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183A -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183A
KR20180041183A KR1020187007460A KR20187007460A KR20180041183A KR 20180041183 A KR20180041183 A KR 20180041183A KR 1020187007460 A KR1020187007460 A KR 1020187007460A KR 20187007460 A KR20187007460 A KR 20187007460A KR 20180041183 A KR20180041183 A KR 20180041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gas
contents
fil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136B1 (ko
Inventor
마사시 아츠기
요시유키 모리타
마코토 사와다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30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measurement
    • B65B3/32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measurement by pistons co-operating with measur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 B65B39/005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transverse to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having air-escape, or air-withdrawal,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장치 구성의 간소화, 설계 자유도의 향상, 및, 제조 부담의 저감을 실현시키면서, 충전된 내용물의 상면의 볼록형상의 뿔, 또는 용기내로의 치우친 충전을 방지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 노즐 구멍(23)을 갖는 충전 노즐(20)과, 노즐 구멍(23)에 내용물(B)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 수단(30)과, 노즐 구멍(23)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40)와, 기체(A)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50)을 구비하고, 충전 노즐(20)에는 기체 공급 수단(50)에 접속되는 기체 유입구(25)와, 노즐 구멍(23)에 개구되는 기체 유출구(26)와, 기체 유통로(27)가 형성되고, 기체 공급 수단(50)으로부터 공급된 기체(A)가 충전 노즐(20)의 하단에 있어서 노즐 구멍(23)의 내주면과 플런저(40)의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 분출되는 충전 장치(10).

Description

충전 장치
본 발명은 내용물을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조성의 내용물을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육 가공품 등의 점조성의 내용물을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장치로서, 도 4에 나타내듯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는 노즐 구멍(123)을 갖는 충전 노즐(120)과, 노즐 구멍(123)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 수단(130)과, 노즐 구멍(123)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140)를 구비한 충전 장치(11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충전 장치(110)에서는 내용물 공급 수단(13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노즐 구멍(123)에 공급하고, 플런저(140)에 의해 노즐 구멍(123)내의 내용물을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용기(C)내에 내용물을 충전한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 장치(110)에서는 용기(C)에 대해서 내용물을 충전한 직후의 상태에서, 충전 노즐(120)의 노즐 선단(하단)이 내용물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로부터 노즐 선단을 내용물로부터 떼어 놓으려고 하면, 노즐 선단에 밀착한 내용물의 상면 중앙부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져 내용물의 상면에 소위 볼록형상의 뿔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내용물의 상면에 볼록형상의 뿔이 형성된 상태 그대로, 용기(C)를 뚜껑으로 밀폐하면, 볼록형상의 뿔이 뚜껑에 의해 눌러 찌부러져서 뚜껑의 이면에 부착되어 개봉시의 미관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뚜껑에 의해 눌러 찌부러진 내용물이 용기 플랜지부(C1)에 부착되어 뚜껑의 밀폐 불량이 생기는 일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충전 장치(110)에서는 노즐 선단에 내용물이 부착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내듯이, 플런저(140)의 선단(하단)에 환상의 기체 분출구(129)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기체 분출구(129)로부터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떼어 놓기를 꾀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5―3709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충전 장치(110)에서는 상하동하는 플런저(140)에 기체 분출구(129) 및 기체 유통로(127)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기체 유통로(127)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기(150)(또는 기체 공급기(150)와 기체 유통로(127)를 접속하는 접속 파이프)에 대해서도 플런저(140)의 상하동에 따라 상하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그 결과, 장치구성이 복잡해짐과 아울러, 주변환경의 설계 자유도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충전 장치(110)에서는 플런저(140)의 선단에 환상의 기체 분출구(129)를 형성함에 있어서, 복잡하게 가공된 식품 부착 방지 부재(190)를 플런저(140)의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에 부착하고 있지만, 이렇게 플런저(140)의 선단에 환상의 기체 분출구(129)를 형성하려고 하면, 플런저(140)의 선단에 복잡한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 부담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히 점조성의 내용물의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문제로서, 내용물을 용기(C)내의 구석구석까지 간극 없이 균일하게 충전하는 것의 곤란성이 높아져서, 충전된 내용물 중에 간극이 생기면 내용물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용기(C)내에 치우쳐서 충전되어 버리면 내용물이 용기 플랜지부(C1)에 부착되어서 뚜껑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밀봉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장치구성의 간소화, 설계 자유도의 향상, 및, 제조 부담의 저감을 실현시키면서, 충전된 내용물의 상면의 볼록형상의 뿔, 또는 용기내에의 치우친 충전을 방지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는 노즐 구멍을 갖는 충전 노즐과, 상기 노즐 구멍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 수단과, 상기 노즐 구멍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노즐 구멍내에 공급된 내용물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플런저와,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충전 장치로서, 상기 충전 노즐에는 상기 기체 공급 수단에 접속되는 기체 유입구와, 상기 노즐 구멍에 개구되는 기체 유출구와, 상기 기체 유입구 및 상기 기체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기체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체가 상기 충전 노즐의 하단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 분출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노즐의 노즐 선단으로부터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내용물의 충전후에 충전 노즐의 노즐 선단과 내용물의 상면 사이에 기체를 환상으로 보내주고, 노즐 선단과 내용물 사이의 밀착 상태를 해제하여 내용물의 상면에 볼록형상의 뿔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노즐에 기체 유통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의 간극을 노즐 선단으로부터 기체를 분출하는 기체 분출구로서 이용함으로써, 상하동하는 플런저에 기체 유통로나 기체 분출구를 형성한 종래의 충전 장치와는 달리, 플런저의 상하동에 따라 기체 유통로에 접속되는 기체 공급기나 접속 파이프 등을 상하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변환경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의 간극을 기체 분출구로서 이용함으로써, 기체 분출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의 간극을 기체 분출구로서 이용함으로써, 기체 분출구에 내용물의 막힘이 생겼을 경우여도, 플런저를 상하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용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작동을 필요로 하는 않아 기체 분출구에서의 내용물의 막힘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노즐이 노즐 바디와, 노즐 바디의 하방에 부착되는 노즐 선단구를 갖고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종류나 용기의 형상에 따라 노즐 선단구를 교환할 수 있어 내용물을 용기의 구석구석까지 간극 없이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 바디 및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기체 유통로의 일부 및 기체 유출구로서 이용함으로써, 충전 노즐에 기체 유통로나 기체 유출구를 형성하는 가공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노즐 바디와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에는 노즐 바디에 형성된 대향면측 개구의 외주측에 있어서, 환상의 제1패킹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기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체가 예정된 유로 이외의 개소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과 충전 노즐의 하단 사이에 기체를 효율적으로 보내줄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와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에 제1패킹을 개재시킴으로써, 기체 유통로의 일부나 기체 유출구로서 이용하는 노즐 바디와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적절한 폭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 및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 노즐 구멍의 외주측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대향면측 개구에 연통하는 환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노즐 바디 및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서 기체를 환상으로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에 있어서, 플런저의 외주면과 노즐 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의 간극으로부터 기체를 균등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는 내용물 공급 수단이 접속되는 내용물 공급 구멍의 상방에 있어서, 환상의 제2패킹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기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체가 예정된 유로 이외의 개소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과 충전 노즐의 하단 사이에 기체를 효율적으로 보내줄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노즐의 외주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노즐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의 충전시에 충전 노즐의 외주측에 있어서 노즐 커버로 내용물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눌러서 충전되는 내용물의 용기 플랜지부에의 부착 방지 및 상면의 평탄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 유입구가 최상방으로 이동시킨 노즐 커버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기체 유입구에 접속되는 접속 파이프 등과 노즐 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노즐의 하면에 그 중앙부를 하방으로 돌출시킨 선단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의 상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열 살균후의 내용물의 상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즉, 내용물이 축육 가공품 등인 경우에는 용기에의 충전후에 있어서 내용물에 가열 살균을 실시했을 때에 내용물이 팽창하지만, 이 내용물의 팽창을 고려해서 내용물의 상면 중앙부를 미리 오목하게 해 둠으로써 가열 살균후의 내용물의 상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내용물의 충전시에 있어서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충전 노즐을 나타내는 하면도.
도 4는 종래의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장치(10)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충전 장치(10)는 축육 가공품 등의 점조성의 내용물(B)을 용기(C)에 충전하는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듯이, 노즐 구멍(23)을 갖는 충전 노즐(20)과, 노즐 구멍(23)에 내용물(B)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 수단(30)과, 노즐 구멍(23)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노즐 구멍(23)내에 공급된 내용물(B)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플런저(40)와, 기체(A)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50)과, 충전 노즐(20)의 외주에 설치되는 노즐 커버(60)와, 각 부를 시일하는 환상의 제1패킹(70) 및 제2패킹(71)과, 용기(C)를 상하동시키는 용기 리프터(8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충전 장치(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충전 노즐(20)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하방으로 개구되는 원통형상의 노즐 구멍(23)과, 노즐 구멍(23)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장하여 충전 노즐(20)의 외면에 도달하는 내용물 공급 구멍(24)을 갖고 있다. 이 내용물 공급 구멍(24)은 내용물 공급 수단(30)에 접속되고, 노즐 구멍(23)내에 내용물(B)을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충전 노즐(20)에는 기체 공급 수단(50)으로부터 공급된 기체(A)를 충전 노즐(20)의 노즐 선단(하단)으로부터 분출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충전 노즐(20)의 외면에 개구되고 기체 공급 수단(50)에 접속되는 기체 유입구(25)와, 노즐 구멍(23)에 개구되는 기체 유출구(26)와, 기체 유입구(25) 및 기체 유출구(26)를 연통시키는 기체 유통로(27)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공급 수단(50)으로부터 공급된 기체(A)는 도 2에 나타내듯이, 기체 유입구(25)와 기체 유통로(27)와 환상 오목부(21a)와 기체 유출구(26)를 통과해서 노즐 구멍(23)내에 분출되고, 충전 노즐(20)의 노즐 선단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한 플런저(40)의 외주면과 노즐 구멍(23)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의 간극으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충전 노즐(2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충전 노즐(20)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노즐 바디(21)와, 노즐 바디(21)의 하방에 고정 상태로 부착된 노즐 선단구(22)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 바디(21)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전술한 기체 유입구(25)와, 노즐 선단구(22)의 상면에 대향하는 노즐 바디(21)의 대향면(하면)에서 개구되는 대향면측 개구(28)와, 기체 유입구(25) 및 대향면측 개구(28)를 연통시키는 바디 유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기체 유통로(27)가 바디 유통로(29)와, 대향면측 개구(28)와, 노즐 바디(21) 및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기체 유출구(26)는 노즐 바디(21) 및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노즐 구멍(23)은 상방의 노즐 바디(21) 및 하방의 노즐 선단구(22)의 양방에 걸쳐서 형성되고, 노즐 선단구(22)의 하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노즐 바디(21)의 대향면(하면)에는 대향면측 개구(28)에 연통하는 환상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상면)에 대향면측 개구(28)에 연통하는 환상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노즐 바디(21)의 대향면(하면) 또는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상면) 중 적어도 한쪽에 환상 오목부(21a)를 형성함으로써, 노즐 바디(21) 및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서 기체(A)를 환상으로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전 노즐(20)의 노즐 선단에 있어서 플런저(40)의 외주면과 노즐 구멍(23)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의 간극으로부터 기체(A)를 균등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노즐 선단구(22)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용기(C)의 형상과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 선단구(22)의 형상은 용기(C)의 형상, 그 개구부에 따라 설계하면 좋다. 이렇게, 용기(C)와 노즐 선단구(22)의 형상을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노즐 선단구(22)를 압압판으로 해서 내용물(B)을 용기(C)의 구석구석까지 유동시키고, 용기(C)내, 특히 용기(C)의 저부의 모서리부에 공극을 형성하지 않고 점조성의 내용물(B)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선단구(22)(충전 노즐(20))의 하면에는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중앙부를 하방으로 돌출시킨 선단 볼록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 볼록부(22a)를 형성해서 내용물(B)의 표면을 고의로 오목하게 해서 충전함으로써, 레토르트 중에 점조성의 내용물(B)이 팽창해도 내용물(B)의 표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내용물 공급 수단(30)은 정량의 내용물(B)을 노즐 구멍(23)에 공급하는 것이며, 계량기나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다. 내용물 공급 수단(3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충전 노즐(20)에 부착된 내용물 공급관(31)을 통해서, 충전 노즐(20)의 내용물 공급 구멍(24)에 접속되어 있다.
플런저(4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에어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구동부(41)에 의해 상하동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플런저(40)의 하면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40)가 최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노즐 선단구(22)의 선단 볼록부(22a)의 하면과 대략 면일하게 된다.
기체 공급 수단(50)은 기체(A)를 공급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에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에어 컴프레서와,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청정화하는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기체 공급 수단(50)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에어 등의 기체(A)를 공급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노즐 커버(60)는 충전 노즐(2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용기 스택부(C2)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내용물(B)의 충전시에, 충전 노즐(20)의 외주측에 있어서 내용물(B)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눌러서 충전되는 내용물(B)의 용기 플랜지부에의 부착 방지 및 상면의 평탄화를 꾀하는 것이다. 노즐 커버(60)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바이어싱되어 있다. 노즐 커버(60)의 하면은, 도 2에 나타내듯이, 노즐 커버(60)가 최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즐 선단구(22)의 선단 볼록부(22a)의 외주부의 하면과 대략 면일하게 된다.
제1패킹(70)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대향면측 개구(28)의 외주측에 있어서, 노즐 바디(21)와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패킹(70)은 노즐 선단구(22)의 대향면(상면)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체(A)는 충전 노즐(20)의 외주 방향으로 누설되지 않고, 기체 유출구(26)의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패킹(71)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듯이, 내용물 공급 구멍(24)의 상방에 있어서, 노즐 구멍(23)의 내주면과 플런저(4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패킹(71)은 플런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체(A)는 플런저(40)의 상방으로부터 누설되지 않고 충전 노즐(20)의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용기 리프터(80)는 상하동하여 내용물(B)의 충전에 맞춰 충전 노즐(20)의 하측에서 용기(C)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노즐(20)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고 있지만, 충전 노즐(20)을 상하동시키는 기구로 해도 좋고, 또한 충전 노즐(20) 및 용기(C)의 양쪽을 상하동시키는 기구로 해도 좋다. 이렇게, 용기 리프터(80) 또는 충전 노즐(20)의 이동속도와 내용물(B)의 충전 속도를 동기시킴으로써, 용기(C)의 구석구석까지 내용물(B)을 유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점조물 또는 박편상의 고형물을 포함하는 성상의 내용물(B)의 경우에 있어서도, 내용물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충전 장치(10)를 사용한 용기(C)에 대한 내용물(B)의 충전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용기 리프터(80)에 의해 용기(C)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충전 노즐(20)의 외주의 노즐 커버(60)를 용기(C)의 용기 스택부(C2)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충전 노즐(20)의 노즐 선단구(22)를 용기(C)내의 하단 근방까지 삽입한다.
이 때, 노즐 커버(60)는 용기 스택부(C2)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용기 리프터(80)를 정지한 상태에서, 내용물 공급 수단(30)으로부터 내용물 공급 구멍(24)을 통해 노즐 구멍(23)내로 내용물(B)의 공급을 개시하고, 용기(C)의 저부의 구석구석까지 간극 없이 내용물(B)이 충전된 후(약 10초후), 용기 리프터(80)에 의해 용기(C)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내용물(B)의 공급을 계속한다. 용기 리프터(80)를 정지시키고 있는 시간 및 용기 리프터(80)의 하강 거리는 용기(C)와 내용물(B)의 충전 속도에 따라 적당하게 조정하면 좋다. 그리고, 노즐 선단구(22)의 외주 가장자리와 노즐 커버(60)가 대략 면위치로 된 단계에서 내용물(B)의 공급을 정지하고, 용기 리프터(80)를 수mm(본 실시형태에서는3mm 정도) 더 하강시킨 후, 플런저(40)를 하방을 향해서 이동시켜서 노즐 구멍(23)내의 내용물(B)을 용기(C)내에 밀어넣어 충전이 완료된다. 이렇게, 용기 리프터(80)의 하강 타이밍을 몇단계로 나누어서 조정함으로써, 용기(C)내로의 치우친 충전이나 내용물(B)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용기(C)내의 내용물(B)은 충전 노즐(20)(노즐 선단구(22))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고, 즉, 내용물(B)의 상면과 충전 노즐(20)의 하면 사이가 진공상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다음에 기체 공급 수단(50)으로부터 기체(A)를 공급하고, 도 2에 나타내듯이, 기체 유입구(25), 기체 유통로(27), 기체 유출구(26), 환상 오목부(21a), 및, 플런저(40)의 외주면과 노즐 구멍(23)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의 간극을 통과하여 내용물(B)의 상면과 충전 노즐(20)의 하면 사이에 기체(A)를 보내준다. 이에 따라 내용물(B)의 상면과 충전 노즐(20)의 하면 사이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고, 내용물(B)의 상면과 충전 노즐(20)의 하면이 밀착한 상태를 해제시키면서, 내용물(B)을 충전후, 충전 노즐(20)로부터 용기(C)를 떼어 놓을 때에, 충전 노즐(20)에 의한 내용물(B)의 상면의 인상에 의해 생기는 볼록형상의 뿔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용물(B)이 충전된 용기(C)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는 않고 여러가지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노즐이 노즐 바디와 노즐 선단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충전 노즐을 단일부재로서 구성해도 좋다.
10···충전 장치
20···충전 노즐
21···노즐 바디
21a ···환상 오목부
22···노즐 선단구
22a ···선단 볼록부
23···노즐 구멍
24···내용물 공급 구멍
25···기체 유입구
26···기체 유출구
27···기체 유통로
28···대향면측 개구
29···바디 유통로
30···내용물 공급 수단
31···내용물 공급관
40···플런저
41···플런저 구동부
50···기체 공급 수단
60···노즐 커버
70··· 제1패킹
71··· 제2패킹
80···용기 리프터
A ···기체
B ···내용물
C ···용기
C1···용기 플랜지부
C2···용기 스택부

Claims (6)

  1.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는 노즐 구멍을 갖는 충전 노즐과, 상기 노즐 구멍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 수단과, 상기 노즐 구멍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노즐 구멍내에 공급된 내용물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플런저와,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충전 장치로서,
    상기 충전 노즐에는 상기 기체 공급 수단에 접속되는 기체 유입구와, 상기 노즐 구멍에 개구되는 기체 유출구와, 상기 기체 유입구 및 상기 기체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기체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체가 상기 충전 노즐의 하단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의 간극으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노즐은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바디의 하방에 부착되는 노즐 선단구를 갖고,
    상기 노즐 바디 및 상기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이 상기 기체 유통로의 일부 및 상기 기체 유출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에는 상기 기체 유입구와, 상기 노즐 바디의 상기 대향면에서 개구되는 대향면측 개구와, 상기 기체 유입구 및 상기 대향면측 개구를 연통시키는 바디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 및 상기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노즐 구멍의 외주측에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향면측 개구에 연통하는 환상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와 상기 노즐 선단구의 대향면 사이에는 상기 대향면측 개구의 외주측에 있어서 환상의 제1패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노즐에는 상기 내용물 공급 수단이 접속되는 내용물 공급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공급 구멍은 상기 노즐 구멍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충전 노즐의 외면에 도달하고,
    상기 노즐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내용물 공급 구멍의 상방에 있어서 환상의 제2패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노즐의 외주에 설치되는 노즐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충전 노즐에 대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구는 최상방으로 이동시킨 상기 노즐 커버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노즐의 하면에는 그 중앙부를 하방으로 돌출시킨 선단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KR1020187007460A 2015-10-01 2016-09-29 충전 장치 KR102056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5575 2015-10-01
JP2015195575A JP6120027B2 (ja) 2015-10-01 2015-10-01 充填装置
PCT/JP2016/078840 WO2017057585A1 (ja) 2015-10-01 2016-09-29 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83A true KR20180041183A (ko) 2018-04-23
KR102056136B1 KR102056136B1 (ko) 2019-12-16

Family

ID=5842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60A KR102056136B1 (ko) 2015-10-01 2016-09-29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22615A1 (ko)
EP (1) EP3357817A4 (ko)
JP (1) JP6120027B2 (ko)
KR (1) KR102056136B1 (ko)
CN (1) CN108025819B (ko)
WO (1) WO2017057585A1 (ko)
ZA (1) ZA201801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427B1 (en) * 2022-05-01 2023-08-08 Vital Manufacturing Inc. Volumetric isobaric fil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9712A (en) * 1964-02-04 1966-12-06 Chemetron Corp Receptacle filling machines
US3926229A (en) * 1974-02-20 1975-12-16 Scholle Corp Viscous material filling device
JPS54110096A (en) * 1978-02-17 1979-08-29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and nozzle for filling content in tube
JPS6215123Y2 (ko) * 1981-06-01 1987-04-17
GB9111266D0 (en) * 1991-05-24 1991-07-17 Cmb Foodcan Plc A nozzle
JPH0537094U (ja) * 1991-10-23 1993-05-2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具入り粘性食品の充填装置
EP0888791A1 (en) * 1997-07-04 1999-01-07 PowderJect Research Limited Syringe and drug capsule therefor
IT1320083B1 (it) * 2000-11-17 2003-11-18 Ocme Srl Ugello di riempimento di due prodotti liquidi e/o gassosi per macchineriempitrici.
EP1310454B1 (en) * 2001-11-09 2005-12-28 Sig Simonazzi S.P.A. Valve unit for filling machines
JP2004210315A (ja) * 2002-12-27 2004-07-29 Nisshin Foods Kk 充填ノズル
CN1991236A (zh) * 2005-12-27 2007-07-04 柏盈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充气功能的空气罐
US7753093B2 (en) * 2006-09-21 2010-07-13 Bevcorp, Llc Tipless can filling valve
JP6132087B2 (ja) * 2013-03-19 2017-05-24 東洋製罐株式会社 粘稠物の容器充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5819A (zh) 2018-05-11
WO2017057585A1 (ja) 2017-04-06
JP2017065778A (ja) 2017-04-06
JP6120027B2 (ja) 2017-04-26
ZA201801647B (en) 2019-01-30
EP3357817A4 (en) 2019-05-01
EP3357817A1 (en) 2018-08-08
CN108025819B (zh) 2021-03-09
US20180222615A1 (en) 2018-08-09
KR102056136B1 (ko)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319B2 (en) Foaming pump
RU2511367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го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го эластомера на капсулу
US10369800B2 (en) Printing fluid container
KR101599291B1 (ko) 접착식 적층 코어부재 제조장치 및 접착제 도포유닛
US104936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opening devices on a sheet packaging material for packaging pourable food products
CN107205445A (zh) 用于制备液体产品的系统、可抛弃式盒、以及方法
KR100981690B1 (ko) 수동 펌프 분배기
KR20140134295A (ko) 액체 재료 토출 기구 및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20180041183A (ko) 충전 장치
CN104918765A (zh) 具有可调模具闭合高度的模制系统
US8840049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130111203A (ko) 재료 압송 장치
WO2002098756A3 (en) Dispensing spout and cap assembly
US20160288375A1 (en) Spray device and compression mold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957520A1 (en) Stopper system,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stopper
JP6319787B2 (ja) ガス置換包装装置
WO2016106963A1 (zh) 一种注塑机的自动进料加热装置及其方法
KR101930157B1 (ko) 점성 용액 도포 장치 및 점성 용액 도포 방법
ZA20210723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dispensing part of a container, and dispensing part of a container
KR20190129033A (ko) 제품 분사용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40366985A1 (en) Multijet filler spout with incorporated vent
KR101512151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형제 스프레이 카세트
JP4521749B2 (ja) 吐出ポンプ
CN106217628B (zh) 便于间断式补料的注浆成型装置
JP2013146692A (ja) 材料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