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395A -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395A
KR20180036395A KR1020160126946A KR20160126946A KR20180036395A KR 20180036395 A KR20180036395 A KR 20180036395A KR 1020160126946 A KR1020160126946 A KR 1020160126946A KR 20160126946 A KR20160126946 A KR 20160126946A KR 20180036395 A KR20180036395 A KR 2018003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axial cable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590B1 (ko
Inventor
한관희
이동은
이태훈
김정호
이정필
서준혁
김광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지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지피텍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590B1/ko
Priority to JP2019517357A priority patent/JP6794537B2/ja
Priority to PCT/KR2017/010757 priority patent/WO2018062871A1/ko
Publication of KR2018003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79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rep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에 양방향 급전을 하여 MIMO LTE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복합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Hybrid combin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 고화질 영상 전송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등장으로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전송량은 연평균 2배 이상의 속도로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이동통신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많은 사람이 모이는 역사,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대규모 상업시설 등지에서는 대용량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음영지역이 발생하여 통신 연결성이 감소하고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다수의 사용자가 밀집된 환경에서 적합한 통신 방식으로, 기존의 작은 셀 보다는 전파 불감지대가 적은 리니어 셀(LINEAR CELL) 방식이 있다. 리니어 셀 방식의 일 예로서 누설동축케이블(LCX, Leaky Coaxial Cable)이 있다. 누설동축케이블은 소방방재를 위한 통신망 또는 휴대전화의 음영지역이 자주 발생하는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지하철, 터널 등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 용량 증가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누설동축케이블의 증설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비용 및 설치공간 등의 문제로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에 양방향 급전을 하여 대용량의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복합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설된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대용량의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망 및 공공재난망을 구축함으로써 이동통신망 신호와 공공재난망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복합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 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는 RRU(Remote Radio Uni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결합기는,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들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을 갖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에 있어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누설동축케이블;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 및 상기 복합 결합기의 일측에 연결되며, 공공재난망 신호를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송수신하는 공공재난망 중계기; 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공공재난망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달하는 커플러;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는 RRU(Remote Radio Uni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연결되는 제1 포트;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와 연결되는 제2 포트;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 및 제4 포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 사이에서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커플링되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 사이에서는 쓰루패스(through-path)가 형성되어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공공재난망 신호가 패스쓰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로 이동통신망과 공공재난망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이동통신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에 의해 송수신되는 이동통신망 신호와 공공재난망 신호의 간섭 및 신호 왜곡을 제거하여 이동통신망 및 공공재난망 서비스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로서 누설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결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다른 예로서의 복합 결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합 결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 누설동축케이블(1300), 및 복합 결합기(1400, 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들 사이에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이 포설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된 이동통신망 신호는 복합 결합기(1400)를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으로 입사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된 이동통신망 신호는 복합 결합기(1400')를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으로 입사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양단으로 입사된 이동통신망 신호들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과 이격된 무선단말(50)에 수신된다. 무선단말(50)에서 발신된 신호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에 입사되고 복합 결합기(1400, 1400')를 통과하여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는 일 예로서 LTE 신호를 송수신하는 RRU(Remote Radio Unit)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단말(50)과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통신이 가능하다. 즉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입사된 LTE 신호는 복합 결합기 (1400)을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입사되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입사된 LTE 신호가 복합 결합기(1400')를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입사된다. 양방향으로 입사된 LTE 신호는 MIMO 기능을 가지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방사되어 이동 중인 무선단말(50)과 MIMO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서로 이격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 사이에 포설될 수 있다.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복합 결합기(1400, 1400')를 통해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과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사이에 복합 결합기(1400)이 배치되어 복합 결합기(1400)의 일측에서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이 연결되고 복합 결합기(1400)의 타측에서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과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사이에 다른 복합 결합기(1400')가 배치되어 복합 결합기(1400')의 일측에서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이 연결되고 복합 결합기(1400')의 타측에서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가 연결될 수 있다. 복합 결합기(1400, 1400')에서 신호들이 결합하거나 분해되어 다양한 대역폭을 갖는 신호들이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방사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그 내부의 외부 도체에 신호 누설용 슬롯(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누설용 슬롯을 통해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흐르는 신호가 외부로 방사되어 누설동축케이블(1300) 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누설용 슬롯은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부 도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통신 공간이 제한되는 터널이나 지하 상가 등에서 종래의 안테나가 설치되는 경우 안테나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의 제한으로 인해 음영 구간이나 중첩 구간이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될 수 있으나,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는바, 제한된 공간에서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으며, 신호의 회절이나 반사 등에서도 좋은 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순한 안테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양단에 연결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에 의해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여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만으로도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즉 1조로 포설된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에 연결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신호를 전송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에 연결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도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양단으로 전송된 신호들은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신호 누설용 슬롯을 통해 방사되어 MIMO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MIMO를 수행하는바 대용량의 신호를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 LTE-R에도 이용이 가능하며, 1조의 포설만으로도 MIMO 기능이 구현되는바, 공사비, 재료비 등 설비투자(CAPEX)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하 공간에서 누설동축케이블(1300)이 포설되는 경우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길이 방향으로 신호가 방사되므로 통신 연결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그 양단을 통해 다양한 대역폭의 신호들이 입사되고, 무선 단말(5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므로 신호들의 간섭이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누설동축케이블(1300)과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 사이에 복합 결합기(1400, 1400')를 구비하여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송수신 되는 신호들의 간섭이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는 일 예로서 누설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설 동축 케이블(100)은 중심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내부 도체(110), 절연체(120), 외부 도체(130) 및 시스(sheath)(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누설 동축 케이블(100)은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 외부 도체(130)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140)을 통해 전자파를 외부로 방사하거나 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외부 도체(130)에 형성되는 슬롯(140)의 형상, 크기 또는 간격(슬롯 주기)를 조절하여 사용 주파수 및 전자파 누설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내부 도체(110)는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의 도선이다. 상기 금속 소재로는 예를 들어 동선, 연동선, 연동연선, 동복강선, 주석도금연동연선, 은도금선 또는 동복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전성을 가진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내부 도체(110)는 슬롯(14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전자기파 에너지의 전송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절연체(120)는 내부 도체(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낮은 손실의 유전체로서, 내부 도체(110)와 외부 도체(120) 간을 절연시키며 전자기파 에너지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고발포 성형된다. 참고로, 절연체(120)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발포도, 난연 성능, 절연 내압 또는 절연 저항 등과 같은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외부 도체(130)는 절연체(120)의 주위에 포밍(forming)된다. 외부 도체(13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130)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위한 실드층으로 기능하며, 접지를 위해 별도의 접지선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도체(130)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슬롯(140)이 형성되어 내부 도체(110)를 따라 흐르는 전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누설 또는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파장과 슬롯(140) 간격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누설 동축 케이블(100)은 결합 모드 또는 방사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외부 도체(130) 상에 형성되는 슬롯(140) 각각은 그 형상이 상하로 비대칭일 수 있다. 상기 슬롯(140)이 상하로 비대칭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 케이블은 수직편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슬롯(140)은 외부 도체 상에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슬롯(140)들은 상하가 교번하여 배치되어 서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도체 상에 형성된 슬롯(140)들 각각이 제1 변과 제2 변을 가지며, 상기 제1 변이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부를 향하고, 상기 제2 변이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부를 향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슬롯(140) 중 하나의 슬롯이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변을 갖는 경우, 다른 슬롯은 그것의 제1 변이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부를 향하고, 그것의 제2 변이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부를 향하게 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슬롯(140)은 서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슬롯(140)의 형태는 일 실시예이며, 슬롯(140)은 75MHz~900MHz 및 800MHz~2.3GHz등과 같은 주요 사용 주파수를 고려하여 감쇠량 및 결합손실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누설동축케이블(1300)이 포설되는 장소(예를 들면 터널 벽면, 중앙기둥 등등)에 따라 슬롯의 배열 방향도 90도 또는 180도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시스(150)는 외부 도체(130)의 주위에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피복되어 상기 외부 도체(130)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한다. 시스(150)는 유연성이 좋은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도체(130)의 슬롯(140)이 형성되는 부분과 접하는 시스(150) 사이에 플라스틱 테이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결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1000)의 복합 결합기(1400, 1400')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과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사이에, 그리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과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와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연결할 수 있다.
복합 결합기(1400, 1400') 각각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로부터의 신호를 통과시켜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전송시키며, 다른 방향에서 오는 신호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복합 결합기(1400)는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 오는 신호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복합 결합기(1400')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 오는 신호가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양방향 급전이 되는바 양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서로 간섭이나 왜곡될 수 있으나, 복합 결합기(1400)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의 왜곡이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복합 결합기(1400)는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410)와 수신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송신부(1410)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통과시켜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10)는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 및 이동 단말(50)로부터의 신호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부(1410)는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같이, 한 개의 수신 필터(1420)와 2개의 송신 필터(1411, 1412)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2개의 송신 필터(1411, 1412) 사이에는 역신호 유입 제안부(141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부(1410)는 제1 송신 필터(1411), 제2 송신 필터(1412), 및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1411)는 그 일단에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타단에서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송신 필터(1412)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를 사이에 두고 제1 송신 필터(141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일단은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와 연결되며, 그 타단은 누설동축케이블(1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1411)와 제2 송신 필터(1412)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송신부(1410)과 연결되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제1 송신 필터(1411),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 및 제2 송신 필터(1412)를 거쳐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입사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에서 외부로 방사된다.
제2 송신 필터(1412)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에서 발생하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는 제1 송신 필터(1411)와 제2 송신 필터(1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의 일단은 제1 송신 필터(1411)와 연결되며, 그 타단은 제2 송신 필터(1412)와 연결될 수 있다.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는 RF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한방향으로만 전송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전송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제1 송신 필터(1411)을 거쳐 제2 송신 필터(1412) 및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전송되도록 하나,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복합 결합기(1400)를 거쳐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는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는 일 예로서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향기 또는 교환기는 제1 송신 필터(1411)와 제2 송신 필터(1412) 사이에 삽입되어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의 역신호 유입을 제한하여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부터의 송신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단향기의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은 3차 혼변조의 경우에도 50dBc 정도로 좋지 않은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PIMD의 차수가 증가하더라도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PIMD 160dBc 레벨을 맞추기 위해서는 발생한 PIMD를 감쇄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송신 필터(1412)를 단향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송신 필터(1411)와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PIMD 해당 주파수를 감쇄시켜 PIMD를 감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송신 필터(1412)는 단향기로부터 발생하는 PIMD신호가 송신 신호 대역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감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신 필터(1412)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신호, 예를 들면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전송되어 송신부(141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수신부(1420)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수신부(1420)의 수신 필터는 누설동축케이블(1300)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이동 단말(50)의 단말 신호를 대역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수신부(1420)를 통과하는 단말 신호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 1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중 편파를 통해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1300)과 양방향 급전용 복합 결합기(1400, 1400')를 이용하여 LTE와 같은 대용량 신호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대용량의 신호를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방사하는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복합 결합기(1400, 1400')의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에 의해 역신호의 유입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신호 유입 제한부(1413)에서 발생하는 PIMD 신호를 제2 송신 필터(1412)에 의해 제거하여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른 예로서의 복합 결합기(2400)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중대역 복합 결합기(2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중대역 복합 결합기(2400)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중대역 복합 결합기(2400)는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여 제1 송신부(2410a)와 제1 수신부(2420a), 제2 송신부(2410b)와 제2 수신부(2420b), 및 제3 송신부(2410c)와 제3 수신부(2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800MHz, 1800MHz, 2100MHz 3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다중대역 복합 결합기(2400)는 800MHz 대역에 대해 제1 송신부(2410a)가 824-839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a, 2412a)와 제1 수신부(2420a)가 869-884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가지며, 1800MHz 대역에 대해 제2 송신부(2410b)가 1715-1725MHz 및 1730-1735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b, 2412b)와 제2 수신부(2420b)가 1810-183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가지며, 2100MHz 대역에 대해 제3 송신부(2410c)가 1930-196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c, 2412c)와 제3 수신부(2420c)가 2120-215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3 송신부(2410a, 2410b,2410c)는 송신 필터들(2411a, 2412a; 2411b, 2412b; 2411c, 2412c) 사이에 역신호 유입 제한부(2413a, 2413b, 2413c)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복합 결합기(2400)는 2600MHz이나 3500MHz 등 신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될 경우 추가적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를 구성하여 4중 대역 또는 5중 대역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다중 주파수 밴드의 신호를 동시에 방사할 수 있도로록 광대역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 3100'),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 누설동축케이블(1300), 및 복합 결합기(3400, 34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도 1에 도시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1000)과는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를 더 구비하여 이동통신망 통신 뿐만 아니라 공공재난망 통신에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에 복합 결합기(3400)가 연결되며, 복합 결합기(3400)의 타측에는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와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가 또한 연결되고,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타단에 다른 복합 결합기(3400')가 연결되며, 다른 복합 결합기(3400')의 타측에는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와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 3100')로부터의 이동통신망 신호가 복합 결합기(3400, 3400')를 거쳐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방사될 뿐만 아니라,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로부터의 공공재난망 신호가 복합 결합기(3400, 3400')를 거쳐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방사될 수 있다. 즉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을 통해 이동통신망 서비스(예를 들면 LTE) 및 공공재난망 서비스(예를 들면, FM, TRS(Trunked Radio Servic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HF(Ultra High Frequency), WIFI(Wireless Fidelity) 등)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3000)은 복합 결합기(3400, 3400')에 커플러(34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합 결합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 결합기(3400)는 송신부(3410), 수신부(3420), 및 커플러(34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3410)와 수신부(3420)는 도 3에 도시된 송신부(1410)와 수신부(142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송신부(3410)는 동일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1 송신 필터(3411)와 제2 송신 필터(3412), 및 역방향으로의 신호 진행을 차단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3413)를 포함하며, 수신부(3420)는 수신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도시된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커플러(3430)는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 3100')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 및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로부터의 공공재난망 신호를 결합하여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커플링(Coupling)이란 독립된 공간 또는 선로 간에서 전자계적으로 교류 신호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커플러(Coupler)는 이러한 커플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선로의 길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한쪽에 원하는 위상의 신호가 커플링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커플러(3430)는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 3100')와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에서의 신호를 커플링하여 누설동축케이블(1300)에 전달한다.
커플러(3430)는 일 예로서 2x2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커플러(3430)는 커플러(3430)의 일측에서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와 연결되는 제1 포트(3431a), 커플러(3430)의 일측에서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와 연결되는 제2 포트(3431c), 누설동축케이블(13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3431b), 및 접지되는 제4 포트(3431d)를 구비할 수 있다.
커플러(3430)는 제1 포트(3431a)와 제3 포트(3431b) 사이에서 광대역 커플링 특성을 가지며, 제2 포트(3431c)와 제3 포트(3431b) 사이에서 쓰루패스(through-path)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포트(3431a)와 제3 포트(3431b) 사이에는 이동통신망 중계기(3100)로부터의 전송된 송신 신호가 커플링되어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입사되고, 제2 포트(3431c)와 제3 포트(3431b) 사이에는 쓰루패스가 형성되어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로부터의 공공재난망 신호가 패스쓰루될 수 있다.
커플러(3430)는 공공재난망 중계기(3500, 3500')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최소 40Mhz에서 최대 6GHz 대역까지 광대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3430)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1300)은 이동통신 서비스와 공공재난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으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수용된 모든 서비스의 신호를 동시에 방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3000)은 이중 편파를 통해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1300)과 양방향 급전용 복합 결합기(3400, 3400')를 이용하여 LTE와 같은 대용량의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공재난망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3000)은 대용량의 신호를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1300)로 방사하는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복합 결합기(3400, 3400')의 역신호 유입 제한부(3413)에 의해 역신호의 유입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신호 유입 제한부(3413)에서 발생하는 PIMD 신호를 제2 송신 필터(3412)에 의해 제거하여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1100, 1100': 이동통신망 중계기
1300: 누설동축케이블
1400, 1400': 복합 결합기
1410: 송신부
1420: 수신부

Claims (19)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누설동축케이블;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 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는 RRU(Remote Radio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7.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들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1조의 누설동축케이블을 갖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에 있어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및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결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결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결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결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결합기.
  12.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이동통신망 중계기;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누설동축케이블;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복합 결합기; 및
    상기 복합 결합기의 일측에 연결되며, 공공재난망 신호를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송수신하는 공공재난망 중계기; 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수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공공재난망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누설동축케이블로 전달하는 커플러; 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서로 이격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 사이에서 1조로 포설되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들 사이에서 양방향 급전이 가능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부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 및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역신호 유입 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송신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상기 다른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에서 발생하는 PIMD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감쇠시켜 상기 PIMD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역신호 유입 제한부는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는 RRU(Remote Radio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는 RU(Radio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서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와 연결되는 제1 포트;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와 연결되는 제2 포트;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포트; 및
    제4 포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 사이에서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송신 신호가 커플링되며,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 사이에서는 쓰루패스(through-path)가 형성되어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로부터의 상기 공공재난망 신호가 패스쓰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60126946A 2016-09-30 2016-09-30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KR10250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46A KR102505590B1 (ko) 2016-09-30 2016-09-30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JP2019517357A JP6794537B2 (ja) 2016-09-30 2017-09-27 複合結合器及びそれを用いた漏洩同軸ケーブル無線通信システム
PCT/KR2017/010757 WO2018062871A1 (ko) 2016-09-30 2017-09-27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46A KR102505590B1 (ko) 2016-09-30 2016-09-30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95A true KR20180036395A (ko) 2018-04-09
KR102505590B1 KR102505590B1 (ko) 2023-03-03

Family

ID=6176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946A KR102505590B1 (ko) 2016-09-30 2016-09-30 복합 결합기 및 그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무선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94537B2 (ko)
KR (1) KR102505590B1 (ko)
WO (1) WO20180628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61B1 (ko) * 2018-04-17 2019-11-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널 내의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9922A (ja) * 2011-02-15 2012-09-06 Hitachi Cable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134731A (ko) * 2012-05-31 2013-12-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입출력 기지국 시스템
WO2014141897A1 (ja) * 2013-03-15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ュプレク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8318A1 (en) * 2002-03-18 2003-10-08 Ems Technologies, Inc. Passive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control circuits
US8763063B2 (en) * 2004-06-01 2014-06-2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Controlled isolation splitter apparatus and methods
JP2011044759A (ja) * 2009-08-19 2011-03-03 Tokyo Rader Kk ダイバーシチ受信システム
CN103326126A (zh) * 2012-03-20 2013-09-25 西门子公司 一种漏泄传输线及基于漏泄传输线的mimo通信系统
DE202013012858U1 (de) * 2012-08-09 2021-05-07 Axel Wireless Ltd. Kapazitätszentriertes digitales verteiltes Antennensystem
EP2713522A1 (en) * 2012-09-06 2014-04-02 Andrew LLC Digital post-distortion compensation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5905998B2 (ja) * 2012-10-01 2016-04-2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送信を管理するための無線ノード、ユーザ機器及び方法
KR20150140151A (ko) * 2014-06-05 2015-12-15 (주)엠엘테크놀로지스 소방무선과 이동통신망을 통합한 다중대역 컴바이너
WO2016035857A1 (ja) * 2014-09-04 2016-03-10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及び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9922A (ja) * 2011-02-15 2012-09-06 Hitachi Cable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134731A (ko) * 2012-05-31 2013-12-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입출력 기지국 시스템
WO2014141897A1 (ja) * 2013-03-15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ュプレク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161B1 (ko) * 2018-04-17 2019-11-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터널 내의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590B1 (ko) 2023-03-03
JP2019533366A (ja) 2019-11-14
JP6794537B2 (ja) 2020-12-02
WO2018062871A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19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EP3439110B1 (en) Filter feed network and base-station antenna
US8144060B2 (en) Multiple feedpoint antenna
US10305185B2 (en) Multiband antenna
US11563491B2 (en) Geometric configuration of device for launching tranverse magnetic waves
CN201812933U (zh) 一体化滤波天线
JP6794537B2 (ja) 複合結合器及びそれを用いた漏洩同軸ケーブル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220686A (zh) 公用移动通信网络共建系统
KR102278426B1 (ko)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2499805B1 (ko) 급전선 공유기 및 급전선 공유 시스템
KR20140100359A (ko) 누설 동축 케이블
KR102448701B1 (ko) 안테나 시스템
KR102524424B1 (ko) 누설 동축 케이블
WO2011140990A1 (zh) 一种馈电网络和天线
CN102881984A (zh) 一种带有滑动调谐单元的定向天线
US11329386B2 (en) Device for receiving and re-radiating electromagnetic signal
US6737937B2 (en) Microwave filter and a telecommunication antenna including it
KR101297335B1 (ko) 비대칭 접지면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CN116706499A (zh) 一种高增益双频WiFi数据传输方法及天线组件
Al-Mandhari et al. Inter-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mesh network
KR20170083759A (ko) 누설 동축 케이블
Jiang et al. Reduction in Mutual Coupling of Separated Tx/Rx ACPA Comprising Trapezoidal Elements
Kamaluddin et al. LONDON UNDERGROUND COMMUNICATIONS
KR20140100358A (ko) 누설 동축 케이블
KR20140108879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