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426B1 -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426B1
KR102278426B1 KR1020170089062A KR20170089062A KR102278426B1 KR 102278426 B1 KR102278426 B1 KR 102278426B1 KR 1020170089062 A KR1020170089062 A KR 1020170089062A KR 20170089062 A KR20170089062 A KR 20170089062A KR 102278426 B1 KR102278426 B1 KR 10227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ignal
coaxial cable
leaky coaxial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716A (ko
Inventor
백종섭
한관희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4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8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near field of leaky cables, e.g. of leaky coaxial cables
    • H04B5/00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04B7/15514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for shadowing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대용량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복합 결합기를 구비하여 종래에 비해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MIMO이동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어 시공 용이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Leakage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 고화질 영상 전송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등장으로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전송량은 연평균 2배 이상의 속도로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이동통신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많은 사람이 밀집하여 생활하는 대형빌딩 등과 같은 공간에서는 대용량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음영지역이 발생하고, 통신 연결성이 감소하고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다수의 사용자가 밀집되거나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음영지역이 발생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적합한 통신 매체의 일 예로서 누설동축 케이블(LCX, Leaky Coaxial Cable)이 있다. 누설동축 케이블은 소방방재용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음영지역이 자주 발생하는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지하철, 터널 등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 용량 증가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시스템 구축을 위한 누설동축 케이블의 증설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비용 및 설치공간 등의 문제로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대용량의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되, 복합 결합기를 구비하여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신호 결합부; 상기 신호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합 결합기; 및 상기 복합 결합기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복합 결합기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로 전송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결합기의 개수가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반사되어 되돌아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노드 신호와 단말기 신호의 통과 또는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드 신호와 상기 단말기 신호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상기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와,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역신호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동일장소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 공공재난망 시스템, WiFi 시스템의 신호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이동통신 중계기, RRU(Remote Radio Unit) 장비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단독으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결합부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콤바이너(combiner), 디바이더(divider), 스플리터(splitter)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동소자 또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신호 결합부; 상기 신호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합 결합기; 상기 복합 결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합 결합기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복수개로 분배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복수개의 단말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로 전송하는 신호 분배부; 및 상기 신호 분배부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신호 분배부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분배부로 전송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결합기의 개수가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반사되어 되돌아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결합기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노드 신호와 단말기 신호의 통과 또는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 신호와 상기 단말기 신호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상기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와,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역신호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동일장소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 공공재난망 시스템, WiFi 시스템의 신호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이동통신 중계기, RRU(Remote Radio Unit) 장비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단독으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결합부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콤바이너(combiner), 디바이더(divider), 스플리터(splitter)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동소자 또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대용량의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복합 결합기를 구비하여 종래에 비해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MIMO이동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어 시공 용이성 및 경제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누설동축 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결합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0)(이하, '무선통신시스템'이라고 한다)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노드(1100)는 일 예로서 이동통신 중계기, RRU(Remote Radio Unit) 장비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단독으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무선단말기(10)와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또는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노드(1100)에서 송신된 신호는 복합 결합기(1400)를 통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입사된다.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송신된 신호는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방사되어 이동 중인 무선단말기(10)와 MIMO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1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로 전송하는 신호 결합부(1300)와,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13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합 결합기(1400) 및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1400)로 전송하는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노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이용인원이 많은 장소, 예를 들어 대형 빌딩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므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는 동일 장소 또는 매우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드(1100)를 통해 송신된 이동통신망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1100)와 연결된 신호 결합부(1300)를 향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신호 결합부(1300) 내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에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복합 결합기(1400)를 향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드 신호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에서 각각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대방의 노드 또는 동일 노드 내 상대편 포트로 인입될 경우 강한 노드 신호에 의해 노드 및 노드와 연결된 통신장비를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결합부(13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에서 각각 전송된 노드 신호를 결합하되 복합 결합기(1400)가 아닌 상대편 노드 또는 동일 노드 내 상대편 포트와는 격리(isolation)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 결합부(1300)에서 전송되는 결합된 복수개의 노드 신호는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연결된 상기 복합 결합기(14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신호 결합부(1300)는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10)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신호는 상기 복합 결합기(1400)를 거쳐 신호 결합부(1300)로 전송되며, 상기 신호 결합부(1300)는 상기 결합된 단말기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신호 결합부(1300)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콤바이너(combiner), 디바이더(divider), 스플리터(splitter)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동소자 또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13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노드(1100)로부터의 상기 노드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선택적으로 전송시키며, 상기 노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로 반사되어 되돌아오지 않도록 상기 노드(1100)를 향하는 노드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노드 신호가 다시 상기 노드(1100)로 전송되는 것을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일 예로서 상기 노드(11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에서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송신부(1410) 및 상기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된 상기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전송하는 수신부(1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410)는 상기 노드(1100)로부터의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1410)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에서 상기 노드(1100)를 향하는 노드 신호가 상기 노드(1100)로 다시 인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송신부(1410)는 제1 송신 필터(1411), 제2 송신 필터(1412), 및 역신호 차단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는 그 일단에서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타단에서 역신호 차단부(141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는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일단은 역신호 차단부(1413)와 연결되며, 그 타단은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와 제2 송신 필터(1412)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상기 노드(1100)에서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노드(1100)에서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 역신호 차단부(1413), 및 제2 송신 필터(1412)를 거쳐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전송되어 외부로 방사된다.
이때,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 및 제2 송신 필터(1412)는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신호 왜곡 현상인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는 RF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타 방향으로 전송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는 상기 노드(1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를 거쳐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 및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전송되도록 하지만, 상기 노드 신호가 노드방향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는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노드(1100)로 다시 전송되어 상기 노드(1100)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는 일 예로서 단향기(isolator) 또는 교환기(circul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향기 또는 교환기는 상기 제1 송신 필터(1411)와 제2 송신 필터(141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노드(1100)로 다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향기의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은 3차 혼변조의 경우에도 50dBc 정도로 좋지 않은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PIMD의 차수가 증가하더라도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PIMD 160dBc 레벨을 맞추기 위해서는 발생한 PIMD를 감쇄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를 단향기를 사이에 두고 제1 송신 필터(1411)와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PIMD 해당 주파수를 감쇄시켜 PIMD를 감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는 단향기로부터 발생하는 PIMD신호가 송신 신호 대역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감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노드 신호와 단말기 신호의 통과 또는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노드 신호와 상기 단말기 신호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주파수 대역에 따라 통과 및 차단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에서 상기 노드(1100)를 향하는 상기 노드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상기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단말기 신호가 상기 송신부(141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노드(1100)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 각각의 노드(1100)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노드 신호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10)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 각각의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단말기 신호도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노드 신호가 서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경우,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신호가 서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경우에도 서로 간에 노이즈(noise)로 인식되어 신호가 약화될 수 있지만 무선통신은 가능하므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단말기 신호는 후술하는 수신부(1420)를 통해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송신 필터(1412)를 통과한 상기 노드 신호는 전술한 상기 역신호 차단부(1413)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노드(1100)로 전송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수신부(1420)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기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1420)의 수신 필터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상기 단말기 신호를 대역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신부(1420)를 통과하는 상기 단말기 신호는 상기 노드(1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과 상기 복합 결합기(1400)를 이용하여 LTE와 같은 대용량 신호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대용량의 신호를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100)과 복합 결합기(1400)를 이용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노드 신호가 다시 노드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노드(1100)의 손상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그 일단부가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노드 신호의 반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임피던스 매칭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일반 무선통신 시스템의 경우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의 타단의 임피던스가 50ohm이 아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개방된(opened) 상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상기 복합 결합기(1400)와 연결된 일단부를 통해서만 급전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급전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그 내부의 외부 도체에 신호 누설용 슬롯(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누설용 슬롯을 통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따라 흐르는 신호가 외부로 방사되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 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신호 누설용 슬롯은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으로 외부 도체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공간이 제한되는 빌딩 내부 및 터널 등에서 종래의 안테나가 설치되는 경우 안테나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의 제한으로 인해 음영 구간이나 중첩 구간이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될 수 있으나,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는바, 제한된 공간에서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커버리지를 확대할 수 있으며, 신호의 회절이나 반사 등에서도 좋은 특성을 보인다.
도 2는 일 예로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중심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내부 도체(110), 절연체(120), 외부 도체(130) 및 시스(sheath)(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부 도체(130)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140)을 통해 전자파를 외부로 방사하거나 내부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130)에 형성되는 슬롯(140)의 형상, 크기 또는 간격(슬롯 주기)를 조절하여 사용 주파수 및 전자파 누설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체(110)는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의 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소재로는 예를 들어 동선, 연동선, 연동연선, 동복강선, 주석도금연동연선, 은도금선 또는 동복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전성을 가진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도체(110)는 슬롯(14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전자기파 에너지의 전송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0)는 내부 도체(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낮은 손실의 유전체로서, 내부 도체(110)와 외부 도체(120) 간을 절연시키며 전자기파 에너지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성형된다.
이때, 상기 절연체(120)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발포도, 난연 성능, 절연 내압 또는 절연 저항 등과 같은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한편, 상기 외부 도체(130)는 상기 절연체(120)의 주위에 포밍(forming)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체(13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130)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위한 실드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체(130)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슬롯(14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도체(110)를 따라 흐르는 전기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누설 또는 내부로 전달시킬 수 있다. 이때, 파장과 슬롯(140) 간격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결합 모드 또는 방사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슬롯(140)의 형태는 일 실시예이며, 상기 슬롯(140)은 75MHz~900MHz 및 800MHz~2.3GHz등과 같은 주요 사용 주파수를 고려하여 감쇠량 및 결합손실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이 포설되는 장소(예를 들면 터널 벽면, 중앙기둥 등등)에 따라 슬롯의 배열 방향도 90도 또는 180도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이동통신망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1100),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복수개의 노드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1100)로 전송하는 신호 결합부(1300)와, 상기 신호 결합부(1300)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13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합 결합기(1400)와, 상기 복합 결합기(1400)와 연결되어,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복수개로 분배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1400)로 전송하는 신호 분배부(1500) 및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개의 노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분배부(1500)로 전송하는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무선통신시스템(1000')을 구축하는 경우에 복합 결합기(1400)를 복수개로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복합 결합기(1400)를 구비하게 된다. 즉, 종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누설동축 케이블의 양측에서 급전을 하는 소위 양방향 급전의 경우 전술한 복합 결합기를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의 양측에 모두 구비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양방향 급전을 실현하면서도 단일 복합 결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가인 복합 결합기의 개수를 줄여 무선통신시스템의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1400)와 누설동축 케이블(100') 사이에 신호 분배부(1500)를 구비하며,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양단부가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신호 분배부(1500)는 상기 복합 결합기(1400)와 연결되며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노드 신호를 복수개로 분배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양단부가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양단부에서 모두 급전이 되는 양방향 급전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신호 분배부(1500)는 상기 노드(1100)를 향해 수신되는 복수개의 단말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14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 분배부(1500)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콤바이너(combiner), 디바이더(divider), 스플리터(splitter)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동소자 또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무선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단말기 신호는 전술한 누설 동축 케이블(100)과 신호 분배부(1500)를 거쳐 상기 복합 결합기(14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신호 결합부(1300)를 거쳐 상기 노드(1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100)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는 상기 무선단말기(10)로 전송되지만, 일부는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100)을 따라 상기 신호 분배부(1500)로 다시 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노드 신호는 그 신호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노드(1100)로 다시 전송된다면 상기 노드(1100)의 손상 또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결합기(1400)는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노드(1100)로 다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양단부가 모두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양단부로 모두 급전이 이루어지는 양방향 급전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양단부가 상기 신호 분배부(1500)에 연결되는 반면 도 1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일단부만 상기 복합 결합기(140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과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을 비교해보면 도 1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설치에 필요한 장소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반면에 도 3에 따른 누설동축 케이블(100')의 설치장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1과 같은 단방향 급전의 경우 누설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 손실인 감쇠량에 의해 케이블 시작부, 중간부 및 끝 부분의 전송 특성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도 3과 같은 양방향 급전의 경우 양쪽에서 동일한 강도의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케이블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강도의 신호를 가진다. 또한 MIMO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 도 3과 같은 양방향 급전은 하나의 복합 결합기(140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리된 2개의 복합 결합기를 구비한 종래 시스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안정적인 MIMO 구현을 위한 저비용/좁은 설치 환경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 공공재난망시스템, WiFi 시스템의 신호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노드(1100)가 공공재난망 중계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술한 무선통신시스템은 공공재난망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드를 복수개 구비하여 상기 노드 중에 적어도 하나는 이동통신망 중계기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 중에 다른 하나가 공공재난망 중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이 이동통신망 통신뿐만 아니라 공공재난망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복수개의 노드를 구비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드 중에 적어도 하나는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 중에 다른 하나가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로 구성된 무선통신시스템(3000, 3000')을 각각 도시한다.
이 경우, 무선통신시스템(3000, 3000')은 누설동축 케이블(100, 100')을 통해 이동통신망 서비스(예를 들면 LTE) 및 공공재난망 서비스(예를 들면, FM, TRS(Trunked Radio Servic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HF(Ultra High Frequency), WIFI(Wireless Fidelity) 등)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가 추가되었으며, 도 5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에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가 추가된 구성에 해당한다. 다만, 도 4 및 도 5에서 신호 결합기(3430)는 상기 복합 결합기(34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공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결합기(3400)는 송신부(3410), 수신부(3420), 및 신호 결합기(3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3410)와 수신부(3420)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송신부(3410)는 동일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1 송신 필터(3411)와 제2 송신 필터(3412) 및 역방향으로의 신호 진행을 차단하는 역신호 차단부(3413)를 포함하며, 수신부(3420)는 수신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송신부(1410) 및 수신부(1420)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신호 결합기(3430)는 상기 노드(1100)로부터 전송되는 노드 신호 또는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로부터 송신되는 공공재난망 신호를 커플링 또는 결합하여 누설동축 케이블(100, 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Coupling)'이란 독립된 공간 또는 선로 간에서 전자계적으로 교류 신호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결합기(3430)는 이러한 커플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선로의 길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한쪽에 원하는 위상의 신호가 커플링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결합기(3430)는 상기 이동통신망 중계기(1100)에서 전송되는 중계기 신호와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에서 전송되는 공공재난망 신호를 커플링하여 누설동축 케이블(100, 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결합기(3430)에 연결되는 누설동축 케이블(100, 100')은 이동통신 서비스와 공공재난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으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수용된 모든 서비스의 신호를 동시에 방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 통신 시스템(3000, 3000')은 MIMO를 구현할 수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100, 100')을 이용하여 LTE와 같은 대용량의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공재난망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결합기(2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른 복합 결합기(2400)는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공재난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결합기(2400)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주파수 밴드별로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결합기(2400)는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여 제1 송신부(2410a)와 제1 수신부(2420a), 제2 송신부(2410b)와 제2 수신부(2420b), 및 제3 송신부(2410c)와 제3 수신부(2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밴드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800MHz, 1800MHz, 2100MHz 3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800MHz 대역에 대해 상기 복합 결합기(2400)는 제1 송신부(2410a)가 824-839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a, 2412a)와 제1 수신부(2420a)가 869-884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구비한다. 또한, 1800MHz 대역에 대해 제2 송신부(2410b)가 1715-1725MHz 및 1730-1735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b, 2412b)와 제2 수신부(2420b)가 1810-183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구비한다. 나아가, 2100MHz 대역에 대해 제3 송신부(2410c)가 1930-196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송신 필터(2411c, 2412c)와 제3 수신부(2420c)가 2120-215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수신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내지 3 송신부(2410a, 2410b, 2410c)는 송신 필터들(2411a, 2412a; 2411b, 2412b; 2411c, 2412c) 사이에 역신호 차단부(2413a, 2413b, 2413c)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결합기(2400)는 2600MHz이나 3500MHz 등 신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될 경우 추가적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를 구성하여 4중 대역 또는 5중 대역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누설동축 케이블(100)은 다중 주파수 밴드의 신호를 동시에 방사할 수 있도록 광대역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신호 결합기(2430)는 전술한 노드(1100)(도 4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노드 신호 또는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도 4 참조)로부터 송신되는 공공재난망 신호를 커플링 또는 결합하여 누설동축 케이블(1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공재난망 중계기(1150)는 연결라인(2500)을 통해 상기 신호 결합기(2430)와 연결되어 공공재난망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신호 결합기(2430)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의 신호 결합기(3430)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누설동축 케이블
1000 : 무선통신시스템
1100 : 노드
1300 : 신호 결합부
1400 : 복합 결합기
1500 : 신호 분배부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전송하는 신호 결합부;
    상기 신호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결합부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하나의 복합 결합기;
    상기 복합 결합기와 연결되어, 상기 복합 결합기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송신되는 결합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여 전송하고, 상기 노드를 향해 수신되는 복수 개의 무선단말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복합 결합기로 전송하는 신호 분배부; 및
    상기 신호 분배부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신호 분배부에서 송신된 상기 복수 개로 분배된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분배부로 전송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노드에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을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단말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와 제2 송신 필터와,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에서 상기 노드를 향해 전송되는 상기 노드 신호를 차단하는 역신호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전송된 상기 노드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로 반사되어 되돌아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결합기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따라 노드 신호와 무선단말기 신호의 통과 또는 차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신호와 상기 무선단말기 신호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필터와 상기 제2 송신 필터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동일장소 또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신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 공공재난망 시스템, WiFi 시스템의 신호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이동통신 중계기, RRU(Remote Radio Unit) 장비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단독으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하는 장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결합부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콤바이너(combiner), 디바이더(divider), 스플리터(splitter)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동소자 또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20170089062A 2017-07-13 2017-07-13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227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62A KR102278426B1 (ko) 2017-07-13 2017-07-13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62A KR102278426B1 (ko) 2017-07-13 2017-07-13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16A KR20190007716A (ko) 2019-01-23
KR102278426B1 true KR102278426B1 (ko) 2021-07-15

Family

ID=6528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62A KR102278426B1 (ko) 2017-07-13 2017-07-13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4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30B1 (ko) * 2006-06-09 2007-01-11 (주)한남이앤씨 동일한 무선 주파수 양방향 중계 시스템
KR101631602B1 (ko) * 2010-06-29 2016-06-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및 통합 라인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185A (ko) * 2010-04-13 2011-10-19 후산시스템 주식회사 지하 무선망 복합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30B1 (ko) * 2006-06-09 2007-01-11 (주)한남이앤씨 동일한 무선 주파수 양방향 중계 시스템
KR101631602B1 (ko) * 2010-06-29 2016-06-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시스템 및 통합 라인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16A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9110B1 (en) Filter feed network and base-station antenna
US8144060B2 (en) Multiple feedpoint antenna
US110504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aunching tranverse magnetic waves using data-carrying arrestor
CN106356618B (zh) 一种微波高频段双极化小基站平板天线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794537B2 (ja) 複合結合器及びそれを用いた漏洩同軸ケーブ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278426B1 (ko) 누설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US8570115B2 (en) Power division network device
CN103220686A (zh) 公用移动通信网络共建系统
KR19990029554A (ko) 모듈러, 분산형 무선장치 구조 및 동일한 안테나를 사용하는이중 반송파 접속
US20190238165A1 (en) Antenna fe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de
CN114142198A (zh) 一种具有多径效应的单根泄漏电缆及构建方法
KR102448701B1 (ko) 안테나 시스템
KR20140100359A (ko) 누설 동축 케이블
CN113872631B (zh) 收发装置和基站
KR102524424B1 (ko) 누설 동축 케이블
WO2011140990A1 (zh) 一种馈电网络和天线
WO2022141307A1 (zh) 基站天线
Makimura et al. Wideband decoupling network for antenna coupling with large group delay
US6737937B2 (en) Microwave filter and a telecommunication antenna including it
Deo et al. High isolation spiral antenna configurations for full-duplex communications
KR102058060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WO2023118989A1 (en) In-line signal distribution system
KR20030070734A (ko) 멀티-에어스트립라인 구조의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고주파신호 분배 결합장치
CN110557183A (zh)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分布式天线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