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25B1 -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25B1
KR102300525B1 KR1020210002078A KR20210002078A KR102300525B1 KR 102300525 B1 KR102300525 B1 KR 102300525B1 KR 1020210002078 A KR1020210002078 A KR 1020210002078A KR 20210002078 A KR20210002078 A KR 20210002078A KR 102300525 B1 KR102300525 B1 KR 10230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bed
bed body
screw
auxiliar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경
Original Assignee
이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경 filed Critical 이선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가이드프레임이 없는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에 제2가이드프레임을 갖는 보조가드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가드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는, 바닥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상방향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구비되는 침대본체(100); 상기 침대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전방은 개방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제2가이드프레임(203)이 구비되는 보조가드(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VARIABLE BED}
본 발명은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주위에 가드를 세워 아이의 낙상 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가드의 미사용시 가드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매트리스와 매트리스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침대는 매트리스와 프레임에 따라 높이는 달라질 수 있으나, 소정의 높이 이상을 갖기 때문에 침대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방심할 경우, 혹은 소아이거나 고령자일 경우 낙상 사고에 쉽게 노출되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된 어린이와 노인의 안전사고 동향 분석 자료에 의하면 침대에 의한 낙상 사고가 계단에서의 낙상 사고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실정이었다.
사용자는 낙상으로 인해 뇌출혈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었으며, 사용자가 영아 또는 노인일 경우, 낙상 사고에 의해 사망하는 심각한 경우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낙상 방지를 위한 안전 가드가 개시되나, 침대 외에 별도로 구매해야 하여 사용자들에게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다.
물론, 안전 가드가 일체로 설치된 의료용 침대도 개시되나, 병원에서 사용되기 위해 프레임형 안전 가드가 마련된 것이어서, 사용자가 소아일 경우, 프레임형 안전 가드 사이를 빠져나오게 되어 가정에서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체로 설치된 프레임형 안전 가드의 경우 잠을 자지 않거나 아이가 커 감에 따라 불필요해 질 때 분리하거나 제거할 수 없고, 분리하더라도,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335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가이드프레임이 없는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에 제2가이드프레임을 갖는 보조가드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가드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는, 바닥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상방향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구비되는 침대본체(100); 상기 침대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전방은 개방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제2가이드프레임(203)이 구비되는 보조가드(200); 를 포함한다.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머리부(310)와 나사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체결되는 제1나사홈(21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머리부(31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되,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의 연결시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제1나사홈(210)에 체결되고 상기 머리부(310)는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상기 삽입홈(110)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삽입 체결되는 제2나사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00)의 보관시 상기 머리부(310)는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제2나사홈(120)에 삽입 체결된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후방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호부재(40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없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일측에 제2가이드프레임(201)을 갖는 보조가드(200)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상기 보조가드(200)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가드 기능 뿐만 아니라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수단(300)으로 상기 침대본체(100)의 일측에 상기 보조가드(20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드(2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0)의 미 사용시 상기 결합수단(300)을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삽입홈(110)의 노출로 인한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의 A형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의 B형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의 결합수단(300)을 나타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의 A형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의 B형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는, 침대본체(100), 보조가드(200), 결합수단(300) 및 보호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에 지지되게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침대본체(100)는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에 4개의 지지판(101)을 직육면체 형태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매트리스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01)들은 양측 모서리가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1)들 중 전방, 후방 및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판(101)에는 상방향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연장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침대본체(100)의 상부는 전방, 후방 및 우측이 차단된 형태로 형성되고, 좌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창살 형태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단이 아치와 같이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가드(2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가드(200)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후방에 각각 지지판(201)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며, 내부 가운데에는 받침판(202)이 세워져 상기 수납공간을 2개로 분리한다.
또한, 상기 보조가드(200)의 후방에 배치된 지지판(101)에는 상방향으로 제2가이드프레임(203)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203)은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1)과 같이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창살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부 양단이 아치와 같이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가드(200)는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없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좌측에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 방향이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본체(100)의 좌측에 직각으로 길게 배치되는 A형 형태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본체(100)의 좌측면과 평행하게 세로로 길게 배치되는 B형 배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가드(200)는 상기 침대본체(100)와 분리되어 상기 침대본체(100)의 주위를 막는 가드의 역할 외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의 공간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실내의 미관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가드(200)를 가드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의자 및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을 편리ㅎ게 하고,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조가드(200)가 상기 침대본체(100)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납작한 원판 형태의 머리부(310)와, 상기 머리부(310)의 일측 중앙에 돌출 형성된 나사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보조가드(200)의 후방이나 우측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가드(200)를 상기 침대본체(100)에 고정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가드(200)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삽입 결합되는 제1나사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머리부(31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삽입 결합되는 제2나사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홈(210)은 상기 보조가드(200)의 우측과 후방의 지지판(201)에 각각 형성되되, 후방의 지지판(201)에는 일정 간격으로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110)은 상기 침대본체(100)의 좌측의 지지판(101)에 형성되되, 3개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보조가드(200)와 상기 침대본체(100)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나사부(320)를 상기 제1나사홈(210)에 삽입 체결하여 상기 머리부(310)가 상기 보조가드(200)의 지지판(201)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게 하고, 상기 머리부(310)를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형 배치일 경우 상기 삽입홈(110) 중 하나는 상기 보조가드(200)에 의해 가려지게 되지만, 나머지 2개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노출된 2개의 상기 삽입홈(110)에도 상기 결합수단(300)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사부(320)가 상기 제2나사홈(120)에 삽입 체결되고, 머리부(310)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110)을 매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0)으로 상기 침대본체(100)의 일측에 상기 보조가드(20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드(2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0)의 미 사용시 상기 결합수단(300)을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삽입홈(110)의 노출로 인한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가드(200)의 후방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호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압력을 가하면 압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부재(400)는 지지판(101)의 상하단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가드(200)와 접촉하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지지판(101)이나 외벽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침대본체
101 : 지지판
102 : 제1가이드프레임
110 : 삽입홈
120 : 제2나사홈
200 : 보조가드
201 : 지지판
202 : 받침판
203 : 제2가이드프레임
210 : 제1나사홈
300 : 결합수단
310 : 머리부
320 : 나사부
400 : 보호부재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게 배치되며, 일측, 전방 및 후방에 상방향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01)이 구비되는 침대본체(100);
    상기 침대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전방은 개방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제2가이드프레임(203)이 구비되는 보조가드(200);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300)은 머리부(310)와 나사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체결되는 제1나사홈(21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머리부(31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되,
    상기 침대본체(100)와 상기 보조가드(200)의 연결시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제1나사홈(210)에 체결되고 상기 머리부(310)는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상기 나사부(320)가 삽입 체결되는 제2나사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300)의 보관시 상기 머리부(310)는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부(320)는 상기 제2나사홈(120)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드(200)의 후방에는 테두리를 따라 보호부재(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KR1020210002078A 2020-11-26 2021-01-07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KR102300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47 2020-11-26
KR20200160747 2020-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525B1 true KR102300525B1 (ko) 2021-09-10

Family

ID=7777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78A KR102300525B1 (ko) 2020-11-26 2021-01-07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77A (ko) 2021-09-27 2023-04-04 서울특별시 복합기능을 갖는 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4868B2 (ko) * 1985-05-17 1992-09-01 Ebara Mfg
KR200307373Y1 (ko) * 2002-12-12 2003-03-15 김경수 침대 장착형 수납장
KR20100007914U (ko) * 2009-01-30 2010-08-09 원욱성 조립식 유아용 흔들침대
KR20170050593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에보니아 다용도 침대 키트
KR101933590B1 (ko) 2016-12-13 2018-12-28 노건우 가변형 간이침대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4868B2 (ko) * 1985-05-17 1992-09-01 Ebara Mfg
KR200307373Y1 (ko) * 2002-12-12 2003-03-15 김경수 침대 장착형 수납장
KR20100007914U (ko) * 2009-01-30 2010-08-09 원욱성 조립식 유아용 흔들침대
KR20170050593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에보니아 다용도 침대 키트
KR101933590B1 (ko) 2016-12-13 2018-12-28 노건우 가변형 간이침대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77A (ko) 2021-09-27 2023-04-04 서울특별시 복합기능을 갖는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7922A (en) Pillow apparatus
US5173979A (en) Inflatable leg and foot supporting cushion with removable padding
US5822817A (en) Infant mattress system with sleeping recess
US6954955B2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3315282A (en) Headrest for cosmetic use and the like
US5542135A (en) Self-retaining bumper pad
US20140145478A1 (en) Wheelchair slipcover
KR102300525B1 (ko) 가변형 가드가 구비된 침대
CA2468308C (en) Snap on protective members for bed frames
PT758859E (pt) Almofada para cadeira em especial uma almofada removivel para um assento de crianca
GB2412062A (en) Mattress with enhance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US9676521B2 (en) Breathing assist devic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200468081Y1 (ko) 신체 교정용 침대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US11553801B2 (en) Bed divider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US5503459A (en) Wheelchair back for kyphotic patients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USD393071S (en) Surgical patient support cushion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US20180310715A1 (en) Couch cot cover
US20180249847A1 (en) Baby crib comprising upholstered guard rails and inner surfaces
KR20190012990A (ko) 영아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