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143A -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143A
KR20180036143A KR1020160126362A KR20160126362A KR20180036143A KR 20180036143 A KR20180036143 A KR 20180036143A KR 1020160126362 A KR1020160126362 A KR 1020160126362A KR 20160126362 A KR20160126362 A KR 20160126362A KR 20180036143 A KR20180036143 A KR 2018003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main body
us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017B1 (ko
Inventor
최형식
임진환
오지훈
강덕현
장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7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물이나 짐을 가지고 있거나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을 짚고 있어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을 손으로 누를 수 없는 사용자가 발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끼워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사용자가 외장 케이스를 발로 눌러 하강시키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위치한 벽면 버튼의 내부접점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Foothold device for elevator call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물이나 짐을 가지고 있거나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을 짚고 있어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을 손으로 누를 수 없는 사용자가 발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이 늘어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사용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운행속도, 공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엘리베이터는 사용자의 손으로 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 도어의 여닫음을 유지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버튼을 눌러 여닫음을 유지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컨대, 짐을 들고있는 사용자나, 목발을 사용하거나, 휠체어를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 등 손으로 버튼을 눌러 여닫음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기존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호출 및 개폐상태 유지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기술문헌 :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655호(2006.11.2.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화물이나 짐을 가지고 있거나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을 짚고 있어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는 본체;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끼워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사용자가 외장 케이스를 발로 눌러 하강시키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위치한 벽면 버튼의 내부접점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따라 관통삽입되어 본체의 양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봉;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봉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봉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에서 각각 취출되는 전선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체 후방에 구비되거나 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장케이스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흡착판을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눌러 진공흡착시키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진공흡착되거나 진공흡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는 레버 대신 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흡착판을 진공흡착시키는 볼트조임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착판의 바닥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띠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장케이스의 외측 전면에는 기기의 작동 상태와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유도할 수 있는 발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물이나 짐을 가지고 있거나 휠체어를 타거나 목발을 짚고 있어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을 손으로 누를 수 없는 사용자가 발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에서 취출되는 전선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거나, 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기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체를 분리시켜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단점을 해결하고, 기기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부품의 수리 및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케이스의 하부면에 흡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레버, 볼트를 포함하는 회동부재를 소정방향으로 돌리면 바닥면에 진공흡착되어 특정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덮개가 분리된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덮개가 장착된 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덮개가 분리된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덮개가 장착된 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100)는 본체(10), 탄성부재(12), 외장 케이스(14), 고정봉(16), 지지봉(18), 스위치부(20), 및 디스플레이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및 도어 개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소정 깊이로 파지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체(1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의 양측 모서리에는 소정 직경의 제1 관통공(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22) 내부로 아래에서 서술할 고정봉(16)이 관통삽입된다.
덮개(24)는 본체(1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끼워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본체(10)와 덮개(24) 간의 고정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2)는 본체(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사용자가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외장케이스(14) 중 상부 케이스(28)를 발로 눌러 아래로 하강시키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부재(12)는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2)를 스프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장케이스(14)는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장케이스(14)는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과 접하고, 본체(1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6)와, 하부 케이스(26)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끼워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부 케이스(26)와 상부 케이스(28)는 상호 착탈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케이스(26)의 양측 모서리의 일측부분에는 소정의 제2 관통공(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30) 내부로 본체(10)의 제1 관통공(22)으로부터 관통삽입된 고정봉(16)이 연장삽입된다.
일 실시예로서, 외장케이스(14)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장케이스(14)의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케이스(28)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파지되거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4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았을 때 미끄러지는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봉(16)은 본체(10)가 외장케이스(1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22)에 관통삽입되어 외장케이스(14)에 형성된 제2 관통공(30)에 연장삽입되어 본체(10)의 양단을 외장케이스(14)에 고정시킨다.
고정봉(16)의 양측말단의 팁(17)은 허리부분이 오목하게 파여지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차형성되어 외장케이스(14)로부터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헐거움을 방지한다.
지지봉(18)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봉(16)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봉(16)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삽입된다.
이 때, 지지봉(18)은 고정봉(16)의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d2)으로 형성되어 내측 중공을 따라 고정봉(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외장케이스(14)의 제2 관통공(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관통공(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부(20)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위치한 벽면 버튼의 내부접점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부(2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위치한 벽면 버튼의 내부접점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엘리베이터의 호출 및 도어 개폐상태를 유도한다.
스위치부(2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발판패드(100)를 발로 밟고 있는 동안은 개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발을 떼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도어가 다시 폐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미도시)는 도어 열림시간은 2~4초, 도어 유지시간은 2~7초, 도어 닫힘시간은 2~4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승강기 규정 열림시간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본체(10)와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10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부(20)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기구이다.
커넥터(32)는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3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기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체를 분리시켜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부품의 수리 및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2)는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와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34)의 말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0)의 후방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형성된 전선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전선삽입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체형의 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다.
흡착수단(36)은 외장케이스(14)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38),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흡착판(38)을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눌러 진공흡착시키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회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장케이스(14)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회동부재(40)는 도 2 에서와 같이 레버의 회동에 의해 흡착판이 진공흡착될 수도 있으며, 레버 대신 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흡착판을 진공흡착시키는 볼트조임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흡착판(38)의 바닥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띠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의 흡착수단(36)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6)는 외장케이스(14)의 외측 전면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작동 상태 표시 램프(42)와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층수표시 램프(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상태 표시 램프(42)는 작동 확인의 불빛으로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불빛이 점등되지 않을 경우, 내부 부품의 수리를 위한 진단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층수 표시 램프(44) 휠체어를 타고있거나 큰 짐을 들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층수 확인이 어려운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발판 장치의 전면부에 장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층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탄성부재
14 - 외장 케이스 16 - 고정봉
17 - 팁 18 - 지지봉
20 - 스위치부 22 - 제1 관통공
24 - 덮개 25 - 체결부재
26 - 하부 케이스 28 - 상부 케이스
30 - 제2 관통공 32 - 커넥터
34 - 케이블 36 - 흡착수단
38 - 흡착판 40 - 회동부재
42 - 요철부 42 - 작동상태 표시 램프
44 - 층수 표시 램프 46 - 디스플레이부
100 -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Claims (7)

  1. 본체;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끼워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사용자가 외장 케이스를 발로 눌러 하강시키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벽면에 위치한 벽면 버튼의 내부접점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발로 눌러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따라 관통삽입되어 본체의 양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봉;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봉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봉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지지봉
    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와 엘리베이터의 벽면 버튼에서 각각 취출되는 전선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체 후방에 구비되거나 본체에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되는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장케이스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판,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흡착판을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눌러 진공흡착시키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진공흡착되거나 진공흡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흡착수단
    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동부재는
    레버 대신 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흡착판을 진공흡착시키는 볼트조임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흡착판의 바닥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띠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장케이스의 외측 전면에는 기기의 작동 상태와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KR1020160126362A 2016-09-30 2016-09-30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KR10190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62A KR101901017B1 (ko) 2016-09-30 2016-09-30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62A KR101901017B1 (ko) 2016-09-30 2016-09-30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143A true KR20180036143A (ko) 2018-04-09
KR101901017B1 KR101901017B1 (ko) 2018-09-20

Family

ID=6197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362A KR101901017B1 (ko) 2016-09-30 2016-09-30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64B1 (ko) * 2020-04-28 2021-08-23 송하용 엘리베이터용 안내클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5456B (zh) * 2010-02-08 2012-08-22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脚踏式召唤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64B1 (ko) * 2020-04-28 2021-08-23 송하용 엘리베이터용 안내클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017B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784B2 (en) Respirator and wall mount for a respirator
CN101316531B (zh) 多用途吸盘
KR101901017B1 (ko)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US20090038113A1 (en) wheel structure
CN110547951B (zh) 辅助爬楼装置
WO2017007135A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US20130161135A1 (en) Apparatus for brake of walking support machine
KR20140108146A (ko)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CN202749282U (zh) 具有手动自锁结构的拉绳开关
JP6280165B2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13094522A (ja) 歩行補助具の制動装置
JP7343574B2 (ja) 歩行器用ワイヤ作動式リムブレーキのシステム
JPH09144395A (ja) 吸盤式吸着具および弾性吸着盤の吸着機構
KR101665201B1 (ko)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JPH0741111Y2 (ja) 電源プラグアダプタ
JP4897580B2 (ja) 手摺装置
JP2022524872A (ja) ベビーカーフレームおよびベビーカー
KR20110039618A (ko) 핸들 꺽임에 의한 제동 구조를 가진 보행 보조 장치
US6607055B1 (en) Emergency escape pulley structure
JP2000014713A (ja) 電動車椅子の足操作機構
JPH11263541A (ja) エレベータ運転装置
CN211544289U (zh) 一种用于存储电池的收纳盒
CN214968075U (zh) 一种带报警功能的病床摇把复位装置
CN215375335U (zh) 一种环境监测用高效的挥发性有机物在线监测系统
KR101330047B1 (ko) 일체형 벨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