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21A - 슬라이딩 부품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21A
KR20180039021A KR1020177036074A KR20177036074A KR20180039021A KR 20180039021 A KR20180039021 A KR 20180039021A KR 1020177036074 A KR1020177036074 A KR 1020177036074A KR 20177036074 A KR20177036074 A KR 20177036074A KR 20180039021 A KR20180039021 A KR 2018003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liding
dynamic pressure
pressure generating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287B1 (ko
Inventor
유이치로 토쿠나가
히데유키 이노우에
와타루 키무라
테츠야 이구치
타케시 호소에
히데토시 카사하라
타카후미 오타
케이이치 치바
마사토시 이타다니
히카루 카토리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7Grooves for generat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16J15/34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16J15/342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micro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3Gas turbine engines
    • F16C2360/24Turbo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의 누설 및 슬라이딩면으로의 더스트의 진입을 방지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4, 7) 중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R)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10)이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의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부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메카니컬 시일, 베어링, 그 외, 슬라이딩부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면에 유체를 개재시켜 마찰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밀봉환, 예를 들면 터보 차저용 혹은 항공 엔진용의 기어 박스에 사용되는 오일 시일, 또는 베어링 등의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부품의 일례인 메카니컬 시일에 있어서, 그 성능은, 누설량, 마모량, 및 토크에 의해 평가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메카니컬 시일의 슬라이딩 재질이나 슬라이딩면 거칠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성능을 높이고, 저누설, 고수명, 저토크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의 고조로, 메카니컬 시일의 추가적인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종래 기술의 틀을 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한 중에서, 예를 들면 터보 차저와 같은 회전 부품의 오일 시일 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회전축과,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회전체와,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체의 단면에 맞닿아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 형상의 고정체를 구비하고, 고정체의 맞닿음면에는 유체의 원심력에 의해 정압을 발생시키는 환 형상의 홈이 설치되어, 오일이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예를 들면 유독한 유체를 시일하는 회전축의 축봉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링과 케이싱에 장착된 정지(靜止) 링을 구비하고, 회전 링 및 정지 링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면에 회전 링의 회전에 의해 저압측의 액체를 고압측을 향하여 말려들게 하는 스파이럴홈이 고압측의 단부가 막다름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고, 고압측의 피밀봉 유체가 저압측에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예를 들면 터보 차저의 구동축을 압축기 하우징에 대하여 시일하는데 적합한 면 시일 구조로서, 협동(協動)하는 한 쌍의 시일 링 중, 한쪽은 회전 구성 요소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정지 구성 요소에 설치되고, 이들 시일 링은, 작동 중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 형성된 시일면을 갖고, 시일면들의 사이에, 시일면의 외측 구역을 시일면의 내측 구역에 대하여 시일하기 위한 시일 갭이 형성되어, 시일면의 적어도 한쪽에, 가스를 반송하는데 유효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고, 당해 오목부는 시일면의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있는 동시에, 오목부의 내단은 상기 시일면의 다른 한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고, 비가스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 매체 중의 비가스 성분이 시일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87-117360호
[특허문헌 2]일본국 공개특허공보 1987-31775호
[특허문헌 3]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2610호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 링(51)의 슬라이딩면(51a)에 회전 링(52)의 회전에 의해 저압 유체측(이하, 「누설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유체를 피밀봉 유체측(고압 유체측)을 향하여 말려들게 하는 스파이럴홈(53)의 누설측의 단부(53a)가 누설측에 직접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 정지 링(51)의 슬라이딩면과 회전 링(52)의 슬라이딩면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더스트가 강제적으로 슬라이딩면에 끌어 당겨질 경우가 있다. 또한 끌어 당겨진 더스트는 양 슬라이딩면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분쇄되고, 미세화되어, 양 슬라이딩면의 사이에 더욱 진입하기 쉬워져, 양 슬라이딩면의 마모 등의 표면 손상을 촉진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정상(定常)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의 누설 및 슬라이딩면으로의 더스트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첫 번째로,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미세한 오목부는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두 번째로,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인 액체 또는 미스트 상태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 및 누설측의 유체 중에 존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미세한 오목부는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세 번째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정상 운전 시에는 누설측의 유체가 피밀봉 유체측을 향하여 펌핑되어, 피밀봉 유체가 누설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네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딤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다섯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헤링본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섯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레일리 스텝 기구를 형성하는 그루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그루브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일곱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단부가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와 비교하여 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설측의 개구부가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동압 발생홈의 누설측의 단부와 누설측이 비연통이며,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동압 발생홈으로의 진입이 억제된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으로의 유체 공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덟 번째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됨으로써,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미세한 오목부는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2)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인 액체 또는 미스트 상태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 및 누설측의 유체 중에 존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미세한 오목부는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3)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누설측의 유체가 피밀봉 유체측을 향하여 펌핑되어, 피밀봉 유체가 누설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4)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딤플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5)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헤링본홈으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레일리 스텝 기구를 형성하는 그루브부로 구성됨으로써, 그루브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단부가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와 비교하여 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설측의 개구부가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동압 발생홈의 누설측의 단부와 누설측이 비연통이며,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동압 발생홈으로의 진입이 억제된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으로의 유체 공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8)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됨으로써,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메카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지면(紙面) 하방의 수평 방향에 회전 중심이 존재한다.
[도 3]은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미세한 오목부가 갖는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한쪽의 슬라이딩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한쪽의 슬라이딩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한쪽의 슬라이딩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한쪽의 슬라이딩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부품의 일례인 메카니컬 시일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메카니컬 시일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부품의 외주측을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 내주측을 누설측(기체측)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측이 누설측(기체측), 내주측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일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과 누설측(기체측)과의 압력의 대소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이 고압, 누설측(기체측)이 저압, 혹은, 그 반대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양쪽의 압력이 동일하여도 된다.
도 1은, 메카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슬라이딩면의 외주로부터 내주 방향을 향하여 누설되려고 하는 피밀봉 유체, 예를 들면 베어링부에 사용된 윤활유를 밀봉하는 형식의 인사이드 형식이고, 터보 차저에 구비된 컴프레서의 임펠러(1)를 구동시키는 회전축(2)측에 슬리브(3)를 통하여 이 회전축(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인 원환 형상의 회전측 밀봉환(4)과, 하우징(5)에 카트리지(6)를 통하여 비회전 상태로,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인 원환 형상의 고정측 밀봉환(7)이 설치되고, 고정측 밀봉환(7)을 축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8)에 의해, 래핑 등에 의해 경면 처리된 슬라이딩면(S)끼리 밀접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메카니컬 시일은,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S)을 갖고, 서로의 슬라이딩면(S)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 예를 들면 액체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이하, 액체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를, 간단히 「액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슬라이딩면(S)의 외주로부터 내주측의 누설측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9는 O링을 나타내며, 카트리지(6)와 고정측 밀봉환(7)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10은 동압 발생홈, 부호 11은 미세한 오목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들에 관해서는 후기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슬리브(3)와 회전측 밀봉환(4)이 별체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슬리브(3)와 회전측 밀봉환(4)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재질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탄화 규소(SiC) 및 자기(自己) 윤활성이 우수한 카본 등으로부터 선정되지만, 예를 들면 양쪽이 SiC, 혹은, 어느 한쪽이 SiC이며 다른 한쪽이 카본인 조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회전측 밀봉환(4) 및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의 랜드부(R)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1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동압 발생홈(10)은,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만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의 경방향에 있어서의 누설측 및 피밀봉 유체측에는 랜드부(R)가 존재하고, 이 회전측 밀봉환(4)의 랜드부(R)에 대하여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랜드부(R)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동압 발생홈(10)을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의 외경은, 회전측 밀봉환(4)의 동압 발생홈(10)의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보다 경방향으로 크고, 또한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누설측의 내경은,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보다 경방향으로 작게 설정되어,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의 랜드부(R)와 회전측 밀봉환(4)의 동압 발생홈(10)의 내경측 및 외경측의 랜드부(R)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동압 발생홈(10)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미세한 오목부(11)는,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은 비연통이다.
도 3에 있어서는, 미세한 오목부(11)는, 대략 원형의 딤플(111)로 구성되어 있다. 딤플(111)은, 랜덤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고, 그 크기, 예를 들면 직경은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한 오목부」는, 평탄한 슬라이딩면(S)에 형성되는 파임이며,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파임의 평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장원형, 혹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되고, 파임의 단면 형상도 밥공기 형상,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면(S)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11)는, 이 슬라이딩면(S)과 상대 슬라이딩하는 상대측 슬라이딩면과의 사이에 유체역학적인 윤활액막으로서 개입하는 액체의 일부를 유지하고, 윤활액막을 안정화시키는 기능도 갖는 것이다.
개개의 미세한 오목부(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레일리 스텝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R))에는 도면의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리 스텝(11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측 밀봉환(7)의 슬라이딩면(S)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측 밀봉환(4)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양 슬라이딩면 사이에 개재되는 유체가, 그 점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추종 이동하려고 하고, 그 때, 레일리 스텝(11a)의 존재에 의해 동압(정압)을 발생시킨다. 이 동압의 발생에 의해 양 슬라이딩면의 간격이 아주 조금 넓혀져, 누설측의 유체가 동압 발생홈(10)에 흡입되기 쉬워지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압 발생홈(10)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동압 발생홈(10)은,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0)의 경방향에 있어서의 누설측 및 피밀봉 유체측에는 랜드부(R)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누설측의 단부(10a)로부터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0b)를 향하여 펌핑 작용을 발휘하도록 스파이럴 형상으로 경사져, 단부(10b)에 있어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0)은,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딤플(111)의 작용에 도움을 받으면서, 누설측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0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딤플(111)은,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의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 설치되고, 각각이 독립된 형상이기 때문에,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누설측과의 사이가 직접 연통되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동압 발생홈(10)으로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S)(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양 슬라이딩면(S)의 랜드부(R)에 의해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10)이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의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미세한 오목부(11)를 구성하는, 독립 형상의 딤플(111)이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 및 누설측의 유체 중에 존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10)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또한 딤플(111)은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2) 동압 발생홈(10)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누설측의 유체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을 향하여 펌핑되어, 피밀봉 유체인 액체가 누설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3)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가 대략 원형의 딤플(111)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동압 발생홈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의 구성이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를 구성하는 헤링본홈(11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헤링본홈(112)은,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 설치된다.
헤링본홈(112)은, 평면 형상이 직각으로 구부러진 대략 L자 형상을 하고 있어, 슬라이딩면의 상류측을 향하여 열리도록 배열되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개개의 미세한 헤링본홈(11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레일리 스텝을 구성하고, 회전측 밀봉환(4)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양 슬라이딩면 사이에 개재되는 유체가, 그 점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추종 이동하려고 하고, 그 때, 헤링본홈(112)의 레일리 스텝(112a)의 존재에 의해 동압(정압)을 발생시킨다. 이 동압의 발생에 의해 양 슬라이딩면의 간격이 아주 조금 넓혀져, 누설측의 유체가 동압 발생홈(10)에 흡입되기 쉬워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2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S)(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양 슬라이딩면(S)의 랜드부(R)에 의해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10)이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의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미세한 오목부(11)를 구성하는, 독립 형상의 헤링본홈(112)이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 및 누설측의 유체 중에 존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10)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헤링본홈(112)은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2) 동압 발생홈(10)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누설측의 유체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을 향하여 펌핑되어, 피밀봉 유체인 액체가 누설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3)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가 헤링본홈(112)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동압 발생홈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11)의 구성이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를 구성하는 그루브부(113a)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루브부(113a)는, 동압 발생홈(10)의 누설측의 단부(10a)와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 설치된다. 또한 그루브부(113a)는,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 형상을 하고 있어, 반경 방향 깊은홈(12)과 함께 레일리 스텝 기구(113)를 형성한다. 그루브부(113a)의 깊이는 반경 방향 깊은홈(12)의 깊이에 비하여 얕다.
개개의 미세한 그루브부(113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레일리 스텝을 구성하고, 회전측 밀봉환(4)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반경 방향 깊은홈(12)을 통하여 누설측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흡입된 유체가, 그 점성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추종 이동하려고 하고, 그 때, 레일리 스텝 기구(113)의 레일리 스텝(113b)의 존재에 의해 동압(정압)을 발생시킨다. 이 동압의 발생에 의해 양 슬라이딩면의 간격이 아주 조금 넓혀져, 누설측의 유체가 동압 발생홈(10)에 흡입되기 쉬워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3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S)(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양 슬라이딩면(S)의 랜드부(R)에 의해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10)이 설치되고, 동압 발생홈(10)과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IS)의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미세한 오목부(11)를 구성하는, 독립 형상의 그루브부(113a)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슬라이딩면을 유체 윤활의 저마찰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피밀봉 유체인 액체의 누설 및 누설측의 유체 중에 존재하는 더스트의 슬라이딩면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면의 밀봉과 윤활의 상반되는 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압 발생홈(10)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또한 그루브부(113a)는 동압 발생홈(10)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시에도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2) 동압 발생홈(10)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정상 운전 시에는 누설측의 유체가 피밀봉 유체인 액체측을 향하여 펌핑되어, 피밀봉 유체인 액체가 누설측에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3)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레일리 스텝 기구(113)를 형성하는 대략원호 형상의 그루브부(113a)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루브부(113a)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보다 큰 동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동압 발생홈의 형상이 실시예 1의 슬라이딩 부품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15)은, 실시예 1의 동압 발생홈(10)과 같이, 동압 발생홈(15)의 경방향에 있어서의 누설측 및 피밀봉 유체측에는 랜드부(R)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누설측의 단부(15a)로부터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5b)를 향하여 펌핑 작용을 발휘하도록 스파이럴 형상으로 경사져, 단부(15b)에 있어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 때, 스파이럴 형상의 동압 발생홈(15)은, 정상 운전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고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딤플(111)의 작용에 도움을 받으면서, 누설측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5b) 부근에서 동압(정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회전측 밀봉환(4)과 고정측 밀봉환(7)과의 슬라이딩면(S)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면(S)은 기체 윤활 상태가 되어 매우 저마찰이 된다.
동압 발생홈(15)의 누설측의 단부(15a)와 누설측과의 사이에는, 독립된 형상의 대략 원형의 딤플(111)이 단부(15a)와 누설측과 이간하여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15a)와 누설측이 직접 연통되는 경우는 없고,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동압 발생홈(15)으로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지만, 동시에, 동압 발생홈(15)으로의 누설측의 유체 공급도 억제된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내는 동압 발생홈(15)은, 누설측의 단부(15a)가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5b)와 비교하여 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설측의 개구부가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압 발생홈(15)으로의 유체 공급 효과가 증대되어 있다.
동압 발생홈(15)의 누설측의 단부(15a)는, 유체 공급 효과를 증대시키는 의미에서는 상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설측의 단부(15a)의 경방향의 폭은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15b)의 폭과 같은 정도이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4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동압 발생홈(15)의 누설측의 단부(15a)와 누설측이 비연통이며, 누설측의 유체 중에 혼재하는 더스트의 동압 발생홈(15)으로의 진입이 억제된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동압 발생홈(15)으로의 유체 공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5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은,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피밀봉 유체측에 유체 도입홈 및 정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6)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 도입홈(16)은,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1개 이상 배열 설치되고, 평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밀봉 유체측과 연통하고, 내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유체 도입홈(16)의 원 둘레 방향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유체 도입홈(16)보다 얕은 정압 발생홈(17a)을 구비하는 정압 발생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 발생 기구(17)는, 정압(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구이다.
정압 발생홈(17a)은, 상류측이 유체 도입홈(16)에 연통하고,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정압 발생 기구(17)는, 상류측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에 연통하는 정압 발생홈(17a) 및 레일리 스텝(17b)을 구비한 레일리 스텝 기구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즉, 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도 8(a)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 및 정압 발생 기구(17)가 이루는 평면 형상은 대략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지금, 회전측 밀봉환(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할 경우, 외주측의 액체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유체 도입홈(16)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8(b)는, 유체 도입홈의 형상이 다른 점에서 도 8(a)와 상이하지만, 그 외에는 도 8(a)와 같다.
도 8(b)에 있어서,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8)이 설치되어 있다.
유체 도입홈(18)은,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열 설치되고,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만 연통하는 유체 도입부(18a) 및 유체 도출부(18b), 및 이들을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유체 연통부(18c)로 구성되어, 내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유체 도입부(18a) 및 유체 도출부(18b)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각각, 경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도입홈(18)의 평면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유체 도입홈(18)과 외주측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에 유체 도입홈(18)보다 얕은 정압 발생홈(17a)을 구비하는 정압 발생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 발생 기구(17)는, 정압(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구이다.
정압 발생홈(17a)은, 상류측이 유체 도입부(18a)에 연통하고, 유체 도출부(18b) 및 외주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정압 발생 기구(17)는, 상류측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8)의 유체 도입부(18a)에 연통하는 정압 발생홈(17a) 및 레일리 스텝(17b)을 구비한 레일리 스텝 기구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즉, 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지금, 회전측 밀봉환(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할 경우, 외주측의 액체는 대략 U자 형상의 유체 도입홈(18)의 유체 도입부(18a)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되어, 유체 도출부(18b)로부터 외주측에 배출되지만, 그 때,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S)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8)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도 8(b)에서는 유체 도입홈(18)의 평면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체 도입부(18a)와 유체 도출부(18b)가 내경측에 있어서 교차하는 형상, 즉, 대략 V자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5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측 밀봉환(4)의 슬라이딩면(S)에는, 당해 슬라이딩면(S)의 피밀봉 유체측, 즉, 외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누설측, 즉, 내주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16 또는 18)이 설치됨으로써, 기동 시 등의 회전측 밀봉환(4)의 저속 회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면(S)의 외주측에 존재하는 액체가 적극적으로 슬라이딩면(S)에 도입되어, 슬라이딩면(S)의 윤활을 행할 수 있다. 그 때, 정압 발생 기구(17)에 의해 정압(동압)이 발생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 사이의 유체막이 증대되어, 윤활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4)이 정상 운전 등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유체 도입홈(16 또는 18)으로부터 슬라이딩면에 도입된 액체는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누설측인 내주측에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을 메카니컬 시일 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회전측 밀봉환 및 고정측 밀봉환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원통 형상 슬라이딩면의 축방향 일방측에 윤활유를 밀봉하면서 회전축과 슬라이딩하는 베어링의 슬라이딩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의 외주측을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 내주측을 누설측(기체측)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측이 누설측(기체측), 내주측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일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과 누설측(기체측)과의 압력의 대소 관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피밀봉 유체측(액체측 혹은 미스트 상태의 유체측)이 고압, 누설측(기체측)이 저압, 혹은, 그 반대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양쪽의 압력이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압 발생홈(10)이 스파이럴 그루브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리 스텝과 역 레일리 스텝의 조합이어도 되고, 즉,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동압(정압)을 발생시키는 기구이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세한 오목부(11)에 대해서, 딤플(111), 헤링본홈(112) 및 레일리 스텝 기구(113)의 레일리 스텝(113b)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평행홈, 직교홈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딤플(111)의 형상에 대하여 대략 원형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장원형 혹은 직사각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4에서는, 누설측의 개구부가 확대된 동압 발생홈(15)에 대하여 실시예 1에 적용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 2 및 3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5에서는, 슬라이딩면의 피밀봉 유체측에 설치되는 유체 도입홈 및 정압 발생 기구에 대하여 실시예 1에 적용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 2, 3 및 4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임펠러
2 회전축
3 슬리브
4 회전측 밀봉환
5 하우징
6 카트리지
7 고정측 밀봉환
8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
10 동압 발생홈
10a 누설측의 단부
10b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
11 미세한 오목부
111 딤플
112 헤링본홈(미세한 오목부)
112a 레일리 스텝
113 레일리 스텝 기구
113a 그루브부
113b 레일리 스텝
12 반경 방향 깊은홈
15 동압 발생홈
16 유체 도입홈
17 정압 발생 기구
18 유체 도입홈
S 슬라이딩면
IS 동압 발생홈의 누설측의 단부와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
R 랜드부

Claims (8)

  1.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2.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고정측 밀봉환이며, 다른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은 회전측 밀봉환이며, 이들 밀봉환은 반경 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갖고, 피밀봉 유체인 액체 또는 미스트 상태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시일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양 슬라이딩면의 랜드부에 의해 피밀봉 유체측 및 누설측과 비연통하게 격리되도록 동압 발생홈이 설치되고, 상기 동압 발생홈과 상기 누설측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의 상기 동압 발생홈과 경방향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는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유체를 흡입하여 피밀봉 유체측에 펌핑하는 스파이럴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딤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헤링본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형상의 미세한 오목부는, 레일리 스텝 기구를 형성하는 그루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 발생홈은, 누설측의 단부가 피밀봉 유체측의 단부와 비교하여 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설측의 개구부가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피밀봉 유체측에 연통하고, 누설측에는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 도입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KR1020177036074A 2015-06-15 2016-05-13 슬라이딩 부품 KR102049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9942 2015-06-15
JPJP-P-2015-119942 2015-06-15
PCT/JP2016/064251 WO2016203878A1 (ja) 2015-06-15 2016-05-13 摺動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21A true KR20180039021A (ko) 2018-04-17
KR102049287B1 KR102049287B1 (ko) 2019-11-27

Family

ID=5754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074A KR102049287B1 (ko) 2015-06-15 2016-05-13 슬라이딩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3220B2 (ko)
EP (1) EP3309431B1 (ko)
JP (1) JP6776232B2 (ko)
KR (1) KR102049287B1 (ko)
CN (1) CN107735604B (ko)
BR (1) BR112017026914A2 (ko)
WO (1) WO2016203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81104B2 (en) * 2014-06-26 2017-08-24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09563934A (zh) 2016-08-15 2019-04-02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EP3514414B1 (en) 2016-09-14 2021-11-03 Eagle Industry Co., Ltd. Mechanical seal
US11125334B2 (en) * 2016-12-21 2021-09-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Hydrodynamic sealing component and assembly
CN110168264B (zh) * 2017-01-30 2021-06-15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WO2018139232A1 (ja) * 2017-01-30 2018-08-0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7275028B2 (ja) 2017-05-19 2023-05-1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KR102346395B1 (ko) * 2017-05-19 2022-01-03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TWI640704B (zh) * 2017-06-06 2018-11-11 祥景精機股份有限公司 具有反曲點溝槽之非接觸式氣體軸封
US11248706B2 (en) * 2017-07-07 2022-02-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member
EP3653913A4 (en) * 2017-07-13 2021-03-1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ELEMENT
KR102459648B1 (ko) * 2017-07-14 2022-10-28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EP3680519A4 (en) 2017-09-05 2021-05-12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ELEMENT
JP7118566B2 (ja) * 2017-09-20 2022-08-1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
EP3693638A4 (en) 2017-10-03 2021-06-23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11542713A (zh) 2018-01-12 2020-08-1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US11320052B2 (en) 2018-02-01 2022-05-03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s
US11549589B2 (en) 2018-02-21 2023-01-10 Eagle Industry Co., Ltd. Mechanical seal
US11608897B2 (en) 2018-08-01 2023-03-21 Eagle Industry Co., Ltd. Slide component
CN109058156A (zh) * 2018-08-17 2018-12-21 浙江工业大学 一种似梳子动静压组合型机械密封端面结构
WO2020040234A1 (ja) 2018-08-24 2020-02-2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CN109185461A (zh) * 2018-10-26 2019-01-11 清华大学 旋转机械设备的密封端面结构
US11815184B2 (en) 2018-11-30 2023-11-14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WO2020130087A1 (ja) 2018-12-21 2020-06-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7297393B2 (ja) 2019-02-04 2023-06-2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及び摺動部品の製造方法
JP7307102B2 (ja) * 2019-02-04 2023-07-1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7292813B2 (ja) * 2019-02-04 2023-06-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7313788B2 (ja) * 2019-02-04 2023-07-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7370681B2 (ja) 2019-02-14 2023-10-3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CN113412369B (zh) * 2019-02-14 2023-11-1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EP3926188A4 (en) 2019-02-15 2022-11-0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S
CN113508238B (zh) * 2019-03-22 2023-07-25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EP4345342A2 (en) 2019-07-26 2024-04-03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15715352A (zh) 2020-07-06 2023-02-24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KR20230025880A (ko) 2020-07-06 2023-02-23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DE102020007800A1 (de) 2020-12-15 2022-06-15 Kaco Gmbh + Co. Kg Dichtring einer Gleitringdichtung sowie Gleitringdichtung mit einem Dichtring
DE102021003139A1 (de) * 2021-06-18 2022-12-22 Kaco Gmbh + Co. Kg Dichtring einer Gleitringdichtung sowie Gleitringdichtung mit einem solchen Dichtring
CN113530973B (zh) * 2021-06-28 2022-01-04 中国地质大学(北京) 耐高温止推轴承及轴向动密封和润滑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52A (ja) * 2003-12-22 2005-07-07 Eagle Ind Co Ltd 摺動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1269A (ja) * 1983-06-14 1984-12-25 Arai Pump Mfg Co Ltd メカニカルシ−ル
JPS6231775A (ja) 1985-07-31 1987-02-10 Ebara Res Co Ltd 軸封装置
JPS62117360U (ko) 1986-01-17 1987-07-25
JPH0771618A (ja) * 1993-08-30 1995-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カニカルシール
JPH08303606A (ja) *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軸封装置
JPH10281299A (ja) * 1997-04-11 1998-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CN1069750C (zh) * 1997-10-17 2001-08-15 王玉明 螺旋槽端面密封
US6152452A (en) 1997-10-17 2000-11-28 Wang; Yuming Face seal with spiral grooves
DE29908918U1 (de) 1999-05-20 1999-07-29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Gleitringdichtungsanordnung
JP4205910B2 (ja) * 2002-04-02 2009-01-0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7438476B2 (en) * 2002-10-21 2008-10-21 Seiko Instruments Inc. Hydraulic dynamic bearing and spindle motor
JP4316956B2 (ja) * 2002-10-23 2009-08-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2010133496A (ja) * 2008-12-04 2010-06-17 Eagle Ind Co Ltd 摺動部品
WO2012046749A1 (ja) * 2010-10-06 2012-04-1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WO2014024741A1 (ja) * 2012-08-04 2014-02-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WO2014050920A1 (ja) * 2012-09-29 2014-04-0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EP2940353B1 (en) * 2012-12-25 2020-01-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04919229B (zh) 2013-04-24 2017-05-31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EP3112078B1 (en) 2014-02-24 2020-04-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member and sliding member processing method
AU2015281104B2 (en) * 2014-06-26 2017-08-24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EP3163134B1 (en) 2014-06-26 2021-04-0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EP3190317B1 (en) * 2014-09-04 2022-02-09 Eagle Industry Co., Ltd. Mechanical se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52A (ja) * 2003-12-22 2005-07-07 Eagle Ind Co Ltd 摺動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203878A1 (ja) 2018-03-29
BR112017026914A2 (pt) 2018-08-14
CN107735604B (zh) 2023-04-11
JP6776232B2 (ja) 2020-10-28
CN107735604A (zh) 2018-02-23
EP3309431B1 (en) 2022-07-20
WO2016203878A1 (ja) 2016-12-22
US10473220B2 (en) 2019-11-12
US20180172162A1 (en) 2018-06-21
EP3309431A4 (en) 2019-02-27
KR102049287B1 (ko) 2019-11-27
EP3309431A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9021A (ko) 슬라이딩 부품
JP6678170B2 (ja) 摺動部品
JP6444492B2 (ja) 摺動部品
CN107532726B (zh) 滑动部件
JP7036748B2 (ja) 摺動部品
JP7043414B2 (ja) しゅう動部品
KR102276081B1 (ko) 슬라이딩 부품
US10337560B2 (en) Sliding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