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012B1 -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 Google Patents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012B1
KR102139012B1 KR1020190101829A KR20190101829A KR102139012B1 KR 102139012 B1 KR102139012 B1 KR 102139012B1 KR 1020190101829 A KR1020190101829 A KR 1020190101829A KR 20190101829 A KR20190101829 A KR 20190101829A KR 102139012 B1 KR102139012 B1 KR 10213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reinforcement
longitudinal
transver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종
Original Assignee
(주)티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모드 filed Critical (주)티모드
Priority to KR102019010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6Edg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종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쿠션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스프링들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구비하는 지지스프링에 상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양측단부에 각각 맞춤 삽입되는 종방향 보강폼; 양측의 상기 종방향 보강폼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인체의 하중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의 쿠션스프링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밀착되게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폼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침대 가장자리와 함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의 처짐을 방지하여 침대의 내구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쿠션스프링의 쏠림에 의한 쿠션스프링간 마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Bed spring for mattress with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스프링의 측면으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장 받는 부위의 스프링 사이로 삽입되면서 외측의 상하부 스프링 프레임간을 받치도록 발포체가 조립되게 함으로써 저렴한 제작 및 쉬운 조립에 의한 보강에 의하여 스프링 내구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를 이루는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 스프링 구조물이 장착되고, 이 스프링 구조물에는 종횡 다수열로 스프링들이 배열되어 이들 스프링들에 의한 탄성에 의해 쿠션감이 좌우되도록 하고 있다.
매트리스는 실내 바닥이나 침대 프레임 위에 깔아서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직물외피 내에 외부 하중을 완충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정렬 배치되어 취침 시 스프링이 신체를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매트리스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주며, 스프링 구조물의 상, 하부에 부직포, 스펀지 및 화학솜 등의 쿠션부재를 적층시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침대용 매트리스는 완충작용 및 복원력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존하게 되나 매트리스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이 집중되는 부분에 위치한 스프링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탄성이 약화되면서 부분적으로 꺼짐 현장이 발생되며, 이러한 부분적인 꺼짐 현상에 의해 매트리스에서 불편한 취침으로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없어 피로가 누적되는 폐단이 있다.
이와 같은 매트리스의 꺼짐을 보강하기 위하여 발포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데 이중 등록특허 제0938822호(침대스프링 보강용 발포체를 포함하는 침대스프링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대스프링 구조)에서는 나팔형 탄성체의 내부 통공에 윗면과 아랫면이 넓고 중심부가 가늘게 형성된 모래시계 형태인 보강형 발포체가 구비되도록 하여 침대의 부분마다 다른 횡압력과 종압력에 대비하여 탄성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달리 등록특허 제1796123호(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에서는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다수의 셀프포켓이 연결된 구조에서 머리부위와 허리부위와 다리부위가 받쳐지는 영역을 구분하여 허리부위가 받쳐지는 영역에는 셀프포켓 사이와 양측으로 탄성블럭이 각각 구비되게 하여 탄성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자의 구성은 모래시계 형태로 보강형 발포체를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이 매우 난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보강용 발포체를 나팔형 탄성체의 내부 통공에 삽입시키는 것 또한 매우 어려워 실제적으로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다만, 후자의 구성에서는 내부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셀프포켓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탄성블럭은 보강이 필요한 일부의 셀프포켓을 제거한 부위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 탄성블럭이 구비되는 부위에서는 다소 셀프포켓에 의한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이 외에 공개특허 2018-0041557호(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에서는 상하부 쿠션재의 사이에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강재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이때의 보강재는 복수의 측면보강폼으로 스프링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측면보강폼 형성을 위해서는 특히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돌출부 형성 위치의 스프링을 제거시켜야만 하고, 양측의 측면보강폼의 단부를 전후방 양단부의 측면 보강폼과 접착되도록 해야만 하므로 접착제 사용과 접합작업이 필요로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따른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938822호(2010.01.19.) (문헌 2) 등록특허 제1796123호(2017.11.03.) (문헌 3) 공개특허 2018-0041557호(2018.04.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이 필요한 위치의 쿠션스프링 사이에 양측의 종방향 보강폼으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단부간 밀착되도록 횡방향 보강품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인체의 하중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에서의 탄성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보강폼으로부터 인체의 하중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로 단부간 밀착되도록 횡방향 보강폼이 서로 대칭이 되게 함으로써 제작이 편리하고 제작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구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은,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종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쿠션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스프링들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구비하는 지지스프링에 상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양측단부에 각각 맞춤 삽입되는 종방향 보강폼; 양측의 상기 종방향 보강폼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인체의 하중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의 쿠션스프링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밀착되게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폼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종방향 보강폼은 양단부가 지지스프링을 따라 절곡되게 하여 횡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단부간 면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횡방향 보강폼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부위 또는 엉덩이와 어깨가 위치되는 부위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보강폼의 상호 마주보는 단면은 장부결합에 의해 면간 밀착되게 한다.
상기 종방향 보강폼은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와 동일 중심선상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보강품은 높이 중앙에 휨 방지용 보강대가 일정 높이로 매설되도록 하거나 중간 높이의 외주면에 휨 방지용 보강대가 일체로 매립되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은 측단부의 종방향 보강폼과 이 종방향 보강폼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폼이 일체로 성형되게 하여 상호 반대 방향에서 대칭되게 상하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삽입되게 함으로써 매우 저렴한 제작과 함께 간편한 조립 작업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방향 보강폼들의 단부간 밀착 또는 상호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이나 접합수단 없이도 안정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일부에서의 쿠션스프링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안정되게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보강폼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보강폼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횡방향 보강폼의 단면간 장부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종방향 보강폼의 양단부를 횡방향으로 연장시킨 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보강폼의 높이 중간에 휨 방지용 보강대를 매립시킨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서 보강폼의 외주면 높이 중간에 휨 방지용 보강대를 매설시킨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스프링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스프링의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스프링은 크게 침대스프링 본체(10)와 보강폼(2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침대스프링 본체(10)는 상부와 하부 프레임(11)(12)과 이들 상하부 프레임(11)(12) 사이에 종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쿠션스프링(13)이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쿠션스프링(13)은 상하부 프레임(11)(12)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스프링(15)에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보강폼(20)은 종방향 보강폼(21)과 횡방향 보강폼(22)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 침대스프링 본체(10)의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침대스프링 본체(10)의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은 각각 일정 직경의 금속제 봉 또는 관을 횡방향에 비해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모서리 부위는 일정 반경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은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에는 종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복수의 쿠션 스프링(13)들을 구비한다.
쿠션 스프링(13)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가장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의 중간 위치로 가면서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쿠션 스프링(13)들 중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 연하는 쿠션 스프링(13)들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 클립(14)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각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형성되는 횡방향의 쿠션 스프링(13)들을 상호 단부간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종방향의 쿠션 스프링(13)들과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스프링(15)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지지스프링(15)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서 종방향으로 상호 단부간 겹쳐지도록 하여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형성한 횡방향의 쿠션 스프링(12)들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헬리컬 코일 형상의 구성이다.
따라서 지지스프링(15)들은 종방향의 쿠션 스프링(13)들 사이에서 쿠션 스프링(13)의 상단부와 하단부간 일부가 겹쳐지도록 한 부위간을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쿠션 스프링(13)들 중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 연하는 쿠션 스프링(13)들은 클립(1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내측에서 종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쿠션 스프링(13)들은 종방향의 단부간을 상호 겹쳐지도록 하는 횡방향의 쿠션 스프링(13)들은 지지스프링(15)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침대스프링 본체(10)에서 쿠션 스프링(13)은 독립 스프링 타입인 포켓형의 스프링보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들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본넬 스프링 방식의 침대스프링에 적용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침대스프링 본체(10)는 종전의 본넬 스프링을 적용한 침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의 침대스프링 본체(10)에는 보강폼(20)이 결합되도록 하며,보강폼(20)은 다시 종방향 보강폼(21)과 횡방향 보강폼(22)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종방향 보강폼(21)과 횡방향 보강폼(22)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보강폼(20)은 탄성 복원력이 좋은 우레탄 폼이나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 등의 PE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저렴한 제작이 가능한 소재로서 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강폼(20) 중 종방향 보강폼(21)은 침대스프링 본체(10)의 양측에서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에 종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즉,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은 단순히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종방향 보강폼(21)은 정확히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 위치되기보다 이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 클립(14)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의 쿠션 스프링(13)들의 상단부와 하단부간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방향 보강폼(21)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하부 프레임(11)(12)의 종방향의 직선 구간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이 종방향 보강폼(21)에는 일측면으로 복수의 위치에 직각의 방향으로 횡방향 보강폼(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횡방향 보강폼(22)은 침대스프링 본체(10)의 횡방향 길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같은 횡방향 보강폼(22)은 침대스프링 본체(10)의 횡방향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이 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종방향 보강폼(21)에서 횡방향 보강폼(22)은 도 3에서와 같이 침대스프링 본체(10)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위나 도 4에서와 같이 엉덩이와 함께 어깨가 위치하는 부위에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측의 종방향 보강폼(21)으로부터 각각 직각의 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대칭이 되게 구비되는 횡방향 보강폼(21)의 양단부는 상호 단면간 면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와는 달리 횡방향 보강폼(21)들은 도 5에서와 같이 상호 밀착되는 단면간 장부결합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종방향 보강폼(21)은 도 6에서와 같이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의 모서리와 동일 중심선상의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는 횡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방향 보강폼(21)의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하는 양단부도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는 횡방향 보강폼(22)의 단부와 같이 장부결합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종방향 보강폼(21)과 횡방향 보강품(22)은 높이 중앙에 도 7에서와 같이 휨 방지용 보강대(23)가 일정 높이로 매설되도록 하여 성형할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종방향 보강폼(21)과 횡방향 보강품(22)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중간 높이의 외주면에 휨 방지용 보강대(23)가 일체로 매립되도록 하는 구성으로도 성형은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스프링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침대스프링은 침대스프링 본체(10)의 횡방향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보강폼(20)을 도 1에서와 같이 횡방향 보강폼(22)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를 통하여 종방향의 쿠션스프링(13)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횡방향 보강폼(22)은 사용 중 가장 하중을 많이 받는 엉덩이 부위 또는 이 엉덩이 부위와 함께 어깨 부위로 삽입되도록 한다.
횡방향 보강폼(22)은 침대스프링 본체(10)에서 단부간 밀착되도록 보강폼(20)을 침대스프링 본체(10)에 삽입시키게 되면 양측의 종방향 보강폼(21)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의 사이에서 이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측 쿠션스프링(13)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삽입 고정한다.
이렇게 침대스프링 본체(10)의 횡방향 양측으로부터 보강폼(20)을 삽입시키게 되면 양측의 보강폼(20)들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의 사이에서 쿠션스프링(13)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자동으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보강폼(20)에 의해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를 지지하게 되면 침대 가장자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스프링(13)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폼(20)에 의해 쿠션스프링(13)의 쏠림이 방지되면서 쿠션스프링(13)간 마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폼(20)들을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의 사이에서 쿠션스프링(13)들 사이로 삽입 고정하게 하면 오랜 시간을 사용하더라도 쿠션스프링(13)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서의 부분적인 처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보강폼(20)들은 항상 쿠션스프링(13)을 받치고 있으므로 비록 엉덩이 부위와 같은 신체 일부분의 하중에 의해 쿠션스프링(13)이 수축되더라도 수축의 폭은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하중이 제거되면 바로 쿠션스프링(13)의 탄력이 복원되면서 본래의 상태가 되므로 원형을 항상 유지할 수가 있다.
다만, 쿠션스프링(13)과 함께 보강폼(20)들은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쿠션스프링(13)의 수축량을 축소시키면서도 쿠션감은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안락한 취침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침대를 아무리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쿠션스프링(13)은 복원력에 의해 항상 일정한 쿠션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침대의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침대스프링 본체 11 : 상부 프레임
12 : 하부 프레임 13 : 쿠션 스프링
14 : 클립 15 : 지지스프링
20 : 보강폼 21 : 종방향 보강폼
22 : 횡방향 보강폼

Claims (7)

  1.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종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쿠션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스프링들은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구비하는 지지스프링에 상하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양측단부에 각각 맞춤 삽입되는 종방향 보강폼, 양측의 상기 종방향 보강폼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인체의 하중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의 쿠션스프링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밀착되게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방향 보강폼은 양단부가 지지스프링을 따라 절곡되게 하여 횡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단부간 면밀착되도록 하며,상기 횡방향 보강폼은 엉덩이가 위치되는 부위 또는 엉덩이와 어깨가 위치되는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보강폼의 상호 마주보는 단면은 장부결합에 의해 면간 밀착되게 하며, 상기 종방향 보강폼은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와 동일 중심선상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보강폼은 우레탄 폼, 라텍스, 메모리 폼 중의 어느 하나의 PE 소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보강폼은 중간 높이에서 휨 방지용 보강대가 일정 높이로 매설되도록 하고,
    상기 횡방향 보강폼은 침대스프링 본체의 횡방향 길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횡방향 보강폼은 침대스프링 본체의 횡방향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이 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01829A 2019-08-20 2019-08-20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KR10213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29A KR102139012B1 (ko) 2019-08-20 2019-08-20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29A KR102139012B1 (ko) 2019-08-20 2019-08-20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012B1 true KR102139012B1 (ko) 2020-07-28

Family

ID=7183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29A KR102139012B1 (ko) 2019-08-20 2019-08-20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8B1 (ko) * 2021-03-30 2021-10-06 주식회사 한성넥스 매트리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54Y1 (ko) * 2001-08-21 2001-12-13 김인수 침대매트리스
KR100938822B1 (ko) 2009-03-24 2010-01-26 박한규 침대스프링 보강용 발포체를 포함하는 침대스프링 보강장치및 이를 이용한 침대스프링 구조
KR101796123B1 (ko) 2017-04-06 2017-11-13 주식회사 동해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KR20170139718A (ko) * 2016-06-09 2017-12-20 주식회사 동해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KR20180041557A (ko) 2017-06-13 2018-04-24 주식회사 금성침대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54Y1 (ko) * 2001-08-21 2001-12-13 김인수 침대매트리스
KR100938822B1 (ko) 2009-03-24 2010-01-26 박한규 침대스프링 보강용 발포체를 포함하는 침대스프링 보강장치및 이를 이용한 침대스프링 구조
KR20170139718A (ko) * 2016-06-09 2017-12-20 주식회사 동해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KR101796123B1 (ko) 2017-04-06 2017-11-13 주식회사 동해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KR20180041557A (ko) 2017-06-13 2018-04-24 주식회사 금성침대 보강재를 구비한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8B1 (ko) * 2021-03-30 2021-10-06 주식회사 한성넥스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262B1 (ko) 베개
US4827544A (en) Reclining and lying means, particularly for a bed
US20140013505A1 (en) Four-sided reversible bedding element
KR101471607B1 (ko) 보강 부재가 구비된 침대 매트리스
KR102139012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KR200380272Y1 (ko) 이중 보강구조 스프링을 갖는 침대 매트리스
KR101901889B1 (ko) 방염 및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2300566B1 (ko) 베개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101400502B1 (ko) 매트리스
US20200229609A1 (en) Coil spring mattress construction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US11986096B2 (en) Air mattress
US4704751A (en) Device for securing slats to the frame of a bedspring
US5379472A (en) Mattress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1762855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170139718A (ko)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KR101054456B1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회전 스프링 보강재
KR101633268B1 (ko) 포켓 스프링 매트리스용 사이드 보강구조
CN216454251U (zh) 床垫护边弹簧和床垫
KR101818091B1 (ko) 매트리스 구조체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KR101775643B1 (ko) 매트리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