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92B1 - 자연채광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채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92B1
KR101625092B1 KR1020140094492A KR20140094492A KR101625092B1 KR 101625092 B1 KR101625092 B1 KR 101625092B1 KR 1020140094492 A KR1020140094492 A KR 1020140094492A KR 20140094492 A KR20140094492 A KR 20140094492A KR 101625092 B1 KR101625092 B1 KR 10162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light
tempered glass
light
plat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643A (ko
Inventor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솔루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솔루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솔루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9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는 구조체의 바닥면에 매입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태양광을 투과시키고 외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강화유리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태양광을 투과시키는 제2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강화유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제1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집광효율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허니컴패널을 구비하는 집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채광장치{DAYLIGHTING DEVICES}
본 발명은 자연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광효율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다. 전기에너지는 석유, 석탄, 원자력 등의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데 그 사용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서 태양광을 이용하는 여러 기술이 연구되었고 알려져 있다.
태양광을 이용한 실내 조명 수단은 전력 소비 없이 친환경적인 자연광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축 구조물에서 채광은 외부와 통하는 벽면에 설치되는 창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다층 건축구조물에서 천장에서 바로 실내를 밝히거나 창호를 통해 벽면 등에 의해서 밀폐된 어두운 공간을 밝히기 위해서는 태양광을 모으고 이 모여진 빛을 내부 전반사로 유도하여 목적지까지 이르도록 하는 도광장치를 이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721호(2007. 06. 18)와 같이 태양광을 실내 조명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연채광장치는 설치시 집광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돌출된 집광부분으로 인한 설치공간의 활용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광부분을 바닥면에 매입할 경우, 집광부분을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집광되는 태양광의 양이 적어 자연채광장치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과 시각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는 구조체의 바닥면에 매입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태양광을 투과시키고 외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강화유리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태양광을 투과시키는 제2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강화유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제1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집광효율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허니컴패널을 구비하는 집광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허니컴패널은 상기 제1강화유리를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이 난반사 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어 난반사 된 상기 태양광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광판과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을 상기 구조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집광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을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을 반사하는 트랜지션 박스와, 상기 트랜지션 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반사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구조체의 내부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송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는 산광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집광판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집광판의 측면,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및 상기 구조체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구조체를 일체화하는 제1철물과, 상기 제1철물과 일면이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일면이 상기 집광판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2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집광판 및 상기 구조체와 접착식 방수 테이프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은 내면에 투입된 상기 태양광을 난반사 하는 다수개의 돌기와, 상기 산광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태양광의 양을 조절하는 일광조절장치와, 투입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산광장치에 집중시키는 프리즘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내공간 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환기팬과, 상기 환기팬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과 연결되고 일단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의 환기덕트와, 상기 환기덕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집광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수용 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에 의하면, 집광판이 바닥면에 매입됨으로써 바닥면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태양광을 난반사 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허니컴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강화유리 사이에 허니컴패널이 구비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시각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집광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는 구조체(20)의 바닥면에 매입되는 집광판(100), 고정부재(200), 트랜지션 박스(300), 이송관(400) 및 산광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연채광장치(10)가 상기 구조체(20)의 옥상에 구비될 시 상기 구조체(20)는 바닥면 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의 바닥면 일부분만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상기 구조체(20) 상부에 흙과 같은 토사(40)를 구비하여 조경을 위한 장소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우천 시 상기 토사(40)가 흡수한 수분이 상기 구조체(20)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토사(40)와 상기 구조체(20) 사이에는 방수시트(30)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조체(20)의 내측면에도 상기 방수시트(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광판(100)은 상기 구조체(20)의 바닥면에 매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광판(1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집광판(100)과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100)을 상기 구조체(20)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한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는 상기 집광판(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100)을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을 반사시켜 상기 태양광이 자연스럽게 상기 이송관(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는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제작하여 투입된 상기 태양광이 그대로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에 이송되도록 하고, 하면이 상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태양광이 자연스럽게 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 하부에는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를 통해 반사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구조체(20)의 내부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관(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400)은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집광판(100)과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과의 거리에 따라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400)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돌기(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410)는 상기 이송관(400)으로 투입된 상기 태양광이 난반사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은 시간대에 따라 바뀌는 태양의 위치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상기 태양광이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상기 태양광이 투입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기 돌기(4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송관(400)에 투입된 상기 태양광을 난반사 하여 많은 양의 상기 태양광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돌기(410)가 일정한 간격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다수개의 상기 돌기(410)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송관(400)의 일단 즉, 상기 산광장치(500)와 연결되는 방향의 일단에는 일광조절장치(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광조절장치(420)는 상기 이송관(4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산광장치(500)로 이송될 상기 태양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400)까지 이송된 상기 태양광의 양이 많더라도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에 요구되는 밝기에 맞춰 상기 이송관(400)의 일단을 가림으로써 상기 태양광을 상기 산광장치(500)에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일광조절장치(420)는 유무선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고,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관(400)과 상기 산광장치(500) 사이에는 프리즘패널(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패널(430)은 반구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이송관(400)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400)을 통해 이송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산광장치(500)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태양광을 일정 영역으로 집중시켜 이송된 상기 태양광이 빠짐없이 상기 산광장치(50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광장치(500)는 상기 프리즘패널(430)이 구비된 상기 이송관(40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산광장치(500)는 상기 이송관(400)을 통해 이송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구조체(20)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집광판(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집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의 집광판(100)은 케이스(110), 제1강화유리(120), 제2강화유리(130), 이격부재(140) 및 허니컴패널(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구조체(20)의 바닥면에 매입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10)가 사각 틀 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집광판(100)이 설치되는 위치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각형의 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강화유리(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태양광을 투과시키고 외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강화유리(120)는 저철분의 유리를 사용하여 투명성을 높여 상기 태양광을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강화유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태양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강화유리(120)와 상기 제2강화유리(130) 사이에는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이격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140)는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강화유리(120)와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이격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강화유리(120)를 지지함으로써 보다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격부재(140)가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사각 틀 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이격부재(140)는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상부 모서리에만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강화유리(120)와 상기 제2강화유리(130) 사이 즉, 상기 이격부재(140)의 내측으로는 허니컴패널(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니컴패널(150)은 상기 제1강화유리(120)를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이 난반사 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격벽(151)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151)에 의해 형성되어 난반사 된 상기 태양광이 통과하는 관통홀(1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광판(100)이 상기 허니컴패널(15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강화유리(120)를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이 상기 허니컴패널(150)의 다수개의 상기 격벽(151)에 의해 난반사 되어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격벽(151)이 벌집 형태의 허니컴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강화유리(120) 및 상기 제2강화유리(130)와 더불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상기 집광판(100)을 밟고 지나가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허니컴패널(150)을 구비함으로써 시각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니컴패널(150)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집광판(100)의 상부를 사람이 밟고 지나갈 경우, 마치 깊은 맨홀(미도시)과 같은 상기 이송관(400)이 직접적으로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공포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강화유리(120)와 상기 제2강화유리(130) 사이에 상기 허니컴패널(15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관(400)이 직접적으로 시야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시각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고정부재(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의 고정부재(200)는 지지부재(210), 제1철물(220) 및 제2철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집광판(100)의 하부 즉 상기 제2강화유리(13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10)로는 사각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0)의 사이즈 조절을 통해 상기 집광판(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10)가 사각 파이프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자연채광장치(10)의 설치 위치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철물(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광판(100)의 측면과 상기 지지부재(210)의 일면을 덮는 제1부분체(221)와 상기 구조체(20)의 일부를 덮는 제2부분체(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체(221)와 상기 제2부분체(222)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집광판(100), 상기 지지부재(210) 및 상기 구조체(20)의 형태에 맞게 'ㄱ'자, 'ㄴ'자 또는 'ㄹ'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체(222)의 일부는 앵커,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250)를 통해 상기 구조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철물(230)은 상기 제1철물(220)의 제1부분체(221)와 일면이 맞대어지고 상기 집광판(100)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철물(230)은 상기 제1철물(220)의 제1부분체(221)와 맞대어지는 수직부재(231)와 상기 집광판(100)의 상부 즉 상기 제1강화유리(120)의 상부 일부분과 결합하는 수평부재(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철물(220)의 제1부분체(221)와 상기 제2철물(230)의 수직부재(231)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철물(220)과 상기 제2철물(230)은 상기 자연채광장치(10)의 설치 위치나 주변환경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각각 제작되어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집광판(100)이 상기 구조체(20)의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에 힘이나 충격에도 상기 집광판(100)이 위치를 이탈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집광판(100) 사이,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구조체(20) 사이에는 접착식 방수 테이프(240)를 구비하여 상호 간의 결합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틈새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는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 내부에 상기 프리즘패널(4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패널(430)은 상기 이송관(400)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션 박스(300) 내부에 상기 프리즘패널(4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집광판(100)을 통해 투입된 상기 태양광이 상기 프리즘패널(430)에 의해 이송관(400) 내부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광판(100)의 일부분을 통해 상기 태양광이 투입되더라도 상기 프리즘패널(430)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에 고른 조도의 상기 태양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 측에 위치한 상기 이송관(400)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관(400)을 통해 이송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구조체(20)의 실내공간에 고르게 분배하는 디퓨저(5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10)는 환기장치(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600)는 상기 이송관(4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조체(20)의 내부공간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환기장치(600)는 환기팬(610), 환기관(620), 환기덕트(630) 및 배수용 판석(6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610)은 상기 실내공간 측에 위치한 상기 환기관(620)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6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기관(62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관(620)으로는 주름관을 사용하여 상기 환기장치(600)가 설치되는 위치나 주변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환기관(62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환기관(620)을 통해 이동된 공기는 상기 환기덕트(6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덕트(630)의 상측에는 상기 집광판(1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수용 판석(6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덕트(630)는 일단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배수용 판석(640)을 통해 배수된 수분이 상기 환기덕트(630)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덕트(630)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용 판석(640)을 통해 배수된 수분을 임시로 저수하는 저수함(6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수함(650)에 임시로 저수된 수분은 별도의 배수장치(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자연채광장치 100: 집광판
200: 고정부재 300: 트랜지션 박스
400: 이송관 500: 산광장치
600: 환기장치

Claims (8)

  1. 구조체의 바닥면에 매입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태양광을 투과시키고 외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강화유리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태양광을 투과시키는 제2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강화유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와,
    상기 제1강화유리와 상기 제2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집광효율 및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허니컴패널을 구비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과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을 상기 구조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집광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을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을 반사하는 트랜지션 박스와,
    상기 트랜지션 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반사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구조체의 내부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송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는 산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집광판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집광판의 측면,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및 상기 구조체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구조체를 일체화하는 제1철물과, 상기 제1철물과 일면이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일면이 상기 집광판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2철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패널은 상기 제1강화유리를 통해 투과된 상기 태양광이 난반사 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어 난반사 된 상기 태양광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집광판 및 상기 구조체와 접착식 방수 테이프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내면에 투입된 상기 태양광을 난반사 하는 다수개의 돌기와,
    상기 산광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태양광의 양을 조절하는 일광조절장치와,
    투입된 상기 태양광을 상기 산광장치에 집중시키는 프리즘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실내공간 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환기팬과,
    상기 환기팬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과 연결되고 일단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의 환기덕트와,
    상기 환기덕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집광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수용 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장치.
KR1020140094492A 2014-07-25 2014-07-25 자연채광장치 KR10162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92A KR101625092B1 (ko) 2014-07-25 2014-07-25 자연채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92A KR101625092B1 (ko) 2014-07-25 2014-07-25 자연채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43A KR20160012643A (ko) 2016-02-03
KR101625092B1 true KR101625092B1 (ko) 2016-06-07

Family

ID=5535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492A KR101625092B1 (ko) 2014-07-25 2014-07-25 자연채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650B1 (ko) * 2021-01-22 2022-10-14 주식회사 선포탈 매립형 자연 채광용 광 반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33B1 (ko) * 2009-02-10 2010-04-07 김덕보 채광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674A (ja) * 1997-04-17 1998-11-04 Mitsumasa Ueda 屋内型霊園
KR101046848B1 (ko) * 2009-05-12 2011-07-06 박이동 유해가스 배출 및 환기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광장치
KR101381659B1 (ko) * 2010-12-21 2014-04-04 주식회사 엔에스넷 매립형 자연 채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33B1 (ko) * 2009-02-10 2010-04-07 김덕보 채광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4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433B1 (ko) 채광 조명 장치
KR101625092B1 (ko) 자연채광장치
KR101049506B1 (ko) 건축물지붕 채광기
US6044602A (en) Light transmitting roofing structure and method
JP2007115417A (ja) 光搬送装置
KR200462893Y1 (ko) 건축물 지붕용 아치형 채광기
JP4448562B2 (ja) 住宅の採光構造
CN207471405U (zh) 一种采光风口
JP2011163065A (ja) 採光装置
KR10142463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친환경 건물
KR102164513B1 (ko) 무동력 친환경 환풍구 구조
KR101113085B1 (ko) 태양광에너지 엘이디를 구비한 건축물지붕 채광기
CN106678732A (zh) 一种侧向采光装置及侧向采光的方法
JP5428062B2 (ja) モニター屋根およびモニター屋根内部の反射光路形成方法
JP2016115492A (ja) 採光装置
JPS6337684Y2 (ko)
KR101691138B1 (ko)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
JP6444679B2 (ja) 庇型光ダクト
KR101066653B1 (ko) 채광장치
CN217630928U (zh) 一种外部遮阳建筑结构装置
CN205919253U (zh) 一种建筑物的导光管采光系统
CN208269021U (zh) 一种建筑导光走廊照明节能装置
KR101381659B1 (ko) 매립형 자연 채광 장치
KR101691137B1 (ko) 기둥을 이용한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
EP2383400A1 (en) Illuminated roof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