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92A -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92A
KR20180035292A KR1020160125126A KR20160125126A KR20180035292A KR 20180035292 A KR20180035292 A KR 20180035292A KR 1020160125126 A KR1020160125126 A KR 1020160125126A KR 20160125126 A KR20160125126 A KR 20160125126A KR 20180035292 A KR20180035292 A KR 2018003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unit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715B1 (ko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주)동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동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2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7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도록 한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들이 댁내에 설치되고 있다. 이처럼 통신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들을 스마트홈 기기라고 한다.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 이외에 스위치, 화재감지장치, 가스감지장치 등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이하 "IoT"라 함) 기기라고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홈 IoT 기기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조작 가능한 스마트 스위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파워 소모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콘센트, 댁내 무선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스마트 네트워크 기기,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댁내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IoT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3243호의 "주변환경 연계형 복합센서 사물인터넷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다수의 센서가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고 사물에 부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합센서; 상기 복합센서와 센서 전용 버스로 연결되고 시맨틱 및 온톨로지를 위한 데이터가 정형화되어 있어 시맨틱 및 온톨로지 기반으로 외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외부 장치에 통보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로부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분석 결과를 통보받는 유관기관이나 관계자의 단말을 구비하는 외부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한 편리한 사용에 한계가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 증대와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IoT의 다기능화, 대중화 및 확대의 기여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등록부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 상태,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를 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와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IoT 기기 및 단말기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등록표시부; 및 상기 등록표시부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 및 IoT 기기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상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oT 기기 및 상기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상기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록표시부는, 상기 등록부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단말기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에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에 의해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IoT용 통신모듈(110), 통신부(120), 등록부(130), 제어부(14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IoT용 통신모듈(110), 통신부(120), 등록부(130), 제어부(140) 및 메모리부(150) 등의 구성이 수용되거나 설치되기 위한 케이스(190; 도 2에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함께, 본 발명의 IoT 홈 스마트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IoT용 통신모듈(110)은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21,22,23,24,2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된다. IoT 기기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정보 제공 내지 제어되는 난방기구(21), 장난감 드론(22), 교육보조도구(23), 전력제어기(24) 및 가전기구(25)를 비롯하여, 다양한 IoT 통신 가능 기기 및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 예컨대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 단말기(10) 등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된다. 통신부(120)는 WiFi, LTE, 3G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PC를 비롯하여,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여러 종류의 통신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일례로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구현 내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등록부(130)는 통신부(120)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IoT용 통신모듈(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등록에 필요한 정보는 IoT 기기(21,22,23,24,25)의 식별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종류, 명칭, 모델명, 부여된 식별코드 또는 제조회사 등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1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등록되어 통신부(120)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10)가 IoT용 통신모듈(1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단말기(10)가 IoT 기기(21,22,23,24,25)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와 등록부(130)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140)의 요청시 해당하는 데이터 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등록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부(140)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한다. 입력부(160)는 케이스(190; 도 2에 도시)의 외측면, 예컨대 정면이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드키(hard-key; 161, 도 2에 도시)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드키(161)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버튼이나 스위치 또는 터치패널 등의 입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드키(161)는 메뉴 불러오기, 확인 내지 선택, 취소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140)의 동작 제어 상태, IoT용 통신모듈(1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의 식별정보, IoT 기기(21,22,23,24,25)별 접속 허용 단말기(10)의 식별정보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케이스(190; 도 2에 도시)의 외측면, 예컨대 정면이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건전지나 충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의 케이스(190)는 후면에 각종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IoT용 통신모듈(110)에 IoT 기기(21,22,23,24,25)를 접속하기 위한 IoT 통신커넥터(111,112,113)와, 통신부(120)에 통신 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커넥터(121) 및 전원공급부(1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커넥터(18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90)에는 전술한 하드키(16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IoT 통신커넥터(111,112,113)는 무선용 통신커넥터(111), 유선용 통신커넥터(112) 및 센서용 통신커넥터(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를 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웹서버(210), 등록표시부(220) 및 데이터베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210)는 IoT 홈 스마트 장치(100)와 단말기(10)가 인터넷 등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고, 단말기(10)를 통해 검색 또는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10)는 단말기(10) 등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등록표시부(220)는 웹서버(210)에 접속된 IoT 홈 스마트 장치(100) 및 단말기(10)로부터 IoT 기기(21,22,23,24,25) 및 단말기(10)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10)가 웹서버(210)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등록표시부(220)는 등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10)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10)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단말기(10)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21,22,23,24,25)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웹서버(210)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10)에 상기의 패스워드를 부여할 수 있고, IoT 기기(21,22,23,24,25)별 접속 허용 단말기(10)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10)에 의해 IoT 기기(21,22,23,24,25)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10)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21,22,23,24,25)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절차는 부여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 공인 인증, 휴대폰 인증, 신용카드 인증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와 IoT 기기(21,22,23,24,25)간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는 보안 강도에 따라 예컨대 WEP, WPA, WPA2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IoT 기기의 제어나 제공 정보의 중요도나 노출 위험 등에 따라 적절한 보안 강도가 선택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공지된 방식 내지 특별히 정한 방식에 따른 암호 과정을 따를 수 있다. 또한 등록표시부(220)는 IoT 기기(21,22,23,24,25)에 대한 단말기(10)의 접속 허용 위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단말기(10)로부터 GPS 모듈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30)는 등록표시부(220)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10) 및 IoT 기기(21,22,23,24,25)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된 범위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지 사용자가 허용한 범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웹서버(210)의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IoT 기기(21,22,23,24,25) 및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관련 기기는 IoT 기기(21,22,23,24,25) 뿐만 아니라, IoT에 사용되는 여러 장치나 용품일 수 있다. 또한 제품판매부(240)는 외부의 은행이나 카드사 또는 결제 대행사의 시스템과의 접속에 의해 단말기(10)가 구매 제품에 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단말기 21,22,23,24,25 : IoT기기
100 : IoT 스마트 홈 장치 110 : IoT용 통신모듈
111,112,113 : IoT 통신커넥터 120 : 통신부
121 : 통신커넥터 130 : 등록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입력부 161 : 하드키
170 : 표시부 180 : 전원공급부
181 : 전원커넥터 190 : 케이스
200 : IoT 서비스 제공 서버 210 : 웹서버
220 : 등록표시부 230 : 데이터베이스부
240 : 제품판매부

Claims (5)

  1.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 상태,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IoT 스마트 홈 장치를 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와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IoT 기기 및 단말기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등록표시부; 및
    상기 등록표시부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 및 IoT 기기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상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oT 기기 및 상기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상기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등록표시부는,
    상기 등록부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단말기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에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에 의해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의 접속을 제한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60125126A 2016-09-28 2016-09-28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5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ko) 2016-09-28 2016-09-28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ko) 2016-09-28 2016-09-28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92A true KR20180035292A (ko) 2018-04-06
KR101859715B1 KR101859715B1 (ko) 2018-06-29

Family

ID=6197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ko) 2016-09-28 2016-09-28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7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27A1 (ko) 2018-03-27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
KR102042689B1 (ko) *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 등록 시스템
KR102044522B1 (ko) * 2018-05-24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처리 방법
KR20210026221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의 무선 접속정보 변경 방법 및 이를 이용한 iot시스템
WO2023071398A1 (zh) * 2021-10-25 2023-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感知的自动控制方法、电子设备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53B1 (ko) 2019-03-14 2019-10-02 (주)미래로택 Ibm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홈 터치 스위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68703A (ko) * 2016-03-29 2016-06-1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527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0527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8703A (ko) * 2016-03-29 2016-06-1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27A1 (ko) 2018-03-27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
KR102044522B1 (ko) * 2018-05-24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처리 방법
WO2019225998A1 (ko) * 2018-05-24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US11915249B2 (en) 2018-05-24 2024-0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gistering electronic device by mobile terminal
KR102042689B1 (ko) *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 등록 시스템
KR20210026221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의 무선 접속정보 변경 방법 및 이를 이용한 iot시스템
WO2023071398A1 (zh) * 2021-10-25 2023-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感知的自动控制方法、电子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715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715B1 (ko)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5493538B (zh) 用于安全元件中心式nfc架构的nfc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US11192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CN10866525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硬件钱包以及系统
US9378599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7075952A1 (zh)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及智能门控系统
CN105684483B (zh) 注册表装置、代理设备、应用提供装置以及相应的方法
CN103229184A (zh) 用于对安全资源的访问的方法和系统
KR20180030642A (ko)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GB2516686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4504314B (zh) 访问控制系统
KR102410329B1 (ko) 서비스 업데이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300083A (zh) 一种获取身份信息的方法、终端及验证服务器
CN109920093A (zh) 认证信息控制系统、认证信息控制方法及非临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5496393B1 (ja) 宅内機器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KR10248383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960512B2 (ja) 電気移動体用充電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含まれる電気移動体用充電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サーバ装置並びに電気移動体用充電方法
JP7345757B2 (ja) 通信認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5999594B2 (ja) メータ
KR20190011620A (ko) 비대면 판매 인증시스템 및 장치
CN106357627A (zh) 读取居民证件卡信息的方法、系统及终端
CN106961664A (zh) 通信连接控制方法、装置及蓝牙键盘
KR20150107591A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90120688A (ko) 실험장치 관리 방법
KR101208686B1 (ko)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