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25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25A
KR20180035225A KR1020187003950A KR20187003950A KR20180035225A KR 20180035225 A KR20180035225 A KR 20180035225A KR 1020187003950 A KR1020187003950 A KR 1020187003950A KR 20187003950 A KR20187003950 A KR 20187003950A KR 20180035225 A KR20180035225 A KR 2018003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s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medium
contact membe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588B1 (ko
Inventor
마사오 이시마루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13, 14) 중 적어도 1개의 두께를 다른 것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의 증분에 따라서 콘택트 부재(13, 14)의 도체 저항을 저감시켜 통전 허용 전력을 증대시켜서, 전기 커넥터에 대한 공급 전력이 커진 경우라도 전기 커넥터의 장대화 또는 고배화 등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두께가 증대된 콘택트 부재(13, 14)의 접촉부를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에 압접시키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보지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 내에 삽입된 평판형상의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 표면에 콘택트 부재가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압접하는 것에 의해 협지(挾持)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장치 등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형상의 신호 전송 매체(이하,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라 칭함)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전단 부분에 마련된 매체 삽입용의 개구로부터,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된다. 그러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는, 콘택트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비임과 상부 비임의 사이 부분에 끼워넣어지도록 삽입된다. 그 후에,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콘택트 부재가 탄성 변위되고, 그 탄성 변위된 콘택트 부재의 상부 비임과 하부 비임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표리 양면에 압접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해당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가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는, 해당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마련된 신호 패턴에 대하여 콘택트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에 의해,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에 납땜 접속되어 있는 콘택트 부재의 일단부를 통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배선 기판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어, 전기 커넥터를 개재한 신호 전송이 실행된다.
최근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대폭적인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가 진행되고 있는 것에 따라서, 다극형상으로 배열된 콘택트 부재를 좁은 피치로 배치하는 경향으로 되고 있다. 여기서, 콘택트 부재의 좁은 피치 배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각 콘택트 부재를 소형화·박육화하면, 콘택트 부재의 도체 저항이 증대하고, 그에 따른 발열에 의해 전기 커넥터의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콘택트 부재의 도체 저항을 저감시키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전송 신호를 복수의 콘택트 부재에 통전시키는 구성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복수의 콘택트 부재에 의한 통전 구조에 의하면, 신호 전송 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하나의 신호 전송에 복수의 콘택트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당연한 일이지만 콘택트 부재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전기 커넥터의 전체가 장대화(長大化)되거나, 또는 고배화(高背化)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069481 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비교적 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대화나 고배화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가, 해당 콘택트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다극형상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 표면에, 상기 콘택트 부재에 마련된 한쌍의 접촉부가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압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실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두께가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된 후육(厚肉)의 콘택트 부재의 도체 저항이 두께의 증분(增分)에 따라서 저감되므로, 전기 커넥터의 통전 허용 전력이 증대하여, 전기 커넥터에 대한 공급 전력이 비교적 큰 경우에 있어서도 콘택트 부재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 커넥터의 장대화 또는 고배화 등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두께가 증대된 후육의 콘택트 부재의 접촉부가 압접되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콘택트 부재의 접촉압이 증대하게 되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성(保持性)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를 협지하도록 2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되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하여 비교적 큰 접촉압을 실현하는 2개의 콘택트 부재의 접촉부가, 다른 콘택트 부재를 협지하도록 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된 상태가 되므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해당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2개의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最外端)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되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하여 비교적 큰 접촉압을 실현하는 2개의 콘택트 부재의 접촉부가,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있어서, 즉,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외단의 위치에 있어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된 상태가 되므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회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더욱 양호하게 방지된다.
더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에 마련된 한쌍의 접촉부끼리의 간격(S)이 상기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T)와 동일 또는 작게 설정되어 있는(S≤T)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직후의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두께가 증대된 후육의 콘택트 부재의 접촉부와 즉시 접촉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후육의 콘택트 부재의 접촉부가 갖는 비교적 큰 접촉압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임시 보지되게 되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으로부터 협지가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안정적으로 보지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와, 해당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된 후육의 콘택트 부재가 다른 콘택트 부재와 동일하게 조립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와, 해당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택트 부재의 각각이,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2 종류의 콘택트 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된 후육의 콘택트 부재를,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혼재시켜서, 예를 들어 콘택트 부재의 방향을 교대로 배치한, 이른바 지그재그 배열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두께를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가 증대된 콘택트 부재의 도체 저항을 두께의 증분에 따라서 저감시켜, 전기 커넥터에 대한 공급 전력이 비교적 큰 경우라도 콘택트 부재의 수를 증가할 필요를 없애서, 전기 커넥터의 장대화 또는 고배화 등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두께가 증대된 콘택트 부재를 압접시키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콘택트 부재의 접촉압을 증대시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공급 전력이 비교적 큰 경우에 있어서도 전기 커넥터의 장대화나 고배화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염가로 또한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가 「초기 대기 위치」에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전체 구성을 커넥터 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후방측에서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 설명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상방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 설명도,
도 5는 도 4 중의 Ⅴ-Ⅴ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
도 6은 도 4 중의 Ⅵ-Ⅵ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
도 7은 도 4 중의 Ⅶ로 나타낸 영역의 부분 정면 확대 설명도,
도 8은 도 3 중의 Ⅷ로 나타낸 영역의 부분 정면 확대 설명도,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를 커넥터 전방측에서 나타낸 확대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의 측면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확대 측면 설명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된 제 1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를 커넥터 전방측에서 나타낸 확대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 1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확대 평면 설명도,
도 13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를 커넥터 전방측에서 나타낸 확대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확대 평면 설명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된 제 2 후육형상 도전 콘택트 부재를 커넥터 전방측에서 나타낸 확대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제 2 후육형상 도전 콘택트 부재의 측면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확대 측면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후의 협지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후의 협지 상태에 있어서의 도 5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의 단말 부분을 삽입한 후의 협지 상태에 있어서의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
이하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실행하기 위해서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측(도 5 및 도 6의 우단연측)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추에이터(12)를 구비한, 이른바 백 플립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술한 액추에이터(12)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도 5 및 도 6의 좌단측)과는 반대측의 후방측(도 5 및 도 6의 우단측)을 향하여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의 절연 하우징(11)은, 세장형상으로 연장되는 중공 프레임체 형상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횡폭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 부르고, 또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단말 부분을 삽입 및 탈거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전방」 또는 「커넥터 후방」이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10)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는 높이 방향을 「상부 방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이라 한다.
여기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박판형상의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2 종류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가 복수개에 걸쳐서 다극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들의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서 장착되어 있으며,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13)와,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4)가,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된, 이른바 지그재그 배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 접속용 중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되며,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 랜드부(도전로)에 납땜 접합에 의해 접합되고, 그에 의해 전기 커넥터(10)가 실장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측(도 5 및 도 6의 좌단연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에 횡세장(橫細長)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그 반대측의 커넥터 전후 방향의 후단연측(도 5 및 도 6의 우단연측)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나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장착구가 동일한 횡세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전단측에 마련된 매체 삽입구(11a)로부터 커넥터 후방측(도 5의 우방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에 의해 장착되어 있지만,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4)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단측에 마련된 부품 장착구로부터 커넥터 전방측(도 6의 좌방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것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들의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각각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에 형성된 전송 패턴(Fa)(도 17 참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에 형성된 전송 패턴(Fa)은 신호 전송용 배선 랜드부(신호선 패드) 또는 실드용 배선 랜드부(실드선 패드)를 적절한 피치 간격으로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각각은,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삽탈 방향(도 5 및 도 6의 좌우 방향)인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세장형상 비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비임(13a, 14a) 및 하부 비임(13b, 14b)을 각각 갖고 있다. 이들 상부 비임(13a, 14a) 및 하부 비임(13b, 14b)은,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중 하부 비임(13b, 14b)은,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서 대략 부동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부 비임(13b, 14b)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지주부(13c, 14c)를 거쳐서 가동 상부 비임(13a, 14a)이 상술한 하부 비임(13b, 14b)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지주부(13c, 14c)는, 세폭의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양 비임(13a, 14a) 및 (13b, 14b)의 연장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연결 지주부(13c, 14c), 및 양쪽 비임(13a, 14a 및 13b, 14b)이 갖는 탄성적인 가요성에 의해, 각 상부 비임(13a, 14a)이 연결 지주부(13c, 14c) 또는 그 근방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탄성 변위하고, 그 탄성 변위에 따라서, 각 하부 비임(13b, 14b)도 탄성 변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때의 상부 비임(13a, 14a) 및 하부 비임(13b, 14b)의 요동은 도 5 및 도 6의 지면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실행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상부 비임(13a 및 14a)의 전단측 부분(도 5 내지 도 8의 좌단측 부분)에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도시 상면측에 형성된 전송 패턴(신호 전송용 또는 실드용의 배선 랜드부)(Fa)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도시 하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부 비임(13b, 14b)은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는 상술한 하부 비임(13b, 14b)의 상연부에 대하여 해당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하측 표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상측 표면에 대해서는, 상술한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상방으로부터 가압되도록 하여 접촉된다. 이와 같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상하 양측의 표면에 대하여, 하부 비임(13b, 14b) 및 상부 비임(13a, 14a)이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압접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협지가 실행된다(도 18 내지 도 20 참조). 이러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협지 동작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하면측 표면에 전송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하부 비임(13b, 14b)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도 5 및 도 6의 좌방측 부분)에, 도시 상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하부 단자 접촉 볼록부가 마련되게 된다.
또한,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는, 하부 비임(13b, 14b)에 대한 상대 위치를 커넥터 전방측(도 5 및 도 6의 좌방측) 혹은 커넥터 후방측(도 5 및 도 6의 우방측)으로 어긋나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부 비임(13b, 14b)은, 기본적으로 대략 부동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삽입되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를 임시 보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선단 부분이 탄성 변위 가능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당 하부 비임(13b, 14b)의 전단 부분을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으로부터 약간 부상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하부 비임(13b)의 후단측 부분(도 5 및 도 6의 우단측 부분), 및 하부 비임(14b)의 전단측 부분(도 5 및 도 6의 좌단측 부분)에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 랜드부(도전로)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b2, 14b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부(13b2, 14b2)는,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배선 랜드부(도전로)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탑재되고, 땜납재를 이용한 일괄적인 접합 작업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실행된다.
이러한 기판 접속부(13b2, 14b2)에 대한 납땜 접합 작업에 대응하여, 해당 기판 접속부(13b2, 14b2)의 선단으로부터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약간 인입된 안쪽의 위치에는, 노치 형상의 공극부로 이루어지는 땜납 릴리프부(13b4, 14b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땜납 릴리프부(13b4, 14b4)는, 납땜 접합의 작업 시에 용융 상태가 된 땜납재의 유동을 멈추는 부위가 되는 것으로서, 그들 땜납 릴리프부(13b4, 14b4)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형상 공간부 중, 기판 접속부(13b2, 14b2) 부근의 모서리부에, 땜납재의 필릿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땜납재의 흐름이 멈추고, 해당 땜납 릴리프부(13b4, 14b4)에 있어서의 다른 오목형상 공간 부분에 대해서는, 땜납재의 돌아들어감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더 더욱이,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측 부분(도 5 및 도 6의 우단측 부분)에는, 대략 평탄형상의 하연부를 이루도록 하여 연장되는 캠압 베어링부(13a2, 14a2)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하부 비임(13b, 14b)의 후단측 부분(도 5 및 도 6의 우단측 부분)에는, 오목형상의 상연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캠 미끄럼 베어링 오목부(13b3, 14b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비임(13b, 14b)의 캠 미끄럼 베어링 오목부(13b3, 14b3)에 대해서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에 장착된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가압 캠부(12a)의 하반측 부분이 상방으로부터 미끄럼 운동 가능한 상태로 받아지도록 배치되며, 그러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접촉 배치 관계에 의해, 액추에이터(12)가 가압 캠부(12a)의 회동 중심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가압 캠부(12a)의 외주에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압 캠부(12a)의 상반측 부분에 형성된 캠면에 대하여, 상부 비임(13a, 14a)의 캠압 베어링부(13a2, 14a2)가 상방측으로부터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는, 최근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소형화의 요청에 따라서,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의 길이를 극히 축소화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에 있어서의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박육화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배열 피치를 협소화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를 단축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를 박육화하면, 그들 도체 저항이 증대하는 것에 의해 전송 신호의 허용 전류값이 감소되어, 전기 커넥터(10)에 대한 공급 허용 전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큰 공급 전력이 부여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복수개에 걸쳐서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 중 적어도 1개의 두께가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극형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 중,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두께가 증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사이 부분에, 박육형상을 이루는 다른 도전 콘택트 부재(13, 14)가 끼워져서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가 갖고 있는 두께(Tout)(도 11, 도 12, 및 도 15, 도 16 참조)는, 다른 제 1 및 제 2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두께(Tin)(도 9, 도 10, 및 도 13, 도 14 참조)의 약 2배(Tout≒2Tin)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의 두께(Tout)와,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4T)의 두께(Tout)는 동일한 두께 치수로 설정되어 있지만, 상이한 두께 치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두께가 증대된 제 1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와, 다른 제 1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4T)와, 다른 제 2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4)는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두께의 대소에 관계없이 전부 도전 콘택트 부재(13, 14)가 동일하게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는, 두께의 대소에 관계없이 전술한 2 종류의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께가 증대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를, 다른 제 1 및 제 2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에 혼재시켜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것과 동일한 배치 관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형상의 것을 교대로 배치한, 이른바 지그재그 배열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구성에 의하면, 두께가 증대되어 양측 외단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도체 저항이 두께의 증분에 따라서 저감되어 있으므로, 전송 신호에 있어서의 통전 허용 전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전기 커넥터(10)에 대한 공급 전력이 큰 경우라도,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전체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0)를 장대화하거나, 또는 고배화하는 등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표면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접촉부가, 즉, 두께가 증대된,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 및 하부 비임(13b, 14b)의 상연부가 압접되므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에 대한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접촉압이 증대하게 되고, 그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보지성이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의 최외단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가, 다른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를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2개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큰 접촉압을 갖는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접촉부가, 다른 박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를 협지한 양측의 위치(최외단의 위치)에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에 대하여 압접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해당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가 회전하는 위치 어긋남이 양호하게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에 마련된 한쌍의 접촉부, 즉 하부 비임(13b, 14b)의 상연부와,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 사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간격(S1, S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두께가 증대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에 형성된 간격(S1, S2)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커넥터 삽입 부분의 두께(Tf)(도 19 및 도 29 참조)와 동일 또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S1, S2≤Tf).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직후의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가, 두께가 증대된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접촉부에 대하여 즉시 접촉 상태가 되게 되고, 해당 제 1 및 제 2 후육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13T, 14T)의 접촉부가 갖는 비교적 큰 접촉압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가 임시 보지된다. 그에 의해,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삽입으로부터 협지가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가 안정적으로 보지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도 5 및 도 6의 우단측 부분)에 회동되도록 배치된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 전체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세장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 하우징(11)의 전체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2)는, 해당 액추에이터(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중심, 즉 상술한 가압 캠부(12a)의 회동 중심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그 회동 반경의 외측쪽의 부분(도 5 및 도 6의 상방측 부분)이 개폐 조작부(12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개폐 조작부(12b)에 대하여 작업자에 의한 적절한 조작력이 부여되는 것에 의해, 액추에이터(12) 전체가, 도 1 내지 도 8 및 도 17과 같이 거의 직립한 상태의 「초기 대기 위치」와,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쓰러진 상태의 「조작 협지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에 있어서, 상술한 가압 캠부(12a)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 중심측의 부분에는,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상부 비임(13a, 14a)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 구멍(12c)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병렬되는 빗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들 슬릿 구멍(12c)은,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를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조작 협지 위치」(도 18 내지 도 20 참조)로부터 「초기 대기 위치」(도 1 내지 도 8 및 도 17 참조)를 향하여 회동되는 것에 의해, 해당 액추에이터(12)가 배선 기판으로부터 솟아오르도록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슬릿 구멍(12c)의 내측을 향하여,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이 삽입된다. 이 때의 삽입은 액추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정면측인 조작부 정면으로부터 실행되고, 슬릿 구멍(12c)을 관통한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이 액추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배면측인 조작부 배면(12b1)으로부터 외측(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를, 작업자의 손에 의해 「초기 대기 위치」(도 1 내지 도 8 및 도 17 참조)로부터 「조작 협지 위치」(도 18 내지 도 20 참조)를 향하여 밀어 넘어뜨리도록 회동 조작이 실행되면, 상술한 가압 캠부(12a)의 회전 반경이 하부 비임(13b, 14b)과 상부 비임(13a, 14a)의 사이에 있어서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가압 캠부(12a)의 직경이 증대하는 변화에 따라서,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측에 마련된 캠압 베어링부(13a2, 14a2)가 도시 상방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되고, 그에 따라 캠압 베어링부(13a2, 14a2)와 반대측(커넥터 전단측)에 마련된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하방으로 눌려져 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최종의 회동 위치인 「조작 협지 위치」까지 다 회동했을 때(도 18 내지 도 20 참조), 상술한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와, 하부 비임(13b, 14b)의 상연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협지가 실행되게 되지만, 그러한 협지 상태에 있어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의 배선 랜드부(신호 전송용 및 실드용의 배선 랜드부)(Fa)에는, 상부 비임(13a, 14a)의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13a1, 14a1)가 압접되고, 그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실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동일 방향의 더욱 외측쪽에는, 세장 판형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로크 부재(15, 15)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로크 부재(15, 15)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F)의 양측 연부에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Fb, Fb)(도 19 참조)에 대하여 결합 가능한 고정 돌기(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조작 협지 위치」로 회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도 10 내지 도 18 참조), 상술한 로크 부재(15, 15)가 신호 전송 매체(F)의 위치결정 오목부(Fb, Fb)(도 17 참조)에 결합하도록 탄성 변위하고, 그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F)가 최종 삽입 위치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지된다.
또한, 상술한 로크 부재(15, 15)에 대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외측 부분에는, 세장판형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금구(金具)(16, 16)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고정 금구(16, 16)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 14) 및 로크 부재(15)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는, 인쇄 배선 기판(P) 상에 형성된 고정 패드(도시 생략) 상에 탑재되어 납땜 접합되는 땜납 고정부(16a, 16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조작 협지 위치」까지 다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는(도 18 내지 도 20 참조), 해당 액추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조작부 배면이 인쇄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게 되지만, 그 경우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12)의 조작부 배면은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4)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비임(14b)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 부분의 상방측에, 즉 기판 접속부(14b2)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관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에는, 상술한 조작부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호 돌기부(12b2)(도 5, 6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즉, 그 보호 돌기부(12b2)는, 액추에이터(12)가 「초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액추에이터(12)의 조작부 배면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끼리의 사이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부 배면에 돌출된 보호 돌기부(12b2)는, 해당 액추에이터(12)가 인쇄 배선 기판으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초기 대기 위치」(도 1 내지 도 8 및 도 17 참조)에 배치되었을 때에,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상부 비임(13a)과,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4)의 상부 비임(14a)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들 한쌍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에 대하여, 보호 돌기부(12b2)가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그들 상부 비임(13a), 보호 돌기부(12b2) 및 상부 비임(14a)이,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병렬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초기 대기 위치」(도 1 내지 도 8 및 도 17 참조)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보호 돌기부(12b2)의 돌출 높이, 즉 액추에이터(12)의 조작부 배면을 기준면으로 했을 때의 돌출 높이는,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이 기준면으로서의 조작부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높이에 대하여, 동일 또는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액추에이터(12)가 인쇄 배선 기판으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초기 대기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은, 액추에이터(12)의 조작부 배면(12b1)으로부터 외측(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되지만, 해당 상부 비임(13a, 14a)의 돌출 선단부는 액추에이터(12)측에 마련된 보호 돌기부(12b2)의 돌출 선단부와 동일한 위치, 또는 인입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회동 조작자의 손끝이나 손톱은, 액추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b2)에 접촉하는 경우는 있어도,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상부 비임(13a, 14a)의 후단 부분에 걸리는 경우가 없어져서,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한편, 액추에이터(12)가 「조작 협지 위치」(도 18 내지 도 20 참조)까지 회동 조작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조작부 배면에 마련된 보호 돌기부(12b2)는 인쇄 배선 기판측인 하방 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가 되지만, 그 때의 보호 돌기부(12b2)는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마련된 땜납 릴리프부(13b4)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도전 콘택트 부재(13, 14)의 납땜 접합을 실행하는 경우에, 땜납 릴리프부(13b4, 14b4)에는 땜납재가 미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마련된 땜납 릴리프부(13b4)의 상방에 보호 돌기부(12b2)가 위치하는 배치 관계로 해두면, 액추에이터(12)가 「조작 협지 위치」로 회동된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액추에이터(12)의 보호 돌기부(12b2)가 땜납재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져, 납땜 접합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체 도전 콘택트 부재 중, 어느 1개에 대하여, 두께가 증대된 후육형상으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한쌍의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되어 있지만, 복수개(3개 이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된 구성도 채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쌍 또는 복수개의 도전 콘택트 부재의 두께가 증대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더 더욱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형상이 상이한 도전 콘택트 부재를 이용한 것이지만,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를 이용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에 삽입하는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FPC)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 채용되어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조작 수단은, 회동 조작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조작되는 접속 조작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접속 조작 수단(액추에이터)이, 전단측 부분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나,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의 사이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액추에이터)이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그 때의 접속 조작 수단(액추에이터)의 회동 방향 또는 슬라이드 방향은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매체 삽입구 12 : 액추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 가압 캠부 12b : 개폐 조작부
12b2 : 보호 돌기부 12c : 슬릿 구멍
13, 14 : 제 1 및 제 2 도전 콘택트 부재
13T, 14T : 제 1 및 제 2 후육형상 도전 콘택트 부재
13a, 14a : 가동 상부 비임 13a1, 14a1 : 상부 단자 접촉 볼록부
13a2, 14a2 : 캠압 베어링부
13b3, 14b3 : 캠 미끄럼 베어링 오목부
13b, 14b : 고정 하부 비임 13b4, 14b4 : 땜납 릴리프부
13c, 14c : 연결 지주부 15 : 로크 부재
16 : 고정 금구 16a : 땜납 고정부
F :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a : 전송 패턴 Fb : 위치결정 오목부

Claims (6)

  1.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가 상기 콘택트 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다극형상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양측 표면에, 상기 콘택트 부재에 마련된 한쌍의 접촉부가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압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실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콘택트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두께가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를 협지하도록 2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최외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에 마련된 한쌍의 접촉부끼리의 간격(S)이 상기 평판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두께(T)와 동일 또는 작게 설정되어 있는(S≤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와,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가,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동일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와, 상기 다른 콘택트 부재보다 두껍게 형성된 콘택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택트 부재의 각각이, 상기 다극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2 종류의 콘택트 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87003950A 2015-07-08 2016-06-03 전기 커넥터 KR102147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6599 2015-07-08
JP2015136599A JP6592995B2 (ja) 2015-07-08 2015-07-08 電気コネクタ
PCT/JP2016/066589 WO2017006672A1 (ja) 2015-07-08 2016-06-03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25A true KR20180035225A (ko) 2018-04-05
KR102147588B1 KR102147588B1 (ko) 2020-08-24

Family

ID=5768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50A KR102147588B1 (ko) 2015-07-08 2016-06-03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8733B2 (ko)
EP (1) EP3327872A4 (ko)
JP (1) JP6592995B2 (ko)
KR (1) KR102147588B1 (ko)
CN (1) CN108028482B (ko)
TW (2) TWI687001B (ko)
WO (1) WO2017006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D941244S1 (en) * 2019-06-25 2022-0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CN112217045B (zh) * 2019-07-11 2024-04-30 泰连公司 用于电路卡组件的电力连接器系统
JP2021118268A (ja) * 2020-01-27 2021-08-10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及びコネクタ
WO2021152899A1 (ja) * 2020-01-27 2021-08-05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CN114665306B (zh) * 2022-03-25 2024-02-20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687A (ja) * 2004-07-27 2006-02-09 Taiko Denki Co Ltd 基板間コネクタ
JP2012069481A (ja) 2010-09-27 2012-04-0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2089264A (ja) * 2010-10-15 2012-05-10 Toshiba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621A (ko) 1972-05-29 1974-01-25
US4196955A (en) * 1979-02-07 1980-04-08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5830014A (en) * 1992-11-25 1998-11-03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JPH11204204A (ja) * 1998-01-07 1999-07-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3932521B2 (ja) * 1998-04-17 2007-06-20 Smk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ー
CN2351881Y (zh) * 1998-12-29 1999-12-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嵌扣装置
JP2010056066A (ja) 2008-07-29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2151021A (ja) * 2011-01-20 2012-08-09 D D K Ltd コネクタ
JP6021058B2 (ja) * 2012-08-27 2016-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TWM476383U (en) * 2013-05-31 2014-04-11 Advanced Connectek Inc Connector
JP5574514B2 (ja) * 2013-06-18 2014-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215042B2 (ja) * 2013-12-24 2017-10-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687A (ja) * 2004-07-27 2006-02-09 Taiko Denki Co Ltd 基板間コネクタ
JP2012069481A (ja) 2010-09-27 2012-04-0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2089264A (ja) * 2010-10-15 2012-05-10 Toshiba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8733B2 (en) 2019-09-17
CN108028482B (zh) 2019-12-13
KR102147588B1 (ko) 2020-08-24
US20180254572A1 (en) 2018-09-06
TWI687001B (zh) 2020-03-01
JP6592995B2 (ja) 2019-10-23
EP3327872A4 (en) 2019-04-10
EP3327872A1 (en) 2018-05-30
WO2017006672A1 (ja) 2017-01-12
CN108028482A (zh) 2018-05-11
TW201826629A (zh) 2018-07-16
TW201711293A (zh) 2017-03-16
JP2017021911A (ja) 2017-01-26
TWI687002B (zh) 202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225A (ko) 전기 커넥터
JP6199153B2 (ja) コネクタ
JP5182384B2 (ja) 電気コネクタ
JP6308197B2 (ja) 電気コネクタ
TW201834331A (zh) 連接器裝置
KR20130025807A (ko) 전기 커넥터
US9318820B2 (en) Connector for multi-layered board
US7165991B2 (en) Connector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US9252516B2 (en) Connector
WO2012101849A1 (ja) 電気コネクタ
JP656985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077916A (ja) コネクタ
JP521844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32492A (ja) 電気コネクタ
JP5344285B2 (ja) コネクタ装置
JP636202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6115595A (ja) 電気コネクタ
JP2018045801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24251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7143070A (ja) 接続部材
JP2006302631A (ja) Ic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