촉방지단 24,24a,24b,24c : 삽입구
26 : 스프링조립체 28 : 경계홈부
30 : 연장단 32 : 헬리컬 코일
34 : 링 101,102,103 : 쿠션재
100,200,300,400 : 스프링
본 고안은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삽입구를 갖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이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상단 또는 상하단으로부터 연장된 노출회선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고, 노출회선 스프링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쿠션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인접한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매트리스는 침대틀상에 탑재되어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스프링 조립체와, 이 스프링 조립체의 상하면에 적층 부착되는 중간부재와, 스프링 조립체의 둘레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에지포머와, 상기 중간부재 및 에지포머의 표면을 감싸는 커버부재 등을 포함하여 제작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 조립체는 매트리스의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과,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과 호그링 공법으로 결속되는 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조립체를 구성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4a 및 도 14b는 통상의 스프링 구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400)은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끝단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 꼬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단 스프링(18)의 끝단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 꼬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통상의 스프링(400)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큰 하중 또는 작은 하중에 관계없이 모든 하중을 최종적으로 완충 흡수하게 되는 바, 이렇게 서로 다른 하중이 불규칙적으로 집중되면, 스프링의 변형이 빠르게 진행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스프링의 변형에 따라 이웃하는 스프링끼리 접촉하여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큰 하중과 작은 하중을 별도로 분산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제작되었으며, 그 일예는 첨부한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300)은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위쪽에 별도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은 본체 스프링(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코일 형태로 감아진 형상을 가지며, 물론 상기 본체 스프링(10)에 비하여 쉽게 압축 변형되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상기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의 다른 예는 첨부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고,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6- 0023407(2006.03.14))된 바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200)도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스프링(14) 위쪽에 별도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 스프링(18)의 아래쪽에도 동일한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고, 특히 상단 스프링(14)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 또는 하단 스프링(18)과 그 아래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에 절곡된 형상의 접촉방지단(22)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의 또 다른 예는 첨부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 또한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6-0023407(2006.03.14))된 바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100)도 마찬가지로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스프링(14) 위쪽에 별도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 스프링(18)의 아래쪽에도 동일한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고, 특히 상단 스프링(14)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 또는 하단 스프링(18)과 그 아래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에 절곡된 형상의 접촉방지단(22)이 형성되고, 또한 상단 스프링(14)과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간 및/또는 하단 스프링(18)과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간에 접촉방지단(22)이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침대 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사용자가 뒤척이는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에서 그 충격을 완충/흡수하고, 매트리스에 큰 하중(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앉는 등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에서 그 충격을 완충/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 스프링(10)과 노출회선 스프링(20)에서 그 완충 기능을 별도로 분산하여 수행함으로써, 스프링의 변형 방지 및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 수직 또는 사선 방향 등 일정하기 않기 때문에 본체 스프링에 비하여 강성이 약한 노출회선 스프링은 측방향으로 쉽게 변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일부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변위되면, 매트리스의 국부적인 면적이 함몰되는 현상과 더불어 매트리스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통상의 스프링에 비해 큰 하중과 작은 하중을 별도로 분산 완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 회선부와 본체 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수의 삽입구를 갖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을 스프링조립체로 조립한 다음, 스프링 조립체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쿠션재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고, 노출회선 스프링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쿠션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인접한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프링조립체의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과,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과 호그링으로 결속되는 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조립체와; 상기 스프링조립체에 있어서 스프링의 상부 및/또는 하부쪽으로 연장되 면서 링의 높이보다 높게 배열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조립체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그 저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쿠션재를 구비하고, 이 쿠션재를 상기 스프링조립체상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가 상기 삽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가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가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세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가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가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밀폐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세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밀폐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각각의 노 출회선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육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되, 스프링간 접촉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의 입구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연장단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쿠션재는 고탄성 스폰지, 저탄성 스폰지, 우레탄 수지, 라텍스, 발포수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삽입구를 갖는 쿠션재를 구비하여, 각 노출회선 스프링을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삽입하여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고, 노출회선 스프링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쿠션감을 얻을 수 있으며,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조립체는 매트리스의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 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과,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과 호그링으로 결속되는 링으로 구성되며, 각 스프링의 상부 및/또는 하부쪽에는 상기 링의 높이보다 높게 노출회선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조립체의 각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줄 수 있는 본 고안의 쿠션재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1)는 스프링조립체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두께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높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그 저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삽입구(24)가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1)의 삽입구(24)는 쿠션재(101)의 저면에서 그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 삽입구(24)의 양끝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1)가 스프링조립체(26)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상기 삽입구(24)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 하중이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1)로 전달됨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되어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 수직 또는 사선 방향 등 일정하지 않더라도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쿠션재(101)의 삽입구(24)내에 내재되어 차단되는 상태이므로, 노출회선 스프링(20)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측방향 변위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변위가 방지됨에 따라 매트리스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10)의 상하단 스프링(14,18)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2)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쿠션재와 유사한 구조를 갖되, 삽입구(24)의 양끝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조립체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두께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높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구(24)가 쿠션재(102)의 저면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특히 각 삽입구(24)의 양끝부는 밀폐된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2)가 스프링조립체(26)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상기 삽입구(24)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는 상태가 되며, 최외곽에 배열된 노출회선 스프링(20)도 삽입구(24)의 밀폐된 양끝단에 의하여 가려지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 하중이 제2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2)로 전달됨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되어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 수직 또는 사선 방향 등 일정하지 않더라도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쿠션재(102)의 삽입구(24)내에 내재되어 차단되는 상태이므로, 노출회선 스프링(20)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측방향 변위가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최외곽에 배열된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외부방향 변위가 더 차단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최외곽에 배열된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외부방향에는 삽입구(24)의 양끝부 즉, 밀폐된 부분이 존재하여 외부방향 변위를 차단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변위가 방지됨에 따라 매트리스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서로 이웃하 는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10)의 상하단 스프링(14,18)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조립체의 밀봉 구조에 사용되는 쿠션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3)는 스프링조립체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두께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높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구(24)가 쿠션재(103)의 저면에서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제3실시예의 쿠션재(103)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24)는 스프링 조립체(26)의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의 갯수만큼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3)가 스프링조립체(26)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삽입구(24)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는 상태가 되며,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은 독립된 삽입구(24)내에 존재하므로 서로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 하중이 제3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3)로 전달됨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되어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 을 하게 된다.
이때,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 수직 또는 사선 방향 등 일정하지 않더라도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쿠션재(103)의 삽입구(24)내에 독립적으로 내재된 상태이므로, 각 노출회선 스프링(20)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측방향 변위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1,102)의 삽입구(24)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구조이므로, 길다란 삽입구(24)내에서 서로 이웃하는 노출회선 스프링(20)끼리 측방향 변위 또는 접촉될 우려가 있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쿠션재(103)의 삽입구(24)는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을 단독으로 감싸주는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측방향 변위 및 접촉 현상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변위가 방지됨에 따라 매트리스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10)의 상하단 스프링(14,18)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2,3실시예의 쿠션재에 형성되는 삽입구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4b,4c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에 형성되는 노출회선 스프링 삽입용 삽입구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쿠션재(101,102,103)에 형성된 삽입구(24a)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예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101,102,103)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구(24a)가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된 이유는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본체스프링(10)과 일체로 된 부분에서는 넓은 직경의 권선을 이루다가 본체스프링(10)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직경의 권선을 이루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상기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갖는 삽입구(24a)내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감싸여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쿠션재(101,102,103)에 형성된 삽입구(24b)의 단면 구조에 대한 다른 예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101,102,103)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육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구(24b)가 육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점차 넓어지는 부분과 점차 좁아지는 부분간의 경계홈부(28)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끼워져 걸리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상기 경계홈부(28)에 끼워져 걸리게 됨에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수직 방향 강성을 보조해주는 동시에 측방향 변위를 더 차단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재(101,102,103)에 형성된 삽입구(24c)의 단면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101,102,103)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되, 이 삽입구(24c)의 입구부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연장단(30)이 일체로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구(24c)의 입구부에 연장단(30)에 더 형성된 이유는 연장단(30)상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끼워져 걸리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상기 연장단(30)상에 걸리게 됨에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수직 방향 강성을 보조해주고, 측방향 변위를 더 차단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본체스프링(10)의 상단 스프링(14)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단(30)은 삽입구(24a)의 입구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연장단(30)의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의 각기 다른 형태 및 노출회선 스프링이 쿠션재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여러가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에 도시된 스프링(300)은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 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과,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20)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는 도 5a의 스프링(300)을 매트리스 면적에 걸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헬리컬 코일(32)로 결속시키고,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300)에는 호그링에 의하여 링(34)이 결속되어 제작된 것이다.
첨부한 도 6a,6b,6c는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본 고안의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의 상면에 본 고안의 쿠션재(101,102,103)를 안착시키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쿠션재(101,102,103)의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된 삽입구(24a)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넓어지다가 점차 좁아지는 육각 단면 구조의 삽입구(24b)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이 내부로 삽입되어 경계홈부(28)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걸린 상태가 되거나,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삽입구(24c)의 입구에 형성된 연장단(30)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7a,7b,7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26)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본 고안의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7b,7c는 쿠션재(101,102,103)가 스프링 조립체(26)의 저부에도 적용된 예로서, 쿠션재(101,102,103)가 스프링 조립체(26)의 저부에도 적용되는 구조는 스 프링(300)의 하단부에도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연장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8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a에 도시된 스프링(200)도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과,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20)으로 구성되고, 상단 스프링(14)과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에 소정의 높이 및 각도로 절곡된 접촉방지단(22)이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도 도 8a의 스프링(200)을 매트리스 면적에 걸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헬리컬 코일(32)로 결속시키고,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200)에는 호그링에 의하여 링(34)이 결속되어 제작된 것이다.
첨부한 도 9a,9b,9c는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의 상면에 본 고안의 쿠션재 (101,102,103)를 안착시키면,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쿠션재(101,102,103)의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된 삽입구(24a)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넓어지다가 점차 좁아지는 육각 단면 구조의 삽입구(24b)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내부로 삽입되어 경계홈부(28)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걸리는 상태가 되거나, 도 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삽입구(24c) 입구에 형성된 연장단(30)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10a,10b,10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0a,10b,10c는 쿠션재(101,102,103)가 스프링 조립체(26)의 저부에도 적용된 예로서, 스프링(200)의 하단부에도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1a는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1a에 도시된 스프링(100)도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4)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6)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과,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위쪽으로 연장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20)으로 구성되고, 상단 스프링(14)과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이음부에 소정의 높이 및 각도로 절곡된 접촉방지단(22)이 형성되는 동시에 본체스프링(10)의 최상단권선(12)과 상단스프링(14)간의 이음부에 접촉방지단(22)이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도 도 11a의 스프링(100)을 매트리스 면적에 걸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헬리컬 코일(32)로 결속시키고,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100)에는 호그링에 의하여 링(34)이 결속되어 제작된 것이다.
첨부한 도 12a,12b,12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부에만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26)의 상면에 본 고안의 쿠션재(101,102,103)를 안착시키면,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쿠션재의 사다리꼴 단면 구조로 형성된 삽입구(24a)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1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넓어지다가 점차 좁아지는 육각 단면 구조의 삽입구(24b)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내부로 삽입되어 경계홈부(28)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리는 상태가 되거나, 도 1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출회선 스프링의 하단부가 삽입구(24c) 입구에 형성된 연장단(30)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13a,13b,13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스프링 조립체의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단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에 쿠션재로 삽입 감싸주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3a,13b,13c는 쿠션재(101,102,103)가 스프링 조립체(26)의 저부에도 적용된 예로서, 스프링(100)의 하단부에도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트리스용 스프링 및 스프링 조립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노출회선 스프링(20)이 본체스프링(10)의 상부에만 있는 경우, 또는 하부에만 있는 경우, 또는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있는 경우에 쿠션재(101,102,103)의 삽입구(24a,24b,24c)에 삽입되며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수직방향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고,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노출회선 스프링(20)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균일한 쿠션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웃하는 노출회선 스프링간(20)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10)의 상하단 스프링(14,18)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적용되는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열거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의 삽입구의 단면 구조에 대한 형태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열거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가 삽입되며 감싸여지는 다른 형태의 삽입구의 단면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101,102,103)는 고탄성 스폰지, 저탄성 스폰지, 우레탄 수지, 라텍스, 발포수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대용 쿠션재로 사용되는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의하면, 다수의 삽입구를 갖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노출회선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을 스프링조립체로 조립한 다음, 스프링 조립체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쿠션재를 안착시키는 동시에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삽입되면서 감싸여지도록 함으로써,
1)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방향에 관계없이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2) 노출회선 스프링의 측방향 변위가 방지되어, 노출회선 스프링의 탄성력이 균일하게 제어되는 동시에 균일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3) 쿠션재의 삽입구내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삽입됨에 따라, 인접한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접촉 및/또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상하 노출회선부와 본체스프링의 상하단 스프링간의 접촉이 방지되어 접촉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스프링조립체의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과, 최외곽에 배열된 스프링과 호그링으로 결속되는 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조립체와; 상기 스프링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 쪽으로 연장되면서 링의 높이보다 높게 배열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를 상기 스프링조립체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그 저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하고, 상기 쿠션재를 상기 스프링조립체상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가 상기 삽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며 감싸여지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가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가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세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가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가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밀폐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세로방향을 따라 노출회선 스프링의 세로방향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삽입구의 양끝부는 밀폐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각각의 노출회선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 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육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쿠션재의 저면에서 그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되, 이 삽입구의 입구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의 하단부를 받쳐줄 수 있는 연장단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고탄성 스폰지, 저탄성 스폰지, 우레탄 수지, 라텍스, 발포수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 감싸주는 쿠션재.
KR2020060007595U 2006-03-22 2006-03-22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KR200423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95U KR200423683Y1 (ko) 2006-03-22 2006-03-22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95U KR200423683Y1 (ko) 2006-03-22 2006-03-22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11A Division KR100717531B1 (ko) 2006-03-22 2006-03-22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83Y1 true KR200423683Y1 (ko) 2006-08-10

Family

ID=4177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95U KR200423683Y1 (ko) 2006-03-22 2006-03-22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520B1 (ko) * 2012-04-25 2013-07-26 이광수 침대 매트리스의 측면 보호대용 스폰지 커버와 그 제작을 위한 금형 장치, 및 이 금형 장치를 이용한 매트리스 측면 보호대용 스폰지 커버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520B1 (ko) * 2012-04-25 2013-07-26 이광수 침대 매트리스의 측면 보호대용 스폰지 커버와 그 제작을 위한 금형 장치, 및 이 금형 장치를 이용한 매트리스 측면 보호대용 스폰지 커버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4547B1 (en)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US8109490B2 (en) Spring structure having contact-preventing and rigidity-reinforcing function for bed mattress
US20120091644A1 (en) Pocket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EP2853176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al noise
US20070101507A1 (en) Spring core
US20080237948A1 (en) Innerspring Unit
US20170172309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 Noise
KR200423683Y1 (ko)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US5924150A (en) Mattress edge support spring and handle structure
US20220232992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 noise
KR100717531B1 (ko)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KR101743900B1 (ko) 매트리스
KR100820579B1 (ko)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의 완충장치
KR20180020465A (ko) 침대 매트리스 구조
KR101310780B1 (ko) 적층형 스프링조립체를 갖는 침대매트리스
CA2234839C (en) Mattress construction
KR0119349Y1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모서리 보조스프링
JP3537402B2 (ja) スプリング装置
KR100959702B1 (ko) 침대용 매트리스
MXPA06011452A (en)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KR200421339Y1 (ko) 접촉 방지 및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용스프링
KR20100002896U (ko) 이단 침대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