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703A -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703A
KR20160068703A KR1020160037635A KR20160037635A KR20160068703A KR 20160068703 A KR20160068703 A KR 20160068703A KR 1020160037635 A KR1020160037635 A KR 1020160037635A KR 20160037635 A KR20160037635 A KR 20160037635A KR 20160068703 A KR20160068703 A KR 2016006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acket
iot device
packets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823B1 (ko
Inventor
곽문수
백준선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Abstract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자 기기로 구현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방법은,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INTERNET OF THINGS}
아래의 설명은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이란,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IoT는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IoT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사물 인터넷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667호(공개일 2014년 01월 22일)에는 다양한 사물에 대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하고 이를 용도 별로 묶어 IoT 기기를 제어하는데 재사용 할 수 있는 IoT 제어 방법 및 IoT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자 기기로 구현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의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을 시간대 별로 분류하여 특정 시간대의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레코딩을 분석하여 특정 시간의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응되는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각각의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상기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IoT 제어 방법은,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자 기기로 구현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기기 모니터부;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묶음 처리부;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monitoring) 하여 저장함으로써 모니터링 된 패킷을 사용자로 하여금 용도 별로 묶어서 정의한 후 패킷 묶음을 IoT 기기를 제어하는데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도 별 패킷 묶음으로 IoT 기기를 그룹 제어함으로써 IoT 기기를 그룹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허브나 게이트웨이 없이도 여러 대의 IoT 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IoT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환경에서 복수의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을 사용자 패턴 분석 및 사용성 향상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을 그대로 재사용하므로 IoT 기기의 세세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패킷 재사용 방식에 따라 신종 IoT 기기에 대한 호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를 모니터링 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IoT 기기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에 대한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된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도 별 패킷 묶음을 정의하는 절차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IoT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하여 모니터링 된 패킷을 IoT 기기를 제어하는데 재사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를 모니터링 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IoT 기기(101)와 IoT 제어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2)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구성 요소 간의 연결선은 IoT 기기(101)와 IoT 제어 시스템(100) 간, 그리고 IoT 제어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2)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oT 기기(101)는 전기/가스 또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가정의 냉방과 난방을 통합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자동차 문의 잠금 장치를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키를 꽂지 않아도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이 IoT 기술 기반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모든 스마트 기기나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IoT 환경에서 각 IoT 기기(101)를 동작시키거나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개별 앱)을 이용한 접근이 필요하다.
사용자 단말(102)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통신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IoT 기기(101)를 제어하기 위한 개별 앱은 물론, IoT 제어 시스템(100)과 관련된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통합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2)은 개별 앱 혹은 통합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 서버(103)는 써드 파티(3rd Party) 서비스 사업자의 데이터나 외부 공공 사업자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예컨대, IoT 기기(101)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외부 데이터로서 날씨 정보, 교통 정보 등 외부의 공공 데이터 혹은 특정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oT 제어 시스템(100)은 IoT 기기(101)와 연동하여 IoT 기기(101)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및 저장한 뒤 용도 별로 정의하고 각 용도에 따라 해당 용도의 패킷을 재사용하여 IoT 기기(101)를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IoT 제어 시스템(1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별 앱의 IoT 기기(101)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해당 IoT 기기(101)로 전달하는 공유기, 예컨대 AP(access point), 허브(Hub), 게이트웨이 등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공유기가 IoT 제어 시스템(100) 역할을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기기(101) 중 다른 IoT 기기들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특정 IoT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IoT 기기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특정 IoT 기기가 IoT 제어 시스템(100) 역할을 하도록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른 예로, IoT 제어 시스템(100)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플랫폼 상에 구축될 수 있으며, 메신저를 기반으로 IoT 기기(101)를 가상의 버디로 등록하여 IoT 기기(101)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이때, IoT 제어 시스템(100)은 메신저 환경에서 IoT 기기(101)의 접근이나 요청에 따라 외부 서비스 서버(103)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IoT 기기(101)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IoT 제어 시스템(100)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미도시)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신저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메신저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IoT 기기(101)를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일반적인 IoT 기기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IoT 환경에서는 IoT 기기마다 각각의 개별 앱을 통해 IoT 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IoT 기기(IoT 기기 A, IoT 기기 B, IoT 기기 C)(101)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IoT 기기(101)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2)에 설치된 개별 앱(개별 앱 A, 개별 앱 B, 개별 앱 C)을 이용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2) 상의 개별 앱에서 IoT 기기(101)를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패킷은 공유기 역할을 하는 AP(1)를 통해 해당 IoT 기기(101)로 각각 전달된다. IoT 기기(101)를 제어하기 위해 개별 앱을 통해 내린 명령들 중 동일한 명령은 동일한 패킷을 통해 IoT 기기(101)로 전달된다.
사용자가 각 IoT 기기(101) 마다 주로 사용하는 메뉴, 예를 들어 매일 사용자가 집에 들어오면 IoT 기기(101) 각각의 개별 앱을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켜고, 실내 온도를 24도로 조절한 뒤, 음악을 켜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패턴에 해당하는 패킷들을 재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IoT 기기(101)에 대한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oT 제어 시스템(100)은 IoT 기기(101)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IoT 기기(101)로 전달하는 공유기 역할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IoT 제어 시스템(100)에서 IoT 기기(101)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및 저장할 수 있다.
IoT 제어 시스템(100)은 IoT 기기(101)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들을 사용자 단말(102) 상의 통합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통합 앱 상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 된 패킷들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IoT 환경은 외출 모드, 귀가 모드, 취침 모드, 학습 모드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IoT 기기(101)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을 각 모드 별로 묶어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조명을 켜고, 실내 온도를 24도로 조절한 뒤, 음악을 켜는 사용자 패턴에 대한 패킷들을 '귀가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용도(모드) 별로 정의된 패킷 묶음은 IoT 제어 시스템(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2) 상의 통합 앱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2) 상의 통합 앱을 통해 사용자가 정의한 패킷 묶음 중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의 특정 패킷 묶음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IoT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해당 용도로 묶인 각 패킷을 IoT 기기(101) 각각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도(모드) 별로 패킷 묶음을 정의해 놓은 다음에는 각 IoT 기기(101)의 개별 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그리고 별도의 허브를 거치지 않고도 통합 앱 한 곳에서 묶음으로 저장된 동작을 한번에 전달함으로써 여러 개의 IoT 기기(101)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제어 시스템(1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로, 프로세서(501), 버스(5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 메모리(504) 및 데이터베이스(50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운영체제 및 기기 제어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기기 모니터부(510), 묶음 처리부(520), 및 기기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IoT 제어 시스템(100)은 도 5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504)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4)에는 운영체제와 기기 제어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504)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를 통해 메모리(504)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502)는 IoT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502)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는 IoT 제어 시스템(1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는 IoT 제어 시스템(1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5)는 IoT 기기 별로 IoT 기기에 관한 기본 정보(예컨대, 기기 식별 정보 등),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패킷 등 IoT 기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IoT 제어 시스템(1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5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3)에 의해, 그리고 버스(502)를 통해 프로세서(501)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기기 모니터부(510), 묶음 처리부(520), 및 기기 제어부(53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504)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의 IoT 제어 방법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즉 도 5를 통해 설명한 IoT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IoT 제어 시스템(100)의 프로세서(501)는 도 6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IoT 제어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메모리(504)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S601)에서 기기 모니터부(510)는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기기 모니터부(510)는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하여 모니터링 된 패킷을 저장할 수 있다. 패킷은 제어 대상인 IoT 기기의 식별 정보(예컨대, Unique Device ID)와 제어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전달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 묶음 처리부(520)는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모니터링 된 패킷들을 용도에 따라 묶어 정의할 수 있다. 묶음 처리부(520)는 모니터링 된 패킷을 통해 IoT 기기의 제어 이력으로서 IoT 기기의 식별 정보와 전달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가 각 용도 별로 모니터링 된 패킷 중 적어도 일부의 패킷을 선택하면 선택된 패킷들을 해당 용도의 IoT 제어 조건으로 묶음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된 패킷을 사용자가 용도 별로 묶어서 정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용도 별 패킷 매칭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모니터링 된 패킷을 시간대(예컨대, 아침, 저녁 등) 별로 분류하여 시간대 별로 모드(기상 모드, 귀가 모드 등)를 정의하고 각 모드의 IoT 제어 조건으로 해당 시간대의 패킷들을 매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기기 사용과 관련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한 레코딩을 분석한 후 귀가 시간에 보이는 행동 패턴에 대응되는 패킷들을 귀가 모드의 IoT 제어 조건으로 매칭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603)에서 기기 제어부(530)는 용도 별로 정의된 패킷 묶음을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재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자신이 정의한 패킷 묶음 중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의 특정 패킷 묶음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기기 제어부(53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해당 용도로 묶인 각 패킷을 해당 IoT 기기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IoT의 초기 제어 환경에서는 AP와 같은 별도의 허브를 사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IoT 제어 시스템(100)에서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후, IoT 제어 시스템(100)에서 모니터링 된 정보를 재사용하여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개별 앱이나 별도의 허브 없이도 여러 대의 IoT 기기를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기기에 대한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IoT의 초기 제어 환경으로, AP와 같은 별도의 허브를 사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AP 상에 IoT 제어 시스템(100)의 기능을 추가하는 등 AP와 IoT 제어 시스템(100)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하거나, 혹은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서로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7에서 단계 S1 내지 S5는 IoT 기기 A에 대한 인증과 명령 수행 과정을 나타내고, 단계 S6 내지 S10은 IoT 기기 B에 대한 인증과 명령 수행 과정을 나타낸다.
IoT 기기 A를 제어하는 개별 앱 A는 IoT 기기 A에 대한 인증 토큰을 요청할 수 있다(S1). IoT 기기 인증 시 IoT 기기에 대응되는 보안 키(security key) 정보 또는 계정 정보가 필요하다. 토큰 수령을 위한 요청 정보(Req1)는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Header Body
- 보안 키 정보 혹은 계정 정보 - UDID (Unique Device ID)
- Data (전달 데이터)
IoT 허브 역할을 하는 AP는 개별 앱 A를 통해 수신된 인증 토큰 요청 신호를 인증 서버로 전달하고, 이에 인증 서버에서 IoT 기기 A에 대해 발급된 인증 토큰을 AP로 전달할 수 있다(S2).
AP는 인증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IoT 기기 A에 대한 인증 토큰을 인증 토큰을 요청한 개별 앱 A로 전달할 수 있다(S3).
IoT 제어 시스템(100)과 관련된 통합 앱은 IoT 기기 A에 대한 인증 토큰을 발급하는 과정 중에 IoT 기기 A에 대한 요청 정보(Req1)를 모니터링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앱은 AP와의 연동을 통해 AP를 거쳐 송수신 되는 정보를 모니터링 및 저장하는 것으로, 개별 앱 A에서 IoT 기기 A에 대한 요청 정보(Req1)를 AP를 거쳐 인증 서버로 전달할 때 통합 앱에서 이를 모니터링 하여 개별 앱 A로부터 전달된 IoT 기기 A에 대한 요청 정보(Req1)를 저장할 수 있다.
개별 앱 A는 IoT 기기 A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IoT 기기 A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1을 AP로 전달할 수 있다(S4).
이에, AP는 개별 앱 A로부터 전달 받은 명령 1을 IoT 기기 A로 전달할 수 있다(S5).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요청 신호(Req2)는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합 앱은 AP와의 연동을 통해 개별 앱 A에서 IoT 기기 A의 동작 제어를 위해 IoT 기기 A로 전달되는 요청 신호(Req2)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할 수 있다.
Header Body
- 인증 토큰
- 보안 키 정보 혹은 계정 정보
- UDID (Unique Device ID)
- Action ID (명령 수행 ID 값)
- Data (전달 데이터)
도 7의 단계 S6 내지 S10은 IoT 기기 B에 대한 인증과 명령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단계 S1 내지 S5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통합 앱은 AP와의 연동을 통해 개별 앱 B에서 전달되는 IoT 기기 B의 인증을 위한 요청 정보(Req1)와 IoT 기기 B의 동작 제어를 위한 요청 정보(Req2)를 모니터링 및 저장할 수 있다.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을 IoT 허브 역할을 하는 AP를 통해 IoT 기기로 전달하는 초기 제어 환경에서 통합 앱은 IoT 기기에 대한 요청 정보(Req1, Req2)를 모니터링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된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통합 앱으로 모든 IoT 기기를 한번에 제어하는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한 인증 환경(예컨대, OAuth)에서 IoT 기기들을 하나의 마스터 어플리케이션인 통합 앱으로 제어할 수 있다.
IoT 제어 시스템(100)과 관련된 통합 앱은 IoT 기기에 대한 인증 토큰을 발급하는 과정 중에 모니터링 한 정보(Req1)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IoT 기기 A와 IoT 기기 B에 대한 인증 토큰을 바로 요청한 후 발급받을 수 있다(S11).
그리고, 통합 앱은 IoT 기기 A와 IoT 기기 B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IoT 기기 A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1을 IoT 기기 A로 직접 전달하고(S12), IoT 기기 B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2를 IoT 기기 B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S13).
통합 앱에서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Req2)는 상기한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앱은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Req1을 이용하여 IoT 기기에 대한 인증 토큰을 직접 발급 받을 수 있고, 이때 인증 토큰을 발급 받은 후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Req2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해당 IoT 기기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통합 앱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특정 용도의 패킷 묶음에 IoT 기기 A와 IoT 기기 B에 대한 제어 패킷이 포함된 경우 사전에 모니터링 된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허브가 없이도 IoT 기기 A와 IoT 기기 B를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앱은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한 후, 이후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IoT 기기에 대한 인증을 직접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IoT 기기로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도 별 패킷 묶음을 정의하는 절차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0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2)은 통합 앱의 제어 하에 도 9와 도 10의 서비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2)은 IoT 기기를 이용하는 목적으로서 용도를 선택하기 위한 용도 선택 화면(90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IoT 환경은 외출 모드, 귀가 모드, 취침 모드, 학습 모드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용도 선택 화면(901)은 선택 가능한 용도 목록으로 외출 모드, 귀가 모드, 취침 모드, 학습 모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용도 선택 화면(901)에는 사용자가 직접 용도를 자유롭게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사용자가 용도 선택 화면(901)에서 특정 모드, 예를 들어 '귀가 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패킷 목록을 포함하는 패킷 목록 화면(1002)을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된 패킷은 제어 대상인 IoT 기기의 디바이스 ID와 명령 수행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킷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목록 화면(1002)에 포함된 구체적인 패킷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패킷 목록 화면(1002)에서 '방범_Off', '실내조명_On', '에어컨_On_목표온도24도', '뮤직_On_Track8', '가습기_On_목표습도60%'를 선택한 경우 통합 앱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패킷들을 '귀가 모드'와 매칭시킴으로써 '귀가 모드'에 대한 패킷 묶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통합 앱을 통해 '귀가 모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일일이 개별 앱을 통해 여러 대의 IoT 기기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통합 앱에서 '귀가 모드'에 패킷 묶음으로 정의된 IoT 제어 조건인 '방범_Off', '실내조명_On', '에어컨_On_목표온도24도', '뮤직_On_Track8', '가습기_On_목표습도60%'의 동작을 한번에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기기로 전달되는 패킷을 모니터링(monitoring) 하여 저장함으로써 모니터링 된 패킷을 사용자로 하여금 용도 별로 묶어서 정의한 후 패킷 묶음을 IoT 기기를 제어하는데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도 별 패킷 묶음으로 IoT 기기를 그룹 제어함으로써 IoT 기기를 그룹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허브나 게이트웨이 없이도 여러 대의 IoT 기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IoT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환경에서 복수의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을 사용자 패턴 분석 및 사용성 향상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IoT 기기에 대해 모니터링 된 패킷을 그대로 재사용하므로 IoT 기기의 세세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패킷 재사용 방식에 따라 신종 IoT 기기에 대한 호환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자 기기로 구현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의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을 시간대 별로 분류하여 특정 시간대의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레코딩을 분석하여 특정 시간의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응되는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각각의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상기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방법.
  8.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IoT 제어 방법은,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 전자 기기로 구현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 IoT 기기와 관련된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기기 모니터부;
    상기 패킷 중 적어도 일부 패킷을 용도 별로 묶어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묶음 처리부; 및
    상기 패킷 묶음을 이용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IoT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모니터부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처리부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의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처리부는,
    상기 모니터링 된 패킷을 시간대 별로 분류하여 특정 시간대의 상기 적어도 일부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 처리부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레코딩을 분석하여 특정 시간의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응되는 패킷을 상기 패킷 묶음으로 정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각각의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모니터부는,
    상기 IoT 기기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와 상기 IoT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저장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묶음에 포함된 패킷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상기 IoT 기기로 해당 패킷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제어 시스템.
KR1020160037635A 2016-03-29 2016-03-29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7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35A KR101775823B1 (ko) 2016-03-29 2016-03-29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35A KR101775823B1 (ko) 2016-03-29 2016-03-29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3A true KR20160068703A (ko) 2016-06-15
KR101775823B1 KR101775823B1 (ko) 2017-09-06

Family

ID=5613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35A KR101775823B1 (ko) 2016-03-29 2016-03-29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92A (ko) * 2016-09-28 2018-04-06 (주)동연시스템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42690B1 (ko) 2018-05-30 2019-11-27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기기 자동 제어를 위한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WO2019225998A1 (ko) * 2018-05-24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67A (ko) 2019-05-31 2021-01-0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92A (ko) * 2016-09-28 2018-04-06 (주)동연시스템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
WO2019225998A1 (ko) * 2018-05-24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US11915249B2 (en) 2018-05-24 2024-0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gistering electronic device by mobile terminal
KR102042690B1 (ko) 2018-05-30 2019-11-27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기기 자동 제어를 위한 엣지-클라우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23B1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0131A1 (en) Internet of things
US20210037097A1 (en) Cloud data storage location monitoring
Sinha et al. Building an E Ective IoT Ecosystem for Your Business
KR101662396B1 (ko)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TWI683593B (zh) 用以致能使用不同通訊協定之裝置間之通訊的系統、方法及/或設備
KR102169947B1 (ko) 에이전트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된 신원을 확립하는 방법
US20100034386A1 (en) Device manager repository
US20150113592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trusted identity for an agent device
WO2017152676A1 (zh) 物联网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775823B1 (ko)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453621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注册和验证设备的方法和设备
CN112152853A (zh) 设备配网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的存储介质、电子装置
WO2016058254A1 (zh) 家电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家庭数据终端
KR20120087274A (ko)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emm 클라이언트 시스템, emm 관제 시스템 및 emm 관제 플랫폼과 emm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원격 건물 관리 방법
CN111742531A (zh) 简档信息共享
US20170324576A1 (en) Master module
JP2020061131A (ja) メッセンジャーボットを利用してIoT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62896B2 (en)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rapid install of IoT devices
CN112689277B (zh) 一种为设备配置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CN113114782A (zh) 一种物联网设备综合控制方法、装置及智能终端
Lo et al. Design of a Cloud-based Service Platform for the IoT.
JP2013219535A (ja) 遠隔制御管理装置、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890775B (zh) 一种设备配网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377081A1 (en) Mutual device-to-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during device-to-device bundle or profile transfer
CN117998529A (zh) 配网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