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698A - 생체 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698A
KR20180039698A KR1020187006944A KR20187006944A KR20180039698A KR 20180039698 A KR20180039698 A KR 20180039698A KR 1020187006944 A KR1020187006944 A KR 1020187006944A KR 20187006944 A KR20187006944 A KR 20187006944A KR 20180039698 A KR20180039698 A KR 2018003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heet
sensor
sensor sheet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701B1 (ko
Inventor
나오키 니시무라
유키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다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12Low-profile patch shaped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8Shielding or protection of sensors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protection from mechanical damage
    • A61B2562/182Electrical shielding, e.g. using a Faraday c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7Sensor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61B5/273Connection of cords, cables or leads to electrodes
    • A61B5/274Connection of cords, cables or leads to electrodes using snap or button faste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edicine and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서 시트(100)에 설치되었을 때에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쉴드 프레임(315)내에, 센서 시트(100)의 센서(전극 133)에 접속되는 단자(스프링 프로브 312)에 더해, 외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USB 단자 313)를 마련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본 발명은,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센서 시트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검자(被檢者)의 체표(體表)에, 센서가 들어있는 센서 시트를 첩착(貼着)함으로써, 피검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심전도 측정 장치에서는, 센서 시트에 들어있는 전극을 경유하여 피검자의 심전도를 취득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센서 시트(생체 전기 신호 기록 도구)는, 생체의 움직임에 추종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기재에 전극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시트 형상의 기재에 의해서 전극을 수밀적(水密的)으로 포위함으로써, 보행중, 식사중 및 수면중에 더해, 입욕중에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개평 6-245915호 공보 특개 2001-269322호 공보
그런데, 센서 시트에는, 센서 시트에 의해서 센싱된 정보를 기록 또는 송신하기 위한 단말이 접속된다. 통상, 이 단말은, 센서 시트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와 센서 시트로부터 상기 단자를 경유하여 입력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외부 단자가 설치된다. 이 외부 단자는 메모리에 기억된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에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단말의 설정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이 텔레미터 등의 무선기능을 가지는 단말일 경우에는, 메모리에 기억된 생체 정보는 외부 단자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에 의해 외부에 출력되지만, 외부 기기로부터 단말의 설정은 외부 단자를 이용해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단말이, 무선기능을 가지는 텔레미터 등의 단말이더라도, 외부 단자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의 측정은, 센서 시트에 단말이 접속된 상태로 행해진다. 이 생체 정보의 측정중에, 외부 단자에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이 외부 기기로부터의 전류가 단말 및 센서 시트를 경유하여 피검자에게 흐르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이 대책의 하나로서, 플로팅 구성을 들 수 있지만, 플로팅 구성은 구성이 복잡하고, 그 결과, 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생체 정보의 측정시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전류가 단말 및 센서 시트를 경유하여 피검자에게 흐르는 것을, 간이(簡易)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하나의 양상은,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센서 시트와,
상기 센서 시트에 설치되는 단말을 가지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센서 시트에 설치되었을 때에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쉴드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쉴드 프레임내에는, 상기 센서 시트의 센서에 접속되는 센서 접속 단자에 더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시트에 단말이 장착되면, 쉴드 프레임내에서 센서 시트의 센서와 센서 접속 단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쉴드 프레임내는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므로, 쉴드 프레임내의 외부 단자는 외부 기기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생체 정보의 측정시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전류가 단말 및 센서 시트를 경유하여 피검자에게 흐르는 것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센서 시트에 단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A는 사시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하면도
도4 센서 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단말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단면도이며, 도4A는 설치전의 단면도, 도4B는 설치 후의 단면도
도 5 센서 시트에 설치하기 위한 단말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사시도이며, 도5A는 설치전의 사시도, 도5B는 설치 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센서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센서 시트에 단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센서 시트는, 심전도를 취득하기 위해서, 피검자의 흉부에 첩착되어서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시트에 설치하는 단말은, 케이스 내부에 메모리 및 코인 전지가 수용된 기록 단말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센서 시트에 장착되는 단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 내부에 무선 송신부를 가지고, 센서 시트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단말이어도 좋다. 단말은, 예를 들면 텔레미터이어도 좋다.
도1에 나타내는 것처럼, 센서 시트(100)는, 사용전은 라이너(210) 및 톱 세퍼레이터(220)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라이너(210) 및 톱 세퍼레이터(220)가 벗겨져서 흉부에 첩착됨과 동시에, 도2에 나타내는 것처럼, 표면 측에 단말(300)이 설치된다.
센서 시트(100)는, 하(下) 시트(110)와, 상(上) 시트(120)를 가진다.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는, 측정 요소로서의 전기 회로부(130)가 배치된다.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각각의 피부측의 면에는, 점착층(粘着層)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 시트(110)는 피검자의 피부에 상 시트(120)는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첩착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회로부(130)는, 하 시트(110)의 표면 측에 상 시트(120)가 첩착됨에 의해,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 보지(保持)된다.
상 시트(120)의 면적은 하 시트(110)의 면적보다 작다. 상 시트(120)의 면적은, 전기 회로부(13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 시트(110)에 상 시트(120)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센서 시트(100)에 있어서는, 전기 회로부(130)가 상 시트(120)에 의해서 완전하게 덮이면서, 전체에 걸쳐서 하 시트(110)만으로 되어있는 주연부(周緣部/테두리)(110a)가 형성된다.
전기 회로부(130)는, 설편(舌片)(131)과, 설편(131)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132)과, 각 배선(132)의 말단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133)을 가진다.
각 전극(133)에 대응하는 하 시트(110)의 위치에는 구멍(111)이 형성되고 있고, 더욱더 각 구멍(1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겔(134)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극(133)은 겔(134)을 경유하여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고, 피부와 전극(133) 사이의 도전율이 겔(134)에 의해 높아진다.
설편(131)의 표면 측에는, 단말(300)에 접속되는 커넥터(140)가 설치되어 있다. 설편(131)에 대응하는 상 시트(120)의 위치에는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 시트(110)에 상 시트(120)를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설편(131)은 구멍(121)을 경유하여 상 시트(120)의 표면 측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커넥터(140)에 대응하는 톱 세퍼레이터(220)의 위치에는,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40)는, 구멍(221)을 통해 톱 세퍼레이터(220)의 표면 측에 표출한다.
여기서, 하 시트(110)는, 폴리우레탄으로 되어있는 기재(基材)와, 이 기재의 피부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 시트(120)는, 폴리우레탄으로 되어있는 기재와, 이 기재의 피부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시트(110, 120)를 투습성이 높은 폴리우레탄을 사용해 구성했으므로, 발한에 의한 피부의 짓물림을 억제하고, 짓물림에 기인하는 가려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폴리우레탄은, 증기는 투과하지만, 고인 물은 투과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즉 증기와 같은 작은 입자는 투과하지만, 고인 물이나 물방울과 같은 큰 덩어리는 투과하지 않음), 예를 들면 목욕할 때에,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피부측으로의 물의 침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배선(132) 및 전극(133)으로의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기때문에, 피검자가 센서 시트(100)를 붙인 채로 목욕 하더라도 전기 회로가 쇼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양쪽을 폴리우레탄을 이용해 구성했지만, 가려움은 특히 시트의 주연부에서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되므로, 주연부(110a)가 되는 하 시트(110)만을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고, 상 시트(120)는 그 이외의 재료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또,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로서는, 발한에 의한 습도를 투과하면서, 배선(132) 및 전극(133)이 쇼트할만한 수분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폴리우레탄 이외의 각종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이나 부직포의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드시 폴리우레탄만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단, 발명자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이 가장 우수한 것을 찾아냈다. 여기서,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에 요구되는 것은, 예를 들면 목욕할 때에 상 시트(120)의 표면측으로부터 피부측으로의 물의 침투는 거의 없을 것(즉 방수성)과, 장시간 찢어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즉 내구성)과, 피부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추종할 것(즉 신축성)과, 얇게 할 수 있을 것, 이다. 폴리우레탄은, 방수성, 내구성, 신축성, 얇게 할 수 있을 것의 전부에 있어서 우수하다. 한편, 발포 폴리에틸렌은 내구성, 얇게 할 수 있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부직포는 방수성에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 시트(110)의 두께는, 15[μm]이다. 이 두께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시트의 두께가 50[μm]정도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얇다. 한편, 상 시트(120)의 두께는, 하 시트(110)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 시트(120)의 두께는, 50[μm]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하 시트(110)만으로 되어있는 주연부(110a)의 두께는 15[μm]로 매우 얇게 되어 있는데 비해서, 전기 회로부(130)를 보지하는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두께를 합계하면 65[μm]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연부(110a)를 매우 얇게 하더라도, 전기 회로부(130)를 보지하는 중앙 영역은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전기 회로부(130)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두껍게 하면 좋다. 말하자면,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강도가 높은 구성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면 상 시트(120)를 하 시트(110)보다 강도 높은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 두께가 주연부까지 포함하여 두꺼웠던 것은, 시트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나, 측정 요소로서의 전기 회로부(130)를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보지하는 것이 우선되어, 장시간 연속하여 첩착했을 때의 가려움 발생에는 충분한 배려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연부(110a)가 피부에 추종하면 큰폭으로 가려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착안점 하에서, 하 시트(110)의 재료 및 두께에 대해 검토했다. 그 결과, 하 시트(110)를 투습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했을 경우에, 하 시트(110)의 두께가 20[μm]이하이면, 2주간 정도 연속하여 계속 붙여도 가려움이 생기기 어려운 것을 알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 시트(110)를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고, 그 두께를 20[μm]이하로 할 것을 제안한다.
또, 이와 같이 하 시트(110)를 20[μm]이하로 매우 얇게 함으로써, 가려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더해, 피부로의 추종성이 좋기 때문에 벗겨지기 어려운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도 있다. 즉, 시트의 벗겨짐은 대부분의 경우 주연부로부터 일어나므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해서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선(132) 및 전극(133)은, 각각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상에 금속층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100[μm]정도이다. 또한, 배선(132) 및 전극(133)은, 상 시트(120) 또는 하 시트(110)에 직접 형성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상에 형성함으로써 단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되어있는 기재는, 하 시트(110) 및 상 시트(120)의 재료인 폴리우레탄과 비교하면 가효성이 작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배선(132)이 구불구불한(蛇行) 패턴을 포함한 패턴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체표(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배선(132)의 추종성이 좋아진다. 이 결과, 주연부(110a)에 더해, 전기 회로부(130)의 영역에 있어서도 피부로의 추종성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가려움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설편(131)은, 배선(132) 및 전극(133)의 기재보다 두껍다. 설편(131) 위에 설치된 커넥터(140)에는, 단말(300)이 탈착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커넥터(140)로의 단말(300)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피검자의 흉부로의 센서 시트(100)의 첩착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서 시트(100)를 흉부의 소정 위치에 첩착할 때에는, 우선, 라이너(210)를 벗기고, 센서 시트(100)를 톱 세퍼레이터(220)와 함께 흉부의 소정 위치에 눌러줌으로써, 하 시트(110)를 흉부의 소정 위치에 첩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톱 세퍼레이터(220)를 위에서 문질러줌으로써, 하 시트(110)를 피검자의 피부에 단단히 첩착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톱 세퍼레이터(220)의 하면에는, 센서 시트(100)를 보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약한 점착력의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톱 세퍼레이터(220)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얇은 하 시트(110)의 주연부(110a)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톱 세퍼레이터(220)의 중앙에는, 커넥터(140)를 피하기 위한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구멍(221)의 근방을 손가락으로 집고, 톱 세퍼레이터(220)를 좌우 양쪽으로 펼쳐서, 톱 세퍼레이터(220)를 센서 시트(100)로부터 벗긴다. 이와 같이 톱 세퍼레이터(220)를 센서 시트(100)의 엣지 측으로 부터가 아니라, 중앙 측으로부터 엣지 측으로 벗기도록 함으로써, 하 시트(110)가 톱 세퍼레이터(220)에 당겨져 엣지가 벗겨져 주름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검자의 흉부에 센서 시트(100)를 첩착한 후에, 사용자는 센서 시트(100)의 커넥터(140)에 단말(300)을 장착한다.
<센서 시트 100로의 단말 300의 설치 구조>
도3은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A는 사시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하면도이다.
단말(300)은, 코인 전지 및 메모리 등이 내장되어 있다. 단말(300)은, 전원 버튼(301)이 압압(押壓) 조작되면, 심전도의 측정·기록 동작을 개시하고, 센서 시트(100)로부터의 심전 신호에 기초하는 심전도를 기록한다. 이 측정·기록 동작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술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3C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300)의 이면에는, 센서 시트(100)에 설치된 커넥터(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310)가 준비되어 있다.
도4는 센서 시트(100)에 설치하기 위한 단말(300)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단면도이다. 도4A는 설치전의 단면도이고, 도4B는 설치 후의 단면도이다.
도5는 센서 시트(100)에 설치하기 위한 단말(300)의 설치 구조의 설명에 제공하는 사시도이며, 도5A는 설치전의 사시도이고, 도5B는 설치 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센서 시트(100) 측에 설치된 커넥터(140)는, 평면에서 봤을 때 타원 형상의 패킹(141)을 가진다. 패킹(141)에 둘러싸인 설편(131) 위에는, 타단(他端)이 전극(133)으로 이어지는 배선(132)의 종단(終端)이 배치되어 있다.
또, 단말(300)의 이면에는, 패킹(141)이 꼭 들어가는 크기의 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11)내에는, 스프링 프로브(312) 및 USB 단자(313)가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300)의 이면에는, 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쉴드 프레임(3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쉴드 프레임(315)에 의해서 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쉴드 프레임(315)내에는, 센서 시트(100)의 센서(전극 133)에 접속되는 단자(스프링 프로브 312)에 더해, 외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USB 단자 313)가 준비되어 있다. 이 외부 단자는 메모리에 기억된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에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단말의 설정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다. 그리고, 쉴드 프레임(315)은, 패킹(141)이 장착되면, 단자가 있는 내부가 외부와 차단된다.
이것에 의해, 도4B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300)의 이면의 삽입구(311)에 패킹(141)을 삽입하면, 스프링 프로브(312)가 설편(131) 위에 표출해 있는 배선(132)의 종단에 소정의 압력으로 당접함으로써, 각 스프링 프로브(312)와 각 배선(1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패킹(141)에 둘러싸인 안쪽은 바깥쪽으로 부터의 물의 침수가 방지된다. 즉, 복수의 스프링 프로브(312)와 복수의 배선(132)은 물에 의해서 쇼트하는 일 없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삽입구(311)내에는, 스프링 프로브(312)에 더해, USB 단자(313)도 배설(配設)되어 있으므로, 단말(300)이 센서 시트(100)에 장착되어 심전도의 계측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USB 단자(313)가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심전도의 계측 중에 USB 단자(313)에 외부의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것에 기인하는 감전 가능성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전도 계측용의 단자(스프링 프로브(312))와 USB 단자(313)가 물리적으로 동시에 접속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패킹(141)내에 심전도 계측용의 단자(스프링 프로브(312))와 USB 단자(313)가 수용되므로, 이들 단자의 방수도 동시에 실현된다. 즉, 간이(簡易)한 구성에 의해, 방수와 안전성의 양쪽 모두가 확보된다.
또, 도5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편(131)의 선단(先端)에는 광폭(廣幅)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말(300)의 이면에는, 계지용 절결(係止用切欠/걸기 위해 잘라낸 부분)(31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11)에 커넥터(140)의 패킹(141)이 삽입되면, 계지용 절결(314)에 설편(131)의 광폭부(150)가 계합(係合/서로 끼워짐)함으로써, 단말(300)의 화살표 z방향(단말300을 부착했을 때의 지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설편(131)에 의해서 계지(係止/걸림)된다.
또, 상 시트(120)의 표면 측에는, 매직테이프(160)가 고착되어 있다. 이 매직테이프(160)는, 단말(300)의 이면 측에 설치된 매칙테이프(320)와 첩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300)은, 삽입구(311)에 패킹(141)이 삽입되면, 설편(131)과 계지용 절결(314)과의 계합, 및, 매직테이프(160, 320)끼리의 접합에 의해서 센서 시트(100) 위에 보지(保持)된다. 여기서 매직테이프(160, 320)는, 면의 수직 방향의 보지력은 약하지만, 면(面)방향의 보지력은 강하다. 따라서, 설편(131) 및 매직테이프(160, 320)에 의해 단말(300)의 면방향으로의 낙하를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300)은, 상부에서 설편(131)에 계합함으로써, 설편(131)을 축으로 하여 매달리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단말(300)을 가볍게 센서 시트(100)쪽(즉 피검자측)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매직테이프(160, 320) 끼리가 접합하여 흔들리던 것이 억제된다. 실제상, 단말(300)은, 설편(131)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센서 시트(100) 로부터 떠있는 상태로 보지된다.
피검자가 단말(300)을 피부로 느끼는 것은, 설편(131)과 패킹(141)과의 접합 부분과, 매직테이프(160, 320)끼리의 접합 부분이고, 이 결과, 예를 들면 단말(300)의 이면 전체를 센서 시트(100)에 고착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말(300)의 존재에 의한 피검자의 위화감을 작게 할 수 있다. 매직테이프(160, 320)의 면적을 작게 하면, 피검자의 위화감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매직테이프(160)는, 겔(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겔이 완충재가 되므로, 피검자가 보다 단말(300)의 존재를 느끼기 어렵게 된다.
또한, 매직테이프(160, 320)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스냅버튼이나 자석 등을 이용해도 좋다. 말하자면, 재접합 가능한 각종의 접합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센서 시트(100)에 설치되었을 때에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쉴드 프레임(315) 내에, 센서 시트(100)의 센서(전극 133)에 접속되는 단자(스프링 프로브 312)에 더해, 외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USB 단자 313)를 준비함으로써, 생체 정보의 측정시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전류가 단말(300) 및 센서 시트(100)를 경유하여 피검자에게 흐르는 것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단자가 USB 단자와 같이 범용일 경우에는, 외부 기기로서 의료기기 이외의 전자기기가 접속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의료기기 이외의 전자기기는, 의료상의 안전기준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 단자를 경유하여 센서 시트에 접속되었을 경우, 피검자에게 위험한 전류가 흐를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의료기기 이외의 전자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범용의 외부 단자를 구비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측정 중에는 이 외부 단자에 전자기기가 접속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검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쉴드 프레임(315)에 패킹(141)을 삽입함으로써, 단자의 방수와, 측정중에 있어서의 외부 단자로의 전류 공급의 방지를 한꺼번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센서 시트를, 전부의 전극(133)이 1개의 시트(110, 120)내에 수용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각 전극(133)이 독립된 시트에 배치되고, 피검자에게 첩착되지 않는 리드선에 의해서 각 전극(133)이 접속되는 형태의 시트에 적용해도 좋다. 단,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극(133), 배선(132) 및 설편(131)이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을 따로 구성하여, 케이블이나 커넥트부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구성과 비교해, 노이즈가 적은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시트(100)에 배선(132) 및 전극(133) 등으로 되어있는 전기 회로부(130)를 탑재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센서 시트에 탑재하는 센서는 전기 회로부(13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pO2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 부품을 센서로서 탑재해도 좋다. 센서 시트에 탑재하는 센서는, 측정하는 대상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센서로서의 전기 회로부(130)를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사이에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센서는 상 시트(120) 위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시트(100)의 중앙 영역은, 하 시트(110)와 상 시트(120)의 다층 구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중앙 영역에 하 시트(110)를 존재시키지 않고 상 시트(120)만의 단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도, 상 시트(120)의 강도를 하 시트(110)보다 높게 하면, 중앙 영역에서의 센서의 보지력과 주연부(110a)의 피부로의 추종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설편(131)을 상 시트(120)와 별도로 형성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설편(131)을 상 시트(120)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즉, 설편(131)은 상 시트(120)로부터 연장하듯이 늘어나 있으면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구체화된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5년 9월 11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5-179595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해당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센서 시트와, 이 센서 시트에 설치되는 단말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00 센서 시트
110 하 시트
110a 주연부
120 상 시트
130 전기 회로부
131 설편
132 배선
133 전극
134 겔
140 커넥터
141 패킹
150 광폭부
160, 320 매직테이프
210 라이너
220 톱 세퍼레이터
300 단말
310 부착부
311 삽입구
312 스프링 프로브
313 USB 단자
314 계지용 절결
315 쉴드 프레임

Claims (4)

  1. 피검자의 피부에 첩착되는 센서 시트와,
    상기 센서 시트에 설치되는 단말을 가지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센서 시트에 설치되었을 때에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쉴드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쉴드 프레임내에는, 상기 센서 시트의 센서에 접속되는 센서 접속 단자에 더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트에 상기 단말이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접속 단자는, 상기 센서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트는, 상기 단말의 상기 쉴드 프레임에 삽입되는 패킹을 가지고,
    상기 센서 시트에 상기 단말이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쉴드 프레임에 상기 패킹이 삽입된 상태가 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내에는, 상기 센서 시트의 단자가 배설(配設)되어 있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20187006944A 2015-09-11 2016-09-08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2287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9597 2015-09-11
JP2015179597 2015-09-11
PCT/JP2016/076506 WO2017043597A1 (ja) 2015-09-11 2016-09-08 生体情報測定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680A Division KR20200074285A (ko) 2015-09-11 2016-09-08 생체 정보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98A true KR20180039698A (ko) 2018-04-18
KR102287701B1 KR102287701B1 (ko) 2021-08-09

Family

ID=58239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944A KR102287701B1 (ko) 2015-09-11 2016-09-08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20207017680A KR20200074285A (ko) 2015-09-11 2016-09-08 생체 정보 측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680A KR20200074285A (ko) 2015-09-11 2016-09-08 생체 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3001B2 (ko)
EP (1) EP3348189B1 (ko)
JP (1) JP6768673B2 (ko)
KR (2) KR102287701B1 (ko)
CN (1) CN107949323B (ko)
WO (1) WO2017043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5228B2 (ja) * 2018-03-28 2023-08-29 ニプロ株式会社 生体用電極パッドと生体信号処理装置との組合せ
EP3578096A1 (en) * 2018-06-07 2019-12-11 Koninklijke Philips N.V. A wearable device
TWM569612U (zh) * 2018-08-28 2018-11-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心電圖裝置
CN111184507B (zh) * 2019-03-12 2024-04-26 深圳碳云智能数字生命健康管理有限公司 微型心电采集设备、采集器及主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915A (ja) 1993-02-23 1994-09-06 Tsutomu Otake 生体電気信号記録具
JP2001269322A (ja) 2000-03-24 2001-10-02 Hiroshi Matsumoto 心電図信号誘導用電極装置及び心電図信号測定装置
JP2009517160A (ja) * 2005-11-30 2009-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薄型の医療監視パッチに対する電気機械コネクタ
US20110077497A1 (en) * 2008-05-01 2011-03-31 Oster Craig D Biomedical sensor system
JP2011516110A (ja) * 2008-03-10 2011-05-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連続的な外来患者のecg監視システム
WO2014057083A2 (en) * 2012-10-12 2014-04-17 Delta, Dansk Elektronik, Lys Og Akustik A monitoring device
US20140243612A1 (en) * 2013-02-22 2014-08-28 Biosign Technologies, Inc. Simultanious multi-parameter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with local and remote analytical capability
US20150082623A1 (en) * 2013-09-25 2015-03-26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ess-Pliant Physiological Electrode Assembly
WO2015048191A1 (en) * 2013-09-25 2015-04-02 Bardy Diagnostics, Inc. Event alerting through actigraphy embedded within electrocardiographic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628B2 (ja) * 1999-09-09 2005-09-21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信号検出装置およびホルタ心電計
JP2001004622A (ja) * 2000-01-01 2001-01-12 Toto Ltd 健康管理装置
DE602007002277D1 (de) * 2006-01-23 2009-10-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besserte biomedizinische elektrode zur längeren anwendung bei patienten mit einem deckel oder schnapper, der von der haltedichtung isoliert ist
WO2009112975A1 (en) * 2008-03-10 2009-09-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tertight cardiac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915A (ja) 1993-02-23 1994-09-06 Tsutomu Otake 生体電気信号記録具
JP2001269322A (ja) 2000-03-24 2001-10-02 Hiroshi Matsumoto 心電図信号誘導用電極装置及び心電図信号測定装置
JP2009517160A (ja) * 2005-11-30 2009-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薄型の医療監視パッチに対する電気機械コネクタ
JP2011516110A (ja) * 2008-03-10 2011-05-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連続的な外来患者のecg監視システム
US20110077497A1 (en) * 2008-05-01 2011-03-31 Oster Craig D Biomedical sensor system
WO2014057083A2 (en) * 2012-10-12 2014-04-17 Delta, Dansk Elektronik, Lys Og Akustik A monitoring device
US20150250422A1 (en) * 2012-10-12 2015-09-10 Delta, Dansk Elektronik, Lys Og Akustik Monitoring device
US20140243612A1 (en) * 2013-02-22 2014-08-28 Biosign Technologies, Inc. Simultanious multi-parameter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with local and remote analytical capability
US20150082623A1 (en) * 2013-09-25 2015-03-26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ess-Pliant Physiological Electrode Assembly
WO2015048191A1 (en) * 2013-09-25 2015-04-02 Bardy Diagnostics, Inc. Event alerting through actigraphy embedded within electrocardiographic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8673B2 (ja) 2020-10-14
KR20200074285A (ko) 2020-06-24
KR102287701B1 (ko) 2021-08-09
CN107949323B (zh) 2021-10-12
EP3348189A4 (en) 2019-03-13
EP3348189B1 (en) 2022-09-07
US11123001B2 (en) 2021-09-21
CN107949323A (zh) 2018-04-20
EP3348189A1 (en) 2018-07-18
JPWO2017043597A1 (ja) 2018-04-26
US20180235501A1 (en) 2018-08-23
WO2017043597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9697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JP6537618B2 (ja) センサーシート
KR20180039698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CN104768450A (zh) 监测装置
US8831715B2 (en) ECG hand-held device
JP2010532676A (ja) 遮蔽された生体用電極パッチ
EP4137050A1 (en) Bioelectrode that can be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US11615885B2 (en) Wearable sensing device and sensor unit for acquiring one or more physiological signals of a subject
JP6454993B2 (ja) 生体情報収集装置と生体情報収集装置用粘着部材
US11006882B2 (en) Medical sensor
US11510620B2 (en) Sensor devices having weakened por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2009050402A (ja) 携帯型医療電子機器用収容袋
CN117322886A (zh) 心电监测系统
CN117297616A (zh) 心电电极贴片
JP2022160008A (ja) 電極構造体及び装着具
KR20200033417A (ko) 심전도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5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618

Effective date: 2021041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