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735A -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 Google Patents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735A
KR20180039735A KR1020187009358A KR20187009358A KR20180039735A KR 20180039735 A KR20180039735 A KR 20180039735A KR 1020187009358 A KR1020187009358 A KR 1020187009358A KR 20187009358 A KR20187009358 A KR 20187009358A KR 20180039735 A KR20180039735 A KR 2018003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floor
change
senso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314B1 (ko
Inventor
고흥조
허윤정
황영규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8003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capaci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타면에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도전층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한다.

Description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본 발명은 변형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형범위가 작은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한 변형감지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변형감지센서(strain sensor)는 센서에 가해지는 인장, 굽힙 또는 뒤틀림 등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말하며, 이러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손가락 및 발가락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 운동시 신체 관절 및 근육의 이완과 수축 정도, 운동량 등을 체크할 수 있는 스마트 운동복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인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뿐 만 아니라, 민감도 및 규격 조절을 통하여 대면적 스트레인 센서 어레이 제작부터 기기 설비의 미세 균열 감지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상용화된 변형감지센서는 금속 박막을 이용한 센서가 있으며, 이는 금속에 가해지는 물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보통 절연체 기판 위에 저항률이 높은 금속저항선을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단말에 인출선(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이것을 피측정물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물체의 스트레인을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환산한다. 최근에는 저항선 대신 같은 종류의 합금으로 저항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금속저항박 스트레인 게이지라 한다. 금속 박막을 이용한 변형 센서는 특성상 대면적 구현이 어렵고, 낮은 민감도 때문에 인간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서로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이 일어나는 속도에 따른 감지 결과의 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금속박막을 이용한 변형감지센서는 약 3% 이하의 변형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민감도를 나타내는 게이지 상수(G) 값은 약 2정도이다. 한편 사람의 몸은 최대 팔꿈치와 무릎이 최대 약 50% 정도 변형이 일어나고, 손목, 발목 또는 목 부분은 최대 약 20%, 손가락마디 부분은 최대 약 30% 정도의 변형이 일어난다. 종래의 금속박막을 이용한 변형감지센서는 3% 이하의 감지범위를 갖기 때문에 몸에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기기에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범위가 비교적 큰 인체의 관절 부분의 변형범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변형정도에 따른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타면에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도전층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제1탄성층, 상기 제1탄성층 위에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 위에 형성되며 두께 변화가 생기도록 노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도전층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고루 분산되어 있는 탄성체로서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의 양 측면에 전극들이 부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한다.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폭에 대한 비율이 (골의 폭):(마루의 폭) = 1:1 ~ 1:6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높이에 대한 비율이 (골의 높이):(마루의 높이) = 1:4/3 ~ 1:3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PDMS, 에폭시 또는 에코플렉스(ecoflex)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은나노선,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그래핀 및 금속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에 따르면 변형범위가 비교적 큰 인체의 관절부의 변형범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깊이, 폭 등을 조절하여 변형감지센서가 측정할 수 있는 변형범위와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모니터링이나 기계의 입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평면형 변형감지센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요철형 변형감지센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발명예, 비교예의 변형량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변형감지센서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는 변형범위와 민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변형감지센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일반 평면형의 센서보다 효과적으로 민감도와 변형범위를 조절할수 있는 변형감지센서이다. 이를 이용하여 같은 재료로 사용하여 좁은 범위에서 민감하게 움직이는 손가락, 발가락 등의 인체 움직임이나 넓은 범위에서 움직이는 무릎, 팔꿈치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센서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는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되어 변형에 의해 저항이 변화하거나, 정전용량이 변화하여 이를 통하여 변형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요철에 의해 형성된 골과 마루에 의해 두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100)는 제1탄성층(110), 도전층(120) 및 제2탄성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감지센서(100)는 기본적으로 제2탄성층(130)의 일면에 요철구조를 형성시키고, 타면에 도전층(120)을 형성시켜 요철구조가 형성된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신장, 수축)될 때, 변형 전과 후의 도전층(120)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제1 탄성층(110)은 외부로 노출된 도전층(1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부가된 구성에 해당한다. 제1탄성층(110)과 제2탄성층(130)은 변형감지센서(100)의 기본적인 몸체부분을 구성한다. 제1탄성층(110)과 제2탄성층(130) 사이에는 도전층(120)이 위치하게 된다. 몸체부분에 해당하는 제1탄성층(110)과 제2탄성층은 변형감지센서의 변형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제2탄성층(130)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시켜 변형 방향을 따라 변형감지센서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탄성층(110)이 없는 경우에도 변형센서로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탄성층(130)을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 마루(131)와 골(132)로 형성될 수 있다. 마루부분(131)은 변형감지센서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해당하고 골부분(132)은 변형감지센서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해당한다. 골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와 비교하면, 동일한 변형이 있는 경우 평면형의 변형감지 센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변형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요철형의 변형감지 센서는 변형이 골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동일한 두께의 평면형의 변형감지 센서의 변형량보다 많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 변화량이 증가하게 되는 바, 이를 이용하여 변형량을 검출하는 센서는 그 민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제1탄성층(110) 및 제2탄성층(130)에 해당하는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각 재료의 탄성변형범위에 따라 특정한 변형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변형감지센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탄성층(110) 및 제2탄성층(130)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PDMS(Polydimethylsioxane), 에폭시(Epoxy), 에코플렉스(Ecoflex)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PDMS(Polydimethylsioxane)는 규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어 실리콘 고무 또는 무기고분자라 불린다. 간단한 제조 방법, 높은 투명도와 탄력성을 가진 재료로서, 기체투과성, 저렴한 가격, 무독성 등의 장점이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층의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에폭시(Epoxy)는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켜 탄성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열성과 흡습성, 절연 저항, 고주파 특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면 경화정도에 따라 그 유연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변형범위가 큰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에코플렉스(ecoflex)는 독일의 바스프(BASF)사가 개발한 화석원료 기반의 완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기존에는 식품 포장재용 수지로 비닐이나 필름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이러한 에코플렉스를 탄성층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환경 소재로 인체에 사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변형센서의 활용도가 높다.
한편, 도전층(120)을 형성하는 전도성 물질은 변형에 의해 저항변화가 일어나거나, 정전용량의 변화가 일어나는 소재일 수 있으며, 은나노선,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그래핀 및 금속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변형에 의해 저항의 크기가 변화하는 소재로서 은나노선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탄소계열의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그래핀 등은 최근 연구가 가장 활발이 진행되는 소재이고, 이러한 재료를 필름형태로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분말을 고루 분산된 형태로 도전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 분말을 소결시켜 일정한 두께의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의 경우에는 변형의 방향에 따라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도전층의 전기저항값이 반대의 양상으로 변화는 양극성을 이용하여 변형의 크기 및 방향성까지 측정가능한 이차원적 양극성 변형센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만들어진 2차원 물질로 벌집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3차원으로 쌓으면 흑연(graphite)가 되고 1차원으로 말면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가 되며 0차원인 공모양으로 만들면 버키볼(buckyball)이 되는 물질이다. 구조적 또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높은 전하 이동도를 나타낸다. 그래핀은 시트를 전사함으로써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투명한 박막 형태로 소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폭에 대한 비율이 (골의 폭):(마루의 폭) = 1:1 ~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루의 폭이 넓어 질수록 전체 센서에서 골이 차지하는 부분은 적어지게 되고 전체 센서의 민감도는 향상된다. 상기 범위 이외의 범위에서는 민감도 향상의 정도가 미미하므로 상기 범위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높이에 대한 비율이 (골의 높이):(마루의 높이) = 1:4/3 ~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루와 골의 높이 차이가 클 수롤 골의 부분의 변형률이 증가하게 되어 이에 따라 저항변화율로 증가하게 된다. 즉 전체 센서의 민감도는 향상된다. . 상기 범위 이외의 범위에서는 민감도 향상의 정도가 미미하므로 상기 범위로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200)는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몸체가 별도의 탄성층과 도전층으로 구분되지 않고 전도성 물질이 탄성체 내부에 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이 형성된 면의 측면 방향으로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측면에 전극들(221, 222)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측면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날 때 요철이 없는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보다 변형량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들(221,222)을 요철 부분의 상, 하부에 부착하여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즉, 측면방향으로의 변형이 이루어 지면 전극들(221,222) 사이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센서(200)는 앞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이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마루(211), 골(212)이 형성되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감지센서(2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고루 분산되어 있는 탄성체로서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몸체(210)와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들(221, 222)를 포함하고 있다. 변형감지센서(200)은 요철구조가 형성된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신장, 수축)될 때, 변형전과 후의 전극들(221, 222) 사이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핵심적인 사항은 몸체(210)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시켜 변형 방향을 따라 변형감지센서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몸체(210) 일면은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 마루(211)와 골(212)로 형성될 수 있다. 마루 부분(211)은 변형감지센서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해당하고 골부분(212)은 변형감지센서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해당한다. 골부분(21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와 비교하면, 동일한 변형이 있는 경우 평면형의 변형감지 센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변형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요철형의 변형감지 센서는 변형이 골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동일한 두께의 평면형의 변형감지 센서의 변형량보다 많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 변화량이 증가하게 되는 바, 이를 이용하여 변형량을 검출하는 센서는 그 민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예와 비교예에 해당하는 시편을 제조한 후 인장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평면형 변형감지센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요철형 변형감지센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발명예, 비교예의 변형 양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감지센서의 변형정도와 응력변화를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와 비교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로서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를 제작하였다. 이 때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는 유리기판에 PDMS를 스핀코팅하고, 은 나노선을 코팅하여 도전층을 형성시킨 후, 다시 PDMS를 스핀코팅하여 제조하였다. 도시된 도전층의 두께는 이를 표시하기 위해 조금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으며, 실제 두께는 서브 마이크로 단위정도이다. 이때 형성되는 탄성체의 높이는 도전층의 밑부분의 높이(H2)이 100㎛이며, 도전층의 윗부분의 높이(H1)는 50㎛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예로서 요철구조를 같은 변형감지센서를 제작하였다. 이때 요철형의 변형감지센서는 유리기판에 SU-8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요철에 해당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PDMS를 코팅하여 제2탄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은 나노선을 코팅하여 도전층을 형성시킨 후, 다시 PDMS를 스핀코팅하여 제조하였다. 도시된 도전층의 두께는 이를 표시하기 위해 조금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으며, 실제 두께는 서브 마이크로 단위 정도이다.
이렇게 제조된 변형감지센서의 골 부분과 마루부분의 폭과 마루부분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변형감지센서의 변형률과 작용하는 응력 측정하였다. 전체 변형감지센서의 변형률이 28%가 되도록 평면형 변형감지센서와 요철형 변형 감지센서를 인장시험을 하였으며, 이때 요철형 변형감지센서의 마루부분과 골부분의 높이를 변화시켜 변형률과 응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이 때 변형감지센서의 골부분과 마루부분의 폭의 비율은 1:2.5이다.
구분 H1(㎛) H2(㎛) H3(㎛) 변형률(%) 응력(N/m2)
마루 마루
발명예 1 50 100 50 34 26 1.44 X 106 1.08 X 106
발명예 2 50 100 100 40 24 1.66 X 106 9.88 X 105
발명예 3 50 100 150 44 22 1.84 X 106 9.14 X 105
발명예 4 50 100 200 48 20 1.99 X 106 8.49 X 105
발명예 5 50 100 250 51 19 2.12 X 106 7.92 X 10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루부분에 해당하는 높이를 높아짐에 따라 골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변형률이 전체 변형률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마루부분의 변형률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서의 경우 변형률이 28%로 일정하여 이에 따라 저항변화율이 정하여지지만 요철형의 변형감지센서는 변형이 골 부분에 집중하게 되어 변형률이 28%라고 하더라도 이 때 측정되는 저항변화율은 평면형의 변형감지센의 저항변화율 보다 크게 된다. 이렇듯 동일한 변형범위에서 저항변화율이 크게 측정되는 것은 변형감지센서의 민감도가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명예1에 해당하는 요철형 변형감지센서와 비교예에 해당하는 평면형 변형감지센서를 번형률에 따른 저항변화율을 비교하면, 동일한 변형률에도 발명예 1의 경우 저항변화율이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요철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동일한 변형율에서 평면형보다 민감도가 더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변형감지센서의 마루부분의 폭을 변화시켜 변형률과 작용하는 응력 측정하였다. 전체 변형감지센서의 변형률이 28%가 되도록 평면형 변형감지센서와 요철형 변형 감지를 인장시험을 하여, 이때 요철형 변형감지센서의 마루부분과 골부분의 폭을 변화시켜 변형률과 응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도시하였다. 이 때 변형감지센서의 골부분과 마루부분의 이때, 마루부분의 높이는 50㎛이다.
골 부분의 폭이 A이며, 마루부분의 폭이 B이고 변형감지센서의 전체 길이는 A+B이다.
구분 (골부분 폭):(마루부분 폭) = A:B 변형률(%) 응력(N/m2)
마루 마루
발명예 6 1:1 32.7 24.4 1.36 X 106 1.01 X 106
발명예 7 1:2.5 34.8 26.0 1.44 X 106 1.08 X 106
발명예 8 1:3 35.2 26.3 1.46 X 106 1.09 X 106
발명예 9 1:4 35.7 26.7 1.48 X 106 1.11 X 106
발명예 10 1:6 36.4 27.2 1.51 X 106 1.13 X 10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루부분의 폭이 길어짐에 따라 골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골 부분의 변형률이 전체 변형률보다 증가하게 된다. 마루 부분의 폭이 길어지면 골 부분의 폭은 짧아지게 되므로 전체 변형률이 28%가 되기 위해서는 마루부분의 변형률도 증가된다. 따라서 폭의 변화에 따라 저항변화율이 변화하게 되어 민감도가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변형감지센서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는 변형범위와 민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요철 구조를 형성한 변형감지센서의 동일한 재료 내에서도 요철구조의 형태 및 폭의 비와 두께의 비를 조절하여 적용되는 변형률에 맞도록 변형감지센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요철형 1의 경우에는 낮은 변형률을 갖는 곳에서 사용되는 변형감지센서로서 민감도를 향상시킨 것에 해당한다. 차례대로 요철형 2, 요철형 3은 점차 적용되는 변형률의 범위를 높인 것에 해당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변형감지센서 110: 제1탄성층
120: 도전층 130: 제2탄성층
131, 211: 마루 132, 212: 골

Claims (7)

  1.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타면에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도전층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변형감지센서.
  2.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제1탄성층, 상기 제1탄성층 위에 전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 위에 형성되며 두께 변화가 생기도록 노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도전층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변형감지센서.
  3. 변형에 의한 저항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변형감지센서로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전도성 물질이 고루 분산되어 있는 탄성체로서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의 양 측면에 전극들이 부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측면방향으로 변형할 때, 변형 전, 후의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저항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대상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변형감지센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폭에 대한 비율이 (골의 폭):(마루의 폭) = 1:1 ~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감지센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마루와 골로 구성되며, 마루와 골의 높이에 대한 비율이 (골의 높이):(마루의 높이) = 1:4/3 ~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감지센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PDMS, 에폭시 또는 에코플렉스(ecoflex)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변형감지센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은나노선,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그래핀 및 금속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변형감지센서.
KR1020187009358A 2015-09-01 2016-09-01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KR102128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13 2015-09-01
KR20150123713 2015-09-01
PCT/KR2016/009788 WO2017039350A1 (ko) 2015-09-01 2016-09-01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735A true KR20180039735A (ko) 2018-04-18
KR102128314B1 KR102128314B1 (ko) 2020-06-30

Family

ID=5818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358A KR102128314B1 (ko) 2015-09-01 2016-09-01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91272B2 (ko)
KR (1) KR102128314B1 (ko)
WO (1) WO2017039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71A (ko) * 2021-02-24 2022-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크랙 기반의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민감도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8600A (zh) * 2017-03-13 2020-01-10 畅想智能材料有限公司 含有石墨烯的压电响应纺织品
CN107907044A (zh) * 2017-12-13 2018-04-13 武汉纺织大学 一种大量程高灵敏度柔性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
WO2019239195A1 (en) * 2018-06-15 2019-12-19 Arcelormittal A coated metallic substrate
CN109029230B (zh) * 2018-06-21 2021-02-26 清华大学 接触式位移传感器测量装置及测量电路
CN113237419B (zh) * 2021-05-14 2023-02-03 东南大学 一种高灵敏度柔性电容式应变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8140113A (zh) * 2022-05-19 2024-06-0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322A (ja) * 2010-04-28 2011-11-17 Univ Of Tokyo 力センサ
US20140174204A1 (en) * 2012-12-20 2014-06-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apacitive shear forc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20150059452A (ko) * 2013-11-22 2015-06-01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0452A (ja) * 1983-10-11 1985-05-08 株式会社精研 空気マツト装置
KR20010082465A (ko) * 2001-07-23 2001-08-30 임남규 도로 경계석 설치 콘크리트 후타설 공법과 기기
US6809529B2 (en) * 2001-08-10 2004-10-26 Wacoh Corporation Force detector
US7288109B2 (en) * 2002-04-04 2007-10-30 Innercool Therap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transfer element for in vivo cooling without undercuts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7180508B2 (en) * 2002-09-17 2007-02-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corrections for a non-linear touchscreen
KR20090017686A (ko) * 2004-01-09 2009-02-18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레일 제조 방법
US20080245434A1 (en) * 2005-03-28 2008-10-09 Motoshige Hibino Composite Hose with a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208362B2 (ja) * 2005-10-28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9134473A (ja) * 2007-11-29 2009-06-18 Sony Corp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9012763B2 (en) * 2009-03-13 2015-04-21 Sunlight Photonics Inc. Stretchable photovoltaic devices and carriers
KR20110012280A (ko) * 2009-07-30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축성 케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1207468B1 (ko) * 2010-01-11 2012-1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0263131B2 (en) * 2014-04-07 2019-04-16 Solaero Technologies Corp. Parallel interconnection of neighboring solar cells with dual common back pla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2322A (ja) * 2010-04-28 2011-11-17 Univ Of Tokyo 力センサ
US20140174204A1 (en) * 2012-12-20 2014-06-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apacitive shear forc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20150059452A (ko) * 2013-11-22 2015-06-01 한국기계연구원 압력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971A (ko) * 2021-02-24 2022-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크랙 기반의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민감도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350A1 (ko) 2017-03-09
US20180292196A1 (en) 2018-10-11
US10591272B2 (en) 2020-03-17
KR102128314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314B1 (ko) 민감도가 향상된 변형감지센서
Khalid et al. Flexible strain sensors for wearable applications fabricated using novel functional nanocomposites: A review
Lu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bio-monitoring via advanced polymer nanocomposite-based wearable strain sensors
Roh et al. Stretchable, transparent, ultrasensitive, and patchable strain sensor for human–machine interfaces comprising a nanohybrid of carbon nanotubes and conductive elastomers
Wu et al. Large‐area compliant, low‐cost, and versatile pressure‐sensing platform based on microcrack‐designed carbon Black@ polyurethane sponge for human–machine interfacing
Dong et al. Resistive and capacitive strain sensors based on customized compliant electrode: Comparison and their wearable applications
CN107588872B (zh) 基于导电织物的三维力柔性触觉传感器
KR101500840B1 (ko) 변형 센서 제조 방법, 변형 센서 및 변형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 장치
KR102081892B1 (ko) 압저항(piezo-resistive) 전극을 구비한 저항성 압력 센서
Liu et al. A biomimetic multifunctional electronic hair sensor
EP3194918B1 (en) Sensing system including a sensing structure
JP6739500B2 (ja) 触知センサ
CN106441073A (zh) 一种用于大变形和触觉压力测量的介电柔性传感器
Lee et al. 3D-printing-assisted flexible pressure sensor with a concentric circle pattern and high sensitivity for health monitoring
KR101691910B1 (ko)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mjadi et al. Carbon nanotubes-ecoflex nanocomposite for strain sensing with ultra-high stretchability
Moon et al. Three-dimensional out-of-plane geometric engineering of thin film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A brief review
Zou et al. Highly sensitive ionic pressure sensor with broad sensing range based on interlaced ridge-like microstructure
Liu et al. Wearable electromechanical sensors and its applications
TWI617962B (zh) 可撓式感測器
JP2013232293A (ja) 触覚センサ
Choi et al. Spatially digitized tactile pressure sensors with tunable sensitivity and sensing range
Golabzaei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lexible capacitive sensor on PET fabric
CN114459334B (zh) 一种用于拉伸应变矢量监测的复合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2417498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