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151A -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 Google Patents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151A
KR20180036151A KR1020160126383A KR20160126383A KR20180036151A KR 20180036151 A KR20180036151 A KR 20180036151A KR 1020160126383 A KR1020160126383 A KR 1020160126383A KR 20160126383 A KR20160126383 A KR 20160126383A KR 20180036151 A KR20180036151 A KR 2018003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upper plate
spa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175B1 (ko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16012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물;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와, 상기 도광부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는 하판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광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이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구조물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Underground structure with natural l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지하에 건축되는 지하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상으로 조사되는 햇빛이 실내로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시 냉난방과 채광 및 환기는 에너지절약과 건강관리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채광과 환기 구조에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연광이 사람의 건강에 많은 이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근 들어서는 자연광을 이용한 채광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구조물의 외벽이나 천장에 개폐 가능한 창문을 설치하여 보다 많은 양의 자연광이 건축구조물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하에 매립되는 건축물은 외벽이나 천장에 창문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자연광을 직접 전달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자연광에는 조명기능을 할 수 있을 만큼의 광량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성장ㆍ발육에 필요한 생육광(生育光) 공급 기능 및 자외선을 근간으로 하는 살균소독, 정화 등의 기능이 있는데, 지하건축물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자연광의 이점을 전혀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연광을 지하건축물의 실내로 전달하기 채광장치(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11-0008013호)가 개발된바 있다. 상기 채광장치는 지하건축물의 측면에 굴착된 경사로를 통해 자연광이 지하건축물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바, 지하에 완전히 매립되어 있는 건축물에도 자연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하건축물용 자연광 채광장치는, 지하 건축물의 측벽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경사로가 확보되어야 하는바, 많은 면적의 토지가 확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물 간의 이격거리가 좁은 도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경사로 굴착을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현장 적용이 실질적으로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20-2011-0008013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하에 건설되는 구조물의 실내로 자연광을 전달할 수 있고, 구조물의 주변에 넓은 공간이 필요치 아니하여 적용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로 제공되는 채광의 조도가 조절 가능한 지하건축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물;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와, 상기 도광부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는 하판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광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이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구조물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판의 상면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엘이디와,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광부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며,
상기 반사시트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가 구비된다.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이 구비되며,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와,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을 이용하면, 지하에 마련되는 구조물의 실내로 자연광을 전달되는바 채광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물의 주변에 넓은 공간이 필요치 아니하므로 활용가능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로 제공되는 채광의 조도가 조절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5는 광전달유닛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광전달유닛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광전달유닛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광전달유닛 제5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지하에 매립되도록 건설되되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연광을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채광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광으로부터 제공되는 채광 이외의 여러 가지 이점(생육광 공급, 살균소독, 정화 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구조물(100)과, 상기 구조물(10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광전달유닛(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연광이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해 상기 구조물(100)에는 별도의 환기구(300)가 연통되고, 상기 구조물(100)의 가운데 부위에는 승강통로(120)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통로(120)는 계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통로(12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자연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으로 제공된 자연광이 내부를 타고 일면(개구부(110)를 향하는 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장착위치 및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이어 배열되는 두 개의 구조물(100) 사이에 배치되는 광전달유닛(200)(도 1에서는 가운데 위치하는 광전달유닛(200))의 경우에는 상단으로 유입된 자연광이 좌우측면으로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투명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구조물(100) 바깥쪽 외벽에 장착되는 광전달유닛(200)(도 1에서는 좌우측에 위치하는 광전달유닛(200))의 경우에는 상단에 유입된 자연광이 좌우측 중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면으로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끝단으로 제공된 빛이 어느 일면으로 전달되는 구조는 종래의 조명장치용 도광판 등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구조물(100)의 내부공간으로 더욱 많은 양의 자연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10) 전체를 덮는 구조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가 적은 채광량을 원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개구부(110)의 일부만을 덮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광전달유닛(200) 자체가 반투명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전달유닛(200) 중 상면은 지상으로 노출되므로 쉽게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광전달유닛(200)의 상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면 광전달유닛(200)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오염 및 손상이 쉽게 되지 아니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광전달유닛(200) 전체를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하면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상기 광전달유닛(200) 중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측과 지반에 안착되는 하측만이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210)와, 상기 도광부(210)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판(230)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전달유닛(200)이 도광부(210)와 하판(230)과 상판(220)으로 구분되면, 하판(230)과 상판(220)만을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광전달유닛(200)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판(220)은 자연광 유입량이 극대화되도록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하판(230)이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면 상판(220)을 통해 하향 유입된 자연광 대부분이 하판(230)을 투과하여 지하로 흡수되므로,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광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230)은 강도가 높은 지지층(232)과 상기 지지층(232)의 상면에 부착되는 반사층(234)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판(230)의 상면에 반사층(234)이 구비되면, 상판(220)을 통해 하향 유입된 자연광이 하판(230)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는바, 구조물(100)의 개구부(110)로 전달되는 광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지하에 건설되는 구조물(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100)의 각 외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의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100)의 외측벽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구조물(100)의 개구부(110)를 덮을 수 있다면 다양한 규격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광전달유닛(200)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구부(110)를 통해 충분한 양의 자연광이 전달되지만, 날씨가 흐린 날에는 개구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광량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날씨가 흐린 날에도 개구부(110)를 통해 충분한 광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230)의 상면과 상기 상판(220)의 저면에 각각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판(230)과 상판(220)에 엘이디(240)가 구비되면 날씨가 흐려 자연광 광량이 적은 경우, 상기 엘이디(240)를 점등시킴으로써 개구부(11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30)과 상판(220)뿐만 아니라 도광부(210)의 측벽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엘이디(240)의 배열패턴 및 개수는 광전달유닛(200)의 규격이나 개구부(110)의 크기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광전달유닛(200)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부(210)가 하나의 블럭으로 제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도광부(210)가 블럭 형태로 제작되면 제조원료 사용량이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부(210)는 제조원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220)과 하판(230)은 도광부(210)의 개방된 상측 및 하측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의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작되면, 도광부(210)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달유닛(200)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광부(210)의 내부로 유입된 자연광 대부분이 개구부(1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도광부(210)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25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 내벽면에 반사시트(250)가 부착되면 상판(220)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의 대부분이 개구부(110) 측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채광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시트(250)는 상판(220)과 하판(230)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상판(220)과 하판(230) 및 도광부(2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광전달유닛(200) 중 개구부(110)와 마주보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전체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220)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 광량이 부족하더라도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충분한 채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시트(250)에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광전달유닛(200)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상판(220)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이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엘이디(240)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구조물(100) 내부공간의 채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240)의 점등을 제어하는 광량센서(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량센서(400)는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240)가 점등되도록 점등신호를 발생시키는바, 날씨에 상관없이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을 밝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다 많은 양의 자연광을 개구부(11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광부(210)의 수평단면적이 넓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상기 도광부(210)의 수평단면적이 넓어지면 광전달유닛(200) 설치를 위한 공간이 넓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이 상광 하협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 내벽이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지하에 매립되는 부위는 좁더라도 많은 양의 자연광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채광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광전달유닛(200) 제5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200)은 단순히 자연광을 전달하는 도광판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테리어용품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수족관 기능까지 겸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부(210)는 내부공간이 외부와 완벽하게 격리되도록 방수처리되어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210)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500)와,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고 투명창(212)이 구비되면, 사용자는 도광부(210) 내에 물고기를 키울 수 있고, 도광부(210) 내의 물고기가 투명창(212)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바, 상기 광전달유닛(200)이 인테리어용품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광부(2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파동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부(210) 내부로 유입된 자연광은 상기 파동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빛반사가 형성되는바, 보다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채광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210)와 상판(220), 하판(230)에는 반사판(250)과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판(250)과 엘이디(240)의 장착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구조물 110 : 개구부
120 : 승강통로 200 : 광전달유닛
210 : 도광부 212 : 투명창
220 : 상판 230 : 하판
232 : 지지층 234 : 반사층
240 : 엘이디 250 : 반사시트
300 : 환기구 400 : 광량센서
500 : 산소발생기 600 : 여과기

Claims (4)

  1.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구조물(100);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210)와, 상기 도광부(210)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반사층(234)이 구비되는 하판(230)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220)을 구비하는 광전달유닛(200);
    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220)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220)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이 상기 도광부(210)를 통해 상기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230)의 상면과 상기 상판(220)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엘이디(240)와,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240)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210)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250)가 부착되며,
    상기 반사시트(250)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210)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212)이 구비되며,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500)와,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건축물.
KR1020160126383A 2016-09-30 2016-09-30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KR10191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83A KR101916175B1 (ko) 2016-09-30 2016-09-30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83A KR101916175B1 (ko) 2016-09-30 2016-09-30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151A true KR20180036151A (ko) 2018-04-09
KR101916175B1 KR101916175B1 (ko) 2018-11-07

Family

ID=6197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383A KR101916175B1 (ko) 2016-09-30 2016-09-30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4470A5 (de) * 2000-04-11 2005-01-31 Heliobus Ag Anordnung zum Ausleuchten von Räumen in Gebäuden.
KR200342622Y1 (ko) * 2003-11-29 2004-02-21 현대건설주식회사 공동 주택 지하 주차장의 조명 겸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175B1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5942B1 (en) Lighting system for building
US3227061A (en) Underground building
JP2013037995A (ja) 太陽光採光システム
KR101916175B1 (ko) 자연채광 기능을 구비하는 지하건축물
CN104164892A (zh) 一种电缆隧道多功能检查井
KR20190001877U (ko) 빛 투과형 컨테이너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990711B1 (ko) 하우스용 판넬
KR101625092B1 (ko) 자연채광장치
KR10142463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친환경 건물
JP2002129757A (ja) 建 物
JP2009138443A (ja) 集合住宅構造
KR100883562B1 (ko) 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EP2325413B1 (en) A multilayer structure frontally closing a transparent surface in a building for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RU1027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стеств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JPS6337684Y2 (ko)
JP2007308989A (ja) 採光構造
JP4270405B2 (ja) 室内空間構造
KR101281623B1 (ko) 벽걸이형 수족관
KR200383875Y1 (ko) 납골묘
JP2016181407A (ja) 照明システム
JPS5823102A (ja) 地下室照明装置
JP5123077B2 (ja) 外壁部階間収納部を備える建物
JP2021050571A (ja) 居室の採光構造
JP5489290B2 (ja) 建築物の採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