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86B1 -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86B1
KR101208686B1 KR1020100110919A KR20100110919A KR101208686B1 KR 101208686 B1 KR101208686 B1 KR 101208686B1 KR 1020100110919 A KR1020100110919 A KR 1020100110919A KR 20100110919 A KR20100110919 A KR 20100110919A KR 101208686 B1 KR101208686 B1 KR 10120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terminal
payment
sto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587A (ko
Inventor
나명지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to KR102010011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 촉진과 고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매장 단말에서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액세스 포인트로 접근하는 고객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2 단계; 및 고객 단말에서 작동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서비스 목록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서비스 목록은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매장의 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ER MANAGEMENT AND MILEAGE SERVICE}
본 발명은 매장 무선랜에 대한 고객 이동 단말의 접근시 매장 단말 측에서 고객 단말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에 대한 안내 및 이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판매 촉진과 고객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하는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고성능 다기능의 소형 이동 통신 단말이 폭넓게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간략히 정의하면,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의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지능형 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은 통상 무선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데,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무선랜이 설치된 곳에서 인터넷이나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무선랜은 외부 단말의 접속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넷북,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무선랜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면, 무선 단말은 무선랜을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상의 특정 목적지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랜에 연결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랜이 구비된 매장에 고객의 이동 단말(이하, 고객 단말이라 한다)이 접근할 때 매장 단말에서 고객 단말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에 대한 안내 및 이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채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매장 단말에서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액세스 포인트로 접근하는 고객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2 단계; 및 고객 단말에서 작동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서비스 목록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서비스 목록은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매장의 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자동 접속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매장 방문시 제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의 아이디를 자동식별하고 고객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 또는 매장 단말에 자동접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고객 단말의 접속 정보에 의해 얻은 고객 아이디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이 유효한 사용자인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계 전에 고객 아이디에 상응하는 서비스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계는 고객 단말로부터 서비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상품에 대한 거래 요청 신호를 받고, 거래 요청 신호에 의해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인증 요청 신호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에 대한 확인 또는 인증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한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정보 요청 신호를 받고, 결제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가 적용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 신호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에서 결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한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단말 및 매장 단말에서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한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각각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승인응답 신호에 따라 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을 지원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매장 단말을 포함하고, 매장 단말은 전술한 일 측면 및 일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AP(Access Point) 매니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을 식별하는 고객단말 식별부; 고객단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고객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고객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고객 단말로 서비스 목록을 전송하고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에 따라 매장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랜을 구비하는 매장 단말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고객 단말에 대하여 해당 고객의 마일리지 정보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고객 및 매장 간의 거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마일리지 정보를 고객 단말에 미리 또는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고객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이용되는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일 실시예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주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주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이용되는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에는 고객 단말(100), 매장 단말(200), 결제 서버(300), VAN 서버(310), 및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320)가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VAN 서버(310)는 생략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망, 무선망, 위성망, 인터넷 등과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둘 이상의 단말들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이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통신 하드웨어 및 통신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100)은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에는 무선랜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랜 접속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객 단말(100)에는 매장이나 이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조자나 공급자에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객 단말(100)에는 매장이나 포인트 및 마일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공자(320, 이하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라고 한다)나 이들의 관계자에 의해 제공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고객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거나 고객의 의도에 따라 고객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
매장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네트워크상의 다른 곳에 위치하는 상대방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매장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300) 또는 VAN 서버(Value Added Network Server, 310)와 신용 카드 등의 카드 결제에 의한 고객의 대금 지불을 처리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 단말(200)은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이나 POS(Point of Sal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매장에 설치된 무선랜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장 단말(200)은 매장에서 제공하는 무선랜의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이름 예컨대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위 AP 매니저(Access Point Manager)와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유틸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은행이나 증권사 또는 카드사의 서버로서 매장 단말(200)과의 통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하며 고객의 카드 결제에 대한 신용 거래와 대금 지불을 인증한다. 결제 서버(300)와 매장 단말(200) 사이에는 VAN 서버(310)가 결합될 수 있다.
VAN 서버(310)는 소위 부가가치통신망으로 불리는 VAN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속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결제 서버(300)의 운영자이거나 결제 서버(300) 운영자가 아닌 별도의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이러한 VAN 서버(310)는 예를 들어 매장 단말(200)로부터 받은 결제 승인 요청 전문을 검증하고 이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며, 결제 서버(300)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 전문에 대응하는 결제 승인 응답 신호를 받고, 이를 매장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VAN 서버(310)는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320)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소정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이다.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320)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고객이나 매장에 대하여 해당 구매 대금에 준하여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320)는 결제 서버(300)의 운영자, VAN 서버(310)의 운영자, 또는 제3의 서버 운영자에 의해 관리 운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매장에 입장한 고객은 매장 단말(200)로부터 고객 단말(100)에 제공되는 매장 자동 접속 서비스와 고객 마일리지 안내 서비스를 통해 해당 매장에서 이용가능한 포인트나 마일리지 정보 및 해당 매장의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매장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매장의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장 단말(200)은 인터페이스(210), AP 매니저(220), 제어부(230), 입출력부(240), 고객단말 식별부(250), 제1 저장부(260), 제2 저장부(270), 및 암호화모듈(280)을 구비한다. 매장 단말(200)은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액세스 포인트(202)를 포함한 무선랜에 연결되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외부의 결제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매장 단말(200) 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고객 단말(100)과 연결된다. 액세스 포인트(202)는 고객 단말(100)을 포함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Wi-Fi 라우터나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라우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브로 프로토콜 등과 같은 무선랜 표준이나 규격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210)는 유선망, 무선망, 인터넷, 또는 이들의 조합과 연결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하드웨어적인 매체와 소프트웨어적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AP 매니저(220)는 인터페이스(210)에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AP 장비의 접속제어용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AP 매니저(220)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장치에 탑재되어 액세스 포인트(202)에서 AP 아이디, 맥 주소, 사용자 이름과 암호 등을 설정하고, AP의 상태를 진단하고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보여주고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프로토콜 등을 통해 무선 AP 장비의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변수를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AP 아이디는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매장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이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P 매니저(200)를 이용하면,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매장의 이름이나 주요 상품명 등을 포함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액세스 포인트(202)에 설정하고, 그것에 의해 고객 단말(100)에서 사용자가 해당 액세스 포인트(202)의 아이디를 보고 그것을 선택하거나 고객 단말(100)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액세스 포인트(202)를 인식하고 자동으로 고객 단말(100)을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매장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표시장치,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한 입출력부(240)에 의해 입출력되는 명령 또는 신호를 처리하며 인터페이스(210), AP 매니저(220), 고객단말 식별부(250), 제1 저장부(260), 제2 저장부(270), 및 암호화모듈(280)을 제어한다.
고객단말 식별부(250)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된 고객 단말(100)을 식별한다. 고객단말 식별부(250)는 인터페이스(210)로부터 고객 단말(100)의 기등록된 MAC(Media Access Control)을 통해 고객 단말(100)을 자동인증 처리할 수 있다. MAC은 MAC 계층의 동작을 지칭하는 것으로, MAC 계층(MAC Layer)은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 모델의 7개의 계층들 중 두 번째의 DLL(Data-Link Layer) 계층에 해당한다. MAC 계층은 DLL 계층의 두 개의 부계층 중 하나로서 여러 대의 단말 사이에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접속을 공유하는데 관여한다. 각 단말은 자신만의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진다. MAC 주소는 물리계층을 형성하는 하드웨어의 제조시 이 하드웨어의 부착된 주소를 지칭한다.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는 매장 단말이나 결제 서버나 VAN 서버나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에 미리 등록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장 단말(200)은 제1 저장부(260)에 저장되는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와 제2 저장부(270) 내의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연결된 결제 서버, VAN 서버, 또는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등록 MAC 주소를 비교하여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한 고객 단말(100)에 대하여 자동인증 또는 접속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저장부(260)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통해 매장의 무선랜에 접속한 고객 단말(100)에 대한 정보 예컨대, MAC 주소를 일시 저장한다. 제1 저장부(260)는 램(RAM) 등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저장부(270)는 매장 단말(200)의 작동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 단말에 대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저장된다. 제2 저장부(270)는 저장되는 정보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60)는 롬(ROM),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과 이들의 운영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암호화모듈(280)은 매장 단말(200)이 고객의 신용 결제 예컨대 카드 결제를 통해 구매 대금의 처리시 결제 서버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암호화모듈(280)은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와의 통신에 있어서 고객의 포인트나 마일리지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 간단히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 한다)에 있어서 우선 매장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매장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ID를 설정한다(S302).
여기서, 특정 서비스명은 매장의 이름이나 매장의 특정 주요 상품 이름과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AP ID는 무선랜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이름과 이 이름에 결합된 매장의 특정 서비스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AP ID는 고객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AP 이름들 중 하나로서 매장 단말(200) 측에 의해 "myLGNet_제빵왕"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제2 저장부에 고객 마일리지 정보나 매장에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저장한다(S304). 고객 마일리지 정보는 외부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후 제2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고객 마일리지 정보를 얻기 위한 고객 정보는 매장 단말(20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된 고객 단말(100)의 접속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목록은 구매 상품 또는 구매 서비스나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시 고객의 구매 대금에 따라 제공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포인트, 마일리지, 또는 이둘 모두를 지칭할 때 간단히 마일리지로만 도시하고 있다.
한편, 고객 단말(100)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1 앱이라 한다)을 구비한다(S312). 본 실시예에서 제1 앱은 고객 단말(100)이 특정 매장의 무선랜에 접근할 때 해당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매장의 무선랜에 자동접속하며, 해당 무선랜을 제공 또는 관리하는 매장 단말과 기설정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응용 프로그램이다. 제1 앱은 매장 단말(200)이나 인터넷상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다음, 고객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제1 앱은 고객 단말(100)에 수신되는 신호들 중 고객이 방문하고자 하는 소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특정 AP의 아이디(ID)가 인식되는가를 판단한다(S314). 그리고, 특정 AP ID가 인식되면, 제1 앱은 해당 AP를 자동 선택하여 고객 단말(100)이 무선랜에 접속되도록 작동한다(S316, S318).
고객 단말(100)이 무선랜에 접속되면, 매장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을 검증한다(S322). 이것은 고객 단말(100)의 유효한 또는 정당한 접속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고객 단말(100)의 자동 검증이 성공하면(S324의 'Yes' 참조), 고객 아이디(ID)에 상응하는 서비스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S328). 서비스 목록은 예컨대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고객 ID와 이 고객 ID에 상응하여 저장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고객 단말(100)의 검증이 실패하면(S324의 'No' 참조), 매장 단말(200)은 해당 고객 단말을 무효한 또는 정당하지 않은 접속으로 판단하고 해당 고객 단말의 AP 접속을 차단한다(S328). 상기 단계(S328) 후에는 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가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서비스 목록을 고객 단말(100)로 전송한다(S330). 서비스 목록은 제1 앱에 의해 고객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S322).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은 매장 단말(200) 측에서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 그리고 자신이 적립하고 해당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를 매장 방문시에 자동으로 자신의 이동 단말을 통해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매장 이용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매장은 고객 방문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마일리지 정보를 간편하게 고객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상품 구매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상품의 판매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일 실시예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 목록을 보고 고객은 고객 단말(1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한다(S402). 여기서, 고객은 매장 단말(200)에 의해 고객 단말(100)로 제공된 서비스 목록에서 간편하게 구매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오프라인의 실제 매장에서 실제 상품을 확인하고 그 즉시 고객 단말(100) 상에서 구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고객은 고객 단말(100) 상에서 선택 상품에 대한 구매 대금 결제에 자신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한다(S404). 여기서, 포인트/마일리지 사용 선택에 있어서 고객은 매장 입장시 고객 단말(100)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매장의 행사 상품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은 제1 앱에 의해 제공되는 포인트/마일리지 정보(도 7의 133, 135, 137 참조)와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금액을 입력하는 입력창(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로부터 거래 요청 신호를 받는다(S406). 거래 요청 신호는 고객 단말(100) 상에서 구매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고, 고객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포인트, 마일리지, 또는 이둘 모두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결제 정보를 생성한다(S408).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의 사용을 선택한 경우, 결제 정보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가 적용된 것이 된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인증 요청 신호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한다(S410). 결제 인증 요청 신호는 구매 상품과 결제 대금을 확인하고 고객의 카드 결제에 대한 고객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고객 단말(100)에서 결제 인증이 완료되고(S412), 고객 단말(100)로부터 결제 정보에 대한 고객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매장 단말(200)에 전달되면(S414), 매장 단말(200)은 결제 요청 신호를 토대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한다(S416). 그리고, 매장 단말(200)은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고(S418), 결제 서버(300)의 결제 승인(S420)에 따라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422).
다음, 매장 단말(200)은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한다(S424).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받은 고객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결제승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426). 그리고, 매장 단말(200)은 해당 거래에 대응하는 고객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428). 고객 관리 정보의 업데이트는 상품을 구매한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사용 정보와 구매 상품 또는 구매 대금에 대하여 기설정된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정보가 반영되도록 해당 고객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매장 입장시에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상품 정보와 마일리지 정보 등에 의해 고객이 편리하게 매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객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 목록을 보고 고객은 고객 단말(1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 대금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한다(S502).
여기서, 고객은 매장 단말(200)에 의해 고객 단말(100)로 제공된 서비스 목록에서 간편하게 구매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의 실제 매장에서 실제 상품을 확인하고 그 즉시 고객 단말(100) 상에서 구매 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인트/마일리지 사용 선택에 있어서 고객은 매장 입장시 고객 단말(100)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매장의 행사 상품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은 고객 단말(100)에서 실행중인 제1 앱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트/마일리지 정보(도 7의 133, 135, 137 참조)와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받는다(S504). 결제 정보 요청 신호는 고객 단말(100)에서 직접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매장 단말(200)에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된 구매 상품에 대한 선택 정보와 포인트, 마일리지, 또는 이둘 모두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마일리지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한다(S506). 그리고, 마일리지 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하는 마일리지 승인요청 신호를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에게 전송하고, 포인트/마일리지 제공자로부터 마일리지 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마일리지 승인응답 신호를 받는다(S508).
다음, 매장 단말(200)은 마일리지가 적용된 결제 정보를 생성한다(S510). 마일리지가 적용된 결제 정보는 마일리지가 없거나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제로 마일리지가 적용된 경우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매장 단말(200)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 신호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한다(S512). 결제 요청 신호는 구매 상품에 대한 고객의 카드 결제를 고객 단말(100)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고객 단말(100)은 결제 요청 신호를 토대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한다(S514). 그리고, 고객 단말(100)은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한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고(S516), 결제 서버(300)의 결제 승인(S518) 결과에 따라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520). 여기서, 결제 서버(300)는 고객 단말(100)과는 별도로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매장 단말(200)로 전송(S524)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받은 고객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결제승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524). 그리고,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받은 매장 단말(200)은 해당 거래에 대응하는 고객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526).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매장 입장시에 고객 단말에 제공되는 상품 정보와 마일리지 정보 등을 통해 고객이 편리하게 매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와 달리, 고객 단말(100)에서 결제 서버에 대한 상품 구매 대금의 결제 처리 과정을 직접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드 정보와 비밀번호와 같은 고객 정보 등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주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장에 입장하는 고객의 이동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매장에서 제공하는 무선랜의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121)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는 'myLGNet_제빵왕'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100)에 제1 앱이 설치되어 있고, 고객 단말(100)의 AP 검색(120) 결과 중에 기설정된 AP의 아이디가 존재하면, 고객 단말(100)은 제1 앱에 의해 해당 AP를 통해 매장의 무선랜에 자동 접속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100)의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가진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매장의 무선랜에 접속하는 것은 매장 단말 측에서 무선랜 범위에서 인식되는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경우, 고객이 고객 단말(100)의 MAC 주소를 실질적으로 매장마다 개별적으로 등록해야 하므로 특정 매장의 아이디 정보를 가진 제1 앱에 의해 자동접속하는 것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감소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주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앱의 동작에 의해 특정 매장에 설치된 무선랜에 접속한 고객 단말(100)의 화면(110)에는 무선랜에 연결된 매장 단말에서 제공하는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매장의 상품 정보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 단말(100)의 화면(110)에는 매장의 이름(130), 고객ID(131), 2개의 포인트 정보(133, 135), 마일리지 정보(137), 매장의 이벤트명(140), 및 이벤트 상품에 대한 할인 또는 포인트 적립 정보(142, 144)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AP의 아이디를 인식하고, 해당 AP에 자동 접속하는 제1 앱이 설치된 고객 단말에 대하여 매장의 상품 또는 이벤트 정보와 고객 마일리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매장 이용시 고객은 자신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매장에서는 상품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매장 단말에서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설정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인식한 고객 단말로부터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고객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2 단계-여기서 상기 고객 단말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의 인식 및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은 고객 단말에 구비되어 작동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짐-; 및
    상기 고객 단말에서 작동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서비스 목록을 상기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고객의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정보와 상기 매장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의 접속 정보에 의해 얻은 고객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이 유효한 사용자인가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전에 상기 고객 아이디에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상품에 대한 거래 요청 신호를 받고, 상기 거래 요청 신호에 의해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에 대한 확인 또는 인증을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한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받고, 상기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받고, 상기 포인트 또는 상기 마일리지가 적용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토대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포함한 결제승인요청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 신호에 응답하는 결제승인응답 신호를 각각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응답 신호에 의해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13. 무선랜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매장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매장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AP(Access point) 매니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을 식별하는 고객단말 식별부;
    상기 고객단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고객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고객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로 서비스 목록을 전송하며 상기 매장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포함하며,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설정된 특정 서비스명의 아이디를 인식하고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리 및 서비스 제공 장치.
  14. 삭제
KR1020100110919A 2010-11-09 2010-11-09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0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19A KR101208686B1 (ko) 2010-11-09 2010-11-09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19A KR101208686B1 (ko) 2010-11-09 2010-11-09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87A KR20120049587A (ko) 2012-05-17
KR101208686B1 true KR101208686B1 (ko) 2012-12-24

Family

ID=4626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19A KR101208686B1 (ko) 2010-11-09 2010-11-09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0287B1 (en) * 2013-07-31 2022-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single ap device among multiple ap devices on same network to terminal
KR101661347B1 (ko) * 2014-04-25 2016-09-29 주식회사 인터렉티브비전 스마트 디바이스간 개인 정보 전송 방법
KR101964983B1 (ko) * 2019-02-11 2019-04-02 성승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ap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87A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6228B (zh) 基于与ip白名单接近度的网络安全
JP6668460B2 (ja) 近接性に基づく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
KR101052477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45985A1 (en)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ocessing payment and data
KR20140095745A (ko) 결제 지원 방법과 시스템
US10277592B2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apparatus management method
US10643211B2 (en) Conducting secure retail transactions using a mobile wallet system
JP2013171496A (ja) 特典付与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KR10121880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인증/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7097802A (ja) 利用者情報管理装置、利用者情報管理方法及び利用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208686B1 (ko) 무선랜을 이용한 고객 관리 및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015374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106012A (ko) 모바일 쇼핑에서의 대리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2315A (ko) Nfc 단말 간의 쿠폰 양도 및 양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9678A (ko)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201500525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5745677B (zh) 用于提供支付服务的方法及系统
KR20200089562A (ko) 공유된 키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6654A (ko) 개인 휴대폰 번호를 기반으로 한 카드결제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7363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포인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 데이터 처리방법.
CN113273139A (zh) 数据库装置、生成系统和生成方法
KR20140001264A (ko) 모바일 디바이스 판매 키오스크 및 모바일 디바이스 판매 시스템
KR101509455B1 (ko) 전자 지갑을 이용한 가맹점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543302B1 (ko) 스마트 안심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140B1 (ko) 카드 즉시 발급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